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1:19

역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특정한 해를 원년으로 삼아 따지는 달력 체계에 대한 내용은 기년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 자전 주기) · 공전( 공전 주기) · 중력( 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 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 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 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 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 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 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 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 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2. 의의
2.1. 문명사 측면2.2. 정치적 측면
3. 역법의 종류 및 목록4. 역법의 개념 목록
4.1. 역법의 오차 보정 개념 목록
5. 역법 변경으로 인해 사라져버린 날짜들6. 같이보기

1. 개요

역법(, calendar)은 ' 천체의 주기적 현상 기준으로 하여 세시(歲時)를 정하는 방법'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달력을 만드는 방법이다. 천체의 운행을 관찰하여 만들어진다. 대한민국에서는 역법에 관한 규정이 천문법으로 정해져 있다.

2. 의의

2.1. 문명사 측면

역법은 고대로부터 천문학 수학 기술의 정수로서, 그야말로 과학의 총아라고 할 수 있는 분야였다. 역법의 활용은 문명 테크 트리에서 중대하게 작용한다.

이는 정밀한 역법은 곧 산업, 특히 1차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역법을 통해서 정밀하게 자연 변화를 예측하였고 이에 따라서 각종 산업을 발전시켰다. 농업에서는 역법에 대응하여 1년의 기후를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어업에서는 월령과 조수간만의 차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기술력이 부족하여 제대로 된 역법을 가지지 못한 문명은 생산성이 뒤떨어지고, 이는 곧 다른 문명과의 경쟁에서 패배를 불러오게 되며 심하면 문명의 생존이 위협받게 되는 끔찍한 결과를 초래한다.

하지만 정밀한 역법을 만들고 계산하려면 뛰어난 천문학자 수학자를 길러야 하는데 인류가 잉여 생산물을 분배할 수 있는 국가 체계를 만든 다음에야 이들이 나타나게 된다.

2.2. 정치적 측면

역법은 정치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데 흔히 ' 이변'으로 받아들여지는 일식, 월식 등을 역법을 통해 미리 예측하여 선포함으로서 사람들의 혼란을 줄이고, 종교적으로는 '하늘의 움직임'을 예측함으로서 '신통함'을 드러내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역대 중국 왕조에서는 중화사상 천자 의식을 이 측면과 연결해서 역법을 제정하고 이를 반포하는 것이 곧 왕조의 정통성을 상징했다.

천자는 이름 그대로 하늘의 아들이었고 하늘은 역(曆, 자연의 주기적 현상)이라는 질서의 거룩한 투영이며 그 실현이었다. 그래서 오로지 천자만이 하늘과 교류할 수 있는 중화사상의 개념상 역법제정은 천자만의 고유한 특권이었다. 그리고 제후국은 중국의 천자가 만든 달력을 받아 사용해야 했고, 하늘을 보고 관장하는 것은 천자의 영역이었기 때문에 본래 제후국에서는 만들 수 없었다.

3. 역법의 종류 및 목록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9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1. 태양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양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태음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음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태음태양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태음태양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1. 동아시아

3.3.1.1. 중국
3.3.1.1.1.
3.3.1.1.2.
3.3.1.1.3. 유송
3.3.1.1.4.
3.3.1.1.5.
3.3.1.1.6.
3.3.1.1.7.
3.3.1.2. 한국
3.3.1.2.1. 고려
3.3.1.2.2. 조선
3.3.1.2.3. 대한제국

3.3.2. 서아시아

4. 역법의 개념 목록

4.1. 역법의 오차 보정 개념 목록

5. 역법 변경으로 인해 사라져버린 날짜들

주로 율리우스력/ 음력에서 그레고리력으로 넘어가는 시점에 생긴 일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1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6. 같이보기



[1] 화성에서의 우주인 활동을 전제로 만들어진 달력이다. 태양력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2] 마야 종말론으로 유명해졌다. [3] 고대 이집트력의 한 변형이다. [4] 부여에서 사용했다. [5] 백제에서 사용했다. [6] 통일신라에서 사용했다. [7] 고구려 신라에서 사용했다. [8] 통일신라 고려에서 사용했다. [9] 실질적으로 대통력은 이름만 바꾼 수시력이나 다름없었다. [10] 시헌력의 기초가 된 역법으로 당시의 혼란상 때문에 반포되지 못했다. [11] 이슬람 천문학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12] 천세력을 발전시킨 역법이다. [13] 중국 시헌력, 대통력을 혼용한 역법이다. [14] 대통력을 조선의 실정에 맞게 최적화시킨 역법이다. 이게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 고유의 역법을 만드는데 활용되기도 하였다. 임진왜란 명나라에서 역법제정은 천자국만이 할 수있는 고유의 권리인데 제후국이 참람하게 독자적 역법을 제정한다고 사용을 금지하였다. [15] 시헌력을 이름만 바꾼 것이다. [16] 융희 연호를 쓸때 사용한 달력이다. [17] 연도를 매기는 방법이다. [18] 역법 간의 환산을 보장해주는 대수학적 성질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