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유명한 탐사선인 보이저.[1] |
1. 개요
탐사선( 探 査 船, space probe)이란, 지구나 다른 천체를 탐사하기 위해 우주로 쏘아 올린 관측도구를 말한다. 덕분에 가격이 어마어마하게 비싸다. 태양으로부터 멀어지면 태양광판에 닿는 광량이 떨어져서 효율이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진다. 때문에 외우주로 나가는 것들은 대부분 원자력 전지를 쓴다. 인류가 만든 것 중 가장 빠르고 멀리 나간 물건들( 보이저, 파이오니어 시리즈)[2]이다. 지금도 계속 전파를 보내고 있다고 하니 대단하긴 하다. 참고로 저 보이저, 파이오니어 시리즈엔 외계인이 볼수 있는 동판이나 골든 레코드를 실어놨다.탐사선 중에 지구나 기타 천체의 궤도에 진입하여 도는 궤도를 도는 것들은 인공위성에 포함되기도 한다.
탐사방법에는 접근 통과 (플라이바이), 표면 충돌, 궤도 선회, 착륙, 로버 등이 있다. 보통 이 순서대로 난이도가 높아지는 편. 과거 우주 경쟁 중에 탐사선 개발이 갓 시작되었을 무렵에는 플라이바이와 충돌선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기술이 발전된 뒤에는 주로 궤도선과 착륙선, 로버가 개발된다. 다만 지표 깊은 곳의 조성을 알아낸다거나 하는 목적으로 작은 탐사선을 충돌시켜 잔해를 분석하는 방식은 현재에도 사용되고, 목적지를 향해 날아가는 도중에 다른 천체의 옆을 지나가는 일종의 플라이바이 역시 사용되고 있다. 이건 단지 탐사 목적 뿐만이 아니라 스윙바이를 통해 속도를 얻기 위한 목적도 있다.
보통 탐사선은 무인 우주선인데, 이유는 위에서 서술했듯이 우리 태양계만 해도 너무 넓어서 유인 탐사선은 한계가 있다. 지구를 벗어나 다른 천체로 가려면 1년 이상은 기본이고 연료를 아끼기 위해 스윙바이로 가속하려면 중간에 경유지까지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도 오래 걸린다. 게다가 귀환까지 해야 되고.... 이와 같은 이유로 현재까지 유인우주선인 탐사선은 단 하나 뿐이다.
속도는 겉 모양으로 봐선 엄청 느릴 것 같지만 우주공간의 적은 중력과 행성의 강한 중력, 또는 스윙바이 같은 걸 이용해 총알 속도의 20배 이상으로 날아간다. 그리고 마찰이 사실상 0인 우주공간의 특성상 어딘가에 부딪히기 전까지 저 속도로 영원히 나아가게 된다.
이러한 탐사선과의 통신을 위해 미국을 비롯한 우주개발 선진국들은 심우주까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들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 NASA에서 운영하는 심우주 통신망(Deep Space Network).
2. 역대 탐사선
천문학계에서 꽤나 유명한 탐사선들은 다음과 같다.2.1. 무인탐사선
1950년대 |
- 루나 1호 (Мечта 메치타) - 최초로 지구 중력장을 벗어난 탐사선. (1959년)
- 루나 2호 - 최초로 달 표면에 도달한[3] 탐사선. (1959년)
- 루나 3호 - 최초로 달 뒷면을 촬영한 탐사선. (1959년)
1960년대 |
- 매리너 2호 - 최초로 금성에 접근비행하여 탐사하는데 성공했다. (1962년)
- 매리너 4호 - 최초로 화성에 접근비행하여 처음으로 화성표면을 촬영했다. (1965년)
- 루나 9호 - 최초로 다른 천체인 달에 착륙한 탐사선이다. (1966년)
- 베네라 3호 - 최초로 금성 표면에 도달한 탐사선. 그러나 금성에 접근하던 중 통신이 두절되어 정보를 얻는 데에는 실패하였다. (1966년)
- 서베이어 3호 - 지구가 아닌 천체 상에서 인류와 다시 만난 최초이자 유일한 탐사선이다. 아폴로 12호 참고. (1967년)
- 매리너 5호 - 금성에 접근비행하여 탐사선이 금성 뒤로 지나갈 때의 수신 전파의 강도 변화 측정으로 금성대기압을 계산해냈다. (1967년)
- 존드 5호 - 최초로 생물을 태우고 달 주위를 비행한 탐사선. 승무원은 거북이 두 마리. (1968년)
- 매리너 6호, 매리너 7호 - 매리너 4호보다 더 가까이 화성에 접근비행하여 더 많은 양의 표면촬영사진을 보내왔다. (1969년)
1970년대 |
- 베네라 7호 - 최초로 금성에 연착륙한 탐사선. (1970년)
- 루나 16호 - 월석을 가지고 돌아온 최초의 무인 탐사선.[4] (1970년)
- 매리너 9호 - 화성에 가까이 접근비행만 한-즉 가까이 지나쳐간-전 탐사선들과는 달리 최초로 화성궤도를 돌면서 수천장이 넘는 표면사진을 보내왔다. 이로써 화성표면지도가 만들어졌다. (1971년)
- 마스 2호 - 화성에 최초로 착륙하려다 추락해 들이받은 탐사선. 결국 착륙한 지 몇 초 뒤 연락이 두절되어서 결국 임무 실패. (1971년)
- 마스 3호 - 화성에 최초로 착륙한 탐사선. 그러나 착륙후 수초 후 통신 두절. (1971년)
- 파이오니어 10호 - 최초로 목성 탐사 성공. (1973년)
- 파이오니어 11호 - 최초로 토성 궤도에 진입했으며 두번째로 목성을 탐사한 탐사선. (1974년)
- 매리너 10호 - 최초로 수성 탐사에 성공한 탐사선. (1973년)
- 바이킹 1, 2호 - 화성에 착륙하여 최초의 화성 표면 영상을 촬영했으며, 몇년 동안 화성 표면에 머물면서 화성에 미생물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실험을 하고 화성 표면에 관련된 탐사 자료들을 보냈다. (1976년)
- 보이저 1, 2호 - 외행성들인 천왕성과 해왕성 탐사의 레전드. 교과서에 있는 외행성 사진들은 거의 이 탐사선의 작품이다. 현재 인류가 날린 탐사선 중 가장 멀리까지 갔으며 원자력 전지의 미미한 전력으로 아직도 관측자료를 보내고 있다. 그리고 그게 또 과학적으로 새로운 발견을 해내고 있다. (1977년)
1980년대 |
- 지오토 - 역시 ESA에 의해 발사된 혜성탐사선. 1986년 핼리 혜성의 지구 접근에 맞추어 발사되어 프로브가 핼리 혜성의 조성에 대한 정보를 보내왔다. 후에 그릭-쉐렐러프 혜성에 접근하고 13일 뒤인 1992년 7월 23일 송신이 끊어졌다.
- 갈릴레오(탐사선) - 목성에 대기 관측용 프로브를 투하했는데, 프로브는 두 시간 만에 엄청난 대기압으로 인해 파괴됨. 갈릴레오 호 본체는 4년 정도 목성계 탐사를 수행한 후, 목성 대기권에 돌입하여 산화되었다.
1990년대 |
- 율리시스 - 태양 탐사선(1990년). NASA와 ESA의 공동 사업.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으로 발사되었다. 전력은 플루토늄 238을 이용하는 방사성동위원소 열전기 발전기(RTG)에서 공급된다. RTG의 출력 저하에 의해서 자세 제어용 연료의 동결 방지를 위한 히터 작동이 어려워져, 2009년에 운용이 종료되었다.
- 마젤란 - 금성 탐사선(1990년)
- 마스 패스파인더 - 이동식 탐사선 소저너를 탑재. 미션의 대성공으로 체급을 한참 높여서 두 대 더 보냈다.
- 카시니-하위헌스[5] - 둘 다 토성에 가서 하위헌스는 타이탄에 착륙했고, 카시니는 2017년 9월 15일 마지막 임무인 '그랜드 피날레'로 토성의 대기권에 돌입해서 파괴되었다. 심심하면 뭐 발견했다고 나오는 효율 좋은 탐사선이었다.
- 화성 기후 궤도선 - 단위 체계의 계산 착오 때문에 착륙 도중 폭발로 임무 실패. 탐사선을 제작한 록히드 마틴에서 야드파운드법으로 표기한 탐사선의 추진력을, NASA의 기술자들이 SI 단위로 착각하여 벌어진 어처구니 없는 실수였다. 이 때문에 미국도 미터법의 도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000년대 |
- 2001 마스 오디세이
-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 스피릿, 오퍼튜니티의 수명은 3개월로 예상되었으나 2008년에 4년이 지났음에도 아직 신호를 보내고 있다. 2011년 스피릿은 지난 (화성) 겨울을 마지막으로 연락이 두절되었지만, 오퍼튜니티는 2014년에 착륙10주년을 맞이하여 현재까지도 활동중. 2015년 오퍼튜니티의 플레시메모리에서 잦은 데이터 덮어쓰기로 인한 베드셀이 발견되어 치료중 (치료완료). 그러다가 2019년에 종료하였다.
- 마스 익스프레스 - ESA와 러시아과학자가 만든 유럽최초의 화성탐사선. 2003년 6월 2일 발사되었다.
- 로제타(탐사선) - 유럽 우주국 ( ESA)에 의해 2004년 3월 2일 발사한 혜성탐사선.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아리안 5G + 로켓을 이용해 발사되었다. 2014년 8월에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에 접근하여 혜성 공전 궤도 진입에 성공, 혜성 탐사선 로제타의 탐사로봇 Philae가 2014년 11월 12일 오전 8시35분( GMT 기준) 혜성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에 착륙할 예정이었고, 오후 3시34분경( GMT 기준) 착륙에 성공하여 인류 최초로 혜성에 착륙한 탐사선이 되었다.
- 메신저(탐사선) - 매리너 10호의 뒤를 이은 수성 탐사선으로 2004년 8월에 발사되어 2011년 11월에 수성궤도에 진입에 성공했다.
- 딥 임팩트 - 혜성 충돌로 산화, 다만 원래 목적이 충돌이었다.
- 가구야(탐사선) - 일본의 달탐사선이다.
- 하야부사 - 일본의 JAXA에서 소행성 이토카와를 탐사하기 위해 2003년 타네가시마 우주 센터에서 발사한 탐사선. 이토카와가 품은 태고의 태양계의 정보가 담긴 시료를 채취하고, 일본 독자의 우주항공 기술만으로 발사한 탐사선이 자력으로 귀환할수 있는가를 가장 중요한 임무로 삼아 발사되었다. 당초엔 4년의 시간이 걸릴거라 예상했지만 탐사중 발생한 각종 트러블에 의해 예정에서 3년이나 늦은 발사후 7년 뒤인 2010년 6월 지구에 귀환한뒤 시료가 담긴 재진입 캡슐을 호주 남부 우메라 사막에 착륙시키며 본체는 대기권에서 산화했다.
- 화성 정찰위성
- 창어 1호 - 중국 창어 계획의 첫 탐사선으로, 2007년 발사하여 달 궤도를 돌며 탐사했다.
- 뉴 호라이즌스 - 최초로 왜행성 명왕성에 근접하는 탐사선. 참고로 이걸 쏠 당시에는 아직 행성이었으나, 뉴 호라이즌스 발사 7개월여 후 열린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명왕성 퇴출이 결정나면서 뉴 호라이즌스는 왜소행성 탐사를 하러 가는 탐사선이 되어 버렸다. 인류가 발사한 탐사선중 가장 빠른 속도로 지구를 빠져나갔다.
- 피닉스 - 1999년 이후 NASA가 착륙시키는데에 성공한 고정식 탐사선.
- 찬드라얀 1호 - 인도의 달 탐사선으로서 찬드라얀 시리즈의 시작을 알렸다. 2008년 10월 22일 발사해 312일간 달 궤도를 돌며 탐사했다.
2010년대 |
- 아카츠키 - 일본의 JAXA의 금성 탐사선이다.
- 주노 - 카시니의 성공을 본받아 이번엔 목성으로 출발. 2011년 8월 발사. 2016년 7월 도착.
- 큐리오시티 - 화성 과학 실험실(Mars Science Laboratory, MSL)은 NASA의 네번째 화성탐사로버(MER)로, 큐리어시티 로버라고도 부른다. 2009년 7월에 발사되어 2010년 가을에 도착할 예정이었으나. 발사가 연기되어 2011년 11월 26일 오전 10시 2분(현지시각)에 플로리다 주 케이프커내버럴 공군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었고, 궤도 진입에 성공해 약 8개월 동안 우주 공간을 비행한 뒤 2012년 8월 6일 화성 적도 아래 분화구 게일크레이터(Gale Crater)에 착륙했다. 이후 2년 여 동안 화성 표면 탐사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2018년 2월 6일 기준 현재까지 잘 활동하고 있지만 바퀴 몇몇에 균열이 발생했다. 하지만 NASA에서는 문제없다고 발표
- 창어 2호 - 중국 달 탐사선. 2010년에 발사했다.
- 창어 3호 - 중국에서 쏘아올린 달 탐사선. 창어 3호는 지금까지 미국과 소련만이 실시했던 달 착륙을 성공하여 중국을 역사상 3번째로 달 착륙에 성공한 나라로 만들어 주었다.
- LADEE(라디, 래디) - 미국의 달 탐사선. 임무는 달의 대기와 먼지 환경 탐사였다. 선대 탐사선의 장비를 물려받아[6] 제작해서 적은돈으로 개발, 발사됐다.(발사년일은 2013년 9월 6일)[7] 참고로 라디가 발사됐을 때 근처에 있던 개구리가 봉변을 당했다고 한다. 이후 달 궤도후 임무를 수행하다가 [8] 연료 부족으로 달 뒤편으로 추락했다. 이후 2014년 11월 1~2일쯤 라디의 무덤이 발견됐다. 위치는 '선드맨 V’ 근처.
- MAVEN - 2013년 11월 18에 발사된, 나사의 화성대기연구를 위한 탐사선이다.
- OSIRIS-REx - New Frontiers program의 일환으로 세 번째로 발사된 지구접근천체 베누 탐사선
- 망갈리안 - 2013년 인도에 의해 발사된 화성탐사선. 항목 참조.
- 엑소마스 가스추적궤도선 - 엑소마스 프로젝트 중 1단계의 탐사선이다.
- 창어 4호 - 2018년 12월 7일 발사, 12월 12일에 달 궤도에 진입, 2019년 1월 3일 착륙선이 달 뒷면에 착륙하였다. 통신 중계위성 췌차오, 로버 위투 2호가 포함됐다.
- 인사이트(탐사선) - 화성탐사선.
- 파커 태양 탐사선 - 2018년 8월 12일 발사한 NASA의 태양연구탐사선. #
- 베피콜롬보 - 2018년 10월 20일 발사한 ESA x JAXA의 수성탐사선.
- 베레시트(Beresheet) - 이스라엘의 첫 달 탐사선이자 세계 최초의 민간 달 탐사선이다. 정보 구글 Lunar X-Prize에 도전하였고 달 궤도에 순조롭게 진입했으나 메인 엔진이 고장나면서 착륙에 실패했다.
- 찬드라얀 2호 - 2019년 7월 22일에 발사된 달 탐사선으로 착륙선, 로버도 같이 보낸다. 착륙선은 실패하였다. # 97억 8000만 루피(약 1670억원)인데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제작비 3억 5000만달러(약 4190억원)의 절반도 안 되는 돈으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주목받았다.
2020년대 |
- 솔라 오비터 - 2020년 2월 9일에 발사된 유럽 우주국과 NASA의 태양 탐사선.
- 아말 - 2020년 7월 20일 발사한 UAE의 화성 탐사선.
- 톈원 1호 - 2020년 7월 23일 발사한 중국의 화성 탐사선. 탐사 로버 주룽이 2021년 5월 15일 착륙해 탐사를 시작했다.
- 퍼서비어런스 - 2020년 7월 30일 발사한 미국(NASA)의 화성 탐사선. 2021년 2월 18일 화성에 착륙하였고 지구 외의 조종 가능한 최초의 동력 비행물체인 인지뉴어티를 같이 실어 보냈다.
- 창어 5호 - 2020년 11월 24일에 발사되어 12월 1일 달에 착륙해, 월석 등을 채취해 17일 지구로 복귀했다.
- 루시 - 2021년 10월 16일 발사한 소행성 탐사선. 트로이군 소행성들을 탐사한다. 탐사선으로써 가장 많이 탐사가진다. #
- 다트(DART·Double Asteroid Redirection Test) - 공식 명칭은 이중 소행성 방향 전환 평가. 쌍성계 소행성 65803 디디모스의 궤도를 조금이라도 바꾸는 것이 목표다. 2021년 11월 24일에 발사되었으며, 2022년 10월에 임무 수행. 태양계 탐사 프로그램 1번째 미션이다.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 JUpiter ICy moon Explorer) - 2023년 4월 발사. ESA가 기획하고 있고 2031년 도착해서 목성의 위성인 가니메데, 칼리스토, 유로파를 탐사한다.
- 루나 25호 - 2023년 8월 발사된 러시아의 달 탐사선.
- 다누리 - 2022년 8월 발사된 대한민국의 달 탐사선
- ASTER - 브라질 우주국 최초의 탐사선으로 2022년 ~ 2025년 6월 발사 예정인 소행성 (153591) 2001 SN263을 탐사한다.
- 찬드라얀 3호 - 2023년 7월 14일 발사한 달 착륙선. 실패에 대한 만회를 위해 기획. 동년 8월 23일 달의 남극 인근 착륙 성공.
- SLIM - 2023년 9월 7일 발사한 JAXA의 달 착륙선. # 2024년 1월 20일 착륙 성공.
- 프시케 - 2023년 10월 13일 발사한 소행성 탐사선. 프시케에 있는 희귀광물 조사가 이뤄진다.
- 창어 6호 - 2024년 5월 3일 발사하여 6월 2일 달 뒷면 시료 채취가 세계 최초로 이뤄졌다.
- 유로파 클리퍼(Europa Clipper) - 2024년 10월 10일 발사 예정인 NASA의 탐사선. 유로파에 근접 궤도를 형성, 탐사한다. 태양계 탐사 프로그램 2번째 미션이다.
- 드래곤플라이 - NASA의 타이탄 착륙선. 2026년 발사 예정. 2034년 도착 예정.
- 로잘린드 프랭클린 - 2028년 이후에 발사 예정인 유럽우주기구의 화성 로버. 이름은 DNA 구조 발견에 공헌한 동명의 이름에서 따왔다.
- 코멧 인터셉터 - ESA와 JAXA의 혜성 탐사선. 2029년 발사 예정
- 다빈치 - 금성 탐사선으로 Deep atmosphere venus investigation of noble gases, chemistry, and imaging애 앞글자들을 따서 이름을 DAVINCI라고 부른다, 다빈치는 대기를 뚫고 들어가 표면까지 하강할 소형 탐사선으로 구성이 돼있다, 2029년 6월 발사 예정, 2031년 도착 예정.
2030년대 |
- 스타샷 - 인류 최초의 성간 탐사선. 솔라 세일과 고출력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속의 20%까지 가속한 후 알파 센타우리 항성계로 보내진다. 2036년 발사 예정. 2060년대 도착 예정.
2.2. 유인탐사선
1960년대 |
- 아폴로 7호 - 아폴로 계획에서 최초의 유인우주선 발사. (1968년)
- 아폴로 8호 - 인류 역사상 최초로 지구 궤도를 벗어나 달 궤도에 갔다 온 미션이다.
- 아폴로 9호 - 아폴로 계획의 세번째 유인 미션이자 지구 궤도에서의 첫 달착륙선(Lunar Module, LM) 테스트이며, 비록 지구 궤도에서 미션이 진행되었지만 여러 의미로 JFK의 못 다 이룬 꿈을 가능케 했던, 아폴로 계획의 분수령과 같은 중대한 미션이었다. (1969년)
- 아폴로 10호 - 아폴로 계획의 네번째 유인 우주선 미션으로, 사령선과 달 착륙선의 달 궤도상 테스트를 진행한 임무였다. 아폴로 11호 임무를 위한 최종 리허설의 의미를 지닌 중요한 단계였다. 아폴로 10호는 아폴로 11호의 리허설에 해당하는 미션으로 달착륙 및 달에서의 이륙을 제외한 모든 미션이 수행되었다.
- 아폴로 11호 - 인류가 최초로 지구 이외의 천체에 발을 디딘 사건이자 아폴로 계획의 9번째 미션. 지금도 인류 과학기술 발전의 대명사이자 냉전시기 우주 개발 경쟁의 기념비적 결과물로 기억된다.
- 아폴로 12호 - 유인 아폴로 계획의 6번째이자 인류가 두 번째로 달 표면에 내린 프로젝트.
1970년대 |
- 아폴로 13호 - 달에 가던 중간에 산소탱크 폭발 등 사고로 달에 착륙하지 못하고 지구로 겨우겨우 귀환한 임무이다. 아폴로 1호와 함께 아폴로 계획에서 실패로 끝난 2개 임무 중 하나이다. (1970년)
- 아폴로 14호 - 아폴로 13호가 착륙하려다 실패한 곳인 프라 마우로 크레이터 지역에 착륙하여 9시간 22분 31초동안 선외 활동을 시행하였다. 월석을 나르기위해 최초로 손수레를 사용하였다. (1971년)
- 아폴로 15호 - 신형 우주복을 사용한 첫 임무이고, 로버(rover)라는 이름의 월면차를 사용한 최초의 달 탐험대이며, 3회의 선외활동을 행한 최초의 미션이다. 아폴로 계획에서 9번째로 발사된 유인우주선이다.
- 아폴로 16호 - 다른 아폴로 미션과 마찬가지로 이 임무에서도 약간의 사고가 있었지만, 아폴로 16호는 임무를 완수하고 귀환했다. 달궤도에서 EVA(우주유영)을 행했고, 월면차 속도기록인 시속 18km도 달성했다. (1972년)
- 아폴로 17호 - 아폴로 17호는 아폴로 계획의 마지막 달 탐사미션이며, 17호 이후로 인류는 지금까지 달에 다시 가지 않았다. 새턴 V 로켓의 유일무이한 야간 발사이다.
2020년대 |
2.3. 플라이트(Flight)컴퓨터
대부분의 탐사선에 탑재되는 컴퓨터시스템은 RAD6000, RAD750같은, 태양풍 하전입자나 기타 우주방사선, 그리고, 토성, 명왕성같이 외행성 탐사선의 경우에는 스윙바이를 위해 목성 접근시 뿜어져나오는 막대한 방사선에 대비하여, 엄청 느리지만[9]방사선에 내성을 가지고 특히 CPU나 RAM을 보호 하기위해, 검증된 군사 & 우주용 CPU으로 제작된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는데,[10] 탐사선 시스템의 기본은 전원 버튼이나 셧다운 명령어가 없다.[11]그렇기에 대부분 탐사선은 저장매체로,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며,[12] 플래시 메모리의 절반이상이 운영체제인데 주로 윈드리버 사의 VX Work를 사용한다. 물론 탐사선도 지구쪽으로 통신을 해야돼서 멘터그래픽스 사의 Nucellous RTOS같은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운영체제를 따로 설치해서 궤도 수정이나 메뉴버링 및 INS 프로그램 등은 주로 탐사선의 RAM에 로딩되어 있기에,[13]새로운 탐사 명령어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시 시스템을 깨워서 저장매체 내부에 업로드한다. 태양 플레어 폭발같은2.4. 사용된 CPU
상당수가 군사 & 우주용 CPU를 사용한다.ATAC RCA1802[17]
MIL-STD 1750A[18]
Intel 80C85[19]
Intel 8085
Intel RCA 8086[20]
Intel 80C186 + 80C188
Intel 80386 + 80387[21]
Intel 80386SX + 80387[22]
Intel 80386EX
Intel i386[23]
Intel 80486[24]
Motorola MC 68000[25]
ESSC-1[26]
DF-224[27]
UTMC 69R000
F-9450[28]
TMS320C25[29]
TMS320C30
TMS320C40
BAE Systems RAD6000
BAE Systems RAD750
BAE Systems RAD5500[30]
BAE Systems RAD5455[31]
MOOG G-Series Steppe Eagle AMD G시리즈
MOOG V-Series AMD Ryzen
SYNOVA Mongoose-V
Singer Asic[32]
SEAKR Athena-3 SBC PowerPC E500
SEAKR Medusa SBC PowerPC E500
SEAKR RCC5 Virtex 5 FX-130T
퀄컴 스냅드래곤 801[33]
3. 탐사 천체별 탐사선
천체별 탐사선 분류 목록 | |||||
태양 | 달 | ||||
수성 | 금성 | 화성 | |||
목성 | 토성 | ||||
천왕성 | 해왕성 | 명왕성 | |||
소행성 | 혜성 |
4. 탑재 CPU
4.1. 나노&마이크로&스몰셋 CPU
XiphosQ7S (자일링스 Zynq 7020 ARM9)
Q8S (자일링스 UltraScale+ Cortex-A53)
Unibap
iX10-100 (마이크로칩 PolarFire FPGA + AMD V1605B[34]
iX5-100 (AMD G시리즈 SOC or 마이크로칩 SmartFusion2 Cortex-M3)
E2160 (AMD G시리즈 2세대 CPU)
E2155 (AMD G시리즈 1세대 CPU)
DDC
SCS750-SBC (IBM 750FX)
SCS 3740 (GR740 LEON4FT 쿼드코어 SOC)
IBEOS
EDGE Computer (엔비디아 TK1)
4.2. 큐브셋 CPU
GOMNanomind A3200 (아트멜 AT32UC3C MCU)
Pumpkin
PPM A1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MSP430F1712)
PPM A2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MSP430F1611)
PPM A3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MSP430F1618)
PPM B1 (실리콘 랩스 C8051F120)
PPM D1 (마이크로칩 PIC24FJ256GA110)
PPM D2 (마이크로칩 PIC33FJ256GP710)
PPM E1 (마이크로칩 PIC24FJ256GB210)
AAC Clyde Space
Kryten-M3 (마이크로칩 Smart Fusion Cortex-M3)
Sirius OBC (마이크로칩 Smart Fusion Cortex-M3)
INNO Flight
CFC-300 (자일링스 Zyng Cortex-A9)
CFC-400 (자일링스 Zyng Ultrascale+)
CFC-500 (자일링스 Kintex 엔비디아 TK-1)
Space Micro
CSP (자일링스 Zyng 7020 듀얼코어 ARM)
Nano Avionics
SATBUS 3C2 (STM32 Cortex-M7)
EnduroSAT
OBC (ARM Cortex-M7)
5. 해저 탐사선
상단에 언급했듯이 해저탐사 수단도 탐사선이라 한다. 민간 잠수정 탐사용 문단 참조.6. 관련 문서
[1]
정면에 보이는 회색 몸체의 동그란 금색 부품이 그 유명한
골든 레코드이다.
[2]
다만 빠르다고 하기에는 애매하다. 현재 인류가 만든 것중 가장 빠른 물체는 파커 태양 탐사선이다.
[3]
고요의 바다 서부에 충돌했다.
[4]
유인까지 포함해서 보면
아폴로 11호가 조금 더 빨리 월석을 가지고 돌아오는데 성공했다.
[5]
흔히 불리는 호이겐스와 달리 하위헌스가 제대로 된
네덜란드어 인명이다.
[6]
화성 과학 실험실, 라크로스, 갈리레오
[7]
그래도 제작과 발사비용이 3000억원이다.
[8]
10월 15일(추정) 월식때도 작동했다.
[9]
화성궤도 도착부터 통신시간이 엄청나게 길어진다. 화성 : 20분 명왕성 : 8시간이다(...) 전송시간이 엄청나게 길어서 그 시간동안 순차적으로 처리한 뒤 보내기 때문에 굳이 빠른 연산을 처리할 이유도 없다.
[10]
주로 극한의 환경에 요구되는 안전성을 가진 컴퓨팅 시스템. MIL-STD 인증을 거친다. 이는 전투기나 헬기의 항법 조종 컴퓨터나, 오토 파일럿, 항공기의 INS(initilazed Nevigetion System 관성 항법 시스템), 미사일의 IR Seeker 등등 각종 포착 및 추적 레이더, 그리고 전차의 조종이나 사격통제장비 같은 군사용 컴퓨터와 마찬가지.
[11]
프로그래밍 코드 역시 용량을 차지하기에, 종료 명령 삽입할 공간에 탐사 프로시저 코드 한줄을 더 넣는게 이득이다. 누가 수백억~수천억 달러를 들이면 하나라도 더 우려먹지, 누가 굳이 종료 커맨드를 넣겠는가? 심지어 커맨드가 오작동해 종료 커맨드가 실행되면 그걸 되돌릴 방법도 없다.
[12]
카시니 하위헌스와 갈릴레오 탐사선은 제외. 두 탐사선은 테이프 드라이브를 저장매체로 쓴다.카시니는 이게 너무 빨라서 태워먹을뻔했다(...)
[13]
그래서 뉴 호라이즌이나 주노같은 탐사선은 행성으로 가는 도중에 전력을 아끼기 위해, 주로 동면 (하이버네이션)을 한다.
[14]
정확히는 RAM안에 로드된 항법프로그램의 코드값이나 메뉴버링 커맨드.
[15]
탐사선이 행성의 위치를 찾는방법은 1.태양의 위치와 황도면으로 찾거나 2. 용골자리 알파성 카노푸스의 위치를 실시간 추적해서 찾는다. 2.의 경우에는 플라이트 컴퓨터에 카노푸스 트래커를 별도로 탑재한다.
[16]
화성 대기권 진입후 시스템 고장으로 낙하산이 자동으로 펴지질 않아서 시속 2,400km의 속도로 화성 지표면에 들이박고 바로 개박살났다(...).
[17]
갈릴레오 목성탐사선에 쓰인 16Bit CPU 메모리는 176KB.
[18]
MIL-STD 인증 16Bit non-RISC CPU.
카시니-하위헌스 토성탐사선에 쓰였다. 메모리는 512KB.
[19]
마스 패스파인더의 소저너에 쓰였다. 속도는 120KHz.
[20]
우주왕복선에 쓰였다.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는 RCA 1802.
[21]
80386 CPU의 부동소수점 연산처리를 하는 보조 프로세서.
[22]
국제우주정거장에 절찬리 사용중이다.
[23]
주로 우주왕복선의 각종 시스템에서 쓰였다.
[24]
허블 우주망원경에서 사용중.
[25]
인공위성뿐만 아니라 PDA
오락실의 아케이드 게임 기판의 CPU나 SPU 사운드칩등에도 널리 사용된다. 클럭속도는 2.5MHz
[26]
NASA Standard Spacecraft Computer 즉 나사 표준 탐사선 컴퓨터의 준말.
[27]
486 CPU와 동급속도
[28]
1750A MMU 칩 즉 코프로세서.
[29]
DSP 신호처리 칩
[30]
차세대 유인 우주선에 탑재된다. 현재 생산되고 있는 탐사용 프로세서 중 최초의 64bit 프로세서 이자, 몇 안되는 멀티코어 프로세서.
[31]
쿼드코어 프로세서
[32]
우리가 생각하는 그 제봉틀 회사 맞다. 제봉틀 뿐만 아니라 유도탄용& 우주발사체용 ASIC과 항법장치를 생산했다.
[33]
퍼서비어런스의 드론인 인지뉴어티의 메인시스템
[34]
라이젠 기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