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7보병사단 후신(後身)에 대한 내용은 제56보병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2사단 | 제20사단 | 제23사단 | 제26사단 | 제27사단 | |||
제29사단 | 제30사단 | 제33사단 | 제38사단 | 제51사단 | |||
제57사단 | 제61사단 | 제62사단 | 제63사단 | 제65사단 | |||
제67사단 | 제68사단 | 제69사단 | 제70사단 | 제71사단 | |||
제76사단 |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사단 | 해체된 사단 |
제57보병사단 {{{#063b94 第五七步兵師團}}} {{{#063b94 The 57th Infantry Division}}} |
||||||
수도서울 절대사수 | ||||||
창설일 |
1975년
9월 1일(제71훈련단) 1984년 1월 7일(제57보병사단) |
|||||
해체일 | 2011년 11월 30일 | |||||
상징명칭 | 용마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수도방위사령부 | |||||
규모 | 사단 | |||||
역할 | 서울특별시 동북부 지역방위 | |||||
초대 사단장 | 예) 소장 000 (0사 00기) | |||||
해체 전 사단장 | 예) 중장 이범수 (학군 18기) | |||||
위치 | 경기도 구리시 | |||||
[clearfix]
1. 개요
경기도 구리시를 근거지로 했던 수도방위사령부 소속 사단. 별칭은 용마부대. 1984년 1월 7일 창설되었으며, 2011년 11월 30일 해체, 연대는 제56보병사단에 병합되었다.2. 상세
대한민국 육군의 보병 사단. 이 사단의 모체는 1975년에 창설된 수도경비사령부 예하 제71훈련단이다. 1984년 서울 강북 동부 및 근교지역에 있던 제71훈련단(1975년 창설)[1]이 개편되어 제57보병사단으로 남양주시에서 창설되었으나 후에 구리시의 북부간선도로가 위치한 자리로 부대를 이전하였고[2] 2011년 11월 30일부로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서울 서북지역을 위수지역으로 하던 제56보병사단과 통폐합되며 해체되었다.수도방위사령부의 예하 사단으로서 위수구역인 서울특별시 동북부 지역을 방위하였다.
사단해체 후 현재 주둔지는 북부간선도로를 기준으로 북쪽은 제55동원지원단이 주둔하였으나 55동원지원단은 별내동원훈련장(옛 71사단 포병연대 주둔지)으로 이전했다. 현재는 국군복지단 서울지원본부로 넘어갔고, 남쪽은 국군구리병원이 주둔하고 있다.
사단이 해체되면서 제220, 221, 223연대는 제56사단에 편입되었고, 제222연대는 해체되었다. 해체된 연대의 예비군 훈련장은 221연대가 인수하여 관리하고 있다.[3] 222 연대는 본부가 구리시, 남양주시 등지의 관할 예비군 훈련장에 같이 있는 다른 연대와 달리 본부가 고려대와 성신여대 사이의 개운산, 도심의 방공포대 옆에 위치하고 있어서 따로 운영하기보다는 미금(금곡) 예비군훈련장으로 이전해 합치는 것이 타당했다. 연대본부는 사단 해체 훨씬 이전에 이전했는데, 222 연대본부와 인근 방공포대(공군 소속?)가 이전해 간 빈터는 시민들이 운동하러 나오는 개운산 근린 공원이 되었다. 개운산에 있던 222연대의 본부는 연대장실, 대대장실이 있고 연대본부 직속 소대 규모의 대 테러 진압 기동타격대(충정부대)를 위시하여 연대의 각 행정 부서(인사,군수,작전,정훈,교육. - 과 체계, 과장은 소령)을 포함한 현역 장교-사병과 방위병이 같이 근무하는 중대 규모로, 남양주시의 금곡교장(현재 금곡1훈련장. 2훈련장은 221연대가 사용했었다.)으로 이전하였지만 상당히 오랜 기간 개운산에 주둔한 것은 사실이다. 223연대는 56사단 개편 과정에서 다시 해체되었다. 현재 56사단은 옛 56사단 2개 연대와 옛 57사단 2개 연대(구 220,221연대)로 구성되었다.
3. 예하부대
3.1. 사단직할대
- 본부근무대
- 기동대대
- 공병대대
- 정비근무대
- 보수지원대대
- 통신대대
- 포병대대
- 화생방지원대
- 헌병대
- 의무지원근무대
- 보충중대
3.2. 제220보병연대 용마 (덕릉예비군훈련장)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자세한 내용은
제220보병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3.3. 제221보병연대 비룡 (미금예비군훈련장)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자세한 내용은
제221보병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3.4. 제222보병연대 태풍 (금곡예비군훈련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개운산에 연대본부가, 금곡에 예비군교장이 있었으나 1990년에 통합으로 연대본부가 금곡교장으로 이전하였다. 당시 222연대는 금곡교장, 221연대는 미금교장으로 불리었었다.
제222연대는 제57보병사단과 함께 해체되었다. 정식 명칭은 육군 제 5278부대. 과거 동대문구, 중랑구를 관할하였으며, 연대 해체 후 동대문구는 221연대, 중랑구는 223연대가 각각 맡게 되었다. 연대 별칭은 '태풍'이었으며, 현재 금곡 1훈련장에 있는 태풍관은 이 별칭에서 따온 것이다
3.5. 제223보병연대 독수리 (호원예비군훈련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32보병연대 | 37보병연대 | 63보병연대 | 83보병연대 | 85보병연대 | |
86보병연대 | 113보병연대 | 115보병연대 | 116보병연대 | 163보병연대 | |
165보병연대 | 166보병연대 | 173보병연대 | 175보병연대 | 176보병연대 | |
177보병연대 | 178보병연대 | 179보병연대 | 180보병연대 | 181보병연대 | |
182보병연대 | 183보병연대 | 185보병연대 | 186보병연대 | 190보병연대 | |
191보병연대 | 192보병연대 | 193보병연대 | 195보병연대 | 196보병연대 | |
197보병연대 | 198보병연대 | 199보병연대 | 211보병연대 | 215보병연대 | |
216보병연대 | 222보병연대 | 223보병연대 | 21교육연대 | 22교육연대 | |
2사단 포병연대 | 71사단 포병연대 | 62사단 포병연대 | 61사단 포병연대 | 67사단 포병연대 | |
76사단 포병연대 | 65사단 포병연대 | 70사단 포병연대 | 68사단 포병연대 | 69사단 포병연대 | |
※ 둘러보기 :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독립연대 · 연대 | 해체된 독립연대 · 해체된 연대 |
- 연대본부
- 1대대
- 2대대
- 3대대
- 4대대 (1995년해체!)
- 5대대 (1995년해체!)
- 6대대 (1995년해체!)
의정부시 장암동과 서울시 도봉구(1988년부터 노원구) 상계1동 경계에 있던 부대이며, 정식명칭은 육군 제2997부대.
병력대비 주둔지가 굉장히 넓다. 대략 호원IC부터 회룡탐방센터까지 주둔지가 펼쳐져 있는데 회룡역 인근 아파트에서 주둔지가 훤히 들여다보이기 때문에 연대장 이하 간부들이 부대 정화활동에 굉장히 많은 신경을 쓰는 편이었다. 게다가 서울과(사단과 사령부와) 가까움+도심지역+대규모 예비군훈련이 가능한 부대라는 환장의 콜라보 덕분에 사단장, 수방사령관의 순시도 심심찮게 일어나곤 했었다.
2개의 강당, 3개의 연병장과 예비군 훈련 코스를 3개 대대병력(간편기준)이 관리하는데 위병소[4]와 무기탄약고, 후문초소 경계근무까지 경계근무 부담도 과한 편이었다.
1991년까지 타자기와 등사기를 썼던 부대였다. 223연대는 도봉구의 예비군 훈련을 관할하던 부대로 1987년까지는 1대대 상계동(당시1~5동), 2대대 도봉동, 3대대 창동, 4대대 수유동, 5대대 미아 2, 3, 5, 8동과 번동, 6대대 미아 1, 4, 6, 7동을 관할하였고 동사무소 중대본부에서 예비군 훈련 영장을 대대본부에 신청, 발급받아 동사무소 근무 방위병들이 인편 배달을 하였다.
1988년 노원구, 1995년 강북구가 분구되어 4, 5, 6대대는 다른 부대로 이관되었다.
어느부대나 그렇듯 작업에 관한 전설이 몇 가지 내려온다.
첫째, 1986~1987년, 훈련장을 건설할 때 각 연대에서 차출된 방위병 인원들이 여러 조로 편성되어 1주일씩 교대로 들어가서 삽질에 동원되었다.게다가 놀랍게도 부대 끝편의 사격장 축대는 큰 돌을 중장비가 갖다 놓으면 해머로 깨부수어 적당한 크기로 만들어가며 순수하게 인력만으로 쌓아올려 만든 것이다.
둘째, 북한산 둘레길을 걷다보면 부대 후문을 만날 수 있는데, 여기에 전투수영장이 있다. 이것 역시 순수하게 인력이 땅을 까고
셋째, 북한산 둘레길 원심사 입구 쪽에 계곡과 함께 소로길 정도 되는 진입로가 있는데, 이 계곡 물살이 굽이쳐 내려오며 도로를 깎아내다 보니 도로가 유실되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었다. 2000년대 중반 모 대대장이 깊은 불심으로 해당 계곡의 축석을 보수하였는데, 이때 1개 중대병력과 폐급 4.5톤 한대가 동원되어 인력이 계곡에다 축석을 쌓아올렸다.
특이한 점으로는 부대 내에 사단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호송대 2개대가 함께 주둔하고 있었다.
이 부대에 예비군 훈련을 갈 경우 사격은 꼭 시켰는데, 예비군 강당에서 사격장까지 오르막/내리막길을 왔다갔다하는 데 약 1km 정도를 꾸준히 걷고 걸어야 한다. 그리고 6발 쏘고 내려오면 분노가 치민다(...).
부대가 크고 훈련장이 부대 전역에 흩뿌려져 있다보니 강당에서 인도인접 후 왼쪽, 오른쪽을 정신없이 이동하며 산을 타게 되는데, 훈련받는 예비군들의 원성이 자자하다. 예비군 조교가 적당히 짬 좀 먹은 상병 정도라면 간부나 동대장 없이 단독으로 교육하는데 이 경우에는 약간의 메리트를 기대해 볼수도 있다. 하지만 짬 좀 먹은 조교들은 어디론가로 다 새거나 사격장 조교로 차출되는 경우가 많아 동대장이 직접 교육하곤 한다. 그럼 뭐... 산꼭대기까지 뛰어 올라가야지.
여담으로 부대 안쪽으로 들어가면 전투 수영을 위한 수영장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었다. 사단 장병들이 여름이 되면 종종 전투수영을 하러 놀러오는 곳이기도 하였다.
사단 통합 이후로 훗날 제220보병연대가 제220보병여단으로 증편하면서 이 연대를 흡수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제56보병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4. 과거부대
-
신병교육대- 남양주시 별내면에 있었고, 정확한 위치는 45번 버스(현재는 서울버스 202번 버스) 종점 바로 옆. 1986년까지는 방위병 전용의 교육대였으나, 1987년부터 현역병도 신병교육을 시켰다. 지금은 별내 신도시 개발사업으로 철거되었다. 기동대대와 병합되었다.
5. 출신인물
5.1. 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사단장. |
역대 제57보병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前 사단장 | ||||
00대 | 전종배 | 예) 소장 | 육사 14기 | 前 국방대학교 총장 | |
00대 | 박용득 | 예) 중장 | 육사 22기 | 前 제11군단장 | |
00대 | 김효수 | 예) 소장 | 학군 6기[5] | 前 학생중앙군사학교장 | |
00대 | 김문범 | 예) 소장 | 3사 1기 | 前 육군훈련소장 | |
00대 | 김주원 | 예) 소장 | 3사 3기 | 前 육군3사관학교장 | |
18대 | 장용구 | 예) 소장 | 육사 32기 | 前 사단장 | [6] |
19대 | 박대섭 | 예) 소장 | 육사 35기 | 前 국군복지단장 | [7] |
20대 | 이범수 | 예) 중장 | 학군 18기[8] | 前 제6군단장 | [9] |
후신(後身) 사단인 제56보병사단장에 대한 내용은 제56보병사단 문서 참고하십시오.
5.2. 장교/부사관
-
김승겸
소령시절 57사단 작전처 부대훈련장교(1998.02. ~ 1998.12.)와 교육훈련처 훈련계획장교(1999.01. ~ 1999.06.)를 역임했다. -
곽합
중령시절 57사단 기동대대장과 사단 인사참모를 역임했다. -
김종태
영관급 장교 시절 대대장을 역임했다. -
장광선
중령 시절 222연대 3대대장과 사단 작전참모를 역임했다. -
이대웅
중령 시절 비룡부대 대대장을 역임했다.
5.3. 병
-
강인 - 가수
222연대 통신대대 근무 중 부대통합으로 221연대로 이동했다.
-
브베 - 인터넷 방송인
본인이 말하기를, 원래 경기도 모 사단에서 복무하는 현역이었다가 일병 말 즈음에 모종의 이유로 상근예비역으로 전환되면서 집 근처 동대에서 복무했다고 밝혔다. 당시 광진구 거주 중이었으므로 정황상 221연대 예하 모 동대에서 복무한 것으로 보인다.
6. 기타
6.1. 근무환경
6.1.1. 똥군기
각 연대, 대대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똥군기가 매우 심한 편이었다.
해체 직전인 2010년까지도 구타가 있었고, 이로 인한 탈영도 심심찮은 편이었다. 아무래도 예하부대기때문에 탈영 이슈가 발생하면 사령부까지 보고가 올라가게 되는데, 어느부대나 그렇겠지만 상급부대에 보고를 피하기 위해 탈영 이슈가 발생하면 5대기가 굉장히 고생한다.대체로 간부들도 군생활을 정리하는 입장이다보니 개선에 큰 의지도 없고... 간혹 인간적인 지휘관이 이런 부조리와 폐단을 고치려고 하지만 부대 자체의 분위기가 그렇지 못하다보니 큰 효과는 없다. 예비군 부대의 특성 상 완편을 전제로 한 간편부대이기 때문에 부대의 규모와 관리해야 할 영역은 완편에 가까운데, 병력은 감편이라(중대별 10명 내외) 언제나 일에 치이고 작업에 치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까지 케어할 여력이 없다.
6.2. 사단가 (용마부대가)
용마의 높은 기상 우리의 표상
호국의 충정으로 뭉친 우리들
피땀흘려 닦은 정기 무적의 용사
우리는 자랑스런 호국의 방패
그용맹 길이 빛낼 57사단
호국의 충정으로 뭉친 우리들
피땀흘려 닦은 정기 무적의 용사
우리는 자랑스런 호국의 방패
그용맹 길이 빛낼 57사단
7. 사건사고
- 1994년 모 연대에서 세종대학교 학생(예비역 병장)이 학생예비군 사격훈련 도중 총탄 오발에 맞아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 2002년 수방사 총기탈취 사건 후 중랑구 상봉동 은행강도 사건이 일어났다. 당시 중랑구가 사단 관할 구역이라 각 부대 오대기 인원들이 실탄 소지 후 출동하는 일이 있었다. 이후 사단 내 경계근무 강도가 엄청 강화되었다.(부대 철책에 CCTV들이 대거 설치됨.)
8. 여담
- 부대마크는 용마산[10] 봉우리를 숫자 '57'로 형상화한 모양으로, 기세가 세 보인다. 구 57사단 부대마크는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출신 방위병[11]이 제안하여 육군사관학교 출신 사단장이 이를 받아들였다고 한다. 참고로 워낙 독특한 사단 마크 덕분에 언더우드 사단이라는 별명을 얻게되었다.
- 간혹 국군양주병원에서 타 부대와 만났을 때 사단의 인지도가 낮아서 "우리는 산악 기동을 전문으로 하는 산타기 부대예요."라고 해도 믿었다고 한다. 2008년도까진 국군양주병원에서 외진을 받았으나, 2009년부터 국군수도병원으로 외진병원이 바뀌었다. 이유는 사단장이 '수방사 예하부대인데 가까운 서울 놔두고 왜 양주까지 가느냐'고 한마디 했기 때문이다.[12]
- 원래 북부간선도로가 생기기 전 서울특별시와 구리시 경계선 산중턱에 하나의 부대로 만들어졌으나, 90년대 북부간선도로 공사로 부대가 A직할대, B직할대로 쪼개져버리는 바람에 업무상 다른 직할대 부대로 이동시 직할대 앞 위병소에서 승인을 받거나 혹은 간부와 같이 북부간선도로를 건너가야 하는 등 이래저래 문제가 많았다. 시도 경계선에 위치하다보니, 일반전화국번도 서울의 02와 경기도의 031이 같이 들어왔다.
- 북부간선도로를 자주 가 본 사람이면 중간에 광고장애물이 있는 것을 알 것인데, 여기 바로 지나서 표지판 없이 올라갈 수 있는 도로가 나 있다. 그 위치가 사령부였다. 별로 비밀도 아니었던 게, 남양주 버스 65-1의 이곳 정류장명이 예나 지금이나 '57사단'이다. 참고로 바로 옆으로, 즉 사령부와 북부간선도로를 사이에 두고 옛 중앙선 철길이 있었다[13]. 현재도 이 망우리굴은 멀쩡하게 있으나, 훈련용으로 쓰이기도 하니 괜히 폐선 답사까지 가지는 말자. 세종포천고속도로 공사로 터널이 흙에 그대로 매립되었다. 터널 안에 흙을 넣어 공간을 채우고 위를 살짝 덮었다. 삽으로 파면 금방 나올지도?
- 서울 중·서북부 지역의 수많은 대학교 학생예비군을 관할하던 통합 전 56사단과 마찬가지로, 구 57사단은 서울 동북·동부 지역의 수많은 대학교 학생예비군을 관할하였다. 건국대학교, 경희대학교, 고려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삼육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세종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홍릉캠퍼스, 한국외국어대학교, 한성대학교, 한양대학교 등 수많은 인서울 대학들이 분포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대들, 즉 성신여자대학교, 덕성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등의 교직원들도 이 곳으로 직장예비군 훈련을 갔다. 육군사관학교도 이 부대의 위수지역 내에 있다.[14]
-
예하 연대가 한 지역에 집중되었던 구 56사단과 다르게, 구 57사단 예하 연대들은
서울 시내[15], 의정부시, 남양주시 등지에 산재해 있었다. 서울 시계에 바짝 붙은 타 수방사 예하 사단과 이 부대 다른 연대[16]와 다르게, 어떤 연대는 서울 시계와 상당히 떨어진 곳( 남양주시)에 있었다. 그래서 서울 모 구 거주 예비군은 상대적으로 더 먼 거리를 가야 한다. 여담으로 전술한 예비군 총기 사고가 난 그 연대이다.
[1]
제71동원사단과 같은 뿌리
[2]
비슷한 역사를 가진 56 - 60사단의 관계를 보아 아마, 71방위사단이 57동원사단으로 전환된 후 다시 1990년에 71동원사단을 분리한 것으로 추정된다.
[3]
어차피 221 연대와 222연대는 지역이 서로 붙어 있었기에, 따로 분리하기보단 합치는게 더 나았다.
[4]
위병소 근무의 경우 2010년 초반까지 중랑천 건너편으로 VIPS 매장이 위치해 있었는데, 바람이 부대쪽으로 불어오는 날에는 참 좋은 냄새가 위병소로 넘실넘실..
[5]
경북대학교
[6]
2005년~2007년
[7]
2007년~2009년
[8]
원광대학교
[9]
2009년 ~ 2011년 11월 30일. 최후의 제57보병
사단장이었으며, 2013년에
중장으로 진급해
6군단장으로 취임했지만, 2014년
제28보병사단 폭행사망 사건에 책임을 지고 군단장에서 물러났다.
[10]
원래는 불암산이었다. 사단이 용마산 근처로 가면서 대충 바꿔치기 했다는 후문.
[11]
즉, 80년대 이전 일이다.
[12]
원래 57사단은 국군창동병원을 이용했다. 도봉구 도봉동
도봉역 바로 옆이라 거리상으로도 가깝고 무엇보다 57사단의 위수지역 안에 위치한 병원이다. 이후 국군창동병원이 없어지면서 국군양주병원에 흡수, 통합되었는데 의료인력의 연속성 및 병적기록 이전의 이유로, 이후로는 그냥 관행적으로 국군양주병원을 이용했던 것.
[13]
부근에
동교신호장이 있었다.
[14]
여담으로 육군 사관학교 근무지원단의 유격훈련도 담당하였다.
[15]
나중에 통합 폐지된 222연대 222연대는 남양주 금곡교장을 사용하였다.
[16]
행정구역만 의정부, 남양주이지 서울시 경계 바로 옆이다. 덕릉교장 같으면 남양주지만 (해체 이전 기준) 정작 남양주에서 대중교통으로 가기에는 무척 불편하고, 상계동
당고개역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오는게 정석적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