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9241d><tablebgcolor=#d9241d>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9176e><tablebgcolor=#29176e> 대한제국군의 편제 | }}}}}} | ||||||
원수부 | 군부 | 참모부 | 교육부 | 시종무관부 | 동궁배종무관부 | 육군무관학교 | ||||
대한제국군 친위대 |
대한제국군 시위대 |
대한제국군 진위대 |
대한제국군 호위대 |
대한제국군 헌병대 |
대한제국군 상무영 |
대한제국 해군 |
1. 개요
대한제국군 시위대(大韓帝國軍 侍衛隊)는 대한제국군의 부대로, 시위(侍衛)는 모시고(侍) 지킨다(衛)란 뜻으로 이름에서 추측할 수 있듯 황궁과 황실을 경비하는 여단급 근위대였다.2. 설명
황실경비와 수도방어를 담당한 중앙군역할을 겸한 대한제국군의 핵심 부대였다. 설립 당시에는 1개 연대 규모였고 이후 2개 연대로 확장한다. 각 연대는 5개 중대가 1개 대대였고 2개 보병대대와 포병대대, 기병대대를 합하여 사각편제를 이루었다. 시위대 창설 당시 군사 고문을 담당했던 제정 러시아식 편제에 가깝다.[1] 현재의 대한민국 국군은 주로 삼각편제를[2][3] 쓰는 편이다.갑오개혁 중이던 1895년 5월에 설치되었고 을미사변 당시에 일본군과 교전하였다. 이후 해체되어 친위대로 흡수되었다가 아관파천 이후 러시아식 편제로 재편성되었다. 창설당시는 1연대 2개 보병대대였으나 1898년에는 시위 1대대와 2대대를 합쳐 시위로 개편하고 포병 중대( 포대)를 설치하였다. 1900년에는 포병 중대를 포병 대대로 확장하고 기병 대대를 설치하여 보병 대대 2개에 포병 1개 대대, 기병 1개 대대 등 제대로 된 4각 편제의 형태를 띄게 된다. 군악대(소대급)도 2대를 설치하였고 1902년에는 보병 연대가 2개로 늘어나 총 병력이 5천에 이른다.
러일전쟁을 일으키며 서울을 점령한 일본은 1905년 4월 16일 대한제국군의 1차 군축을 단행한다. 친위대 2개 연대, 4개 대대의 4천여 병력은 폐지되고 시위대 2개 연대를 보병만으로 구성된 1개 연대로 축소되었다. 시위연대의 포병대대와 기병대대는 각 1개 중대로 줄여 포병, 기병, 공병을 포함한 시위 혼성 여단으로 편성하였다. 이렇게 2개 연대 5000명의 시위대는 1개 연대 3개 대대 2,513명의 시위 혼성 여단으로 대폭 축소되었다.
이후 일본은 1907년 4월에 대한제국군의 2번째 군축을 시행하였다. 대한제국의 군대를 무력화하는 6개의 칙령이 반포되었고 시위 보병 연대는 다시 3개 대대와 그 휘하 4개 중대로 편성되었다.
1907년 8월 1일에 해산되었다. 시위대 1연대 1대대장이었던 박승환이 이 일로 자결하고 해산에 반대한 2개 대대는 일본군에 맞서 남대문 전투를 전개하였으나 일본군에 의해 진압당하였다. 강제 해산 이후 상당수가 의병에 합류하면서 정미의병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남대문 전투와 진위대 봉기에서 탈출한 군인들이 들고 나왔던 소총과 탄약은 을사의병으로 들고 일어난 의병들의 화승총에 비해 상당한 전력이 되었다.
한편 2연대 2대대와 기병대대는 일부 남아 1907년 8월 이후에는 황궁 의장(儀裝)과 수비를 임무로 하는 근위 보병대 1개 대대로 644명이 편성되었다. 1907년 12월에는 황실 의장을 임무로 하는 92명의 근위 기병대가 편성되었다. 1909년 7월에는 군부가 폐지되면서 근위 보병대와 근위 기병대는 축소되었다가 경술국치 이후 조선보병대와 조선기병대가 되었고 이후 조선기병대는 1913년에, 조선보병대는 1931년에 해체되었다. 1931년 해체 당시 202명의 인원이 남았고 이들은 일본군 헌병보조원과 순사보조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