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00:39:04

안향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문하시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문벌귀족기
(981~1170)
문하시중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무신정권
(1170~1270)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원 간섭기
(1270~1356)
김방경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여말선초
(1356~1392)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 좌우보 · 상좌평)
신라 ( 대보 · 시중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국무총리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안향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평장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colcolor=#373a3c,#ddd> [내의성] 평장사
조맹 최언위
문벌귀족기
(981~1170)
[내사문하성] 평장사
최승로 서희 최량 왕융 한인경 유방헌 위수여 진적 유진 최사위 최사위 김심언 진적 이예균 왕동영 최항 최항 강감찬 강감찬 유방 장영 최항 채충순 유방 이공 이공 서눌 서눌 류소 이단 이단 이단 황보유의 이단 류소 황보유의 박충숙 유징필 황주량 황주량 최충 최제안 황보영 이작충 최충 황보영 김영기 김원충 김원충 이자연 이자연 왕총지 김정준 박성걸 김정준 김원정
[중서문하성] 평장사
김원정 최유선 임종일 김의진 왕무숭 이정 문정 김약진 이정공 최석 이정공 김양감 최석 김양감 류홍 왕석 김행겸 류홍 최사제 정유산 이안 소태보 소태보 이자위 김상기 류석 김상기 임개 최사추 김선석 황영 최사추 위계정 김선석 임간 임간 이오 이오 위계정 오수증 최홍사 최홍사 이오 윤관 김경용 임의 임의 김경용 오연총 허경 오연총 이위 임간 허경 이자겸 김연 이자겸 김연 조중장 강증 김연 오수증 조중장 김준 임유문 김준 한안인 이자량 김고 임유문 최홍재 김약온 김약온 척준경 척준경 이수 이수 박승중 척준경 김부일 김향 최홍재 최사전 김향 문공인 최자성 최자성 김부식 이준양 임원애 최유 임원준 이자덕 최유 이중 이중 최진 최진 한유충 왕충 임원숙 이인실 이인실 고조기 김영관 최유청 문공원 유필 최관 유필 김영석 최자영 최윤의 이지무 양원준 최함 최유청 박순충 김영부 이지무 최유칭 김영윤 허홍재 허홍재
무신정권
(1170~1270)
임극충 서공 임규 양숙 정중부 윤인첨 윤인첨 한취 이광진 기탁성 민영모 송유인 최충렬 이공승 문극겸 한문준 최세보 이의민 박순필 이혁유 임민비 이광정 조영인 기홍수 임유 최당 최당 우술유 기홍수 이문충 최선 임유 기홍수 김준 차약송 최충헌 최충헌 김봉모 노효돈 이극서 조충 류광식 이연수 김의원 최보돈 최보순 왕규 김취려 최홍윤 금의 이규보 이자성 채송년 최린 기윤숙 김창 최자 김태서 류소 최자 김기손 송순 김기손 김기손 이세재 김기손 이세재 이장용 김순 최온 김지대 류경
원 간섭기
(1270~1356)
류경 김전 채정 김방경 김방경 원부 장길 유천우 황보기
(도)첨의찬성사·도첨의중호
유천우 류경 원부 박항 송송례 홍자번 홍자번 한강 한강 조인규 인후 강수형 박구 신사전 홍문계 김련 정가신 강수사 송분 인후 정가신 인후 김혼 차신 송분 한희유 정인경 최유엄 한희유 김지숙 최유엄 임익 이덕손 최수황 류비 김혼 차신 채모 김부윤 김혼 안향 최유엄 류비 오윤부 이지저 민훤 정해 왕유소 설영임 조윤통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이혼 김심 김문연 인후 김심 류청신 이진 류청신 배정 박의 권부 이호 권단 홍선 설영임 설경성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오형 권한공 최성지 김사원 이설 김이용 김이 조연수 오잠 오잠 박허중 오잠 박허중 조련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송영 권준 김이 한악 임중연 전영보 원충 정방길 강융 임중연 전영보 임자송 원충 전언 채홍철 임중연 조적 채하중 민상정 조위 안문개 홍빈 김인연 정천기 오계유 강윤성 윤환 김륜 권겸 박충좌 유방세 김영후 강윤성 전사의 손수경 안축 윤계종 이군해 류돈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윤안숙 염제신 허백 윤신계 이곡 류탁 김인호 조일신 조익청 전윤장 윤시우 김자 류탁 정을보 조유 홍언박 김승택 홍언박 류탁 이공수 강윤충 원호 기륜 강순룡 박새안불화 홍언박 윤환 김경직 김인호 김보 최천택 박수년 허백 황석기 강윤충 권적
여말선초
(1356~1392)
[중서문하성] 평장사·평장정사
류탁 허백 황석기 김용 황석기 김용 전보문 김일봉 김승택 이승경 정자후 이겸 안우 이공수 김용 경천흥 류탁 정세운 정세운 이방실
도첨의찬성사
유인우 김용 이공수 경천흥 황상 이성서 송경 안우경 최영 이인복 이구수 이인복 송경 안우경 최영 이구수 김보 이춘부 이인임 권적 이성서 윤택 안우상 우제
문하찬성사
한방신 황상 안우경 최영 강인유 안사기 목인길 지용기 정몽주 지용기 정몽주 배극렴 설장수 조준 권중화 조준 류만수 권중화 윤호 성석린
}}}}}}}}}}}} ||

고려 문묘 종사 동국 3현
문성공(文成公)
안향
문창후(文昌侯)
최치원
홍유후(弘儒侯)
설총
남종향

<colbgcolor=#c00d45> 조선 문묘 종사 동국 18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ec8ff> 동무 종향 <colbgcolor=#78f0ff> 홍유후(弘儒侯)
설총
<colbgcolor=#fff078> 문창후(文昌侯)
최치원
<colbgcolor=#ffc821> 서무 종향
문성공(文成公)
안유
문충공(文忠公)
정몽주
문경공(文敬公)
김굉필
문헌공(文憲公)
정여창
문정공(文正公)
조광조
문원공(文元公)
이언적
문순공(文純公)
이황
문정공(文正公)
김인후
문성공(文成公)
이이
문간공(文簡公)
성혼
문원공(文元公)
김장생
문열공(文烈公)
조헌
문경공(文敬公)
김집
문정공(文正公)
송시열
문정공(文正公)
송준길
문순공(文純公)
박세채
<colcolor=#373a3c,#ddd> ■ 진한 색: (동무종향) 조선 5현
■ 진한 색: (서무종향) 조선 5현
{{{#c00d45
적색}}}: 조선 종묘 배향공신
* 문묘에서 동순위인 경우 동배향이 서배향보다 위계가 높음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서울 숭례문
  1.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2.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
  3. 여주 고달사지 승탑
  4.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5.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6. 천안 봉선홍경사 갈기비
  7.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9. 남원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
  10. 익산 미륵사지 석탑
  11.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12.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13. 영천 거조사 영산전
  14. 안동 봉정사 극락전
  15.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16.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
  17.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18. 영주 부석사 조사당
  19. 경주 불국사 다보탑
  20.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21. 경주 불국사 연화교 및 칠보교
  22. 경주 불국사 청운교 및 백운교
  23. 경주 석굴암 석굴
  24.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1968)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19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01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
  1.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37
  2.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6
  3.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4. 충주 고구려비
  5.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6.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7. 도리사 세존사리탑 금동 사리기
  8. 보협인석탑
  9. 감지은니불공견삭신변진언경 권13
  10. 백지묵서 묘법연화경
  11.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언해)
  12. 금동탑
  13.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향완
  14. 감지은니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 31
  15. 정선필 인왕제색도
  16. 정선필 금강전도
  17. 아미타삼존도
  18. 백자 청화매죽문 항아리
  19. 청자 상감용봉모란문 합 및 탁
  20.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21. 백자 청화매죽문 유개항아리
  22. 경복궁 근정전
  23. 경복궁 경회루
  24. 창덕궁 인정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1991)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colbgcolor=#fedc89><colcolor=#7F0000> 고려 도첨의중찬
문성공(文成公)
안향
安珦
파일:국보 안향 초상(2014년 국보 동산 앱 사진).jpg
국보 제111호 안향 초상
이름 유(裕) → 향(珦)[1]
시호 문성공(文成公)
본관 순흥 안씨[2]
사온(士蘊)
회헌(晦軒)
출생 1243년( 고종 30)
경상도 흥주 상평리
(現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배점리 상평동)
사망 1306년( 충렬왕 32) 9월 12일 (향년 63세)
국적 파일:고려 의장기.svg 고려
1. 개요2. 생애3. 사상4. 일화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고려 학자 · 정치가. 동국 18현의 한 사람이자 한반도 성리학을 처음으로 도입한 대학자로 본관은 흥녕(興寧)이며 시호는 문성공(文成公)이다. 아명은 유(裕), 자는 사온(士蘊), 호는 회헌(晦軒)이다. 안향의 본관인 흥녕은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으로 흥녕 안씨는 바로 지금의 순흥 안씨(順興安氏)이다.

주자(朱子)가 집대성한 성리학을 고려에 도입함으로써 유학을 중심으로 한 신진사대부를 등장하게 한 계기를 만들었으며 안향 자신도 흥주(흥녕의 다른 이름으로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과 풍기읍 일대)의 중소 지주층 출신의 사대부였다.

안향을 시작으로 한 신진사대부의 정계 등장은 질서가 무너져가던 고려를 엎고 조선을 건국하는 주요 동력이 되었으며 성리학의 이념을 중심 이념으로 삼은 조선이 들어서자 도학의 시조로 받들어지고 문묘에 제향되었다. 안향의 후손들은 조선 시대에도 흥성했으며 지금의 순흥 안씨 후손들에 이르기까지 유학의 일가로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3]

2. 생애

1243년(고종 30년) 경상도 흥주(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에서 흥주의 향족이었던 안부(安孚 / 1220 - ?)와 강주 우씨(剛州禹氏) 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안유의 아버지 안부는 흥녕 안씨의 시조인 보승별장 안자미(安子美)의 손자로 흥녕 안씨 일족은 흥주의 토착 향족 출신 가문이었다. 안부 또한 흥주의 향리로 있다가 개경으로 상경해 의업(醫業)으로 출세하여 이후 정3품 밀직부사(密直副使)를 거쳐 판도판서(判圖判書)에 이르러 치사( 관직에서 은퇴하는 것)하였으며 어머니 우씨는 예빈승(禮賓丞)을 지낸 우성윤(禹成允)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명석하고 학문에 밝았던 안유는 1260년(원종 1년) 문과에 급제하여 18세의 나이에 교서랑(校書郞)에 임명되었다. 이 무렵 이름을 향(珦)으로 고쳤다. 직후 직한림원(直翰林院)으로 자리를 옮겨 10년 가까이 재임했다. 1270년(원종 11년) 삼별초의 난 때 강도(江都 : 지금의 강화도)에 억류되었다가 탈출하였으며 1272년(원종 13년)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었다. 강도 탈출의 일로 원종의 신임을 얻어 이름을 알리게 된다.

1275년(충렬왕 1년) 상주판관(尙州判官)으로 부임했는데 미신으로 백성들을 수탈하며 재산을 축적하고 사람들을 함부로 부리는 등 상주에서는 무당들의 행패가 심했다. 이에 안향은 미신을 타파하고 풍속을 쇄신시키기 위해 무당들을 잡아다 엄히 다스렸으며 다시는 사특한 농간으로 백성들을 현혹시키지 못하게 하면서 상주의 풍속이 바로잡혔다. 이후 판도사좌랑(版圖司左郎)·감찰시어사(監察侍御史)를 거쳐 국자사업(國子司業)에 올랐다. 1288년(충렬왕 14년) 우사의대부(右司議大夫)를 거쳐 좌부승지(左副承旨)로 옮기고 다시 좌승지(左承旨)로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었다. 1289년(충렬왕 15년) 2월 정동행성(征東行省)의 원외랑(員外郎)에 임명되었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좌우사낭중(左右司郎中)이 되었고 고려유학제거(高麗儒學提擧)가 되었다. 1289년 11월 충렬왕 제국대장공주 부부를 호종하여 직접 원나라에 가서 주자의 저작들을 손수 베끼고 공자와 주자의 화상(畵像)을 그려 가지고 1290년(충렬왕 16년) 고려로 돌아왔으며 1290년 3월 종2품 부지밀직사사(副知密直司事)에 올랐다.

문신이었지만 무재(武才)도 있었던 듯하다. 1294년(충렬왕 20년) 동남도병마사(東南道兵馬使)를 제수받아 합포(合浦)[4]에 출진하기도 했으며 지공거(知貢擧)로 옮겼다가 12월 지밀직사사(知密直司使)로 보직되었다. 1295년(충렬왕 21년) 밀직사사(密直司使)로 승진했으며 1296년(충렬왕 22년) 삼사좌사(三司左使)로 전직했고 충렬왕과 제국대장공주를 호종하여 다시 원나라 원행을 다녀왔다. 1297년(충렬왕 23년) 첨의참리세자이보(僉議參理世子貳保)가 되었으며 12월 집 뒤에 작은 서실을 짓고 공자와 주자의 화상을 모셨다. 1298년(충렬왕 24년/충선왕 원년) 원나라의 간섭으로 충렬왕이 물러나고 세자인 장(璋)이 충선왕으로 즉위하면서 시행된 관제 개혁에 따라 집현전태학사 겸 참지기무 동경유수 계림부윤(集賢殿太學士 兼 參知機務東京留守鷄林府尹)이 되고 다시 첨의참리 수문전태학사 감수국사(僉議參理修文殿太學士監修國史)가 되었다. 1298년 8월 충선왕을 따라 또다시 원나라에 들어가는데 그의 3번째 원나라 여정이었으며 생애 마지막 국외 활동이 된다. 1299년(충렬왕 복위 원년) 충렬왕이 다시 복위되자 1300년(충렬왕 복위 1년) 수국사(修國史)가 되었으며 이어서 광정대부 찬성사(匡靖大夫贊成事)에 올랐고 얼마 뒤 최고 관위인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이 되었다.

1303년(충렬왕 복위 4년) 국학학정(國學學正) 김문정(金文鼎)을 중국 강남(江南 : 현재의 난징)에 보내어 공자와 72현의 화상, 문묘에서 사용할 제기(祭器)·악기(樂器) 및 육경(六經)·제자(諸子)·사서(史書)·주자의 저서 등을 구해오게 하였다. 충렬왕에게 청하여 문무백관으로 하여금 6품 이상은 1근, 7품 이하는 포(布)를 내게 하여 양현고(養賢庫)에 귀속시키고 그 이자로 인재 양성에 충당하도록 하였다. 이때 무신인 고세(高世)가 자신은 무관인데 어찌하여 문관을 양성하는 양현고에 재산을 내야 하는가하며 거부하자 "공자(孔子)의 가르침은 만세의 규범이다. 신하가 임금에게 충성하고 아들이 어버이에게 효도하며 아우가 형을 공경하는 것은 누구의 가르침인가? 무인인 내가 무엇하러 돈을 내어 문인 생도들을 가르치는 데 보태느냐 한다면 이는 공자를 무시하는 것이니 가당한 일인가?"라는 말로 힐책하여 고세도 양현고에 재산을 내게 하였다. 1303년 12월 첨의시랑 찬성사 판판도사사 감찰사사(僉議侍郎贊成事判版圖司事監察司事)가 되었다.

1304년(충렬왕 복위 5년) 5월 섬학전(贍學錢)을 마련하고 박사(博士) 관직을 설치하여 출납을 관장하게 했는데 국자감 운영의 재정적 원활을 가져왔다.[5] 1304년 6월 대성전(大成殿)이 완성되자 중국에서 구해온 공자를 비롯한 성인들의 화상을 모시고 밀직부사로 치사한 이산(李㦃)과 전법판서 이진(李瑱)을 천거하여 경사교수 도감사(經史敎授都監使)로 임명하게 하였다. 이 해에 판밀직사사 도첨의중찬(判密直司事都僉議中贊)으로 관직 생활을 마쳤는데 도첨의중찬은 수상의 관직에 해당한다. 관직에서 물러난지 2년이 지난 1306년(충렬왕 복위 7년) 9월 12일에 64세를 일기로 개경의 자택에서 세상을 떠났다. 안향이 세상을 떠나자 국자감과 사학 12공도의 생도들이 모두 소복을 입고 안향의 가는 길을 마중했다고 한다. 안향이 세상을 떠난 뒤 충렬왕은 직접 장단(長湍 : 경기도 장단군)의 대덕산(大德山)에 장지를 마련해 주었으며 그의 장례가 끝나자 문성(文成)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안향은 이후의 사대부들에게 도학의 시조로 추앙받으며 성인으로 떠받들어졌고 조선이 건국된 뒤에는 성균관 유생들이 제사를 모실 정도로 학자들에게 숭앙받았다.

안향이 세상을 떠난지 12년이 지난 1318년(충숙왕 5년) 그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원나라 화공을 불러 그의 초상을 그리게 했다.[6] 초상화가 그려진 다음 해인 1319년(충숙왕 6년) 문묘에 안향의 신주를 모시게 되었고 조선 시대에 문묘가 다시 지어진 뒤에도 안향의 신위는 제향신위로서의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안향은 조선 문종 이후로는 안유(安裕)라는 초명이나 안향(安向)이라는 표기로 불리게 되는데 문종의 이름이 안향과 같은 '옥이름 향(珦)'이었으므로 피휘를 위해 초명으로 부른 데에서 기인한다.

1542년(중종 37년) 풍기군수로 부임한 주세붕(周世鵬)이 안향의 생가가 있던 내죽리(內竹里 : 지금의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그의 사당을 세우고 1543년(중종 38년) 풍기군의 학사를 안향의 사당으로 옮겼는데 조선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이다. 1549년(명종 4년)에는 풍기군수로 재임 중이던 퇴계 이황(李滉)이 조정에 상소를 올려 백운동서원에 명종의 친필로 쓰여진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는 현판을 하사받았는데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의 시작으로 300년 후에 흥선대원군이 전국에 서원 철폐령을 내렸을 때도 철폐되지 않고 살아남았다.[7] 1643년(인조 21년) 안향의 묘소 근처인 봉잠산(鳳岑山) 기슭에 장단군의 유생들이 임강서원(臨江書院)을 세워 안향을 모셨으며 이 외에도 전라남도 곡성군에도 안향의 영정을 모신 회헌영당(晦軒影堂)이 세워졌다.

1931년 안향의 후손 안순환은 중원대전 중 공묘가 파손되는 일이 발생하자 조선 유림계를 대표하는 사절단을 구성하여 공자의 77대 종손 쿵더청을 만나 위로하였다.

3. 사상

안향은 일상생활에서 유학의 도리를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유학이야말로 인간이 따라야 할 사실상 유일하게 올바른 가르침이라는 성리학의 가르침을 원나라에서 접하고, 직접 그것을 연구하며 고려로 가져와서 유학을 공부하는 학생들로 하여금 배우게 하여 사실상 한국 성리학의 시조가 되었다. 그의 제자로 유명한 인물이 이진[8], 권부[9], 우탁[10], 백이정[11], 이조년[12], 신천[13] 등 6군자이다. 안향 - 6군자 - 이제현 - 이색 - 정몽주로 고려 성리학의 계보가 이어진다.

또한 성리학의 개조인 주자를 존경하고, 그의 호인 회암(晦菴)에서 회(晦)를 따와서 스스로의 호를 회헌(晦軒)이라고 할 정도로 주자성리학을 깊이 따랐다. 그러나 태극이나 기를 논하는 차원이 아닌, 배움에 몸을 담은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올바른 도리를 배우기 위해 성리학을 권장했고, 성리학이 뿌리를 내린 조선시대로 가면서 안향의 원론적인 성리학 이념은 퇴계 이황이나 율곡 이이, 남명 조식, 화담 서경덕등에 의해 태극과 기, 우주를 논하는 심오한 체계를 굳혔다.

그리하여 성리학은 조선의 골자로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불교 국가였던 고려의 유학자인 안향이 생각했던 올바른 유학의 모습은 병자호란 이후 조선이 성리학을 교조화하며 틀어지게 되었다.

4. 일화

안향은 사람을 감정하여 식별하는 능력이 있었다고 한다. 김이(金怡, 1265~1327)와 백원항(白元恒, ?~?)이 아직 현달하지 못하였을 때, 안향이 그들을 보고 말하기를, “후일에 반드시 둘 다 귀하고 귀현(貴顯)해질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후 김이는 1326년 첨의정승, 1327년 첨의중찬 등 수상직을 역임했고, 추충보절동덕공신(推忠保節同德功臣)에 봉해졌다. 백원항은 1321년 재상직인 첨의평리에 올랐다.

이제현(李齊賢, 1287~1367)과 이이(李異, ?~?)[14]는 1301년 과거에 함께 급제하였고 둘 다 유명하였다. 이제현은 15세에 국자감시, 문과를 모두 합격하였고, 이이도 어린 나이에 문과에 합격하였다고 한다. 안향이 불러 시를 짓게 하고는 말하기를, “이제현은 반드시 귀하게 되고도 장수할 것이고, 이이는 오래 살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과연 이제현은 수상직인 도첨의정승, 우정승,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5차례 공신에 봉해졌으며 81세를 향수했으나, 이이는 부친인 이혼(李混, 1252~1312)보다 일찍 사망하였다.

5. 둘러보기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권 3권 4·5권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성종 · 목종 현종 · 덕종
<rowcolor=#670000,#fedc89> 6권 7·8·9권 10권
정종靖宗 문종 · 순종 선종 · 헌종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15·16·17·18·19·20권 21권
숙종 · 예종 인종 · 의종 · 명종 신종 · 희종 · 강종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25·26·27권 28·29·30·31·32권
고종 원종 충렬왕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36권 37권
충선왕 · 충숙왕 충혜왕 충목왕 · 충정왕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133·134·135·136·137권열전 45·46권
공민왕 우왕 · 창왕 공양왕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표(表) ]
86·87권 「연표(年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 「공주(公主)」
태조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 성무부인 소생 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혜종 정종 광종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경춘원군 · ( 문성왕후 소생 공주)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경종 성종 목종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현종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덕종 정종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상회공주 · ( 유씨 소생 공주)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문종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순종 선종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숙종 예종
명의태후 유씨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승덕공주 · 흥경공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인종 의종 명종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광정태후 김씨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신종 희종
선정태후 김씨 성평왕후 임씨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wiki style="margin: -16px -11px" 강종 고종 원종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안혜태후 유씨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수령궁주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충렬왕 충선왕 충숙왕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세자 왕감 · 덕흥군 용산원자
충혜왕 공민왕 공양왕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휘의 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순비 노씨
석기 · 장녕공주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92권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93권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94권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95권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96권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97권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98권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99권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100권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101권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102권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rowcolor=#670000,#fedc89> 103권 104권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105권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106권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rowcolor=#670000,#fedc89> 107권 108권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109권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rowcolor=#670000,#fedc89> 110권 111권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112권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113권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114권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15권 116권 117권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rowcolor=#670000,#fedc89> 118권 119권 120권
조준 정도전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121권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충의(忠義)」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열녀(烈女)」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122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환자(宦者)」 「혹리(酷吏)」
김위제 · 이녕 (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송길유 · 심우경 }}}
123권 「폐행1(嬖幸一)」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124권 「폐행2(嬖幸二)」
윤수 윤길보 (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125권 「간신1(姦臣一)」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126권 「간신2(姦臣二)」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wiki style="margin: -16px -11px" <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128권 「반역2(叛逆二)」 129권 「반역3(叛逆三)」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 정지상)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131권 「반역5(叛逆五)」
한순 다지 · 홍복원 (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132권 「반역6(叛逆六)」
신돈
133·134·135·136·137권
신우(우왕) ( 신창(창왕)) }}}}}}}}}}}}



[1] 문종(조선)의 이름 향(珦)과 겹치는 바람에 조선 조정에서는 논의 끝에 문종의 이름을 피휘토록 하고 안향의 이름을 초명인 유(裕)로 바꿔 불렀다. 순흥 안씨 옛 족보에는 안유(安裕)라고만 나오는 경우도 있음. [2] 순흥은 현 경상북도 영주시 순흥면을 가리킨다. [3] 안향이 노비들을 성균관을 위해 일하라고 보내어 그 후손들이 대대로 반촌( 한성부에서 성균관을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에 살았는데 안향의 후손이 성균관에 들어오면 옛 주인의 후손이 오셨다며 극진히 대했다. 결정적으로 안중근, 안철수 등이 안향의 먼 후손들이다. [4] 지금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5] 오늘날의 장학재단 같은 시스템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6] 초상은 이후 안향의 후손들이 보관하다가 조선 명종 때 다시 복제하였는데 복제본이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11호로 지정된 회헌영정(晦軒影幀)이다. [7] 소수서원은 지금도 유적지로 남아있으며 국보 제111호 회헌영정도 이 곳에서 봉안하고 있다. 지금은 그 인근인 순흥면 청구리에 안향, 주세붕, 주자 등의 인물들의 유적을 소개하는 소수 박물관이 세워져 있다. [8] 검교첨의정승. 고려말 대학자이자 문하시중을 지낸 이제현의 아버지. [9] 첨의정승. 이제현의 장인. [10] 성균좨주. [11] 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이제현의 스승이자 사돈. [12] 정당문학. 고려말 권신 이인임의 조부. [13] 판밀직사사. [14] 본관은 전의 이씨. 형부시랑 이윤관(李允寬)의 증손이자 도첨의정승 이혼(李混)의 차남이다. 관직은 성균악정(成均樂正)에 이르렀고 부친 이혼보다 일찍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