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5:35:00

중앙선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이 문서는 철도 노선에 관한 내용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중앙본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자가 같은 일본의 철도 노선에 대한 내용은 츄오 본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중앙선/역 목록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일부 운행이 중단된 노선입니다.
이 구간에 대한 서술은 참고하기 위해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서술을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나무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울러 이 노선이 폐지되면 틀을 틀:폐선으로 교체하여 주시고, 운행이 재개되면 틀을 제거해주시기 바랍니다.
  • 구간: 안동 ~ 영천
  • 사유: 신선 이설을 위한 선로차단작업[1]
  • 운행재개 일정: 2024년 12월 20일 예정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운행 예정
}}}}}}}}} ||

중앙선
中央線 | Jungang Line
파일:중앙선 노선도.svg
[주의]
<colbgcolor=#0054a6><colcolor=#fff>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에 소유권 행사 위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노선번호 203(청량리~안동)[A]
312(안동~경주)
노선명 중앙선(청량리~안동)[A]
중앙선(안동~경주)
종류 간선철도, 준고속철도, 일반철도
광역전철
노선
청량리 용문[5]
영업거리 331.3㎞[6]
궤간 1,435㎜ ( 표준궤)
역 수 56
기점 청량리역
종점 모량신호장
(실질적인 종점은 경주역)
급전방식 단상 교류 25,000V 60㎐ 가공전차선
신호방식 ATS-S1, S2, ERTMS Lv.1(ATP)[7]
영업최고속도 청량리~망우: 100㎞/h
망우~덕소: 140㎞/h
덕소~서원주: 200㎞/h
서원주~봉양: 250㎞/h
봉양~도담: 150㎞/h
도담~안동: 250㎞/h
안동~모량: 150㎞/h
선로최고속도 청량리~망우: 110㎞/h
망우~덕소: 150㎞/h
덕소~서원주: 230㎞/h[8]
서원주~봉양: 250㎞/h[9]
봉양~도담: 150㎞/h
도담~모량: 250㎞/h[10]
선로 수 2
개업일 1939년 4월 1일
운영노선 중앙선 계열
ITX-새마을 (청량리~안동)
KTX-이음[eum], ITX-마음, 화물열차 (청량리~모량)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청량리~지평)
중앙선을 제외한 노선 계열
* 경춘선 계열
ITX-청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 건설 새마을호[12] (청량리~상봉)
1. 개요2. 연혁3. 차량운용
3.1. 2023년 철도통계연보3.2. 근성열차3.3. KTX 운행 이전
3.3.1. 중앙선A(청량리 - 부전)3.3.2. 중앙선B(청량리 - 안동/제천)3.3.3. 태백선A(청량리 - 동해/제천)
3.4. KTX 운행
4. 개량
4.1. 완료
4.1.1. 청량리 - 덕소 구간4.1.2. 덕소 - 서원주 구간
4.1.2.1. 평창올림픽 대비 일반선 개량
4.1.3. 서원주 - 제천 구간4.1.4. 제천 - 도담 구간4.1.5. 영천 - 경주 구간
4.2. 진행 중
4.2.1. 도담 - 영천 구간4.2.2. 청량리 - 망우 구간 2복선화( GTX-B와 병합 추진)
5. 문제점 및 논란
5.1. 새마을호( ITX-새마을) 운행 문제5.2. 준고속선 임률 문제5.3. 신설 군위역 위치 문제
5.3.1. 대안: 의성 - 동구미 연결 철도
5.4. 안동~영천 구간에 대한 복선전철화
5.4.1. 복선전철 건설 확정
5.5. 울산, 동부산 KTX-이음 정차역 문제
6. 이용객 수
6.1. 일반철도6.2. 광역전철
7. 여담8. 역 목록9. 지선 철도10. 둘러 보기11.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2020년 12월 16일에 촬영한 안동발 청량리행 무궁화호
#1604 열차의 후부영상이자 구 중앙선의 대부분 구간인 안동 → 청량리 구간이다.
2021년 1월 28일에 촬영한 청량리발 안동행 KTX-이음
#707 열차의 측면영상이자 신 중앙선의 대부분 구간인 청량리 → 안동 구간이다.
2022년 1월 21일에 촬영한 청량리발 부전행 무궁화호
#1601 열차의 측면영상이자 비교적 최신 영상이다. 중앙선 부분은 4시간 37분쯤까지.

서울특별시 청량리역 경상북도 경주시 모량신호장[15]을 잇는 철도 노선.

1939년 4월 청량리∼양평 구간을 시작으로, 1940년에는 양평∼원주 구간이, 1942년 4월 1일 전 구간이 개통됐다. 양평·원주·제천·영주·안동을 지나 영천에서 대구선과 접속하며 경주까지 이르는 간선철도로, 제천에서 충북선과 태백선이 교차하고, 영주에서 경북선과 영동선이 교차하여 경부선과도 직접 연결된다.

일제강점기 당시 노선 명칭은 현재처럼 중앙선이었으나 일본 내지의 주오 본선(中央本線)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경성과 경주의 머릿글자를 따서 경경선(京慶線)으로 바뀐 적도 있었다. 2021년 9월 현재 철도거리표상에는 청량리-도담 구간과 도담-경주 구간으로 분리하고, 청량리-도담 구간을 준고속선으로 관리하고 있다.

주요 구간 및 정차역은 청량리- 양평- 원주- 제천- 단양- 풍기- 영주- 안동- 영천- 경주이며, 제천에서 충북선[16] 태백선, 영주에서 영동선 경북선, 영천에서 대구선, 모량에서 동해선과 접속한다.

복선전철화를 하면서 2005년 말부터는 경원선과 직결하여 용산-청량리-덕소 구간에 수도권 전철 운행이 시작됐고, 이후 조금씩 연장되어 현재는 경의선, 용산선과도 직결하여 경의중앙선이라는 노선명을 부여받고, 문산역 ~ 용산역 ~ 청량리역 ~ 상봉역 ~ 덕소역 ~ 양평역 ~ 지평역 구간에 수도권 전철이 다니고 있다.

2021년 3월, 청량리에서 망호까지 전철화가 되어 있으며, 2021년부터 KTX-이음 차량을 이용하여 청량리 ~ 안동 구간에서 KTX가 운행되고 있다.

2024년 중순 기준 노선 상황은 아래와 같다. 2024년 12윌 20일까지 복선 전철화 사업이 모두 완료될 예정이다.
청량리~도담 구간 복선 전철(준고속선)
도담~의성 구간 복선 전철[17]
의성~북영천 단선 비전철
현재 신선이설로 인해 운행 중지 중[18]
북영천~영천 구간 단선 전철[19]
영천~ 모량 복선 전철

2. 연혁

경경선 시대
1917년 현 중앙선의 일부인 조선철도주식회사 소속의 사철인 경동선 영천-서악 구간 개통
건천 개업
1918년 경동선 서악-효자 구간 연장개통
영천, 임포, 아화, 서악, 경주 개업
1922년 모량 개업
1927년 청량리-여주-안동-대구[20] 구간 계획 및 경부선과의 연결 기본조사 착수[21]
1935년 청량리-원주-제천-안동-영천[22] 구간의 종관선으로 변경 및 계획 확정, 해당 구간의 노선명을 경경선으로 명명
1936년 예천 경유에서 영주 경유로 변경[23]
경경선 착공[24]
1938년 경동선 일부 구간(영천-서악-경주)을 경경선으로 합병
경동선 영천-경주 구간과 완공된 화본-영천 구간을 합쳐 경경남부선으로 개명
화본, 봉림, 화산 개업
1939년 청량리-양평 구간 개업과 동시에 경경북부선으로 명명
영천-경주 구간을 표준궤로 개궤
망우, 도농, 덕소, 팔당, 양수, 국수, 양평 개업
1940년 경경북부선 양평-원주, 경경남부선 안동-화본 연장개통
소백산 죽령터널 완공[25]
1941년 경경북부선 원주-제천, 경경남부선 영주-안동 연장개통
경경북부선과 경경남부선을 통합하여 경경선으로 개명[26]
1942년 경경선 제천-영주 연장개통을 기해 경경선 전 구간 개통 및 직결[27]
중앙선 단선철도 시대
1948년 경경선을 중앙본선으로 개명
1949년 대강터널 열차 질식사고 발생
1956년 능내, 치악 개업
1958년 호당 개업
1959년 마사, 아신 개업
1965년 신원, 판대 개업
1966년 송포, 제천조차장 개업
1967년 석불 개업
1968년 연교, 매곡 개업
1969년 청량리-제천 단선전철화 착공
1971년 고명, 승문, 비봉 개업
중앙선 단선전철 시대
1973년 청량리-제천 단선전철화 완공 전기기관차 운행 개시
1974년 호당 폐지
1977년 동교, 유교, 금교, 창교, 북영천 개업
1978년 갑현 개업
1979년 청량리-안동 우등열차 운행 개시
1980년 회기, 서지, 업동 개업
1985년 단양군 구간 이설[28]
신단양, 구 서경주 개업
1987년 제천-단성 단선전철화 완공
1988년 청량리-안동 새마을호 운행 개시
단성-영주 단선전철화 완공
1992년 경주시 구간 이설[29]
금장 개업
구 서경주 폐지
1996년 길아천철교 이설[30]
중앙선 복선전철 시대
2001년 구리-도농 왕숙천철교 이설[31]
2003년 도농-양정 일부 복선전철(다산동-일패동 구간) 이설
2004년 망우-도농 복선전철 이설
회기-망우 복선전철 이설
2005년 도농-덕소 복선전철 이설로 청량리-덕소간 제1차 복선전철 이설 완료[32]
중앙선 광역전철 운행 개시
중랑, 양원, 구리, 양정 개업
동교 폐지
2007년 덕소-팔당 복선전철 이설[33]
덕소-팔당 광역전철 연장운행 개시
도심 개업
2008년 팔당-국수 복선전철 이설[34]
팔당-국수 광역전철 연장운행 개시
운길산 개업
능내 폐지
2009년 국수-지평 복선전철 이설[35]
국수-용문 광역전철 연장운행 개시
2010년 청량리-제천 누리로 운행 개시
청량리-안동 새마을호 운행 재개
경춘선 광역전철 운행 개시[36]
상봉, 오빈 개업
2011년 제천-도담 복선전철 이설[37]
양동-동화 복선전철 이설[38]
간현 폐지
2012년 지평-양동 복선전철 이설[39]
봉양-제천 누리로 운행 중지
서원주 개업
2013년 영주시 구간 이설[40]
승문, 평은 폐지
2014년 청량리-안동 새마을호 수익성 악화로 폐지
청량리-영주 ITX-새마을 운행 개시[41]
경의선 광역전철과 직결운행 개시
2016년 봉양-제천 누리로 운행 재개
서원주-만종 복선전철 이설[42]
청량리-상봉 경춘선 광역전철 연장운행 개시[43]
중앙선 고속전철 시대
2017년 용문-지평 광역전철 연장운행 개시
봉양-제천 상행선 복선전철 이설[44]
강릉선 KTX 운행 개시[45]
2018년 안동-영천 단선노반에서 복선노반으로 변경
도담-단양 복선노반 단선전철 이설[46]
2019년 봉양-제천 하행선 복선전철 이설
2020년 청량리-봉양 누리로 운행 재개[47]
무릉-단촌 복선노반 단선전철 이설[48]
단양-영주 복선노반 단선전철 이설[49]
단양-영주 셔틀버스 한정운행[50]
영주-무릉 복선노반 단선전철 이설[5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798호에 따라 서류상 노선이 두 개로 분리[52] 및 '중앙본선'의 명칭 삭제[53]
망호 개업[54]
2021년 서원주-봉양 복선전철 이설 및 서원주-만종 중앙선 지정해제[55]
도담-단양 복선전철 개량[56]
중앙선 KTX 운행 개시[57]
청량리-영주 ITX-새마을 운행 종료, 청량리-안동 누리로 운행 개시
영천-경주 복선전철 이설 및 종점이 모량신호장으로 단축[58]
운학 개업[59]
2022년 단양-안동 복선전철 개량 완료[60]
덕소역 KTX 신규정차 개시[61], ITX-새마을(청량리~안동) 운행 재개, 누리로 (청량리~안동) 운행 종료
2023년 망호-의성 복선전철 이설[62]
ITX-마음 (청량리~안동) 운행 시작[63][64]
2024년 의성-영천 복선전철 이설[65]
중앙선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예정)[66]
군위 개업(예정)[67]
도담-안동 ATP 신호시스템 공사 완료
중앙선 KTX, ITX-마음 부전역 연장
무궁화호 (청량리~부전) 운행 종료
2025년 안동-북영천 ATP 신호시스템 공사 완료

3. 차량운용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주요 2대 간선인 경부선, 호남선이 복선전철화 완료에 이어 고속철도 전용선이 준공될 때까지 중앙선 본선의 절반은 단선이고 영주역 이남은 비전철화 구간일 정도로 열악한 상황이었다. 이것은 무려 2020년까지 지속되었다.

2023년 기준으로 전 구간 전면 개량에 힘입어 3년만에 단선 비전철이 절반이던 노선에서 대부분 복선전철화되어 260㎞/h 수준의 준고속열차를 운행할 정도로 상당히 개선됐다. 하지만 선로용량 문제는 여전하다. 수도권 전철이 운행하는 구간에서 경부선은 2복선이고 중앙선은 복선이기 때문에 열차를 탔을 때도 간혹 앞서가는 광역철도에 가로막혀 서행한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까닭은 일반여객열차 시간표 작성과 광역철도 시간표 작성 모두 여객사업본부 열차운영단의 수송운영처에서 담당하는 현재와는 달리 과거에는 광역철도 시간표는 광역본부에서, 일반 여객열차 시간표는 여객본부에서 따로 작성하면서 이미 짜놓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시간표와 일반열차 시간표가 관제나 로컬관제원의 운전정리 실수로 인해 교착하는 일이 벌어지는 탓인데, 이는 일반열차의 단선 구간 지연이 상당히 많다 보니 짜놓은 다이어도 무용지물이 되는 사태가 많았다.

그래도 각종 선로와 신호개량을 통해 이런 혼란은 잠시 줄어들었으나 강릉선 KTX 운행으로 인해 선로용량 포화는 물론 지연도 늘었다.

===# 2022년 철도통계연보 #===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중앙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2022년 중앙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운행구간 선로용량 고속열차 일반여객 전동차 컨테이너 일반화물 운행총계
청량리역 - 망우 163 25 29 99 0 3 156
망우 - 용문 163 25 11 86 0 8 130
용문 - 서원주 171 25 11 6 0 8 50
서원주 - 봉양 164 7 11 0 0 8 26
봉양 - 제천 151 7 22 0 0 35 64
제천 - 도담 171 7 6 0 0 19 32
도담 - 단양 171 7 6 0 0 8 21
단양 - 영주 31 7 6 0 0 8 21
영주 - 안동 33 7 7 0 4 9 27
안동 - 영천 48 0 5 0 4 9 18
영천 - 모량신호장 169 0 17 0 4 9 30

3.1. 2023년 철도통계연보

2023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중앙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2023년 중앙선 운행구간별 열차운행빈도
운행구간 선로용량 고속열차 일반여객 전동차 컨테이너 일반화물 운행총계
청량리역 - 망우 163 24 30 100 0 3 157[68]
망우 - 용문 163 24 12 87 0 8 131[69]
용문 - 지평 171 24 12 6 0 8 50
지평 - 서원주 171 24 12 0 0 8 44
서원주 - 봉양 164 8 12 0 0 8 28
봉양 - 제천 151 8 23 0 0 33 64
제천 - 도담 171 8 7 0 0 18 33
도담 - 단양 171 8 7 0 0 7 22
단양 - 영주 31 8 7 0 0 7 22
영주 - 안동 33 8 8 0 3 8 27
안동 - 영천 48 0 5 0 3 8 16
영천 - 모량신호장 169 0 18 0 3 10 31

3.2. 근성열차

근성의 청량리 - 부전 열차가 주간 2차례씩 왕복하는데 이 구간의 소요시간은 약 6시간으로 소요시간 기준 국내 최장의 여객 운행계통 중 하나다. 본래 비둘기호였으나, 비둘기호 등급이 사라진 뒤 통일호로 바뀌었고, 2004년에 통일호 등급이 사라진 뒤에 무궁화호로 바뀌어서 운행 중이며, 2021년 1월 4일까지는 주간 1편성, 야간 1편성으로 운행하다가 1월 5일 이후로는 주간 2편성만 운행 중이다.

특히 통일호로 운행할 때에는 청량리- 망우- 도농- 덕소- 팔당- 능내- 양수- 신원- 국수- 아신- 양평- 원덕- 용문- 지평- 석불- 구둔- 매곡- 양동- 판대- 간현- 동화- 만종- 원주까지 그 당시에 영업했던 모든 역을 정차한 후 부산으로 갔던 열차도 있었다. 치악역, 구학역, 봉양역, 삼곡역, 평은역도 모두 정차했다. 현재는 이러한 노선의 계통은 사라졌다.

과거에 운행했던 청량리 - 부전간 야간열차 중 하행 #1623 열차는 오후 9시 13분에 청량리역을 출발해서 부전역에 오전 4시 11분에 도착하고, 상행 #1624 열차는 오후 10시 45분에 부전역을 출발해서 청량리역에 오전 5시 38분에 도착했다. 한국에 몇 없는 진정한 야간열차였다. 사실 밤 시간대 출발하는 열차는 이 열차 말고도 더 있으나, 이 열차의 강점은 도착 후 다른 대중교통과 연계가 쉽다는 점이었다. 청량리역은 도착시간이 지하철 첫차 운행시간하고 거의 비슷하게 맞물리고, 부전역도 1시간 가량 기다리면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해진다. 2021년 1월 4일 마지막 운행을 끝으로 주간열차로 변경된 이후에는 전부 옛말이 됐다.

2021년 1월 4일까지 한국에서 가장 오랜 시간동안 운행했던 열차는 부전 - 청량리 무궁화호 #1621,1622 열차로, 운행 시간이 7시간이 넘었었다. #1621, #1622 열차는 2020년 8월 15일 기준 각각 7시간 42분, 7시간 29분이 걸리며 #1623, #1624 열차는 7시간 8분, 7시간 6분이 걸리며 지연이 걸리면 10 ~ 15분이 더 걸릴 수 있다. 그리고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데 낮 열차와 야간열차의 소요시간이 30분 정도 차이나는 이유는 낮 열차는 매곡역, 화본역, 덕하역과 같은 수요가 없는 역들도 대부분 정차하는 반면 야간열차는 의성역, 태화강역, 기장역과 같은 굵직한 역들만 정차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동해선과 중앙선을 경유하여 가는 열차이다. 단 이 열차는 서원주 - 제천 구간의 복선전철화 및 KTX-이음 투입에 따라 2021년 1월 5일부로 #1601~#1604로 개편되면서 시간이 각각 #1601 6시간 27분, #1602 6시간 37분, #1603 6시간 28분, #1604 6시간 20분 소요로 시간이 크게 줄었고, 같은 해 12월 28일부로 영천 - 일광 구간도 복선전철화가 되면서 5시간 58분(#1603) ~ 6시간 18분(#1602)으로 20~30분 단축시켰다.

3.3. KTX 운행 이전

2021년 1월 5일 이전까지 운용된 것으로, 중앙선, 태백선 무궁화호는 총 9개 편성(태백선 누리로 투입 이전까지는 13개 편성)이 있었다. 경부·호남·전라선에서 객차를 운용할 때에는 편성으로 묶어서 사용하지 않지만, 중앙·태백선은 효율적인 운행을 위해서 편성으로 묶어서 운용한다.

2개 편성은 2왕복 청량리 - 부전 전용이며[70], 나머지 11개 편성[71] 중에서 중앙선은 5편성, 태백선은 6편성이 운행한다. 중앙선 5편성과 태백선 6편성으로 구분됐지만, 각 노선당 2편성은 청량리 - 제천 간 단거리 무궁화호도 편도로 운행한다. 이 11편성으로 13왕복 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다만 여기에 적힌 로테이션이 100% 맞게 돌아가는 것은 아닌데, 청량리역이나 안동/제천/강릉 같은 종착역에서 주박하다가 운행순서를 바꿔서 내려가는 일이 잦다. 하지만 그 날 하루 동안에 열차가 여기 적힌 스케줄을 따라서 운행하는 것은 맞다.

3.3.1. 중앙선A(청량리 - 부전)

편성번호 운행순서
1(청량리 - 부전 전용) #1601→#1604
2(청량리 - 부전 전용) #1602→#1603
1번은 새벽에 #1601로 부산으로 내려간 차가 다시 오후에 #1604로 서울로 돌아가며, 2번은 반대로 #1602열차로 올라간 차가 #1603열차로 내려가는 패턴이다. 사실상 1번은 청량리 소속, 2번은 부산 소속으로 운행되는 셈이다.

현재 이 편성에 들어가는 방송객차는 1번이 10176, 2번이 10143이다.

3.3.2. 중앙선B(청량리 - 안동/제천)

편성번호 운행순서
3 #1601(안동행)→#1604(청량리행)→#1609(안동행, 안동주박)
4 #1602(청량리행)→#1605(안동행)→#1610(청량리행)
5 #1603(안동행)→#1608(청량리행)
6 #1606(청량리행)→#1627(제천행, 제천주박)
7 #1628(청량리행)→#1607(안동행, 안동주박)
사실상 #1601~1610, #1627~1628은 중앙선에서 운행하는 5편성으로 운행한다고 보면 된다. 물론 3번이 안동에서 주박을 하고 4번이 청량리에서 주박을 하기 때문에 다음날에는 거꾸로 전날에 4번 코스로 운행한 차가 3번 코스를, 3번 코스로 운행한 차가 4번 코스를 운행하게 된다. 6, 7번도 똑같은 경우인데, 6번은 안동→청량리, 청량리→제천(제천주박), 7번은 제천→청량리, 청량리→안동(안동주박) 패턴의 반복이다. 다만 5번은 코스가 고정되어 있다.

현재 이 패턴에 들어가는 방송객차는 10105, 10116, 10127, 10135, 10142 등이 있고 KTX-이음이 다니는 노선이다.

3.3.3. 태백선A(청량리 - 동해/제천)

편성번호 운행순서
8 #1636(동해발 청량리행)→#1625(제천행)
9 #1626(제천발 청량리행)→#1637(동해행)
8, 9번은 격일로 패턴이 바뀌어져 운행한다. #1636으로 동해에서 온 차는 #1625로 제천으로 내려가며 다음 날에 #1626으로 청량리로 온 다음 #1637로 동해로 복귀하는 식이다.

3.4. KTX 운행

2021년 1월 5일부터 KTX-이음이 영업운행을 개시하면서 중앙선 연선에도 KTX 시대가 열렸다. 현재 중앙선 KTX-이음 청량리~ 안동 간을 운행하고 있으며 2023년 12월 29일부터 강릉선 KTX와의 복합열차 운행으로 서울역 상봉역에도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이후 2024년 12월 20일에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와 도담-안동 ATP 신호시스템 공사가 완료되면서 KTX-이음 열차 일부는 동해선을 거쳐서 부전역까지 연장 운행할 예정이다.
중앙선 파일:KTX BI.svg 운행계통 노선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 27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ff><colcolor=#000>
파일:Jungang KTX Ko Routemap(Normal Theme)(2024).svg 파일:Jungang KTX Ko Routemap(Dark Theme)(2024).svg
}}}}}}}}}}}} ||
※ 굵은 글씨는 필수 정차역임

4. 개량

제천역-풍기역 구간에 직류 3,000V로 전철화하여 데로형 전기기관차를 투입할 계획으로 1941년부터 착공을 시작했지만 일제의 패망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

해방 이후 1960년 후반에 화물소요 폭증에 따른 선로용량 한계를 대처하기 위해 일부 구간에 복선전철화 얘기[72]가 나왔으며 청량리역 - 덕소역, 구둔역 - 양동역, 제천역 - 도담역[73] 세 구간이 실제로 계획까지 수립되어 구둔역 - 양동역 구간은 착공까지 되었으나 예산 문제로 중지되고 신호장을 여러 군데 설치하는 선에서 그치게 되었다.[74] 지금도 구둔역과 매곡역 사이의 구 선로 구간에는 복선 부지가 상당수 남아 있다.[75]
대한뉴스 제937호-산업선(중앙선) 전철개통
그러다가 원활한 화물 운송을 위해 1973년 6월에 청량리역 - 제천역 구간이 교류 25,000V 60㎐로 전철화 되었고[76] 이에 따라 중앙선과 이어지는 영동선, 태백선도 잇달아 전철화가 되어 위 세 노선에서는 전기기관차 두 대가 중련하여 벌크 시멘트를 40~50량씩 끌고 가는 모습을 자주 볼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중앙선 역들은 다른 곳에 비해 구내 선로가 무지막지하게 긴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임시방편에 불과한 조치였고, 세월이 흐르면서 더 이상 버틸 수가 없어져서 복선화에 다시금 박차를 가하게 됐다.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일찍이 복선화가 점쳐지고 있었던 세 구간 중 구둔역 - 양동역 경우엔 예산 부족으로 도중에 중단됐지만 나머지의 경우, 1978년의 수도권 전철화 계획[77] 및 1989년『철도건설중장기계획』등으로 다시 이야기가 나오다가[78] 하술된 바와 같이 2010년대에 들어와서 차례차례 완공됐다.

1988년 12월에는 제천역~ 영주역 구간에 전철화가 되면서 중앙선 개통 초기부터 계획하던 제천 - 풍기 구간이 수십 년 늦게 전철화가 완성됐다.[79]

개량 전 운행자료는 상당수가 남양주시 조안면에서 촬영된 자료로, 조안면이 전원일기 촬영지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 외 지역의 영상자료는 찾기 힘들거나 없다.

1990년대 후반부터 개량 필요성이 대두됐고, 기존 선로를 복선화, 전철화, 직선화하는 대대적인 사업에 들어가게 된다. 사업 명칭에는 복선전철화만 포함되어 있으나 대부분 굴곡진 선로를 펴는 직선화 사업도 병행된다. 사실상 주요역 몇 개를 제외하고는 새롭게 선로를 까는 개념이다. 이로써 폐역[80]되는 역/신호장은 34개이다.

2021년 열차운행세칙에 따르면 청량리 ~ 망우 110㎞/h, 망우 ~ 덕소 150㎞/h, 덕소 ~ 서원주 최고 230㎞/h, 서원주 ~ 원주 170㎞/h, 원주 ~ 봉양 250㎞/h, 봉양 ~ 안동 150㎞/h로 정하고 있다고 한다.

4.1. 완료

4.1.1. 청량리 - 덕소 구간

이 구간은 청량리 - 덕소 복선전철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됐으며,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광역철도 사업으로 추진됐다. 본격적인 사업 착수는 1997년에 개시됐으나 용지 확보 문제와 1997년 외환 위기 및 역사 위치 선정 문제 등으로 인해 끊임없이 연기됐다가 2005년에 완공됐다. 이설 후 남겨진 기존 노반은 차후 서울 지하철 6호선 동구릉역 연장에 재활용될 예정이다.
파일:4848484110.jpg
청량리역 ~ 덕소역 복선전철 개통식(2005.12.16)[81]

이해찬 당시 국무총리 외에도 김덕규 국회의원( 중랑구 을), 정종환 한국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등이 참석했으며 이해찬 총리의 방문소식을 들은 철도노조가 개통식에 난입하면서 승무신고식이 취소되고 내빈들이 시승열차를 탑승하지 못할 뻔한 소동이 일어났다.

4.1.2. 덕소 - 서원주 구간

파일:board_146087_130920.jpg
덕소 - 원주 복선전철 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추진됐다. 2001년에 착공하여 2012년 8월 완공까지 11년 반이 걸렸다.

파일:external/frdb.dothome.co.kr/6114.gif
지도의 내용중 능내역 운길산역으로, 구둔역 일신역으로, 판대역 삼산역으로, 도곡역은 도심역으로, 남원주역은 원주역으로 개명됐다.
4.1.2.1. 평창올림픽 대비 일반선 개량
2011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 당시, 인천공항에서 경기장이 있는 진부역 간을 68분 이내로 주파하도록 KTX를 운행하는 것으로 수송 계획을 발표하면서 2011년 7월에 평창이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연계 철도망 건설의 필요성이 인정되면서 아래와 같은 노선 대안이 검토되었다.

파일:고속화 노선대안.jpg

그런데 이 과정에서 여주, 이천, 양평 등에서의 KTX 노선 유치 과열 양상이 나타나자 인천공항에서 경기장이 있는 평창까지 90분 이내에 연결하는 것으로 변경하였고, 최종적으로일반선을 활용하는 1안(경의선 수색~용산, 경원선 용산~청량리, 중앙선 청량리~서원주 구간 활용)을 채택하면서 최고속도가 150km/h에 불과한 중앙선 청량리~서원주[86] 구간에 대한 증속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다만, 이 구간은 복선전철화가 완료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선형 개량을 또 하기에는 부담이 있었으나, 궤도와 노반, 전차선, 신호, 통신 시설 개량을 통해 180~230km/h까지는 증속이 가능하여서 1,095억원을 투입하여 일반선을 고속화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이 사업을 통해 동계올림픽 기간에는 인천공항을 출발한 KTX가 올림픽 경기장이 있는 진부역까지 직통 열차 운행 시, 소요시간이 132분에서 95분으로 약 37분 단축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그래서 2014년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이후, 2015년 11월 청량리역, 망우역 구내 개량공사가 시작, 2016년 6월부터 일반선 고속화 사업이 착공, 2016년 8월 26일에 서원주∼만종 구간이 우선 개통, 2017년 6월에는 고속화가 완료되었으며, 2017년 연말에 강릉선 KTX, 2021년 1월에는 중앙선 KTX가 개통되면서 KTX가 200km/h를 전후하는 속력을 내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리고 고속화에 대한 효과는 중앙선과 태백선 일반열차도 전라선, 호남선처럼 145~150㎞/h로 운행할 수 있게 하여 경쟁력 향상을 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경부선 새마을호, 무궁화호(약 130~140㎞/h)보다 조금 더 빠른 속력을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같은 복선전철 노선이 되었음에도 경부선과 비교하여 이런 차이가 나는 이유는 먼저 복선화의 경우, 일제강점기 말기인 1945년 3월 1일에 전구간 완료되었지만 전철화의 경우, 1974년 8월 15일 서울~수원간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이후 확대되지 않았음. 그러다가 2004년 4월 1일 '경부선 KTX의 1단계 개통'에 대비하면서 동대구~부산 구간만 개량된 점, 2005년 1월에 이설 및 복복선 전철화가 이루어진 서울 - 천안 구간만 150㎞/h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실질적으로는 90~130㎞/h가 한계점이기 때문에 속력이 크게 증속되지 못해서 경부선의 전체적인 선형이 중앙선보다 비교적 좋지 못한 것 때문이다.

4.1.3. 서원주 - 제천 구간

파일:external/frdb.dothome.co.kr/6131.gif

'원주 - 제천간 복선전철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서원주 - 봉양간 44.14㎞의 복선전철화 사업이 2011년 착공되어 2020년 12월 개통되었다. 기존 8개역 대신 운학신호장 봉양역 까지만 남았고 양 방향 본선 및 대피선이 한 터널에 같이 있는 광폭 터널 구조로 되어있다. 이전에는 25.1㎞짜리 무실터널 하나로 관통할 계획이 있었다. 2013년 10월에는 중앙선 구간 중 서원주 - 봉양 구간의 백운터널 공사를 시작한다고 보도됐다.[87]

2017년 8월 말, 해당 구간의 장대 터널 중 하나인 백운터널이 완공됐다.[88]

2018년 9월, 노반과 궤도공사를 마치고 전차선 및 신호통신 공사를 시작했다.[89] 당시 해당 구간의 공정률은 75%였고, 상행선은 2017년 10월 이전에 이설, 하행선은 2018년 9월~2019년 1월쯤에 봉양~ 제천조차장 구간의 신선으로의 운행선 변경이 이루어졌다. 제천조차장~ 제천 구간 하행선은 2016년 10월~2017년 2월쯤에, 상행선은 2018년 2~7월쯤에 이설됐다.

원래 서원주역은 2023년 개통하고 나머지는 2019년 개통이었으나, 인근 지정면 주민들의 반발로 결국 2021년 서원주까지 개통되었고 제천역의 완공이 2022년 12월로 연기되었기 때문에 KTX-이음은 당분간 청량리 - 제천 구간에 한해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원주 - 제천 복선전철사업 실시설계변경으로 2021년 1월 5일부터 일반 열차와 함께 안동역까지 운행하게 되었다.[90]

최종 설비 공사가 완료되고 2020년 6월 19일부터 전차선 가압이 시작됐으며, 동월 22일부터 종합시험운행(시운전)이 시작됐다.[91]

이어 국토교통부 고시에 따라 청량리-도담 구간이 노선번호 203을 부여받아 '중앙선(청량리~도담)'으로 변경됨에 따라 이 구간이 경강선(원주-강릉)처럼 준고속선 대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92] 그리고 2021년 1월 4일에 개통식을 가졌고[93] 다음날부터 해당 사업의 전 구간을 신선으로 운행한다. KTX-이음이 처음으로 투입되며, KTX 기준으로 청량리역- 원주역이 45~48분, 제천역까지 1시간 5분~10분대로 운행, 기존에 운행되던 무궁화호는 제천역까지 기존 1시간 50분에서 1시간 30분 전후로 줄어들었다.

원주역은 공사 완료 후 신 역사로 이전했다. 구 원주역~치악역 구간은 관광지로 개발 예정이다.
파일:이음13편성.jpg
원주역을 출발하여 백운터널에 들어가는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KTX-이음

4.1.4. 제천 - 도담 구간

여객 수요는 적은 구간이지만 도담역 착발 시멘트의 원활한 수송을 위해 2011년 3월 31일에 미리 복선화를 완료하였다.

이 구간은 구 노반을 그대로 복선화했기 때문에 고명역, 삼곡역, 도담역의 이전을 제외하면 폐역된 역이 없지만 선형은 좋은 편이다.[94] 그러나, 선형만 좋을 뿐이지 시설물의 설계속도는 150km/h에 맞춰져 있다. 그렇다 보니 2023년 10월 국가철도공단이 이 선형불량 구간을 200km/h로 증속하는 발주를 넣었다.[95] 전 구간의 궤도를 조사하고, 7.82km 구간을 궤도양로[96]를 한다.

4.1.5. 영천 - 경주 구간


중앙선 영천 경주 복선전철, 동해선 부산울산, 울산포항 복선전철, 대구선 복선전철 개통 홍보영상( 국가철도공단 제작).

2021년 12월 28일에 복선으로 개통했다. 추후 대구선의 복선전철화가 완료되면 ITX-새마을 열차가 경주삼각선을 거쳐 포항역까지 운행이 가능하다.

21년 12월 28일에 동대구-영천(대구선), 영천-경주(중앙선), 경주-북울산-태화강-일광(동해선) 신선이 개통하며, 동대구-부전 또는 포항-부전 구간에 KTX-이음이 운행을 개시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였으나, 기존 무궁화호가 운행하는 것으로 결정됐다.

2021년 4월 27일, 영천 ~ 경주 복선전철 구간에 전차선 가압(전력공급)이 시작됐다. 이에 따라 조만간 시운전에 착수할 듯 싶다.[97]

2021년 10월 28일, 영천 ~ 경주 복선전철 구간에 RDC 디젤동차 시운전을 실시했다.[98] 동년 11월 20일, 아화 ~ 모량 구간과 영천역에서 전기기관차가 포착됐다.

2021년 12월 28일, 복선전철 개통과 함께 전 구간이 이설되었다. 다만 준고속선으로 고시되지는 않은 상태로, 안동 이남 구간의 ATP 신호시스템 공사가 완료된 후에 준고속선으로 고시될 것으로 보인다.

4.2. 진행 중

4.2.1. 도담 - 영천 구간[99]

파일:external/www.mcnews.kr/20121221_100739_422d011.jpg
파일:도담~영천 복선전철화 개요도_국가철도공단.png [100]

영주댐 수몰예정지역과 안동 시내구간 등 이설된 구간이 많은 곳으로, 완공과 증속이 완료되면 청량리~경주 간 소요시간이 2시간대로 줄어든다. 기사 완공되면 KTX-이음, ITX-새마을, ITX-마음이 청량리에서 부산 부전역까지 전구간을 운행할 수 있으며 무궁화호 역시 기관차 교체가 필요없이 한번에 갈 수 있게 된다.

단성역에서 죽령역까지 폐선부지는 대명건설 컨소시엄에서 레일바이크와 풍경 열차 등을 설치해 관광지로 조성할 예정이다.[101][102]

4.2.2. 청량리 - 망우 구간 2복선화( GTX-B와 병합 추진)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국의 철도 환경/문제점/선로 및 열차 운용 그리고 연착 문제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노선
,
,
,
,

경춘선의 복선전철화와 더불어, 청량리 ~ 망우 구간 4.6㎞의 2복선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경춘선 공사 당시부터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2001년에는 이 사업이 B/C값이 1.01이 나와서[115]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토지보상비 등 문제로 인해 비용이 조 단위까지 너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약 20년 간 보류되어 왔다.

이후 경춘선 복선전철이 개통되고 선로용량 문제로 대부분의 통근형 열차는 상봉역까지만 운행되자 이 주장이 다시 나오기 시작했다.[116] 국토교통부가 2014년 3월부터 작성하기 시작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경원선과 더불어 용산 - 청량리 - 망우(17.3㎞) 구간에 지하 복선을 신설하는 방안을 포함하고 가능하면 2016~2025년 사이에 착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117]

2019년 8월 초, 서울-인천구간의 GTX-B가 해당 구간과 함께 추진할 경우에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잠정 결론났다. 이로써 중앙선 용산~망우 2복선화 사업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B선과 병합해 추진하게 되었으며 유일한 재정 구간이다.[118] 용산 - 서울 - 청량리 - 망우 간 지하 복선이 대심도로 신설되면, 선로용량이 대폭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파일:GTX-B 도심구간.png
GTX-B의 도심구간, 빨간 선으로 채택됨[119]

서울, 용산, 청량리, 망우 등 주요역에만 정거장이 생기며, GTX 선로로 KTX가 다니고 기존 선로로 경의중앙선 및 경춘선 통근전철, 화물열차가 다니게 하는 등의 분리 운행을 하는 것으로 계획되어있다. 경원선 용산 - 청량리, 중앙선 청량리 - 망우 2복선화 사업이 GTX-B 건설로 대체된다.[120]

2024년 3월 7일 해당 구간의 건설사업이 착공됐다.

5. 문제점 및 논란

5.1. 새마을호( ITX-새마을) 운행 문제

2006년 11월 1일 개편에서 폐지되었던 청량리-안동 간 새마을호 2010년 12월 15일 부활했지만 선형이 나빠 전 구간 운행에 3시간 26분이 소요되어 이용객이 많은 편이 아니었다.

이후 2014년 11월 1부로 ITX-새마을 #1075~#1076 열차로 바뀌면서 영주 - 안동 구간 비전철화 문제로 청량리 - 영주로 단축된 대신 영주에서 무궁화호로 환승할 수 있도록 시간표가 개정된 대신 주말에만 운행하였던 1073/1074 열차를 1077-1078 열차로 대체하여 평일에도 운행하게 되었다.

2017년 12월 22일 경강선 개통과 함께 운행이 중지됐다가, 2018년 3월 23일 운행을 재개하면서 일부 열차가 양평역 대신 용문역에 정차하였으나 차량 부족 및 수익성 문제로 2021년 1월 5일 KTX-이음 운행 개시와 함께 ITX-새마을은 폐지되었다.

2022년 11월 5일 운행 조정으로 ITX-새마을 #1091~#1094 열차가 청량리 - 안동 간 운행하기 시작하였으나 종전 운행하였던 누리로의 정차역을 그대로 가져와 모든 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전 구간 준고속화로 소요시간은 2시간 51분까지 단축되었으나 최소 2시간 40분이 소요되는 무궁화호보다 느리고, 더 비싼 가격[121]으로 운행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코레일 측은 한시적으로 만 65세 이상 노인, 경증 장애인에 한해 적용되는 평일 30% 운임 할인을 주말, 공휴일까지 확대 적용시켰다.[122]

5.2. 준고속선 임률 문제

2020년 도담역을 기준으로 청량리 - 도담 구간은 준고속선으로 분류되었으나 청량리 - 서원주 구간은 한시적으로 할인운임이 적용되었다.[123] 즉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이 끝난 뒤에는 이 구간에서 준고속선 운임을 받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해당 구간은 각종 열차들이 많이 운행하는 구간인데, 특히 열차가 더 많이 운행하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KTX가 우선순위가 1순위여도 110~150km/h 정도밖에 낼 수 없다. 이런 경우 실질적인 운행속도는 준고속선 속도보다 낮음에도 준고속선 운임을 받는 것이냐는 비판이 있다.

5.3. 신설 군위역 위치 문제

군위군 내 유일한 여객열차 정차역인 화본역의 폐지와 군위역의 신설이 확정되었다. 그러나 군위역 군위읍에서의 거리가 약 24km에 달하며 역이 소재하는 의흥면을 기준으로 약 4km 떨어져 있는 등 군청 기준에서는 약 19km 떨어진 의성역이나 탑리역이 더 가까울 정도로 접근성이 나쁘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이후 대구경북선의 통합신공항역이 예정되어 있지만, 이조차 약 13km 떨어져 있다.

군위군 자체에서 접근성 개선을 나서기에는 읍내에서 24km나 떨어진 곳까지 시내버스를 열차시간 맞춰 일일이 배차할 수 있는 여력과 수요도 부족하기 때문에 논란이 생기고 있다.

5.3.1. 대안: 의성 - 동구미 연결 철도

이에 차라리 의성역에서 구미시 장천면에 설치되는 대구경북선 동구미역으로 철도를 설치하자는 의견도 있는데 아직 페이퍼 플랜일 뿐, 현실적으로 노선 계획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5.4. 안동~영천 구간에 대한 복선전철화

안동 - 영천 구간이 복선노반 단선전철로 추진되던 시절 연선의 지자체에서는 복선화 요구를 하였다.[124][125] 그러나 이 문제점으로 주장되는 내용에는 아래와 같은 반론이 있었다.

1. 단선에 신호장 설치로도 충분한 선로용량
해당 구간에서 KTX 정차역은 안동-의성-영천 뿐이고 청량리 - 부전/동대구 간 운행할 KTX도 왕복 13편성에 불과하여 선로용량에 지장이 가지 않는 수준이다. 물론 수서역발, 송도역발 중앙선 열차까지 투입될 경우 복선화가 필요하겠지만,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것이다. 즉 우선 단선으로 개통 후 향후 필요 시 복선으로 완공 후 운용하면 된다.

2. 대구경북선 철도 신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구경북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때 동대구-영천 구간을 중앙선으로 편입하여 의성-대구-영천-경주 간으로 중앙선 노선을 변경하자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 근거로는 경북 북부지역에서는 동대구 방면으로의 수요가 매우 큰 상황인데, 경쟁관계인 고속도로와 달리 철도는 영천으로 우회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2010년대 후반에 대구경북선이라는 명칭으로 서대구-동구미-신공항-의성 간 총 66.8km의 철도신설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고 해당 지역에서는 이 구간을 이용하여 대구-경북 간 수요를 충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5.4.1. 복선전철 건설 확정

2021년 11월 26일 기획재정부에서 이 구간에 대한 복선전철화를 승인하였고[126] 2023년 1월부터 복선화 작업이 개시되어[127] 2024년 5월 11일에 안동~의성 구간의 복선전철화가 완료되었다. 12월 20일에는 의성~영천 구간의 복선전철화가 완료될 예정이다.

5.5. 울산, 동부산 KTX-이음 정차역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 KTX 문서
5.3.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이용객 수

6.1. 일반철도

2022년 중앙선 일반철도 역별 일평균 이용객
<rowcolor=#ffffff> 역명 고속열차 새마을호 무궁화호 합계 순위 비고
경원선과 직결 ( 서울역 방면)
청량리 9,410 1,338 4,447 15,195 1위 [S]
상봉 1,106 미정차 1,106 8위
덕소 54 242 80 376 14위 [129]
양평 1,257 266 1,399 2,922 4위 [S]
용문 미정차 111 605 716 9위 [S]
지평 22 93 115 16위 [S]
석불 6 14 20 22위 [S]
일신 11 26 37 18위 [S]
매곡 9 22 31 20위 [S]
양동 48 448 496 13위 [S]
삼산 6 9 15 23위 [S]
서원주 244 68 199 511 12위 [S]
원주 1,497 445 1,852 3,794 3위 [S]
봉양 미정차 9 21 30 21위 [S]
제천 1,225 320 3,022 4,567 2위 [S]
단양 303 84 284 671 10위 [S]
풍기 188 99 240 527 11위 [S]
영주 855 117 811 1,783 7위 [S]
안동 1,254 135 710 2,099 5위 [S]
의성 미운행 182 182 15위
탑리 44 44 17위
화본 30 30 21위
신녕 10 10 25위
북영천 11 11 24위 [146]
영천 1,884 1,884 6위 [147]
아화 32 32 19위
동해선과 직결 ( 경주 방면)

6.2. 광역전철

2023년 중앙선 광역전철 역별 일평균 이용객
<rowcolor=#ffffff> 역명 이용객 순위 비고
경원선과 직결 ( 왕십리 방면)
청량리 34,441 2위 [148]
회기 51,129 1위 [149]
중랑 10,602 7위 [G]
상봉 14,705 6위 [G]
망우 14,958 5위 [G]
양원 5,669 10위 [153]
구리 25,660 3위 [154]
도농 20,503 4위
양정 1,132 18위
덕소 10,539 8위
도심 4,086 12위
팔당 1,958 14위
운길산 1,679 15위
양수 4,007 13위
신원 418 21위
국수 1,452 16위
아신 1,215 17위
오빈 619 20위
양평 6,408 9위
원덕 767 19위
용문 4,590 11위
지평 137 22위 [155]

7. 여담

지방에 자리한 여러 대학교들을 많이 지나는 노선 특성상 등하교용 혹은 본가와 기숙사/자취방을 오가는 용도로 대학생들이 많이 탄다. 때문에 주로 금요일에서 일요일 사이에 KTX #703, #705, #714, #782, #716 열차를 이용하면 등·하교하는 대학생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아래 내역은 중앙선 역세권에 있는 대학교들이다.
역명 대학교명 지역
경주역 동국대 WISE캠퍼스 경상북도 경주시
영천역 육군3사관학교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역 성운대
안동역 안동대
가톨릭상지대
안동과학대
경상북도 안동시
영주역 경북전문대
한국폴리텍6대학 영주캠퍼스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역 동양대 영주캠퍼스
제천역 세명대
대원대
충청북도 제천시
원주역 경동대 문막캠퍼스
연세대 미래캠퍼스
강릉원주대 원주캠퍼스
한라대
상지대
강원도 원주시
아신역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경기도 양평군
회기역 삼육보건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캠퍼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역 서울시립대학교

한편 2021년에 이설된 영주~ 안동구간은 영주댐으로 인해 동쪽으로 꺾이기 때문에, 구 옹천역 인근에서 안동터미널 근처로 가는 드리프트가 생겼다. 한국철도공사의 철도노선도에서도 표시되어 있다.[156] 하지만 이 구간은 270km/h급으로 고속화를 감안하여 설계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157]

경원선 용산~청량리 수도권 전철 구간을 기존 철도와 직통운전하는 전철 1호선과 구분짓기 위해 '국철'이라는 이름으로 운영했다. 용산에서 출발한 열차는 의정부 방향으로 직통운전하기도 했지만, 회기역까지만 운행하기도 해서 외대앞역 이북구간으로 가려면 다른 열차로 갈아타야 하는 상황도 발생했다. 대개는 성북역까지 올라갔다. 이후 덕소역까지 수도권 전철이 개통하자 완전히 다른 운행계통으로 분리됐고, 몇 년 후에는 경원선 용산선을 직결하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됐다. 중앙선의 전철화로 본래 경원선인 국철구간은 편의상 중앙선으로 묶어 표기한다. 이전엔 '용산~덕소'라고 표기했다.

과거 폐선 전 단선구간 가운데 하나인 남양주시 조안면 구간을 담은 영상이 수십 편 남아 있다. 상당수가 전원일기에 담겨 있는데 1997~2002년 전원일기 촬영지가 그곳이었기 때문이다.

전원일기를 포함해서 대중매체에서 자주 나오는 철도 노선이다. 도시철도에 수도권 전철 3호선이 있다면 일반철도에는 중앙선이라 봐도 무방하다. 전원일기 외에도 TV 문학관에서 수차례 나온 이력이 있으며 1984년 12월 15일에 방영된 '겨울 대합실'의 도입부에서 원덕역 구역사 건물이 나오고 2000년 3월 방영된 길은 그리움을 부른다에서는 주인공인 박석우가 중앙선에서 영동선으로 넘어가는 화물열차를 견인하는 8101호 기관차의 운행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여자친구 너 그리고 나 뮤직비디오를 구 양수철교에서 찍었으며 을 찍은 곳도 중앙선 연선이다. 호텔 델루나에서도 구 양수철교를 삼도천을 건너는 다리로 사용했다.

==# ARS #==
역명코드 한글 한자 로마자 비고
0090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청량리 淸凉里 Cheongnyangni 고속
0837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회 기 回 基 Hoegi
0737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중 랑 中 浪 Jungnang
0635 파일:GJLine_icon.svg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상 봉 淵 堂 Sangbong 고속
0319 파일:GJLine_icon.svg 망 우 忘 憂 Mangu
파일:GJLine_icon.svg 양 원 養 源 Yangwon
0513 파일:GJLine_icon.svg 구 리 九 里 Guri
0207 파일:GJLine_icon.svg 도 농 陶 農 Donong
파일:GJLine_icon.svg 양 정 養 正 Yangjeong
0168 파일:GJLine_icon.svg 덕 소 德 沼 Deokso 고속
파일:GJLine_icon.svg 도 심 陶 深 Dosim
0320 파일:GJLine_icon.svg 팔 당 八 堂 Paldang
0321 파일:GJLine_icon.svg 운길산 雲吉山 Ungilsan
0269 파일:GJLine_icon.svg 양 수 兩 水 Yangsu
0322 파일:GJLine_icon.svg 신 원 新 院 Sinwon
0323 파일:GJLine_icon.svg 국 수 菊 秀 Guksu
0324 파일:GJLine_icon.svg 아 신 我 新 Asin
파일:GJLine_icon.svg 오 빈 梧 濱 Obin
0091 파일:GJLine_icon.svg 양 평 楊 平 Yangpyeong 고속
0214 파일:GJLine_icon.svg 원 덕 元 德 Wondeok
0169 파일:GJLine_icon.svg 용 문 龍 門 Yongmun 정차
0170 파일:GJLine_icon.svg 지 평 砥 平 Jipyeong 정차
0325 석 불 石 佛 Seokbul 정차
0204 일 신 日 新 Ilsin 정차
0249 매 곡 梅 谷 Maegok 정차
0171 양 동 楊 東 Yangdong 정차
0250 삼 산 三 山 Samsan 정차
0168 서원주 西原州 Seowonju 고속
0168 원 주 原 州 Wonju 고속
운 학 雲 鶴 Unhak
0175 봉 양 鳳 陽 Bongyang 정차
0298 제천조차장 堤川操車場 Jecheonjochajang
0093 제 천 堤 川 Jecheon 고속
0330 고 명 高 明 Gomyeong
0094 삼 곡 三 谷 Samgok
0095 도 담 嶋 潭 Dodam
0096 단 양 丹 陽 Danyang 고속
0097 풍 기 豊 基 Punggi 고속
0098 영 주 榮 州 Yeongju 고속
0099 옹 천 甕 泉 Ongcheon
0100 안 동 安 東 Andong 고속
0101 의 성 義 城 Uiseong 정차
0631 비 봉 飛 鳳 Bibong
0102 탑 리 塔 里 Tap-ri 정차
0181 우 보 友 保 Ubo
0183 화 본 花 本 Hwabon 정차
0221 봉 림 鳳 林 Bongnim
0336 갑 현 甲 峴 Gapyeon
0182 신 녕 新 寧 Sinnyeong 정차
0231 화 산 花 山 Hwasan
0222 북영천 北永川 Bugyeongcheon 정차
0103 영 천 永 川 Yeongcheon 정차
0339 아 화 阿 火 Ahwa 정차
모 량 牟 梁 Moryang

8. 역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역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지선 철도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국가철도 및 전용철도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속철도
준고속철도
간선철도
지선철도
전용철도
운행 예정
}}}}}}}}} ||

노선번호 노선명 기종점 철도거리 역수
20301 망우선 망우역 광운대역 4.9㎞ 2
20302 용문기지선 용문역 용문차량기지 1.6㎞ 2
20303 제천조차장선 제천역 제천조차장역 2.3㎞ 2
31203 북영주삼각선 북영주역(중앙선)↔ 북영주역(영동선) 0.7㎞ 0
31204 영천삼각선 북영천역↔대구선 분기점 1.4㎞ 0
31206 경주삼각선 중앙선 분기점↔ 동해선 분기점 1.3km 0
현재 중앙선에는 총 5개의 지선이 있다.

2021년 4월 22일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중앙선 원주역 경강선 만종역을 잇는 원주연결선이 반영됐다. 중앙선의 지선으로 취급될 지, 경강선의 지선으로 취급될 지는 불분명하다.

10. 둘러 보기

||<-2><tablewidth=7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77c4a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경의선 도라산역 ~ 서울역
(56.0km, 40.64%)
용산선 가좌역 ~ 용산역
(7.0km, 5.08%)
경원선 용산역 ~ 청량리역
(12.7km, 9.22%)
중앙선 청량리역 ~ 지평역
(62.1km, 45.06%)
역 목록 | 운행 계통( 수도권 전철 경의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 | 역사 | 연장 | 문제점

11. 관련 문서



[1] 이전에 사용한 중앙선 단선 철로는 중앙선 복선전철 신선을 일부 가로질러 가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군위 - 영천 구간의 선로가 이어져 있지 않고 중간에 단선 철로가 지나가는 자리에서 끊어져 있는 상태다. 신선 이설을 위해 열차 운행을 중단 후 단선 철로의 선로를 걷어내고, 복선전철 선로를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중이다. [주의] 해당 노선도는 2023년 5월 18일에 게시된 것으로 2023년 11월 22일에 이설된 망호~의성, 2024년 12월 20일에 이설된 의성~북영천 구간의 노선 직선화 개량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A] 준고속도철도노선으로 고시되었다. [A] [5] 지평역 일부 광역전철 운행으로 국토교통부 철도거리표 고시에 미등재 [6] 경주역을 종점으로 간주할 경우 335.7㎞로, 의성-북영천 구간의 신선 이설이 완료될 경우 323.1㎞로 단축된다. 복선 전철화 개량 사업 이전엔 378㎞였던 걸 감안하면 50㎞ 이상의 엄청난 단축이 이뤄진 것이다. 특히 청량리~서원주 구간에서 약 20㎞, 도담~영천 구간에서 약 30㎞의 단축이 이루어졌다. [7] 청량리~도담/영천~모량 개시, 도담~안동간 ATP 미개시 상태이다. 개량사업 진행중이며 2024년 하반기에 개시 예정이다. [8] 국제철도연맹 기준 고속철도의 최소 충족 속도인 200㎞/h 이상으로 달릴 수 있는 구간 중 하나로, 총연장이 69.2㎞에 달한다. [9] 국제철도연맹 기준 고속철도의 최소 충족 속도인 200㎞/h 이상으로 달릴 수 있는 구간 중 하나로, 총연장이 38.8㎞이다. [10] 국제철도연맹 기준 고속철도의 최소 충족 속도인 200㎞/h 이상으로 달릴 수 있는 구간 중 하나로, 총연장이 174.5㎞에 달한다. 출처 [eum] SRT는 물론이고 다른 종류의 KTX 차량은 입선하지 않는다. [12] 주 1회 [eum] [14] 정선선 계통의 관광열차이다. 민둥산~아우라지 구간 운행이 중단되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태백선 계통의 기능만 존재한다. [15] 실질적 종점은 동해선 경주역 [16] 정확히는 봉양역에서 분기하나, 열차들이 제천역에서 시종착한다. [17] 사실 2022년부터 안동역까지는 준고속선 증속이 가능했으나 미루어지고 있다. 중앙선 전체 개량과 함께 증속하려는 것으로 추정된다. [18] 2024년 12월 20일 복선 전철화될 예정이다. [19] 선로는 복선으로 부설을 완료하였고 전철화 공사가 진행 중이다. [20] 청량리-양평-여주-장호원-충주-단양-죽령-예천-안동-의성-군위-대구 구간으로, 현 중앙선(청량리-양평, 단양-죽령, 의성-군위), 경강선(여주), 중부내륙선(여주-충주), 충북선(충주-단양), 구 경북선(예천-안동)에 속한다. [21] 「中央鐵道計劃(중앙철도계획) 긔본조사에착수할터」, 동아일보, 1927-02-06 [22] 청량리-양평-원주-제천-단양-예천-안동-의성-군위-영천 구간으로, 현 중앙선(청량리-단양, 안동-영천), 구 경북선(예천-안동)에 속한다. 현 중앙선 대부분의 노선이 이 때에 확정됐다. [23] 「中央線新鐵道(중앙선신철도)의 榮州經由(영주경유)는確實(확실)」, 동아일보, 1936-06-19 [24] 11월 3일 청량리 방면에서, 12월 18일 영천 방면에서 착공했다. [25] 원덕, 지평, 구둔, 양동, 간현, 동화, 원주, 무릉, 운산, 단촌, 의성, 탑리, 우보, 신녕 개업 [26] 용문, 반곡, 신림, 구학, 봉양, 제천, 삼곡, 도담, 영주, 평은, 이하 개업 [27] 만종, 단양, 죽령, 희방사, 풍기, 안정, 문수, 옹천 개업 [28] 도담-단성 구간으로 충주댐이 건설되면서 구 단양군 중심이 수몰될 예정이었기에 부득이하게 이설됐다. 1980년대에 이설된 것이기에 1940년대에 건설된 곳에 비하면 어느 정도 직선화가 이루어진 편이나 1990년대 이후에 이설된 구간에 비해 곡선 부분이 많고 느리며 선로 이음매 소음이 심했다. [29] 율동-경주 구간으로 경주시내의 선로 상태가 좋지 않았거니와 주변 주민들의 소음 민원이 많아지자 상대적으로 외곽에 속한 곳으로 이설한 것이다. [30] 1940년대에 건설된 구 길아천철교의 붕괴 위험을 우려하여 신 길아천철교를 완공한 직후 이설했으며, 구 길아천철교는 얼마 지나지 않아 철거됐다. [31] 구 왕숙천철교의 교각이 내려앉는 등 붕괴 징후가 확인되자마자 신 왕숙천철교 완공 시기를 예정보다 앞당겨 우선 이설된 것으로, 1996년 길아천철교 이설과 동일하다. [32] 이설 전 17.8km에서 이설 후 17.2km로 소폭 단축됐다. [33] 이설 전 6.5km에서 이설 후 5.7km로 소폭 단축됐다. [34] 이설 전 18.7km에서 이설 후 15.9km로 단축됐다. [35] 이설 전 24.7km에서 이설 후 23.3km로 소폭 단축됐다. [36] 상봉- 망우 구간으로 망우역에서 경춘선으로 분기한다. [37] 이설 전 17.4km에서 이설 후 16.4km로 소폭 단축됐다. [38] 이설 전 14.1km에서 이설 후 13.0km로 소폭 단축됐다. [39] 이설 전 16.8km에서 13.2km로 크게 단축됐다. [40] 문수-마사 구간으로 영주댐 건설로 인해 평은역 일대가 수몰될 예정이라 중앙선 고속 복선전철화를 대비하여 복선노반 단선 비전철화 형태로 우선 이설된 것이다. 이설 전 17.5km에서 이설 후 17.1km로 소폭 단축됐다. [41] 운행 개시 당시 영주~ 안동 구간은 전철화가 되어있지 않아 전기기관차 및 전기동차의 운행이 불가능해 부득이하게 영주역까지만 운행한다. [42] 이설 전 6.6km에서 이설 후 4.7km로 단축됐다. [43] 평일 전체 108회 중 21회, 토요일 전체 86회 중 20회, 공휴일 전체 79회 중 20회만 운행하며 나머지는 상봉 종착으로 유지된다. 이렇게 된 이유는 중앙선 청량리-망우 구간의 선로 과포화로 인해 이 이상으로 경춘선 전철을 투입할 수 없기 때문이며 사실상 이 정도가 투입 가능한 상한선인 셈이다. [44] 2017년 이설 당시 복선노반 단선전철 형태였으며, 하행선은 일반선으로 운영했으나 2019년에 하행선까지 이설되면서 봉양-제천 복선전철 개량이 완료됐다. 이설 전 7.1km에서 이설 후 6.9km로 소폭 단축됐다. [45] 청량리- 만종 구간으로 산천 차량이 투입됐다. 중앙선, 경원선의 분기역이자 1호선, 경의·중앙선, 경춘선이 집결하는( 수인·분당선은 2018년 12월 합류) 서울 동부의 거점인 청량리역이 1911년 개업 이래 106년 만에, 2004년 KTX 운행 개시 이래 13년만에 KTX 정차역으로 환골탈태했다. [46] 이설 전 6.1km에서 이설 후 6.0km로 소폭 단축됐다. [47] 제천역에서 태백선으로 분기한다. [48] 이설 전 19.7km(안동-업동)에서 21.7km로 연장됐으나 선로최고속도는 기존의 130km/h에서 약 2배 더 빠른 250km/h로 크게 향상됐다. [49] 이설 전 40.4km에서 33.8km로 크게 단축됐다. 이미 단양-풍기 구간의 신 죽령터널은 이보다 1년 전인 2019년 10월 31일에 완공됐으나 물빠짐 등이 부실한 정황이 드러나 공사가 재개되어 2020년으로 미뤄진 것이다. 2020년 12월 14일에 이설했다. 원래 10월 24일에 이설할 예정이었으나 약 2달 가량 연기되어 개통했다. 출처: 미래철도 DB [50] 2020년 12월 13일부터 14일까지 이틀만 운행했다. [51] 이설 전 58.6km(영주-업동)에서 52.8km로 크게 단축됐다. 원래 12월 28일이었으나 17일로 단축되어 이설했으며 이 날 안동역 신역사가 개업했다. 출처: 미래철도 DB [52] 중앙선(청량리-도담), 중앙선(도담-경주) [53] 중앙선이 본선의 지위를 잃은 것이 아니고, 철도거리표의 다른 노선명에서도 "OO본선"을 칸을 나누어 "OO선" "본선"으로 나누고 있다. [54] 단성, 죽령, 희방사, 안정, 문수, 마사, 이하, 서지, 무릉, 운산, 단촌 폐지 [55] 이설 전 51.1km(서원주-봉양)에서 38.8km로 대폭 단축됐다. 원래 2020년 12월 29일에 개업할 예정이었으나 약 1주 가량 연기됐다. [56] 원래 2020년 12월 23일에 완공할 예정이었으나 약 2주 가량 연기됐다. [57] 청량리- 안동 구간으로 기존의 산천 차량이 아니라 당시 새삥이었던 이음 차량이 투입됐다. [58] 이설 전 42.3km(영천-경주)에서 30.7km(영천-경주)로 대폭 단축됐다. [59] 동화, 유교, 반곡, 금교, 치악, 창교, 신림, 연교, 구학, 송포, 임포, 건천, 율동, 중앙선 서경주, 옛 경주 폐지 [60] 6월 30일에 단양-영주 구간, 7월 28일에 영주-안동 구간의 복선전철 개량공사가 완료됐다. [61] 7월 31일부터 운행을 개시했으며, 주말에만(금, 토, 일) 정차한다. [62] 이설 전 13.2km에서 이설 후 12.3km로 소폭 단축된다. 2023년 11월 22일에 이설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63] 2023년 12월 29일부터 하루 1회 왕복 운행한다. [64] 하화터널 이설로 업동신호장은 폐역되었다. [65] 이설 전 60.5km(의성-북영천)에서 이설 후 49.7km로 대폭 단축된다. 2024년 12월 20일로 이설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66] 이 시점부터 청량리에서 경주까지 단 한 곳도 빠짐없이 최소 복선 이상의 준고속 전철이 완성된다. [67] 망호, 업동, 비봉, 탑리, 우보, 화본, 봉림, 갑현, 신녕, 화산 폐지 [68] 선로사용률 96.3%, 잔여용량 단 6회 [69] 선로사용률 80.4%, 잔여용량 32회 [70] 일반실 5량, 카페 1량이었으나 지금은 일반실 4량이다. [71] 일반실 4량, 카페 1량, 특실 1량이다. 지금은 일반실 4량이 편성된다. 다만 1호차는 옛 특실로 편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나 지금이나 특실은 항상 1호차이다. [72] 「中央線複線化(중앙선복선화)」, 경향신문, 1966-11-19 [73] 「百年大計(백년대계)의 靑写真(청사진)」, 경향신문, 1967-08-17 [74] 동교역, 유교역, 금교역, 창교역, 연교역이 그 예 [75] 네이버 블로그 [76] 경부선보다도 1년 일찍 완공된 덕분에 수도권 전철 1호선 초저항 전동차의 시운전도 중앙선의 청량리 - 양평 구간에서 진행되었다. [77] 「地下鐵(지하철) 3.4·5號線(호선) 85年(연)완공」, 매일경제, 1978-09-27 [78] 「"체증없는 鐵馬(철마)"21세기 快走(쾌주)」, 경향신문, 1989-09-16 [79] 「중앙선 철도 영주.단양간 전철 개통[백지연]」, MBC, 1988-12-23 [80] 이설하더라도 이름이 승계되는 역/신호장 제외 [81] 당시 이해찬 국무총리가 참석했다. [82] 교각이 땅 쪽으로 서서히 내려앉는 현상으로 전형적인 붕괴 징후에 속한다. 보수공사로는 한계가 있거나 소용이 없어 철거해야만 하는 단계. [83] 수도권 철도, 복선 광역 전철로 ‘탈바꿈’ [84] 중앙선 복선개통...수도권 1시간대 [85] 참고로 청량리 - 서원주 간 복선전철화 완료 당시 추석 연휴가 코 앞이었다.(9월 29일 ~ 10월 1일) [86] 현 철도영업거리표 기준 86.4km, 복선전철화 완료 전에는 108.4km [87] 「원주~제천 중앙선 백운터널 공사 시작」, 강원일보, 2013-10-10 [88] 「중앙선 원주~제천 복선전철화 백운터널 구간 완공」, 뉴스1, 2017-08-31 [89] 「원주~제천 복선전철 공정률 75%」, G1방송, 2018-09-20 [90]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000호 [91] 「중앙선 원주~제천 복선전철 시운전 돌입…연말 개통」, 강원일보, 2020-06-23 [92] 「[원주MBC] 원주-제천 복선전철 내년 1월로 개통 연기」, MBC, 2020-12-15 [93] 「제천~원주 복선전철 오늘 개통..수도권 접근성 대폭 향상」, 뉴시스, 2021-01-04 [94] 곡선반경이 전부 준고속선의 최소곡선반경인 R=3000m 이상이다. [95] 중앙선(제천~도담) 및 서해선(대곡역) 준고속화 시설개량 궤도실시설계 용역 [96] 조립된 궤광을 들어서 높이는 작업이다. [97] 「동해남부선·중앙선, 전력공급 시행…"특고압 조심!"」, 철도경제, 2021-04-27 [98] 출처: 유튜브 [99] 도담 - 의성은 완료했고, 의성 - 영천은 공사중이다. [100] 해당 지도에서 '신호장1'로 표시되어 있는 안동~의성 사이의 망호신호장은 해당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에 따라 2024년 5월 11일 폐지되었다. 그리고 의성~북영천 사이의 두 신호장도 복선 건설 확정에 따라 취소되었다. [101] 「중앙선 단성∼죽령역 철도부지 개발사업자 대명컨소시엄 선정」, 연합뉴스, 2021-02-07 [102] 「단양군, 중앙선 폐철도 관광자원화사업 후보자 ㈜대명건설 컨소시엄 선정」, 동양일보, 2021-02-07 [103] 영주댐 수몰지구 중앙선 철도이설 건설공사(PDF) [104] 「중앙선 복선전철사업 '죽령터널' 완공」, 대구MBC, 2019-11-01 [105] 「'영천∼서울 청량리' 1시간 50분, 중앙선 복선화 될까?」, 매일신문, 2020-04-30 [106] 「중앙선 안동-영천 복선화 확정..2023년 말 개통」, MBN, 2021-12-06 [107] 국가철도공단 > KR 홍보 > 보도ㆍ참고ㆍ해명자료(목록) [108] 국가철도공단 > KR 홍보 > 보도ㆍ참고ㆍ해명자료(목록) [109] 일자 미상 [110] 당초 2021년 10월에 도담 ~ 안동 구간 증속이 예정되었으나 ATP 신호의 공사 연기로 2022년을 넘어 2024년으로 밀리고 있다. 안동~영천 복선전철화 공사가 마무리 될 시점에 동시에 증속할 것으로 추정되는데, 최근 기사에 따르면 거의 확정적으로 보인다. [111] 안동~의성 구간은 5월 11일부터 복선 비전철로 운행 중이다. [112] 연말 중앙선 복선화 개통.. '안동~부산' 2시간대로 단축 (2024.09.06/뉴스투데이/포항MBC) [113] 1994년 3월 30일 열차대개편으로 부전~청량리 통일호 열차가 무궁화호로 승격되어 30년동안 운행되었다. [114] 영주역 이남 구간이 전부 비전철 구간이었던 과거 중앙선에서 영주-구 경주역 구간은 전국 비전철 구간 중 가장 빠른 속도(120㎞/h)를 낼 수 있던 구간이었다. [115] 디시인사이드 철도(지하철) 갤러리 [116] 이후 일 10회에 한해 청량리까지 연장되었다. [117] 「[단독] 서울역~금천구청, 용산~망우 지하 복선철로 신설 추진」, 한겨레, 2014-04-28 [118]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119] 전략환경영양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여의도에서는 9호선과 병행, 용산은 1호선 하부구간, 청량리 수평배치, 구리역 전방진입'인 대안2가 채택됐다. 그런 설명과 다르게 지도에서 이것에 해당하는 선형은 '대안1로 표기되어 있다. 이 외에 용산구간을 4호선 하부로 통과하는 대안3은 지도에서 대안2로 표기되어 있다. [120] 이 사업으로 인하여 GTX-B 운영 관리사 우선 협상대상자가 한국철도공사로 선정되었다. [121] 21,100원으로 무궁화호(15,400원)보다 5,700원이나 비싸다. [122] 코레일, 청량리~안동 ITX-새마을 운행 재개…정기승차권 특례 적용 등 운임 신설·조정, 헤럴드경제, 2022-10-31 [123] 「신형 KTX, 새해 중앙선 ‘청량리~안동’ 투입…2시간 단축」, 동아일보, 2020-12-28 [124] 「중앙선 복선전철 '안동-영천'만 단선」, 안동MBC, 2018-09-13 [125] 「이만희 "중앙선 안동~영천 구간 복선화해야"」, 노컷뉴스, 2020-06-16 [126] 「중앙선 안동~영천 구간 '단선→복선전철'로 바꿨다」, 매일신문, 2021-11-26 [127] 「철도공단, 중앙선 안동~영천 구간 복선화 공사 다음달 본격화」, 문화일보, 2022-11-28 [S] 새마을호는 ITX-새마을이 운행을 재개한 2022년 1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57일간의 평균이다. [129] 고속열차는 KTX가 정차를 시작한 7월 3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금토일 66일간의 평균이고, 새마을호는 ITX-새마을이 운행을 재개한 2022년 1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57일간의 평균이다. [S] [S] [S] [S] [S] [S] [S] [S] [S] [S] [S] [S] [S] [S] [S] [S] [146] 중앙선의 역이지만 중앙선 무궁화호는 통과하고 영동선 무궁화호만 정차한다. [147] 2023년 12월 18일 ITX-마음이 운행을 시작했다. 이 수치는 2024년 하반기에 공개되는 2023 철도통계연보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148]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이 하나의 게이트를 사용한다. [149] 1호선(경원선)과 경의·중앙선이 하나의 게이트를 사용한다. [G] 경의·중앙선 경춘선이 같은 게이트를 사용한다. [G] [G] [153] 서울 최소 [154] 경기도 최다. 청량리와 회기가 타 노선과 게이트를 공유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사실상 최다 이용객 역이라 할 수 있다. [155] 중앙선 최소 [156] 한국철도공사 > 주요사업 > 여객수송 > 열차시간표·노선도 [157] 출처: 티스토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