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49 여단 ] |
||||||||||
제2보병여단 | 제3보병여단 | 제5보병여단 | 제7보병여단 | 제8보병여단 | ||||||
제11보병여단 | 제12보병여단 | 제15보병여단 | 제17보병여단 | 제18보병여단 | ||||||
제19보병여단 | 제22보병여단 | 제23보병여단 | 제27보병여단 | 제28보병여단 | ||||||
제29보병여단 | 제30보병여단 | 제31보병여단 | 제35보병여단 | 제36보병여단 | ||||||
제38보병여단 | 제3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99 여단 ] |
||||||||
제50보병여단 | 제51보병여단 | 제52보병여단 | 제53보병여단 | 제55보병여단 | ||||||
제56보병여단 | 제65보병여단 | 제66보병여단 | 제70보병여단 | 제71보병여단 | ||||||
제72보병여단 | 제81보병여단 | 제82보병여단 | 제93보병여단 | 제95보병여단 | ||||||
제96보병여단 | 제97보병여단 | 제98보병여단 | 제9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00~149 여단 ] |
||||||
제100보병여단 | 제101보병여단 | 제102보병여단 | 제103보병여단 | 제105보병여단 | ||||||
제106보병여단 | 제107보병여단 | 제108보병여단 | 제110보병여단 | 제111보병여단 | ||||||
제112보병여단 | 제117보병여단 | 제118보병여단 | 제119보병여단 | 제120보병여단 | ||||||
제121보병여단 | 제122보병여단 | 제123보병여단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150~199 여단 ] |
|||||
제160보병여단 | 제161보병여단 | 제162보병여단 | 제167보병여단 | 제168보병여단 | ||||||
제169보병여단 | 제170보병여단 | 제171보병여단 | 제172보병여단 | 제187보병여단 | ||||||
제188보병여단 | 제189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200~249 여단 ] |
||||||||
제200보병여단 | 제201보병여단 | 제202보병여단 | 제203보병여단 | 제205보병여단 | ||||||
제206보병여단 | 제207보병여단 | 제208보병여단 | 제209보병여단 | 제210보병여단 | ||||||
제212보병여단 | 제213보병여단 | 제218보병여단 | 제219보병여단 | 제220보병여단 | ||||||
제221보병여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folding [ 500~549 여단 ] |
|||||||||
제501보병여단 | 제503보병여단 | 제505보병여단 | 제507보병여단 |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제53보병사단의 예하부대 | ||
제126보병여단 | 제127보병여단 | |
※ 군 공통의 직할부대(
본부근무대,
의무근무대 등)는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과거 소속 부대( 제53보병사단 동원지원단 등)는 과거 소속 부대 문단 참고 |
제126보병여단 第126步兵旅團 The 126th Infantry Brigade |
||||||
부산은 우리가 지킨다! | ||||||
창설일 |
1981년
6월 25일(제527지원단) 1982년 10월 15일(제126보병연대) 2020년 12월 1일(제126보병여단) |
|||||
상징명칭 | 충장흑의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53보병사단 | |||||
규모 | 여단 | |||||
역할 | 부산광역시 방위 | |||||
여단장 | 대령 박형철 | |||||
위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2작사 제53보병사단 예하 제126보병여단. 상징명칭은 충장흑의부대. 상징물은 코끼리(지상최강자)2. 연혁
여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급 지휘관이다.여단 예하에 총 7개 대대가 존재한다.
부산광역시 지역 담당이며 본부는 해운대에 있다. 공병대대, 제53동원지원단, 방첩부대, 육군수사대, 공군부대, 예비군훈련장[1] 등이 같이 주둔해있으며 송정일대까지 영내가 연결되어있어 규모가 제법 크다.[2] 특히 신해운대역 바로 코앞에 정문이 위치해있어 교통이 상당히 편리한데 오히려 사단본부보다 교통편이 더 좋다.[3]
이 일대를 통칭해서 장산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1981년 6월 25일 제2군관구사령부 예하의 제527지원단으로 창립된 것이 부대 연혁의 시초이며 1982년 8월 16일에 부산 지역 위수부대인 53사단이 창설되고 527지원단 역시 1982년 10월 15일에 제126보병연대로 개편되었다. 2020년까지는 126연대였으나 국방개혁 2.0 기본계획에 의거, 상비사단과 지역방위사단이 개편되어 126보병연대 역시 2020년부로 126보병여단으로 격상되었다.
2022년 12월자로 제125보병여단 해체에 따라 (구)제125보병여단이 맡고있던 부산 남쪽지역의 위수업무를 넘겨받으면서[4] 경남 양산지역을 제39보병사단으로 넘겼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사실상 김해 생활권인 가락동을 왜 제39보병사단으로 넘기지 않았는지는 의문을 품기도 한다.[5]
3. 예하부대
3.1. 직할부대
3.2. 제1대대
3.3. 제2대대
3.4. 제3대대
3.5. 제4대대
3.6. 제5대대
3.7. 제17해안감시기동대대
3.8. 제18해안감시기동대대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연대장 및 여단장. |
역대 제126보병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000 | 예) 대령 | 육사 00기 | 前 연대장 | |
00대 | 신원식 | 예) 중장 | 육사 37기 | 現 국방부장관 | |
00대 | 장재환 | 예) 중장 | 육사 39기 | 前 제7기동군단장 | |
20대 | 김형권 | 예) 대령 | 학군 26기 | 前 연대장 | |
21대 | 김상옥 | 예) 대령 | 학군 25기 | 前 연대장 | |
22대 | 서중구 | 예) 대령 | 3사 24기 | 前 연대장 | |
23대 | 이계철 | 소장 | 육사 46기 | 現 육군종합군수학교장 | |
26대 | 김종묵 | 소장 | 학군 32기 | 現 제39보병사단장 | |
27대 | 김태선 | 대령 | 학군 33기 | 現 제120학군단장[6] | |
28대 | 권기창 | 대령 | 육사 53기 | 前 여단장 | |
29대 | 노현석 | 대령 | 육사 OO기 | 前 여단장 | |
30대 | 박형철 | 대령 | 육사 OO기 | 現 여단장 |
4.2. 장교/부사관
- 이상철: 해운대대대장 역임
4.3. 병
- 이동형: 팟케스트 이박사와 이작가의 이이제이의 작가. 본인 얘기로는 조교출신이라 함.[7]
5. 기타
5.1. 근무환경
- 사단 내 다른 부대와 마찬가지로 부산, 경남권의 온화한 날씨로 인해 제설작전이 거의 없다.
- 대부분의 부대와 다르게 도심권( 해운대 장산)에 위치해 있어 굳이 휴가가 아니더라도 외출, 외박을 통해 충분히 자유롭게 여가를 즐길 수 있다. 교통편이 좋다보니 웬만해선 휴가 시 본가에 가기도 편리하다.
- 장산에 있는 일부 사찰과 마을이 방문시 이 부대 위병소를 통과해야 한다는 특성으로 인해 민간인의 출입이 굉장히 많은 편이다. 인근 사찰 중 원각사[8]라는 절이 유명한데 주말이나 명절이 되면 방문객이 매우 많아지며 가수 전소미와 아버지인 매튜 다우마가 종종 방문한다고 알려진 곳이다.
- 통합막사 기준으로 체육관(a.k.a. 코끼리관)이 있어 개인 트레이닝이 가능하며 주둔지도 굉장히 넓어서 구보하기에도 좋다. 또한 2개의 인조잔디 풋살장, 대연병장이 있어 구기종목 하기에도 좋다.
- 도심과 매우 가까이 위치하다보니 이색적인 광경도 있는데 부대 내에서 엘시티가 뚜렷하게 보이고 롯데월드 어드벤처 부산도 보이며 달리기 코스를 뛰거나 사격장에 갈 때 놀이기구들이 보인다.
6. 여담
- 민간인 장산 일부지역 출입금지[10] 때문인지 환경오염이 거의 없어 부대 내 산줄기를 따라 흐르는 계곡을 보면 갈겨니, 고라니, 멧돼지, 산딸기와 같이 도심에서 쉽게 보기 힘든 동식물들을 구경할 수 있다.
- 현재는 해체된 국군부산병원도 이 부대 영내에 있었다. 2020년에 폐쇄되었지만 건물은 남아있는 상태이며 훈련 때 사용된다.
[1]
동부산의 대부분 예비군 훈련장이 여기에 몰려있다.
[2]
이 때문에 각종 행군을 영내 코스만 돌아도 거리가 다 채워진다.
[3]
게다가 위병소에서 도보로 20분 정도만 가면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역이 있다.
[4]
예비군 훈련장은 사단에서 직할로 담당하다가 송도, 개금 예비군훈련장은 제126보병여단 소속으로 변경했다. 나머지는 사단 직할로 관리하다가 2030년 이내로 폐쇄될 예정이다.
[5]
가락동 상근예비역들이 위수지역 간 이동이 김해로 들어가야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122번을 이용하여 빙 들어가지 않는 한 김해로 무조건 점프를 뛰어야 해서 탈영이 되고, 이를 통해 가락동 거주 장병들을 잠재적 범죄자로 만들어버렸기 때문이다.
[6]
인하대학교
[7]
본인이 제작하는 수많은 팟케와 유튜브 채널 등에서 군대썰이 나올 때마다 수없이도 많이 언급해서 유명해졌다. 사실상 코끼리부대를 알린 유일한 사례. 복무당시 부조리가 매우 심했는데 약간의 구타라도 발생하면 즉시 사단급으로 소원수리를 날려 아무도 건들지 않았다고...
[8]
서울
탑골공원 자리에 있던
원각사와는 동명의 다른 사찰이다. 한자 표기도 동일하다.
[9]
천주교,
불교 신자들은 신교대로 간다.
[10]
몇몇 사람들은 이딴 거 없이 나물 캔다고 출입할 수도 있으니 주둔지 순찰간 유심있게 봐서 포상휴가 탈수 있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