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7 10:42:04

조선군 훈련대

조선군 훈련대 간부
제1대대장
이두황
제2대대장
우범선
제3대대장
이진호


1. 개요2. 설명3. 조선군 훈련대 반란사건4. 여담

1. 개요

訓練隊

1895년 2차 갑오개혁 당시 일본군에 의해 창설된 부대. 일본 공사가 제안하고 일본 육군 장교가 교관이었으며 3명의 훈련대대장들은 (당연히) 모두 친일파였다. 을미사변에 가담한 죄로 사건 이후 해체되었다.

2. 설명

1895년 제2차 갑오 개혁 당시에 창설되었다. 그해 1월에 일본 공사가 근위병을 설치할 것을 제안해 2월에 구 친군사영(親軍四營)[1]에서 장병을 뽑았다. 규모는 1개 대대 수준이었다. 훈련대장으로는 참령을 임명했고 교관은 일본군에서 파견된 육군 장교가 맡았다. 1대대 외에 서울에 2대대를 추가 설치하고 평양에 3대대를 설치했다. 청주와 진주 등에 4대대 - 6대대를 설치하는 방안도 고려했으나 예산 부족 등으로 연기되었다. 7월에는 1대대, 2대대를 합쳐 연대 규모로 재편성되었다.

일본 교관에 의해 양성되었고 지휘관들은 친일파로 을미사변에 가담하였다가 그해 해체되었기에 1년도 유지되지 못했다. 훈련대에 맞서 싸웠고 이후 러시아 교관의 훈련을 받아 재창설된 시위대와는 편제도 장비도 성격도 전혀 달랐다. 별기군과 비슷하기도 했지만 근대 편제를 구성하는 등 이전의 군사 개혁과는 분위기가 달랐다.

3. 조선군 훈련대 반란사건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시대 실패한 내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내란 주도 세력
2차 왕자의 난 <colbgcolor=#ffffff,#1f2023> 이방간, 박포
조사의의 난 조사의, 이성계
이징옥의 난 이징옥
단종 복위 운동 사육신
김처의의 난 김처의
이시애의 난 이시애
임꺽정의 난 임꺽정
정여립의 난 정여립
송유진의 난 송유진
이몽학의 난 이몽학
이괄의 난 이괄
이인거의 난 이인거
삼수의 옥 정인중 등 노론
이인좌의 난 이인좌
나주 괘서 사건 윤지
정유역변 홍상범
황사영 백서 사건 황사영
홍경래의 난 홍경래
임술농민봉기 유계춘 등 진주 사람
이필제의 난 이필제
이재선 추대 사건 안기영 등, 이하응
임오군란 김장손, 유춘만 오군영의 일원
갑신정변 김옥균 급진 개화파
1차 이준용 옹립 사건 이하응, 위안스카이
이재면 추대 사건 이하응, 위안스카이
동학 농민 혁명 전봉준 등 동학 농민군
2차 이준용 옹립 사건 이하응
조선군 훈련대 반란사건 이두황 조선군 훈련대
갑오의병 김원교, 서상철 등
을미의병 유인석 등 조선 의병
춘생문 사건 임최수, 이도철 친러파, 친미파
신축민란 이재수
을사의병 최익현 등 조선 의병
정미의병 이인영 13도 창의군 }}}}}}}}}
※ 대한제국기의 사건 포함

을미사변 일본군과 함께 대한제국군 시위대와 교전하였다. 일본 공사 미우라에 포섭된 훈련대 간부 제1대대장 이두황, 제2대대장 우범선[2], 제3대대장 이진호(李軫鎬), 전 군부 협판 이주회 등이 일본군에 합세해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일본군 공사관 수비대 및 훈련대 동원을 담당한 인물은 구스노세 유키히코였고 미우라는 을미사변 발생 전, 구스노세 유키히코를 포함한 관련자들을 공사관으로 불러 각자의 역할과 행동 지침을 하달했다.

을미사변 이후 1895년 11월 법부에서 을미사변 관련자들을 모두 모반자로 지목하여 재판할 때, 궐석으로 재판받았다. 한편 현장에 있던 박선, 이주회 등은 11월 14일 법부의 최종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1896년 2월 11일 고종이 왕명으로 유길준, 조희연(趙羲淵), 장박(張博), 권영진(權濚鎭), 이두황, 우범선, 이범래(李範來), 이진호(李軫鎬) 등에 대한 체포령을 내렸다. 2월 15일 고종은 이들에 대한 참수령을 내렸다.

이두황, 우범선, 구연수는 일본으로 망명에 성공하였다. 이 가운데 우범선은 결국 일본에서 자객 고영근에게 암살당했으며, 이두황과 구연수는 일본 망명 생활 동안 살아남았다.

4. 여담



[1] 장위영, 통위영, 총어영, 경리청 [2] 우장춘 박사의 아버지. 때문에 우장춘 박사는 평생을 속죄하는 마음으로 살았다고 한다. 일본에서 누릴 수 있는 모든 부귀영화를 버리고 황무지 대한민국에서 맨땅에 헤딩하면서 종자 자급과 연구에 힘쏟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