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20:30:37

근지구천체

지구접근천체에서 넘어옴
태양계 천문학· 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 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 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 자극점 · 지자기극점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자기 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 후기 대폭격
월식( 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 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 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 플루토이드) · 혜성( 크로이츠 혜성군)
별똥별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 크레이터 · 천체 충돌 · 광조)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 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 테라포밍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 벌칸 · 티케 · 니비루) · 후기 대폭격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 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 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 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 온실효과 폭주)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 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 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위험성
2.1. 위험 척도
3. 기타 이야기4. 분류
4.1. 천체 특성에 따른 구분4.2. 궤도 특성에 따른 구분
5. 천체 목록
5.1. 소행성 (NEA)5.2. 혜성 (NEC)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7. 관련 문서


파일:Near Earth Object's January 2018.gif
2018년 1월까지 발견된 모든 근지구천체들

1. 개요

/ Near Earth Objects(NEO)

근지구천체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 중에서 지구처럼 태양과 가까운 거리까지 근접하는 천체를 말한다. 태양과 가장 가깝게 접근했을 때의 거리가 1.3 AU 이내인 천체들을 지구접근천체로 분류한다.

세부적으로 근지구유성체(Near Earth Meteoroids), 근지구소행성(Near Earth Asteroids), 근지구혜성(Near Earth Comets)으로 분류하며 혜성처럼 우연히 스쳐지나가게 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개는 태양 주변을 공전하고 있고, 태양으로부터 0.9 ~ 1.3 AU 정도의 거리에 있는 천체들이다. 태양을 기준으로 지구와 비슷한 거리에 있기 때문에 빈번하게 지구 주변을 지나가게 되고 그 때마다 지구에 근접하게 된다.

2. 위험성

이러한 천체들이 단순히 지구에 접근하는 수준으로 끝난다면 전혀 긴장할 필요가 없지만 문제는 가까이 접근할수록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올라간다는 점이다. 지름이 수 미터 수준의 작은 전체라면 대기권에 돌입하다가 전부 타버리거나 혹은 상공에서 폭발 또는 아주 작은 조각만이 남아 큰 피해없이 넘어간다. 하지만 천체의 지름이 수십 미터 이상이 넘어간다면 정말 위협적인 존재가 된다. 국지적인 재해 수준으로 넘어간다면 다행이고, 최악의 경우에는 전지구에 궤멸적인 타격을 입힐 수 있는 수준이다.
파일:external/trendsupdates.com/asteroid-impact.jpg
다행히 지금까지 관측/발견된 지구접근천체들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것으로 판명된 상태다. 하지만 크기가 작은만큼 주변 거대한 천체에 쉽게 영향을 받는 경향이 있다.[1] 특히 지구에 한 번 접근할 때마다 그 영향으로 궤도가 바뀌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이쪽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수시로 지구접근천체의 궤도를 계산하면서 지구와의 충돌가능성을 예측하고 있다.

지금까지 발견한 지구접근천체의 경우에는 대략적인 궤도와 위치를 알고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관측과 추적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위험성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가장 큰 골치거리는 이놈들이 워낙 작다보니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은 천체가 더 많다는 점이다.[2] 실제 지구에 초근접할 것으로 판명된 소천체가 불과 수 일 전에 발견되는 일이 다반사이고, 심지어는 "여기 유성이 떨어져서 하늘에서 폭발했어요!"란 제보가 들어오고 나서야 뭔가 접근한 것을 알게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실제로,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은 사전에 파악하지 못했다.[3]

이런 위험성으로 인해 미국 유럽, 각 국가의 우주관련 연구기관 및 천문대에서 각자가 보유한 망원경을 이용하여 지구 하늘을 감시하는 Spaceguard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제안된 시기만 해도 미적지근한 반응이 주류였지만, 슈메이커 레비 혜성이 목성과 충돌하는 모습과 그 파급효과와 후폭풍을 직접 목격하게 된 이후로는 보다 적극적인 태도로 바뀌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Spaceguard 프로그램도 체계적인 계획과 조직화된 움직임이 있는 프로그램이 아니고, 이 분야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의 수는 적은데 관측해야 될 범위는 끔찍할 정도로 넓은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지구접근천체 자체가 아주 작다보니 그야말로 백사장에서 바늘찾는 격이라 활동에 비해 성과는 미미한 편이다. 이로 인해 전문가 이외에도 취미로 천체망원경 들고 다니면서 관측하는 아마추어 전문가들의 자발적 봉사를 요구하는 영역으로 NASA에서도 여러차례 이들의 활동이 많은 도움이 된다고 말했을 정도다.

NASA에서는 지금까지 관측된 NEO들 중에서 지구에 0.05 천문단위 이내까지 접근하고 그 직경이 150m를 넘는 천체에 한하여 잠재적 위험 천체(Potentially Harzardous Object)로 분류하여 특별관리하고 있으며 총 1151개의 소행성과 65개의 혜성을 PHO로 분류하여 반복적으로 관측하고 충돌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2022년 NASA에서는 근지구천체에 우주선을 충돌시켜 궤도를 바꾸는 이중 소행성 궤도 변경 시험을 성공시켰다. 중국도 이에 질세라 2025년에 소행성 궤도를 바꾸는 실험을 하려는 계획을 발표했다. 강대국들의 힘자랑으로 보이는 면도 없지 않아 있지만 어찌됐든 이들의 경쟁이 지구를 방어하는데 큰 도움이 될거라고 예측을 하고 있다.

2.1. 위험 척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토리노 척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EO가 관측될 경우 우선 충돌시 잠재적 위험정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다. 주로 팔레르모 척도(Palermo Technical Impact Hazard Scale)와 토리노 척도(Torino Scale)로 그 위험정도를 나타낸다. 팔레르모 척도는 충돌시에 발생할 재앙의 정도를 수식을 이용해 수치화시킨 척도이고, 토리노 척도는 0 ~ 10까지 단계로 나눠 향후 100년 이내에 충돌 가능성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복잡한 수식을 통해 나온 팔레르모 척도보다는, 충돌할 확률이 높을수록 숫자가 높아지는 토리노 척도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 더 쉽다.

3. 기타 이야기

4. 분류

4.1. 천체 특성에 따른 구분


크게 지구 근접 혜성(NEC)와 지구 근접 소행성(NEA)로 구분해서 관리한다. 두가지 모두 근일점 거리 (perihelion distance)가 1.3AU 이하인 천체들만이 대상이 되며, NEC 는 혜성 주기가 200년 이하의 단주기 혜성으로 한정한다.

4.2. 궤도 특성에 따른 구분

파일:neo_orbit_types.jpg

NEA 의 경우 지구 궤도와 소행성 궤도의 형태에 따라서, Amors, Apollos, Atens, Atiras 타입으로 나누고 있다. 이들은 해당 궤도를 가지는 실제 소행성 이름( 아모르, 아폴로, 아텐, 아티라)으로부터 유래되었다. 이중 Apollos 와 Atens 는 지구 궤도와 교차하기에 충돌 가능성이 더 높으며, 그렇지 않더라도 지구에 가까울수록 지구 중력의 영향으로 궤도가 변경될 수 있다.

5. 천체 목록

NEO의 목록은 https://cneos.jpl.nasa.gov/ca/에 계속 갱신된다.

5.1. 소행성 (NEA)

소행성의 경우 MPC 번호 순으로 기재한다.

5.2. 혜성 (NEC)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7. 관련 문서



[1] 삼체문제 문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2개 이상의 질점에 영향을 받는 물체는 예측하기 힘들게 움직인다. [2] 수백 미터급 운석도 천체에 비하면 먼지털만한 크기에 불과하다. 게다가 이런 조그마한 바위 덩어리들은 모양도 구체가 아닌 경우가 많아서 빛을 온전히 반사하지도 않는 경우가 많다. 설상가상으로 지구에서 감시할 수 있는 하늘은 태양이 비치지 않는 태양의 반대쪽, 즉 밤하늘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3] 물론 반대로 말하면 크기가 큰 천체일 수록 관측이 쉬워지기에 지구 전체에 영향을 줄 정도의 천체는 파악하기 매우 쉽고 애초에 그 정도의 천체는 지구에 접근할 확률이 0에 수렴한다. [4] 지구 최후의 날 등이 나오던 때. [스포일러1] 일본 남부에서 1500km 떨어진 해상에 소행성이 충돌하는데, 충돌하자마자 바다와 해양지각이 한꺼번에 들어올려지는 지각해일이 일어나 일본열도와 한반도가 분쇄된다. 그리고 충돌할 때 만들어진 섭씨 4000도의 암석증기가 충돌 단 하루만에 전 지구를 뒤덮는다. 그렇게 지표면이 불타고, 남아있는 바다마저 끓어 없어지고 소금마저 불타서 사라지며 모든 생명체가 멸종하게 된다. [스포일러2] 그런데 이 상황은 실제 40억년 전에 지구에 충돌했을 것이라 추정되는 소행성을 단순히 현대 사회에 끌고와서 충돌시킨 것에 불과하다. 상기한 시뮬레이션 이후 40억년 전에 일어났던 실제 충돌에 대해서 언급하는데, 이 당시에는 지표면이 불탈동안 지하 2000미터 아래에 있는 동굴은 섭씨 50도 안팎의 온도가 유지되었다고 설명하고 있다. 즉 이 당시의 초기 미생물들은 어떻게든 지하로 숨어들어가서 살아남았다는 것. 그리고 암석증기의 열기가 1년 만에 가라앉고, 1000년 후 증발했던 수분이 모두 비가 되어 원래의 바다가 회복되며, 그 바다로 다시 나온 미생물들이 다시 진화하여 생태계를 재건했다는 결론으로 흘러간다. [7] 원제는 지구대진화 46억년인류여행. [8] 참고로 이 영상의 BGM은 핑크 플로이드의 최고 명반이라고 불리는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수록곡 'The Great Gig in the Sky' 이다 [9] 만약 지구에 충돌했다면 대략 10~50 메가톤급 핵무기 정도의 파괴력이었을 것이다. [10] 고작 74,000킬로미터 떨어진 거리를 지나갔다. 달보다 다섯 배나 가깝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