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천체에 대해서 설명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유성 문서
, tvN 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별똥별(드라마)
문서
참고하십시오.
|
[clearfix]
1. 개요
별똥별 또는 유성( 流 星, shooting star)은 지구의 대기권으로 진입하여 밝은 빛을 내면서 떨어지는 천체이다. 크기가 충분히 커서 지표면까지 모두 타지 않고 도달하면 운석이 된다.2. 특징
2.1. 빛
각종 매체에서는 빛줄기가 밤하늘을 가를 정도로 길고 분명하게 표현되지만, 실제로는 어지간히 큰 경우가 아니면 대부분은 작달막한 빛줄기가 아주 잠깐 나타났다 곧바로 사라지는 정도다. 사실 별똥별은 매일 수도 없이 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 작기 때문에 눈에 제대로 보이기도 전에 사라진다. 시력이 매우 좋은 사람들만 집중해서 봐야 보일 정도. 이러니 보통 도시에서는 야간에도 켜놓는 조명 때문에 보기가 힘들다.특별히 날 잡고 천문대나 기타 행사 등지에서 별똥별을 보려하지 않는 한, 생애 처음 보기 쉬운 곳은 군대다. 물론 군부대 입지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군부대가 시 외곽, 오지 등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군대에서 처음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1] 하지만 군부대에서도 그렇게 보기 쉬운 편은 아니다. 대기 오염 때문에 한바탕 소나기나 장마 이후에 구름없는 한밤중 아니면 어마어마하게 추운 구름없는 한겨울밤에나 보는 정도. 물론 타이밍 맞춰 별똥별이 떨어진다는 보장에 한해서다.
보통은 별똥별이 대기권과의 마찰로 빛을 낸다고 생각하는데, 정확히는 천체 자체가 아니라 천체 전방의 압축된 대기 및 지나가는 대기가 빛을 내는 것이다. 만일 낙하하는 천체가 빛을 낸다면 그 천체가 포함한 원소의 고유 스펙트럼이 나오겠지만[2] 대기가 에너지를 받고 빛을 내는 거라 별똥별은 항상 청남색~보라색으로 관측된다. 당연히 별똥별 자체의 증발로도 스펙트럼이 나온다.
가까운 곳에서 관측할 경우에는 엄청난 빛과 엄청난 굉음을 내기도 한다. 실제 호주에서 낮에 촬영된 근거리 별똥별 관측 영상(2016) 이 영상의 주인이 'Meteor Strike'라고 표현했을 정도이다.
보통의 별똥별보다 더 밝은 것을 가리켜 화구(Fireball)라 하며, 1972년 8월 10일 미국에서 관측된 1972년 대낮 대화구(1972 Great Daylight Fireball)는 대낮에 100초 동안 빛났고, 금성보다 더 밝을 정도였다고 한다.
화구의 모체인 별똥별체의 지름이 80미터를 넘어가면 대기 중에서 다 타지 않고 일부가 지구에 추락하는데 이것이 운석이다. 다만 이것은 일반적인 것을 이야기하는 거고, 80미터보다 작아도 대기 중에서 타다가 폭발하면 폭발 후 파편들이 운석으로 되어 추락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으로, 여기서는 20미터짜리 소행성이 대기 중에서 타다가 폭발해 파편들이 운석으로 추락했다.
2.2. 열
매체에서는 흔히 별똥별이 활활 불타는 돌덩어리나 그와 비슷하게 매우 뜨거운 물체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대기와의 마찰열 등으로), 실제로 별똥별이 지면에 떨어진 직후 그것을 주워본 사람이 많지 않아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실제로는 오히려 차가운 경우도 있고 대개는 미지근한 정도라고 한다. 대기와의 마찰로 표면이 불타 벗겨지는 과정에서 내부의 열을 많이 빼앗기기 때문이라고.3. 관측
별똥별을 관측할 때 자주 보이는 시간대는 초저녁인 경우는 별로 없고 새벽 쯤인 경우가 많다. 이는 지구의 공전과 자전방향에 의한것으로 관측지 기준 자정부터 정오까지가 공전방향의 전면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많은 우주물체들이 지구로 쉽게 떨어진다. 반대로 정오부터 자정까지는 관측지가 공전방향의 뒷쪽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낙하하는 우주물체의 양이 적어지게 된다. 더 쉽게 설명하면 한 여름 고속으로 달리는 자동차 앞유리엔 벌레 사체가 가득하지만 뒷 유리는 비교적 깔끔한것을 볼 수 있는데 자동차 진행방향이 공전방향, 앞유리는 자정부터 정오까지 관측자의 위치, 뒷유리는 정오부터 자정까지 관측자의 위치라고 생각하면 되며, 여기서 벌레 사체는 별똥별이 된다.4. 유성우
여러 유성이 한꺼번에 떨어지면 그 모습이 비 같다고 유성우[3]라고 한다.어쩌다가 혜성이 지나간 길에 남은 찌꺼기들이 둥둥 떠있는 곳(유성군)이 지구의 궤도와 겹치는 때가 있다. 그 결과 찌꺼기들이 지구의 중력에 의해 단체로 끌려들어오면 그게 유성우가 된다. 하지만 한 가지 알아둘 점은 유성우 극대기 무렵 별똥별이 무더기로 떨어질거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약 33년 주기로 찾아오는 사자자리 유성우 극대기 정도가 아니면 비교적 많이 떨어진다고 알려진 3대 유성우 기간에도 생각보다 많이 떨어지지 않는다.(대략 4~5분에 1개 꼴)
5. 전설
5.1. 소원 빌기
별똥별이 빛나는 동안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는 전설도 있다. 이 관습은 굉장히 오래되었는데,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 서기 2세기의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의 기록에서부터 언급되었다. 그리스 신화의 신들이 지상을 관찰하기 위해 또는 궁금해서, 지루해서 별을 지상으로 보내는 것이니 이 때 소원을 빌면 신들이 들어줄 거라고 당시 사람들이 믿었다고 한다. 별똥별이 매우 짧은 시간동안 보이므로 그 짧은 시간에서도 자신의 소원을 간직할 정도로 마음에 두고 있으면 이루어진다는 해석이 있다.일본에도 이와 같은 관습이 있어서, 동물의 숲에서는 별똥별이 떨어지는 밤[4]에 손에 아무것도 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A키를 누르면 소원을 비는 모션이 가능하다. 게다가 별님에게 소원을 빌면 별님이 아이템[5]을 선물로 보내준다. 모여봐요 동물의 숲에서는 주로 맑은 날에 별똥별이 떨어지며, 별똥별이 떨어지는 빈도가 늘었고, 별님의 선물 대신 다음날 해변을 돌아다니다 보면 별의 조각이 떨어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2. 사람의 운명
사람마다 저마다의 별이 있다고 여겼던 시절에는 누군가가 죽었을 때 별똥별이 떨어진다고 믿었다. 안데르센 동화인 성냥팔이 소녀에서도 소녀가 별똥별을 보고 "별똥별이 떨어지면 누가 죽은 거라던데..."라며 복선을 깔아준다. 삼국지연의에서도 제갈량이 자신의 수명을 조금이라도 더 늘려보려고 하늘에 기도를 올리지만 그 시간에 사마의는 별똥별이 떨어지는 것을 봤다. 역시 곧 제갈량이 죽는다는 복선.다만 한국사에는 떨어진 이것을 다시 하늘로 올린 사람( 정확히는 연출)도 있고, 오히려 이게 떨어지자 태어났다는 사람도 있다.
여기서 비롯된 관용구 중 '큰 별이 지다.'라는 표현이 있다.
5.3. 기타
박수동 화백의 "땅콩찐콩" 만화에서는 별똥별을 먹으면 천하장사가 된다는 색다른 전설이 등장한 바 있다. "별똥 탐험대"에서도 일부 등장한다고도 한다.6. 여담
U-2 같은 초고고도 비행기의 조종사들은 자신의 옆으로 별똥별이 떨어지는 소름끼치도록 황홀한 광경을 목도할 수도 있다. 그렇게 우주의 로망을 품은 이들은 우주 비행사로 지원하고 이후 우주 정거장에서 별똥별을 목격하기도 한다.일본 매체 중에서는 流星라고 쓰고 나가세라고 읽는 경우가 간혹 있다. 나가세(KOF), 나가세(머신로보 크로노스의 대역습) 등.
세계 여러 언어 중에 별똥별을 별의 똥이라 부르는 언어는 별로 없다. 우리말과 일본어(ほしくそ, 별똥) 정도.
군대은어로도 쓰이며, 장성급 장교가 보직해임 당하거나 진급이 누락되는 등 신변상에 문제가 생겼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통상 대형 사건이 터지면 "OO사단 별똥별이 내린다(줄줄이 해임)" 나 "OO사단에서 별똥별이 떨어진다" 라고 말한다.
[1]
비슷한 이유로
은하수도 대체로 군대에서 보기 쉽다.
[2]
폭죽의 색깔을 금속으로 내는 거랑 같은 원리.
[3]
유성에 우(雨)를 추가했다.
[4]
주로 오후 7~9시에 자주 목격된다.
[5]
비싼 아이템이 아닐 때도 있다. 그리고 여러번 빌어도 선물은 딱 한번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