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07:55:55

쇠뇌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사에서 사용된 전통 무기 이외의 일반적인 쇠뇌에 대한 내용은 석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석궁 문서와 분리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석궁 문서와 분리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파일: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png 신라의 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백병 <colbgcolor=#4a2d5b> 도검 환두대도, 장도
장창, 기창, 요구창
둔기 철퇴
발사
무기
궁(弓) 각궁
노(弩) 쇠뇌( 천보노)
방어구 갑(甲)/ 군복 판갑( 종장판갑, 방형판갑, 장방판갑, 삼각판갑, 횡장판갑), 찰갑( 괘갑)
주(冑) 종장판투구, 비늘투구, 차양투구, 충각부주, 이형주, 금동장투구
부속 갑옷 어깨가리개, 치마갑옷, 목가리개, 팔보호대, 허벅지보호대, 정강이보호대
방패 신라 방패
군마 마갑
군장 동개, 활집
육상병기 마름쇠
전선(戰船) 교관선, 신라선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고려의 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89> 백병 <colbgcolor=#FEDC89> 도검 장검, 장도, 철검, 환도, 환두대도
, , 장창, , 기창
둔기 도끼( 부월), 철퇴
발사
무기
궁(弓) 시(矢) 국궁, 각궁, 목궁, 죽궁, 쇠뇌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FEDC89> 화포/ 폭•포탄 주화, 구포
화전/로켓 다발화전, 화차
방어구 갑(甲)/ 군복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철릭
주(胄) 원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간주형 투구
방패 수패
군장 동개, 활집
전차/육상병기 검차, 포차, 화차, 다발화전 마름쇠
전선(戰船) 초마선, 과선, 누전선 }}}}}}}}}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의 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둔기 도끼( 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발사
무기
궁(弓) 시(矢)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장전, 편전(애기살)
화기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 지뢰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 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개인화기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스나이더-엔필드
화전・로켓 신기전, 화차
방어구 갑(甲) 군복 두정갑,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주(冑) 군모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전립, 주립
방패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군장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전차・육상병기 화차, 비거 마름쇠
전선(戰船)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1. 개요2. 명칭3. 역사4. 기타


1. 개요

을 사람의 힘으로 당기지 않고 고정틀에 물리고 화살을 올려 발사장치를 통해 쏘는 기계식 활. 크로스보우와 비슷한 무기다.

흔히 석궁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석궁은 오역이나 사실상 이 뜻으로 고정되어 버렸다. 이에 대해서는 석궁 문서 참고. 석궁 문서에서 일반적인 사항을, 이 문서에서는 한국사의 전통 무기를 다룬다.

2. 명칭

현재까지 '쇠뇌'라는 이름은 대응하는 한자가 없다. 번역소학(1518년)과 훈몽자회(1527년)에서는 소니라고 했다. 순우리말일 가능성도 있고, 18세기 문헌에 나오는 ‘소뇌’는 한자어 ‘뇌’(弩)의 음에 이끌려 ‘소노’가 ‘소뇌’로 바뀐 것으로 보인다. 1729년( 영조 5년)에 출간된 쇠뇌의 제작 방법을 수록한 노해(弩解)에 따르면 쇠뇌를 크기에 따라 소노(小弩), 중노(中弩), 강노(強弩)라고 나눠 불렀고 그 중 현재 손으로 쏘는 정도 크기의 쇠뇌를 소노라고 부른 것으로 보아 소노(小弩)라는 한자어에서 변형된 말일 수도 있다.

다만 ‘소뇌’가 19세기 문헌에 ‘쇠뇌’로 나타나는 이유는 분명하게 설명하기 어렵다. 활의 재료에 ‘쇠’가 들어가기 때문에 이에 이끌려 ‘쇠’가 되었을 가능성과 ‘뇌’의 이중모음 ‘외’에 이끌려 ‘쇠’가 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쇠뇌’는 ‘노’(弩), ‘노포’(弩砲), ‘연노’(連弩)로 부르기도 한다.

3. 역사

한국사에서 가장 오래된 쇠뇌 관련 유물은 청동기 시대 출토된 단발식 쇠뇌의 방아틀 뭉치이다. 이 외에 고분벽화의 그림도 남아 있다.
삼국유사》〈흥법 제3〉'보장왕이 도교를 신봉하자 보덕화상이 암자를 옮기다.[寶藏奉老 普德移庵]' 조에 고구려-수 전쟁 당시 수양제 고구려의 항복 의사를 밝힌 국서를 읽을 때 어떤 사람이 수양제가 타고 있는 배 안으로 쇠뇌를 가지고 사신을 따라 들어가 수양제의 가슴에 맞혔다는 기록이 있다.

신라 시대에는 구진천이 개발한, 천 걸음이나 화살이 날아가는 쇠뇌인 천보노(千步弩)가 있었다고 한다.[1] 또한 신라는 아예 쇠뇌만 다루는 전문부대인 노당(弩幢)을 따로 만들 정도였다. 662년에 평양을 포위했다가 군량이 끊어진 소정방에게 군량을 전해주고 오던 김유신이 도중에 호로하(임진강)에서 고구려군의 기습을 받았을 때 수많은 쇠뇌를 한 번에 쏘는 전법으로 고구려군을 거꾸로 궤멸시키는 전과를 세웠다는 기록이 삼국사기에 남아있다. 신당서(新唐書)에는 신라가 관문에 항상 노사(弩士) 수천 명을 주둔시켜 지킨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나라는 노를 신라를 대표하는 무기로 봤던 것이다.

그래서 당나라에서는 천보노를 만드는 장인 구진천을 끌고 갔다는 기록도 있다.[2] 당시 신라는 고구려 멸망 후 나당전쟁 개전을 몰래 준비하는 중이었기에 당나라를 안심시키기 위해 순순히 따랐다. 다만 구진천은 일부러 재료가 중국 것은 안 좋다느니, 신라에서 배에 실어서 갖고 온 재료가 습기가 차서 못 쓴다느니 핑계를 대면서 당고종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끝내 제대로 된 천보노를 만들지 않았다. 처음 만든 것은 30보 남짓, 신라에서 목재를 가져와 만든 것은 60보 남짓 날아갔다고.[3]

고려 시대에도 수질노, 수질구궁노, 팔우노 등 다양한 쇠뇌들을 제작해서 사용했다. 북계에 주둔했던 주진군 중에는 쇠뇌를 다루는 노병이 좌군에 편성되어 주둔했으며 별무반 편성 당시 쇠뇌를 다루는 정노군이란 부대를 신설하기도 했다. 예종이 정예부대인 정노반을 사열했다는 기록이 있는 등 고려시대에도 쇠뇌는 널리 사용되었다. 하지만 원간섭기를 거치면서 쇠뇌 제조법이 실전되었고, 조선 초기에 들어서면서 쇠뇌를 만들 줄 아는 이가 없어 왕궁에 있는 도자기에 그려진 그림을 참조해서 쇠뇌를 만드는 지경까지 갔었다고 한다.
세종실록 52권, 세종 13년 5월 17일 경진 7번째기사/1431년 명 선덕(宣德) 6년
병조에서 아뢰기를, "길주 사람 주천경(朱天景)이 스스로 노궁(弩弓)과 상양포(相陽砲)의 법을 자세히 안다고 말하니, 본인을 군기감(軍器監)에 >보내어 작게 모양을 만들어서 시험하게 하시기를 청하옵니다."
하였다. 내장(內裝)에 마침 제용 부정(濟用副正) 구강(具綱)이 바친 자청준(磁靑樽) 한 벌이 있었는데, 그 준(樽)의 배에 그린 그림에는 손빈(孫臏) 이 나무를 깎아 흰 곳에 쓰기를, 방연(龐涓) 이 이 나무 밑에서 죽는다고 하였는데, 연이 와서 보자, 1만의 노궁(弩弓)이 함께 발사하는 모양을 그렸다. 군기 제조 총제 이천(李蕆)에게 내어 보이고, 인해 전교하기를, "이 노궁의 제도를 살펴보고 천경의 말을 참작하여 만들도록 하라."하였다.

문제의 실록 기사. 노궁(쇠뇌)가 그려진 준(樽)이라는 것은 술항아리다.

이때부터는 군의 주력 투사무기가 국궁, 조선 중기 이후로는 화승총으로 넘어간다. 그래도 민간에서는 쓰였는지, 성종 때에는 쇠뇌로 호랑이 40마리를 잡았다는 용자가 왕에게 포상을 받기도 했다. 또 왜변과 여진족의 침공에서 쇠뇌는 상당히 자주 등장하며 조선 초기에도 북방에 대한 방어에 쇠뇌의 가치를 높게 보는 서술이 나타난다. 성종대엔 아예 새로 만들어서 다시 꽤 사용되었다고.

일반적으로, 한국에서는 탄력을 강화한 국궁에다가 기계틀을 달아서 완성했다. 보통 은 활대가 1m를 넘기거나, 합성으로 강화한 쇠뇌를 주력으로 취급했다. 활대가 1m가 안되는 작은 쇠뇌는 보통 연노로 만들어서 독을 바르거나 상인들의 호신용으로 사용하거나 사냥용 덫으로 활용하거나 했다. 활길이가 2m에 달하면, 강노로 취급하여 개인용 발리스타에 가깝게 썼다.
파일:external/www.arrow.or.kr/thumb_4_0_3.jpg
조선시대 용두삼시수노. 3발씩 쏘는 연노이며 군용으로서 대형인 것도 있었다. 출처
파일:external/www.arrow.or.kr/thumb_1_0_3.jpg
조선시대 궐장노. 전통적인 국궁과 동아시아의 전투용 쇠뇌를 조합한 형상이다. 활 길이 127cm. 출처
파일:attachment/쇠뇌/조선소노.jpg
조선시대 소노. 주로 매복시켜 놓고 줄을 당기면 발사되는 사냥용 함정이었다. 10개, 20개씩 묶어서 한꺼번에 발사되는 무기였다. 쇠뇌의 사용폭이 넓었음을 보여준다. 참고 자료

일본군이 조선에 쳐들어온 임진왜란 때 조선 의병들이 쇠뇌로 일본군 장수가 탄 말을 사격해 낙마시켜 죽인 뒤 말을 노획해 사용했던 일화가 전해진다 #.

4. 기타

무협이나 지나가는 선비 같은 설화의 주인공들은 대부분 투사무기로 활을 사용하지 쇠뇌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물론 작가가 잘 몰라서 그런 것도 있지만 사람의 숙련도, 실력보다 기계적 장치의 정밀성이 부각되고 초심자가 쓰기에 쉬운 쇠뇌의 특성상, 이런 이야기의 인물들이 쓰기엔 모양이 빠지는 감이 있기 때문.[4]

쇠뇌 중에는 활 부분만 따로 떼어내서 단독 활로 사용할 수 있는 종류도 있다. 쇠뇌의 기계 장치가 고장나거나 했을 경우에도 투사무기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장점.

마인크래프트 원거리 무기 중 하나이며[5] 약탈자, 피글린이 쇠뇌를 쏠 수 있다.


[1] 미터로 환산하면 1386 미터. [2] 하지만 삼국사기 신라 본기에서는 끌려간 것이 아니라 당의 사신이 황제의 조서를 전하러 왔고, 구진천을 데리고 함께 돌아갔던 것이라고 기록한다. [3] 역으로 말하자면 쇠뇌의 위력마저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을 정도로 신라의 쇠뇌 기술이 뛰어났다는 것이다. [4] 그게 아니더라도 애시당초 쇠뇌같은 건 군사무기지 일상적으로 패용하고 다니는 무기라고 보긴 어렵다. 당장 위의 구진천 이야기만 봐도 군사기밀을 지키기 위헤 목숨까지 걸 정도니 그런 게 그리 쉽게 저자에 나돌 리 없다. 거기다 길을 가다 활을 사용할 때면 위력보다는 속사가 더 중요할 텐데 미리 장전해야 하는 쇠뇌보다 간편하게 쏠 수 있는 활이 더 좋다. 거기다 활이 더 가볍고 가지고 다니기도 좋고. [5] 나머지는 활, 삼지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