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백병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도검 | 사인검, 월도, 왜검, 장검, 창포검, 환도, 협도, 쌍수도 | ||
창 | 당파, 장창, 낭선, 기창, 죽장창, 요구창, 겸창, 이두표, 표창 | ||||
둔기 | 도끼( 부월), 쇠좆매, 육모방망이, 철퇴, 철편, 편곤 | ||||
발사 무기 |
궁(弓)・ 시(矢) | 국궁, 각궁, 목궁(교자궁), 죽궁, 쇠뇌 | 장전, 편전(애기살) | ||
화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ff>
화포 탄약・ 지뢰 |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별대완구,대완구,중완구,소완구,소소완구, 총통기, 호준포, 불랑기포, 홍이포, 운현궁 화포( 소포, 중포, 대포), 목모포, 파진포, 지뢰포, 수뢰포 쇄마탄, 목통 |
진천뢰, 질려포통, 비격진천뢰, 죽장군, 대장군전 | ||
개인화기 | 조총, 천보총, 대조총, 승자총통, 삼안총, 세총통, 수포, 쌍자총통, Gew71, 스나이더-엔필드 | ||||
화전・로켓 | 신기전, 화차 | ||||
방어구 | 갑(甲)・ 군복 | 두정갑, 철찰갑, 피찰갑, 쇄자갑, 경번갑, 면제배갑, 엄심갑, 지갑, 어린갑(두석린갑) | 납의, 철릭, 구군복, 포졸복 | ||
주(冑)・ 군모 | 간주형 투구, 첨주형 투구, 원주형 투구 | 전립, 주립 | |||
방패 | 원방패, 장방패, 등패, 장태 | ||||
군장 | 띠돈, 동개, 활집, 광다회, 전대 | ||||
전차・육상병기 | 화차, 비거 | 마름쇠 | |||
전선(戰船) | 판옥선, 방패선, 거북선, 해골선, 맹선, 과선, 협선, 사후선, 누전선 | }}}}}}}}} |
1. 개요
地雷礮지뢰포는 조선에서 만든 지뢰이다. 1625년( 인조 3년) 심종직(沈宗直)이 개발하였다.
2. 상세
조선에는 1612년 조천종이 만든 지뢰인 파진포가 있었지만, 개발 이후 기록에서 사라지고 대신 심종직이 만든 지뢰포가 나타난다. 지뢰포는 여러 개의 진천뢰를 땅에 묻은 뒤 도화선으로 연결하여 적이 다가오면 폭발시키는 단순한 원리를 가진 지뢰였다.처음에는 제작 비용이 많이 들어서[1] 양산이 어려웠지만 북방의 후금을 상대해야 하는 조선의 안보 환경과 성능은 확실했기에 1627년부터 양산이 시작되었다. 특히 후금과 인접한 평안도에서는 평안병사 신경원(申景瑗)의 노력으로 100좌에 달하는 지뢰포를 양산하여 설치했을 정도였다.
[1]
하나 만들 때 가판(椵板) 반쪽, 송판 5쪽, 수철(무쇠) 50근, 정철(正鐵) 5근, 숙마(熟麻) 1근, 진천뢰 6~7근이 소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