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05:18:40

조선/관련 문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조선

조선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00d45>관련 문서 사회 · 역사 · 왕조 · 궁궐 · 국호 · 행정구역 · 평가 ( 고려와의 비교) · 오해 · 인물 ( 왕비· 후궁· 왕세자빈· 왕실) · 창작물 · 기타 관련 문서
관련 틀 국왕 · 왕비 · 대비 · 왕대비 · 대왕대비 · 중앙정치기구 · 4대 명필 · 반정 · 5대궁 ( 정문· 정전) · 문묘 배향 18현 · 종묘 배향공신 · 조선왕조실록 · 4대 사화 · 무기 · 별궁과 궁가 · 붕당 · 쟁송제도 · 수영 · 천주교 박해 · 대외 전쟁 · 실패한 내란 · 환국 · 공신 · 10대 대로 · 일본과 맺은 수교 · 타국과 맺은 통상조약 }}}}}}}}}


1. 개요2. 관련 문서3. 인물
3.1. 국왕3.2. 왕비3.3. 왕실3.4. 후궁3.5. 왕세자비3.6. 공신
4. 건축
4.1. 궁궐4.2. 유적
5. 정치, 행정, 군사 제도
5.1. 법률
5.1.1. 소송법
5.2. 신분5.3. 정치.행정 조직
5.3.1. 직위5.3.2. 군사
5.4. 지방 행정 조직5.5. 제도, 정책
6. 교육, 학술
6.1. 교육 기관6.2. 역사6.3. 사상6.4. 기타 서적
7. 기타 당대 작품8. 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9. 평가10. 둘러보기

1. 개요

조선 관련 문서 및 둘러보기 틀을 서술한 문서.

2. 관련 문서

3.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 국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왕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왕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역대 왕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왕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왕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후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역대 후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왕세자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역대 왕세자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공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신/조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건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사(大祀)
종묘
宗廟
사직단
社稷壇
경모궁
景慕宮
중사(中祀)
풍운뇌우단
風雲雷雨壇
선농단
先農壇
선잠단
先蠶壇
사악
四岳
삼해
三海
칠독
七瀆
우사단
雩祀壇
문묘
文廟
팔전
八殿
}}}}}}}}}

4.1. 궁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의 궁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유적

5. 정치, 행정, 군사 제도

5.1. 법률

5.1.1. 소송법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쟁송제도
신문고(申聞鼓) 상언(上言)
격쟁(擊錚)
민사소송
사송(詞訟)
형사소송
옥송(獄訟)

5.2. 신분

공식적으로는 양인과 천인 두 계급만 있었으나 이후 분화한다.

5.3. 정치.행정 조직

5.3.1. 직위

5.3.2. 군사

5.4. 지방 행정 조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행정구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5. 제도, 정책

6. 교육, 학술

6.1. 교육 기관

6.2. 역사

6.3. 사상

6.4. 기타 서적

7. 기타 당대 작품

8. 조선을 배경으로 한 작품

9. 평가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목조
익조
도조
환조
초대
태조 고황제
제2대
정종
제3대
태종
제4대
세종
제5대
문종
제7대
세조
제6대
단종
덕종 제8대
예종
제9대
성종
제10대
연산군
제11대
중종
폐세자 이고 제12대
인종
제13대
명종
덕흥대원군
제14대
선조
제15대
광해군
원종 흥안군
폐세자 이지 제16대
인조
제17대
효종
경안군 제18대
현종
복녕군
임창군 제19대
숙종
의원군
밀풍군 제20대
경종
제21대
영조
안흥군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이진익
제22대
정조 선황제
은언군 이병원
제23대
순조 숙황제
전계대원군 남연군
문조 익황제 제25대
철종 장황제
흥선대원왕
제24대
헌종 성황제
제26대
고종 태황제
제27대
순종 효황제
[범례] 실제 혈통 기준 · 세로선(│): 부자 관계 · 가로선(─): 형제 관계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ffd400;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태조 정종 태종 세종
2
신덕왕후
1
정안왕후
1
원경왕후
1
소헌왕후
단종 세조 예종 성종
1
[ruby(정순왕후, ruby=定順王后)]
1
정희왕후
2
안순왕후
1
공혜왕후
폐비 윤씨
2
정현왕후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거창군부인
1
단경왕후
2
장경왕후
3
문정왕후
1
인성왕후
1
인순왕후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1
의인왕후
2
인목왕후
문성군부인
1
인열왕후
2
장렬왕후
1
인선왕후
현종 숙종 경종 영조
1
[ruby(명성왕후, ruby=明聖王后)]
1
인경왕후
2
인현왕후
폐비 장씨
3
인원왕후
2
선의왕후
1
정성왕후
2
[ruby(정순왕후, ruby=貞純王后)]
정조 순조 헌종 철종
1
효의왕후
1
순원왕후
1
효현왕후
2
효정왕후
1
철인왕후
고종 순종
1
[ruby(명성태황후, ruby=明成太皇后)]
2
순정효황후
}}}}}}}}}

조선왕조실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실록 정종실록 태종실록 세종실록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문종실록 단종실록 세조실록 예종실록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성종실록 연산군일기 중종실록 인종실록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명종실록 선조실록
( 선조수정실록)
광해군일기
( 중초본·정초본)
인조실록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효종실록 현종실록
( 현종개수실록)
숙종실록
( 보궐정오)
경종실록
( 경종수정실록)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영조실록 정조실록 순조실록 헌종실록
제25대 제26대 제27대
철종실록 고종실록 순종실록
(순종실록 부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복궁
景福宮
창덕궁
昌德宮
창경궁
昌慶宮
덕수궁
德壽宮
경희궁
慶熙宮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덕수궁의 원래 정문은 인화문이었으나 후일 폐쇄되고 대한문으로 바뀌었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복궁 근정전
景福宮 勤政殿
창덕궁 인정전
昌德宮 仁政殿
창경궁 명정전
昌慶宮 明政殿
덕수궁 중화전
德壽宮 中和殿
경희궁 숭정전
慶熙宮 崇政殿
중화전 건립 이전 덕수궁의 정전은 즉조당이었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삼사 의정부 국왕 직속

삼군부 오위 비변사 오군영 속오군
<rowcolor=#f0ad73> 고려 중앙정치기구 · 대한제국 중앙정치기구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시대의 성공한 반정
무인정사 계유정난 중종반정 인조반정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붕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관학파
사림파 훈구파
동인 서인
북인 남인 소론 노론
세도정치
위정척사파 개화파
친청파 개화당
대한제국 이후 ( 공산정당)
붉은 계열은 원리주의적 강경파, 노란 계열은 탈이념적 정파, 푸른 계열은 개량주의적 온건파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4대 사화
무오사화 갑자사화 기묘사화 을사사화

<colbgcolor=#c00d45> 조선 문묘 종사 동국 18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c81e> 서무 종향 <colbgcolor=#fff078> 문창후(文昌侯)
최치원
<colbgcolor=#78f0ff> 홍유후(弘儒侯)
설총
<colbgcolor=#1ec8ff> 동무 종향
문충공(文忠公)
정몽주
문성공(文成公)
안유
문헌공(文憲公)
정여창
문경공(文敬公)
김굉필
문원공(文元公)
이언적
문정공(文正公)
조광조
문정공(文正公)
김인후
문순공(文純公)
이황
문간공(文簡公)
성혼
문성공(文成公)
이이
문열공(文烈公)
조헌
문원공(文元公)
김장생
문정공(文正公)
송시열
문경공(文敬公)
김집
문순공(文純公)
박세채
문정공(文正公)
송준길
<colcolor=#373a3c,#ddd> ■ 진한 색: (동무종향) 조선 5현
■ 진한 색: (서무종향) 조선 5현
{{{#c00d45
적색}}}: 조선 종묘 배향공신
}}}}}}}}}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 수군 수영
삼도수군통제영 휘하 수영 삼도수군통어영 휘하 수영
경상좌수영 경상우수영 전라좌수영 전라우수영 충청수영 경기수영 황해수영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 월도 · 왜검 · 장검 · 창포검 · 환도 · 협도 · 쌍수도
당파 · 장창 · 낭선 · 기창 · 죽장창 · 요구창 · 겸창 · 이두표 · 표창
둔기 도끼( 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 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 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 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일총통, 이총통, 승자총통, 사전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레밍턴 롤링블럭,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 화차
방어구 갑(甲) 군복 두정갑, 유엽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 철릭 · 구군복 · 포졸복
주(冑) · 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4대 명필
사자관체 예서체 인수체 초서체
석봉 한호 비해당 이용 자암 김구 봉래 양사언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의 천주교 박해
정조 15년 순조 원년 헌종 5년 헌종 12년 고종 3년
신해박해 신유박해 기해박해 병오박해 병인박해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의 대외 전쟁·정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colcolor=#ddd>전쟁·정벌 교전세력
대마도 정벌 (제2차, 제3차) 1396, 1419 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4군 6진 개척 1433 ~ 1437 여진족
모련위 정벌 1461 여진족
정건주위(세조) 1467 여진족
정건주위(성종) 1479 여진족
정니마군 1491 여진족
정서북로구 1492 여진족
삼포왜란 1510 왜구
파일:쓰시마 소 가문 문장.svg 소 가문
사량진 왜변 1544 왜구
을묘왜변 1555 왜구
니탕개의 난 1583 여진족
녹둔도 전투 1587 ~ 1588 여진족
임진왜란 1592 ~ 1597 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정유재란 1597 ~ 1598 파일:고시치노키리.svg 일본 (도요토미 정권)
제2차 당포 해전 1604 파일:도쿠가와 가몬.svg 일본 (도쿠가와 정권)
사르후 전투 1619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흥양 해전 1622 파일:네덜란드 동인도 회사.png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정묘호란 1627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병자호란 1637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
가도 정벌 1637 모문룡 휘하 명군 잔당
송산 전투 1641 명나라
나선정벌 1652 ~ 1658 파일:루스 차르국 국기.svg 루스 차르국
제너럴 셔먼호 사건 1866 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병인양요 1866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2제국
신미양요 1871 파일:미국 국기(1867-1877).svg 미국
운요호 사건 187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시대 실패한 내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내란 주도 세력
2차 왕자의 난 <colbgcolor=#ffffff,#1f2023> 이방간, 박포
조사의의 난 이성계, 조사의
이징옥의 난 이징옥
단종 복위 운동 사육신
김처의의 난 김처의
이시애의 난 이시애
임꺽정의 난 임꺽정
정여립의 난 정여립
송유진의 난 송유진
이몽학의 난 이몽학
이괄의 난 이괄
이인거의 난 이인거
삼수의 옥 정인중 등 노론
이인좌의 난 이인좌
나주 괘서 사건 윤지
정유역변 홍상범
황사영 백서 사건 황사영
홍경래의 난 홍경래
임술농민봉기 유계춘 등 진주 사람
이필제의 난 이필제
이재선 추대 사건 안기영 등, 이하응
임오군란 김장손, 유춘만 오군영의 일원
갑신정변 김옥균 급진 개화파
1차 이준용 옹립 사건 이하응, 위안스카이
이재면 추대 사건 이하응, 위안스카이
동학 농민 혁명 전봉준 등 동학 농민군
2차 이준용 옹립 사건 이하응
조선군 훈련대 반란사건 이두황 조선군 훈련대
갑오의병 김원교, 서상철 등
을미의병 유인석 등 조선 의병
춘생문 사건 임최수, 이도철 친러파, 친미파
신축민란 이재수, 오대현, 강우백 등
을사의병 최익현 등 조선 의병
정미의병 이인영 13도 창의군 }}}}}}}}}
※ 대한제국기의 사건 포함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시대의 환국
갑인환국 경신환국 기사환국
갑술환국 신축환국 정미환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58
, 1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5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본래 제도 상 양반, 서얼, 중인 모두 양인에 속한다. 즉, 양인 이상부터 과거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졌으며 이론상 양인도 재능과 시간만 있다면 경전을 공부해 과거에 응시할 수 있었다는 소리. [2] 이 계급은 공식적인 것도 아니었고 인조 이후에는 4대를 지나면 서자 딱지를 뗐다. [3] 상술한 두 기관은 각각 KBS/ EBS MBC의 대주주로서 해당 방송사들의 경영권, 인사권과 편성 등의 권한을 가진다. 다만 방문진의 경우 방통위로부터 통제를 받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방통위가 MBC까지 주관하는 셈. [4] 훗날 일제 강점기 및 대한민국 도청 소재지로 굳어진 곳도 다수 있다. 사실 감영이 현재의 도청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5] 돈의문 밖에 있었다. [6] 상주에 있다가 선조 34년(1601년) 대구로 이전. [7] 순조 때 2차례, 철종~고종 [8] 충주에 있다가 선조 35년(1602년) 공주로 이전. [9] 이시애의 난 이후 예종 때 쓰다가 성종 1년(1470년) 다시 영안도로 복귀. "함흥 사람 이중호 등이 이시애의 당류(黨類)가 되어 차마 악역(惡逆)을 저질렀으므로 그 죄가 깊고 중한데, 그 고을 이름을 그대로 두었으니 악(惡)을 징계하는 뜻에 어그러짐이 있습니다. 영흥(永興)은 본래 계수관으로 우리 태조가 탄생하신 땅이고 어용을 봉안한 곳이니, 청컨대 길주(吉州)의 예에 의하여 함흥은 호를 강등하여 군을 삼아 전일에 나누어 붙인 토지와 인민(人民)을 각각 본고을에 돌려보내고, 영흥은 승격하여 부(府)로 만들어 부윤(府尹)을 차정(差定)하고, 다시 토관(土官)을 설치하고, 인하여 영흥(永興)과 초면(初面)의 대관(大官)인 안변(安邊)의 호를 들어서 본도를 개칭(改稱)하여 영안도(永安道)라 하는 것이 어떠합니까?"(성종 1년 기사). [10] 연산군 4년 함경도로 굳어짐. [11] 함흥에 있다가 선조 33년(1600년) 영흥으로 이전. [12] 자세한 내용은 증도가자 참고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