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41:34

연대(군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연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영국 육군의 특수부대에 대한 내용은 SAS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51426> 대(隊)급 편제
편제 분대 소대 중대 지역대 대대 연대
지휘관 분대장 반장 소대장 중대장 지역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부지휘관 부분대장 부소대장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
단(團)급 편제 군(軍)급 편제
편제 여단 사단 군단 작전사령부 야전군 집단군 군관구
지휘관 단장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작전사령관 야전군사령관 집단군사령관 군관구사령관
부지휘관 부단장 부여단장 부사단장 부군단장 부사령관
포병의 편제 지휘소
편제 포반 전포대 포대 포병단 사령부
지휘관 포반장 전포대장 포대장 단장 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1b69><colcolor=#fff> 계급 대위 소령 중령 대령 준장 소장 중장 대장
육상 부대 중대 편대 대대 전대 전단, 기지 (방어)사령부 함대, 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 작전사령부 해군참모총장
지휘관 중대장 편대장 대대장 전대장 전단장, 사령관 함대사령관, 잠수함사령관, 항공사령관 해군작전사령관
함정 4급함 3급함 2급함 1급함 -
지휘관 정장 함장 -
해병 부대 중대 대대 연대, 여단 여단 사단 해병대사령부 -
지휘관 중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여단장 여단장 사단장 해병대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파일:연대(군대) 아군 보병 연대 표기.png
북대서양 조약 기구의 공용 군사지도 표기규약인
APP-6A에 따른 아군 보병 연대 표기

1. 개요2. 유래
2.1. 어원2.2. 역사
3. 상세4. 대한민국 연대 목록
4.1. 보병연대4.2. 포병연대4.3. 신병교육연대4.4. 수송교육연대4.5. 경비연대4.6. 특공연대4.7. 해병교육연대4.8. 해체된 연대4.9. 기타(연대급여단)
5. 과거 연대 목록6. 기타

1. 개요

聯隊, Regiment. 군대의 편제 단위. 1,000 ~ 3,000명 정도로 구성된다. 여러 개의 대대를 모은 부대. 나라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1~5개 대대가 연대를 이룬다. 보통 연대장 대령이 맡는다. 대한민국 국군 보병 연대는 3개 보병 대대와 중대급 직할대( 본부, 수색[1], 의무, 통신, 지원, 수송대)를 합쳐 1,500~2,000명가량으로 구성되었었다.

2. 유래

2.1. 어원

연대를 가리키는 영어 "regiment"는 프랑스어 "régiment"에서 나왔다. 이 말은 다시 라틴어 "regimentum"에서 비롯하였고, 라틴어 "rego"를 거쳐 인도유럽어 "h₃reǵ-"까지도 거슬러 올라간다.[2] 그 말뜻은 "법" 혹은 "규율"로, 곧 regiment는 명령을 받드는 무리로서 부대를 가리키는 말이다.

2.2. 역사

연대는 중세 말~ 근대 초에 처음 탄생하였다. 중세 초에는 봉건제적 군사의무에 따라 평시에는 지방 영주가 독자적 군사력을 보유하다가 전시에 군주가 제후들을 소집하면 그에 응하여 각자 봉신 및 기사를 모아 편성한 부대나 용병부대를 끌어모아 군대가 조직되었으나, 11~12세기에 이르러 상업과 도시가 발달하자 시장과 화폐경제가 활성화되면서 군역도 금납화되고 용병이 널리 쓰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시기 연대란 " company"나 " batallion" 등과 마찬가지로 아직 애매모호한 뜻이기는 했지만, 대체로 단일한 지휘관이 통솔하는 부대로서 가장 큰 단위였고, 명망 높은 단일 지휘관이 여러 군주국이나 지방을 돌면서 모병하여 편성 및 지휘하였다.

그러다가 근세에 접어들어 봉건제가 해체되고 중앙집권을 상당히 진전시킨 절대왕정이 나타나면서 기존 요소들이 상비군의 일부로 자리잡기 시작했다. 옛 기사 하급 귀족, 부유한 평민 위관급 장교가 되었으며 영주 역시 영관급 장교에 가까운 지휘관이 되었고 영주가 군주에게서 돈을 주고 사들인 지휘관직 및 모병권한으로써 영지에서 모집하거나 돈을 주고 고용한 병사가 주력 전투원이 되어 편성된 부대, 즉 연대가 나타났다.[3] 이러한 연대 개념은 16세기 프랑스에서 제일 먼저 상설편제로서 나타나기 시작했고, 곧 영국 등 이웃국가들도 받아들이게 되었다.

제일 먼저 이 편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프랑스의 전통은 기사가 끌고다니던 가신군이나 부대(Company) 중에서도 대부대(Great Company)나 자유부대(Free Company)라고 불릴 만큼 커진 다수의 용병대, 특히 보병부대의 중앙화에서 기인하였고, 상대적으로 지상군 전력이 중시되지 않았던 영국은 동네 귀족이 대강 모은 동네 아저씨들이 연대의 원형이 되었다. 이러한 연대는 차츰 그 자체가 직접 전선에 나서기보다는 각지에 본부와 보충대, 주둔지를 둔 채 병력의 모병과 충원, 훈련 등을 담당하였고, 연대에 속한 전투부대인 대대는 다른 연대에서 차출된 대대들과 함께 여단을 구성하여 파견되었다.[4] 다만, 군대란 돈을 많이 잡아먹는 조직이었으므로 아무리 귀족이나 지주 등 부유한 지역 유지라도 연대의 창설과 유지가 쉽지 않았다. 따라서 연대 내 대대는 많아봤자 2개이고 대부분은 단 하나의 대대만을 보유하여서, 사실상 연대가 일부 지휘 및 지원부대를 제외하고서 통째로 동원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5]

이러한 까닭에 연대는 예나 지금이나 지역색이 강한 편제가 되었고, 특히 현대 이전에는 한 연대의 구성원은 전부 같은 지역사람이었다. 사단 개념이 나오기 전까지는 근대 전투에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편제였기에 많은 국가에 이 같은 관념이 정착하였다. 예컨대 전통을 좋아하는 군대, 특히 군주국들에서는 여전히 옛 연대편제에 근간한 부대가 많이 남아있다. 대표적으로 영국군에는 왕립 스코틀랜드 연대, 랭카스터 공작 연대, 왕립 수발총 연대, 아일랜드 근위기갑 연대 등이 있다. 민병대 전통이 강한 미국에서도 과거 미국 독립 전쟁이나 남북 전쟁 때부터 각 주와 지역의 의용군 성격을 가진 민병대를 연방군의 정규 편제로 편입시키는 과정에서 연대로 배정하고는 했고, 종종 여단급도 그런 식으로 편성되었다.[6]

이러한 전통은 1차대전~2차 대전 때까지 이어져서 징집병의 부대배치는 출신 지역을 기준으로 했고, 대대를 묶어 여단을 편성하더라도 대체로 가까운 지역별로 부대를 편성하는 지역 연고제가 널리 쓰였다. 이전부터 해온 것도 있고 동향출신이라는 유대감을 주려는 의도였는데,[7] 문제는 1차대전이 이전과는 달리 대대, 연대, 사단 단위로 병력이 증발하는 전쟁이라는 점이었다. 한 번 투입되었던 부대는 전투원이 모조리 죽는 참사도 당했고, 증발한 부대의 출신 지역은 전후 인구구조, 성비 등이 붕괴되는 참사를 맞이했다. 이 점은 지역연고제 폐지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으나, 그래도 연대 전통 자체는 꿋꿋이 지키고 있다.

이와 같이 연대 예하 대대로 여단이나 사단을 편성하고 다시 이를 모아 사단이나 군단, 야전군 등을 편성하는 전통은 연대 개념이 대두된 이후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시행되었는데, 이로 말미암아 연대보다 큰 단위부대는 19세기 초반까지도 전 세계 공통으로 상설편성이 아니었으며, 특히 영국군과 미군의 경우 1차 세계대전 참전 직전까지도 사단을 상설편성으로 유지하지 않았다. 영국은 그중에서도 가장 오랫동안 이 전통을 지켜오고 있다.[8]

한편 프랑스의 경우, 프랑스 혁명 당시 이러한 연대 전통이 혁명 이전의 구체제를 연상시킨다고 해서 일시적으로 "연대"(Régiment)라는 편제명을 없애고 "준여단"(Demi-Brigade)이라고 부른 적도 있다. 현대에도 준여단이라는 이름을 갖는 부대는 남아 있지만, 대부분은 나폴레옹의 황제 즉위 직전인 1803년경 폐지되어 연대 명칭으로 복원됐다. 오늘날에도 이 명칭을 쓰는 부대는 외인부대의 제13반여단(13e demi-brigade de Légion étrangère (13e DBLE))이 유일하다.

대한민국의 경우, 연대가 이러한 역사적 배경 없이 사단의 하위 편제로서만 존재해왔기에, 서구 군대가 연대에 품은 각별한 애착이나 상징성 부여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한국군에서 그런 상징적 지위를 가진 쪽은 사단이다.

3. 상세

현대는 일반적인 보병/ 포병/ 기갑/ 공병 부대가 같은 병과만 모여 있는 가장 큰 부대 편제를 가리키며, 현대 육군에서는 주로 여러 개의 개별적인 연대를 모아 사단을 편성, 사단의 주력인 보병과 기갑 연대들을 같은 사단 내의 다른 병과 부대들이 지원해 준다.

같은 병과만 모여있어서 단독 작전이 힘들고 언제나 동료 보조 연대에게 지원을 받는다는 점 탓에, 근대 육군 편제에서는 병종이 다른 대대를 모은 사단 개념이 생겨났다. 이어서 예전에는 단일 병과를 모아 편성하던 여단 개념 역시 사단처럼 다수의 병과가 연합된 전투제대로 변화했다.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연대부터 여단, 사단, 군단은 야전부대에만 존재하는 편제이다.[9] 비전투· 국직부대는 대대 위에 바로 이나 사령부로 올라간다. 언뜻 생각해 보아도, 군수지원이나 군수지원사령부는 들어본 적 있어도 군수지원연대나 군수지원사단은 들어본 적 없을 것이다. 계룡대 등에서는 예외적으로 '지원연대'라는 비전투 연대가 있었으나, 2020년 기준 지원연대는 해체되었다. 군필자들에겐 야수교라는 이름으로 익숙할 운전교육부대들도 편제가 변경되면서 ' 수송교육연대'가 되었다.

2018년경으로 예정된 국방개혁으로 인해 새로 창설되는 부대를 포함 거의 대부분의 연대급 부대가 여단으로 개편되는 것으로 예정되었으며 국방개혁 2.0으로 인해 2020년 12월 부로 연대들은 대거 여단으로 승격되었다.[10]

4. 대한민국 연대 목록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지상작전사령부
<colbgcolor=#009600> 수도 제700특공연대
I 제301경비연대 · 제701특공연대
II 제702특공연대
III 제703특공연대
V 제305경비연대 · 제705특공연대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육군본부 직할부대
사령부 예하 부대 예하 연대
<colbgcolor=#009600> 교육사 육군훈련소 제23신병교육연대 · 제25신병교육연대 · 제26신병교육연대 · 제27신병교육연대 · 제28신병교육연대 · 제29신병교육연대 · 제30신병교육연대
군수교
수송교육단
제1수송교육연대 · 제2수송교육연대 · 제3수송교육연대
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전문대항군연대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4.1. 보병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49 여단 ]
파일:6dv~2`reg_flag.png 파일:3연대.png 파일:5rgt.jpg 파일:7rgt.jpg 파일:8보병여단 마크.jpg
제2보병여단 제3보병여단 제5보병여단 제7보병여단 제8보병여단
파일:제11보병여단(육탄).svg 파일:12rgt.jpg 파일:제1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7보병연대 마크.jpg 파일:진백골마크.jpg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 제15보병여단 제17보병여단 제18보병여단
파일:19rgt.jpg 파일:제22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23보병연대 마크.jpg 파일:27rgt.jpg 파일:28연대 마크.png
제19보병여단 제22보병여단 제23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 제28보병여단
파일:29연대 마크.png 파일:제30보병연대 마크.png 파일:31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9보병여단 제30보병여단 제31보병여단 제35보병여단 제36보병여단
파일:15사단 번개부대.png 파일:39rgt.jpg
제38보병여단 제3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99 여단 ]
파일:50보병여단 마크.jpg 파일:51여단.jpg 파일:1652597830073.jp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0보병여단 제51보병여단 제52보병여단 제53보병여단 제55보병여단
파일:금강산부대.jpg 파일:제6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천봉여단.png 파일:70여단.jpg 파일:71BDE.png
제56보병여단 제65보병여단 제66보병여단 제70보병여단 제71보병여단
파일:72연대.png 파일:IMG_80여단_080552456.jpg 파일:81보병여단 마크.png 파일:82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3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2보병여단 제80보병여단 제81보병여단 제82보병여단 제93보병여단
파일:95여단 로고.png 파일:31 사자여단.jpg 파일:97여단 로고.png 파일:98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99여단.jpg
제95보병여단 제96보병여단 제97보병여단 제98보병여단 제9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00~149 여단 ]
파일:100여단.jpg 파일:101보병여단.jpg 파일:102여단.jp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0보병여단 제101보병여단 제102보병여단 제103보병여단 제105보병여단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6보병여단 제107보병여단 제108보병여단 제110보병여단 제111보병여단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낙동강여단.jpg
제112보병여단 제117보병여단 제118보병여단 제119보병여단 제120보병여단
파일:해룡여단 로고.png 파일:화랑여단 로고.png 파일:일격여단 로고.pn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21보병여단 제122보병여단 제123보병여단 제126보병여단 제127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50~199 여단 ]
파일:160여단 로고.png 파일:이신의부대.jpg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67여단.jpg 파일:비봉여단.jpg
제160보병여단 제161보병여단 제162보병여단 제167보병여단 제168보병여단
파일:제5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70연대.png 파일:쌍마부대.jpg 파일:172보병여단.jp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69보병여단 제170보병여단 제171보병여단 제172보병여단 제187보병여단
파일:66 땅벌부대 로고.png 파일:66 돌풍부대 로고.png
제188보병여단 제18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200~249 여단 ]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03여단.jpg 파일:73 사자여단.jpg
제200보병여단 제201보병여단 제202보병여단 제203보병여단 제205보병여단
파일:광명부대.png 파일:75횃불여단.pn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06보병여단 제207보병여단 제208보병여단 제209보병여단 제210보병여단
파일:212여단 마크.pn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19여단.pn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12보병여단 제213보병여단 제218보병여단 제219보병여단 제220보병여단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21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0~549 여단 ]
파일:501logo.png 파일:503여단 로고.png 파일:한밭부대.jpg 파일:507여단 마크.png
제501보병여단 제503보병여단 제505보병여단 제507보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2020년 12월 1일부로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연대는 전부 보병여단으로 승격되었다. 따라서 2020년 이후부터 대한민국 육군에는 보병연대가 존재하지 않는다.

4.2. 포병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포병여단 로고.png 파일:1포병여단마크.png 파일:제2포병여단 마크.png 파일:3포병여단 로고.png
제1포병여단 제2포병여단 제3포병여단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파일:제7포병여단 마크.png 파일:화력여단로고.png
제5포병여단 제7포병여단 화력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사단 포병여단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7사단 포병여단 로고.png 파일:산하진포병 마크.png 파일:백마포병여단.png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11기동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승리포병.png 파일: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마크.png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백두포병 마크.pn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png 파일: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png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73 포병.jpg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2020년 12월 1일부로 대한민국 육군의 포병연대는 전부 포병여단으로 승격되었다. 따라서 2020년 이후부터 대한민국 육군에는 포병연대가 존재하지 않는다.

4.3. 신병교육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23연대로고.jp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제23신병교육연대 제25신병교육연대 제26신병교육연대 제27신병교육연대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svg
제28신병교육연대 제29신병교육연대 제30신병교육연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4.4. 수송교육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육군종합군수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육군종합군수학교 부대마크.svg 파일:육군종합군수학교 부대마크.svg
제1수송교육연대 제2수송교육연대 제3수송교육연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4.5. 경비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군단 부대마크.svg
제301경비연대 제305경비연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전방 군단 관할 위수지역 내에서 후방 지역의 지역방위사단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부대이다. 전방 군단 지역의 지역(향방)예비군훈련은 이 부대가 담당한다. 경비라는 이름 때문에 군단 사령부나 군단 위수지역의 경비를 담당한다는 오해가 있기도 한다. 전자는 군단 본부근무대의 경비대가 맡으며, 위수지역 경비는 군사경찰단의 임무이다.

4.6. 특공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700_마크.png 파일:701_흉장.png 파일:702_마크.png
제700특공연대 제701특공연대 제702특공연대
파일:703_마크.png 파일:705_흉장.png
제703특공연대 제705특공연대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4.7. 해병교육연대

4.8. 해체된 연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육군본부 부대마크.svg 파일:제2군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군단 부대마크.svg 파일:706 흉장.png 파일:7강습 흉장.png
독립기갑연대 제302경비연대 제306경비연대 제706특공연대 제707특공공정연대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보병연대.jpg 파일:제1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9보병사단 마크.png 파일:제29보병사단 마크.png
32보병연대 37보병연대 63보병연대 83보병연대 85보병연대
파일:제29보병사단 마크.png 파일:제7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86보병연대 113보병연대 115보병연대 116보병연대 163보병연대
파일:제7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68사단.jpg 파일:68사단.jpg 파일:68사단.jpg
165보병연대 166보병연대 173보병연대 175보병연대 176보병연대
파일:제6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177보병연대 178보병연대 179보병연대 180보병연대 181보병연대
파일:제6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182보병연대 183보병연대 185보병연대 186보병연대 190보병연대
파일:제6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191보병연대 192보병연대 193보병연대 195보병연대 196보병연대
파일:제7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197보병연대 198보병연대 199보병연대 211보병연대 215보병연대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구).svg 파일:육군훈련소 부대마크(구).svg
216보병연대 222보병연대 223보병연대 21교육연대 22교육연대
파일:제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2사단 포병연대 71사단 포병연대 62사단 포병연대 61사단 포병연대 67사단 포병연대
파일:제7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6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68사단.jpg 파일:제6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76사단 포병연대 65사단 포병연대 70사단 포병연대 68사단 포병연대 69사단 포병연대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4.9. 기타(연대급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49 여단 ]
파일:6dv~2`reg_flag.png 파일:3연대.png 파일:5rgt.jpg 파일:7rgt.jpg 파일:8보병여단 마크.jpg
제2보병여단 제3보병여단 제5보병여단 제7보병여단 제8보병여단
파일:제11보병여단(육탄).svg 파일:12rgt.jpg 파일:제1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17보병연대 마크.jpg 파일:진백골마크.jpg
제11보병여단 제12보병여단 제15보병여단 제17보병여단 제18보병여단
파일:19rgt.jpg 파일:제22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23보병연대 마크.jpg 파일:27rgt.jpg 파일:28연대 마크.png
제19보병여단 제22보병여단 제23보병여단 제27보병여단 제28보병여단
파일:29연대 마크.png 파일:제30보병연대 마크.png 파일:31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9보병여단 제30보병여단 제31보병여단 제35보병여단 제36보병여단
파일:15사단 번개부대.png 파일:39rgt.jpg
제38보병여단 제3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99 여단 ]
파일:50보병여단 마크.jpg 파일:51여단.jpg 파일:1652597830073.jp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50보병여단 제51보병여단 제52보병여단 제53보병여단 제55보병여단
파일:금강산부대.jpg 파일:제65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천봉여단.png 파일:70여단.jpg 파일:71BDE.png
제56보병여단 제65보병여단 제66보병여단 제70보병여단 제71보병여단
파일:72연대.png 파일:IMG_80여단_080552456.jpg 파일:81보병여단 마크.png 파일:82보병여단 마크.png 파일:제3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72보병여단 제80보병여단 제81보병여단 제82보병여단 제93보병여단
파일:95여단 로고.png 파일:31 사자여단.jpg 파일:97여단 로고.png 파일:98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99여단.jpg
제95보병여단 제96보병여단 제97보병여단 제98보병여단 제9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00~149 여단 ]
파일:100여단.jpg 파일:101보병여단.jpg 파일:102여단.jp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0보병여단 제101보병여단 제102보병여단 제103보병여단 제105보병여단
파일:제3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06보병여단 제107보병여단 제108보병여단 제110보병여단 제111보병여단
파일:제37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9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낙동강여단.jpg
제112보병여단 제117보병여단 제118보병여단 제119보병여단 제120보병여단
파일:해룡여단 로고.png 파일:화랑여단 로고.png 파일:일격여단 로고.pn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3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21보병여단 제122보병여단 제123보병여단 제126보병여단 제127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50~199 여단 ]
파일:160여단 로고.png 파일:이신의부대.jpg 파일:제60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67여단.jpg 파일:비봉여단.jpg
제160보병여단 제161보병여단 제162보병여단 제167보병여단 제168보병여단
파일:제51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170연대.png 파일:쌍마부대.jpg 파일:172보병여단.jpg 파일:제6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169보병여단 제170보병여단 제171보병여단 제172보병여단 제187보병여단
파일:66 땅벌부대 로고.png 파일:66 돌풍부대 로고.png
제188보병여단 제189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200~249 여단 ]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03여단.jpg 파일:73 사자여단.jpg
제200보병여단 제201보병여단 제202보병여단 제203보병여단 제205보병여단
파일:광명부대.png 파일:75횃불여단.pn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75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06보병여단 제207보병여단 제208보병여단 제209보병여단 제210보병여단
파일:212여단 마크.png 파일:제52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19여단.png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12보병여단 제213보병여단 제218보병여단 제219보병여단 제220보병여단
파일:제56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221보병여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0~549 여단 ]
파일:501logo.png 파일:503여단 로고.png 파일:한밭부대.jpg 파일:507여단 마크.png
제501보병여단 제503보병여단 제505보병여단 제507보병여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1stMB.jpg 파일:1rgt.jpg 파일:9여단.jpg
제1기갑기계화보병여단 제1기계화보병여단 제9기계화보병여단
파일:13기보여단 로고.png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26rgt1.jpg
제13기계화보병여단 제16기계화보병여단 제26기계화보병여단
파일:60여단 로고.png 파일:제61기계화보병여단 마크.jpg 파일:제26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제60기계화보병여단 제61기계화보병여단 제73기계화보병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명칭은 여단이지만 실제로는 연대급 부대이며 여단장 대령이다.

5. 과거 연대 목록

6. 기타



[1] 육군의 경우에는 육군 수색대, 해병대의 경우에는 해병대 수색대. 육군의 후방 지역방위사단은 수색중대 대신 기동중대가 편성된다. [2] 여기서 갈라져나온 동원어로는 을 가리키는 라틴어 "rex", 군주령을 의미하는 영어 " realm", 나라를 뜻하는 독일어 " reich" 등이 있다. [3] 중세에도 기사가 장교가 되어 부대를 지휘하는 것이 당연한 일이었지만, 개인의 무력이 중요했던 시대적 배경에 따라 각 개인은 잘 단련된 인간흉기들이기도 했다. 그러나 전쟁 규모가 커져가고 화약무기가 발전한 시대변화로 말미암아, 이미 중세 말의 기사는 병과가 아닌 사회적 계급 개념으로 변모한 까닭에, 기사 및 귀족 계급 출신자들은 개인의 전투력이 아닌 지휘관으로서의 가치가 더 중요하게 되었다. [4] 이들을 지휘하던 선임연대장으로서의 여단장(brigadier)은 이후 계급으로서 영관급 상급대령이나 장성급 준장 개념으로 발전하였다. [5] 그래서 실질적인 전투지휘는 연대장( colonel)이 아니라 부연대장( lieutenant colonel)의 몫이었다. # 더불어 연대장도 후원자일뿐 군인일 필요는 없던 명목상 연대장과 군인이나 공직자로서 업무를 맡아보던 실제 연대장으로 분화되었다. 아직까지 이때의 연대 전통이 남은 근현대 영국군에 존재하는 '명예 연대장'(Colonel of the Regiment)은 그 동네 귀족이었으며, 현대에는 동네 귀족보다는 정규군의 고위 장성, 즉 작위를 받은 귀족이 명예 연대장이 된다. 지금은 주로 준장이나 소장이 명예 연대장인 경우가 많지만, 1차 세계대전 때까지만 해도 명예 연대장은 대부분 연대 연고지의 영주인 세습귀족 아니면 정규군 중장 이상, 보통은 대장이었다. [6] 민병대가 정규연대가 되면서 그 설립자 및 후원자이기 마련인 민병대장도 연대장 직위 즉 대령 계급을 받게 되었다. 미국의 역사물이나 전쟁물에서 간혹 허름한 차림의 시골 출신 전직 대령이라는 설정의 사나이가 등장하는데, 이러한 이유로 그 사람이 그 동네 민병대장 출신이라고 유추할 수 있다. [7] 그 탓에 뭉쳐서 역적질을 모의한다든가 하는 걸 우려해서 역으로 고향에서 멀리 떨어트리고 타지 출신들을 섞는 사례도 있었다. [8] 사실 이는 영국이 자리잡은 지리적 특성에도 기인하는데, 섬나라라는 환경을 고려하면 대규모 육군을 굴릴 이유가 없어서다. 오히려 상륙 전에 적을 격퇴하기 위한 해군력이 중요시되는 것이다. 이 탓에 제2차세계대전 발발 직후에도 영국의 유럽전선에 투입된 육군 병력은 약 4개 사단에 해당하는 병력밖에 없었다. 대육군의 역할은 프랑스군, 대해군의 역할은 영국이 맡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9] 반면 외국군의 경우 비전투부대라도 규모만 맞다면 이들 편제를 사용한다. 예컨대 군수(logistic)나 군사경찰(military police) 정도는 군단이나 연대를 어렵잖게 찾아볼 수 있다. 오히려 이들 병과 쪽에서 거의 존재하지 않는 편제는 사단이다. [10] 물론 그 과정에서 수방사 예하 지역방위사단의 일부 연대가 해체되어 인근 여단에 합쳐지는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 [11] 제2보병여단으로 개편 [12] 제3보병여단으로 개편 [13] 제5보병여단으로 개편 [14] 제7보병여단으로 개편 [15] 제8보병여단으로 개편 [16] 제11보병여단으로 개편 [17] 제12보병여단으로 개편 [18] 제15보병여단으로 개편 [19] 제17보병여단으로 개편 [20] 제18보병여단으로 개편 [21] 제19보병여단으로 개편 [22] 제22보병여단으로 개편 [23] 제23보병여단으로 개편 [24] 제27보병여단으로 개편 [25] 제28보병여단으로 개편 [26] 제29보병여단으로 개편 [27] 제30보병여단으로 개편 [28] 제31보병여단으로 개편 [29] 제35보병여단으로 개편 [30] 제36보병여단으로 개편 [31] 제38보병여단으로 개편 [32] 제39보병여단으로 개편 [33] 제50보병여단으로 개편 [34] 제51보병여단으로 개편 [35] 제52보병여단으로 개편 [36] 제53보병여단으로 개편 [37] 제55보병여단으로 개편 [38] 제56보병여단으로 개편 [39] 제57보병여단으로 개편 [40] 제58보병여단으로 개편 [41] 제59보병여단으로 개편 [42] 제65보병여단으로 개편 [43] 제66보병여단으로 개편 [44] 제70보병여단으로 개편 [45] 제71보병여단으로 개편 [46] 제72보병여단으로 개편 [47] 제77보병여단으로 개편 [48] 제78보병여단으로 개편 [49] 제79보병여단으로 개편 [50] 제80보병여단으로 개편 [51] 제81보병여단으로 개편 [52] 제82보병여단으로 개편 [53] 제93보병여단으로 개편 [54] 제95보병여단으로 개편 [55] 제96보병여단으로 개편 [56] 제97보병여단으로 개편 [57] 제98보병여단으로 개편 [58] 제99보병여단(제32보병사단)으로 개편 [59] 제99보병여단(제33보병사단)으로 개편 [60] 제100보병여단으로 개편 [61] 제101보병여단(제17보병사단)으로 개편 [62] 제102보병여단(제17보병사단)으로 개편 [63] 제103보병여단(제35보병사단)으로 개편 [64] 제105보병여단으로 개편 [65] 제106보병여단으로 개편 [66] 제107보병여단으로 개편 [67] 제108보병여단으로 개편 [68] 제109보병여단으로 개편 [69] 제110보병여단으로 개편 [70] 제111보병여단으로 개편 [71] 제112보병여단으로 개편 [72] 제117보병여단으로 개편 [73] 제118보병여단으로 개편 [74] 제119보병여단으로 개편 [75] 제120보병여단으로 개편 [76] 제121보병여단으로 개편 [77] 제122보병여단으로 개편 [78] 제123보병여단으로 개편 [79] 제125보병여단으로 개편 [80] 제126보병여단으로 개편 [81] 제127보병여단으로 개편 [82] 제160보병여단으로 개편 [83] 제161보병여단으로 개편 [84] 제162보병여단으로 개편 [85] 제167보병여단으로 개편 [86] 제168보병여단으로 개편 [87] 제169보병여단으로 개편 [88] 제170보병여단으로 개편 [89] 제171보병여단으로 개편 [90] 제172보병여단으로 개편 [91] 제187보병여단으로 개편 [92] 제188보병여단으로 개편 [93] 제189보병여단으로 개편 [94] 제200보병여단으로 개편 [95] 제201보병여단으로 개편 [96] 제202보병여단으로 개편 [97] 제203보병여단으로 개편 [98] 제205보병여단으로 개편 [99] 제206보병여단으로 개편 [100] 제207보병여단으로 개편 [101] 제208보병여단으로 개편 [102] 제209보병여단으로 개편 [103] 제201보병여단으로 개편 [104] 제212보병여단으로 개편 [105] 제213보병여단으로 개편 [106] 제218보병여단으로 개편 [107] 제219보병여단으로 개편 [108] 제220보병여단으로 개편 [109] 제221보병여단으로 개편 [110] 제56보병사단으로 예속 후 해체. [111]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12]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13]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14]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15]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16]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17]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18]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19]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0]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1]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2]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3]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4]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5] 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6]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7] 제27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8]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29]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30]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31]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32]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33]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34] 해병대 제1여단으로 개편 [135] 해병대 제2여단으로 개편 [136] 해병대 제3여단으로 개편 [137] 해병대 제5여단으로 개편 [138] 해병대 제7여단으로 개편 [139] 해병대 제8여단으로 개편 [140] 해병대 제1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141] 해병대 제2사단 포병여단으로 개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