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21:53:16

덕소역

덕소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 · 일반열차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청량리 방면 상 봉
← 13.2 ㎞
청량리
17.2 ㎞ →
강릉· 동해 방면
양 평
30.7 ㎞ →
서원주
← 69.2 ㎞
청량리 방면
청량리
← 17.2 ㎞
부전 방면
양 평
30.7 ㎞ →
안동 방면
양 평
30.7 ㎞ →
태백선
무궁화호
동해 방면
양 평
30.7 ㎞ →
중앙선
무궁화호
제천 방면
양 평
30.7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수도권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중앙선 급행
}}}}}}}}} ||
역명 표기
중앙선 덕소
Deokso
德沼 / [ruby(徳沼, ruby=トクソ)]
경의·중앙선
주소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56 (덕소리 590-17)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 망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경북부선 1939년 4월 1일
경경선 1941년 7월 1일[1]
중앙선 1948년 1월[2]
파일:KTX BI_White, Red.svg 2022년 7월 31일[3]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22년 11월 5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12월 29일
무궁화호 2004년 4월 1일
중앙선 2005년 12월 16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
역사 구조
지상 3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7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중앙선
덕 소
파일:덕소STN.jpg
현 역사
(2005년 준공)
[4]
파일:K2nFZF8.jpg
구 역사
(1958년 준공, 2005년 철거)
[5]

1. 개요2. 역 정보
2.1. 화물 취급2.2. 강릉선 KTX 정차
3. 역 주변 정보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4.2. 일반철도
5. 승강장6. 연계 교통7. 기타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1939년 간이역으로 출발, 한국전쟁으로 역사 소실
덕소역은 1939년 4월 중앙선의 간이역으로 영업을 개시, 1949년에 이르러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한국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된 이후 1952년에 역사를 복구 준공하였다가 1958년 옛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의 덕소역은 98㎡ 규모의 벽돌조 기와 단층 역사로 부대건물을 갖추고 있었다. 2005년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운행이 개시되면서 소박한 모습의 옛 역사는 사라지고, 전면 유리창이 인상적인 현대식 역사로 새롭게 탄생하였다. 2007년에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팔당역까지 연장 개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역사 위치가 한강과 매우 인접하여 한강을 찾는 힐링 여행객들이 자주 찾는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26번[6].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로 56 ( 덕소리 590-17) 소재.

2. 역 정보

파일:덕소역 안내도(사본).jpg
역 안내도
( 크게 보기)
파일:덕소역맞이방.jpg
맞이방[7]

중앙선 남양주시 구간 중 ITX-새마을, 무궁화호가 정차하는 유일한 역이다. 평일 기준 정차하는 열차는 하행 총 7회로 태백선-영동선 동해행 3편, 중앙선 안동행 2편, 제천행 1편이며, 상행은 7회 모두 청량리행이다.[8] 일반열차 홈은 전철 홈 동쪽 끝까지 걸어가야지 나온다. 덕소는 서울의 베드타운 지구 중 하나라, 주로 무궁화호 수요는 청량리역과의 출퇴근 셔틀수요에 집중되어 있다. 청량리역은 기본 운임 구간 내이기 때문에 운임은 2600원이며, 사이에 정차하는 역은 없고 15분 전후에 도착한다. 덕소에서 서울의 주요 교통거점(잠실, 강변역, 청량리)으로 제일 빠른 시간내에 갈 수 있는 방법인데[9], 중앙선 KTX개통 전에는 정확히 출퇴근시간도 아닌 애매한 시간에 하루 4회 밖에 안 서서 시간을 맞추기 어렵고 환승 할인도 제공되지 않아서 실제 탑승 인원은 좀 처참한 편이었다. 여기에 중앙선 전철 출퇴근 급행이 10분 더 걸리긴 하지만 환승 할인이 되는 점이 경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2021년 1월 5일 중앙선 KTX 운행 이후로 기존 4회에서 7회로 정차하는 일반열차가 대폭 증회되고 출퇴근시간 시간표가 생기면서[10] 이용객이 대폭 늘 것으로 예상된다.

중앙선 첫 수도권 전철 개통 때 종착역이었던 역으로 현재도 경의·중앙선 전철의 절반은 덕소역에서 시·종착한다. 양수역부터의 양평군 구간과의 수요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다만 같은 와부읍 내 연담화된 도심역은 물론 미사강변도시 스타필드 하남 등 신규 수요지 건설 등의 변화로 인해 팔당역 이용객의 수요도 소폭 증가 추세에 있어 연장 요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특히 덕소역에 인접한 도심역은 덕소 지역과 연담화되어 개발되어 인구도 덕소리에 약간 못 미칠 정도로 꽤 많은 편인데, 한 역 차이로 덕소역에서 열차의 절반이 끊겨 버려 도곡리에서 불만이 많은 편이다. 다만 이를 위해서 팔당역 회차시설 건설과 차량 추가 제작 등 필요한 전제 조건이 제법 되는 상황이다. 과거에도 기재부에서 이러한 예산을 삭감한 이력이 있어, 지역 정치인들의 예산 확보가 우선되어야 덕소행의 팔당 연장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후술할 강릉선 KTX 정차로 인해 공급 측면에서도 시설 개량의 명분이 추가적으로 발생했기에 개량 확률이 높아졌다. 2010년대 후반 기준으로도 덕소역은 무궁화호도 정차하고 이용객도 많고 화물취급도 하기 때문에 주변의 역들에 비하면 업무가 많은 편이라 업무 부담 경감 필요성이 제기되었는데, 이후 KTX까지 정차하면서 업무도 추가된데다 덕소 착발 경의·중앙선 열차의 간섭을 발생[11]시키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일부 또는 전부를 팔당역 반복으로 바꿀 필요성이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과거 스토리웨이 편의점이 있었지만 맞이방쪽으로 자리를 옮기고, 이후 분식점이 생겼지만 팔당방면 개통 이후 손님이 줄어 2012년 4월 초에 문을 닫았다. 팔당방면 개통 전에는 예봉산, 운길산 등을 가려는 등산객들이 이 역에서 내려 버스로 환승했으나 연장 이후 그럴 필요가 없었기 때문. 그리고 그 자리에 이디야커피가 들어섰다가 2015년 3월 말까지만 영업하고 문을 닫았다가, 5월 29일에 재개업. 이후 2017년 하반기 들어 다시 문을 닫고 한국철도공사 관계사로 보이는 커피&도넛을 파는 업소가 들어섰다. 2020년 3월 쯤에 이 가게도 문을 닫았다가 2020년 9월 중순쯤에 다시 이디야커피가 개점했다.

덕소행 열차의 경우 운행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이 역에서 문산역으로의 운행을 위해 문산방면 위치에 정차한다. 참고로 덕소역은 용문방면 승강장과 문산방면 승강장이 쌍섬식 승강장으로 나뉘어져서 덕소역에서는 계단을 오르내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때문에 용문 방면으로 환승할 경우 양정역에서 갈아타라는 방송이 양정역 도착 전에 나오지만 그렇게 하는 승객은 많지 않은데 양정역이 한적한 수도권 근교 지상역사라 겨울에는 너무 춥고 여름에는 너무 덥기 때문. 따라서 덕소역 상부로 올라와 건물 안에서 대기하다 열차 도착에 맞춰 내려가는 이용객을 자주 볼 수 있다.

용문발 열차는 대부분 만석인 경우가 꽤 많다 보니 이 역에서 내려서 편하게 덕소발 열차를 타는 승객들도 꽤 많다.[12]

2.1. 화물 취급

역에 아세아시멘트 덕소물류센터가 있어 시멘트 화물도 취급한다. 보통 1일 40량을 취급. 그 외에 화물취급역을 집약시킬 때 도농역에서 취급하던 포대양회, 비료 등을 덕소역으로 집약시키려 했지만 덕소역 구내가 좁아 적하설비를 둘 곳이 마땅치 않아 그냥 포기했다고 한다.

시멘트만 취급하는 것으로만 알려져있지만 과거에는 석탄과 유류도 취급했었다. 덕소역 남측에 붙어있는 세양청마루한강 아파트 부지는 원래 덕소역 구내 부지로, 석탄과 유류를 취급하는 화물 플랫폼과 저장고가 있던 곳이다. 주변이 시가지로 발전하면서 이들 시설이 유해시설로 분류되고 마침 중앙선 전철 계획이 진행되면서 철거로 방향을 잡게 된 것.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주변의 석탄과 유류 수요도 없어서 사실상 방치 상태였다. 덕소역 남측의 중앙선 선로를 따라가는 길도 원래 없다가 개량공사와 함께 개통된 것이다.

2.2. 강릉선 KTX 정차

2017년에는 지역 사회 일부에서 구리, 하남, 남양주 시민의 편의를 위해 덕소역에도 강릉선 KTX를 정차시켜 달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덕소역 일대 뿐 아니라 도곡리, 도농역 등 남양주시 이장협의회 이름으로 이런 주장을 담은 현수막이 곳곳에 뿌려지고 있다고. 덕소역에 KTX를 못 세우는 이유는 경의·중앙선 전동열차 회차 문제 때문이다. 덕소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는 외선에 정차 이후 회차를 위해 내선에 진입했다가 X자 회차선을 통해 평면교차를 해서 다시 외선으로 나가는 구조를 띄고 있는데, KTX는 유효장이 KTX-산천 기준으로 300m에 달해 중앙선 전동열차와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영상 참고 이 때문에 팔당역 회차 시설을 개선하여 덕소역에서 시·종착하는 경의·중앙선 전동열차를 모두 팔당역에서 시·종착하게 하는 계획이 존재하지만 2022년 지금까지도 진척 사항이 없는 상황이다. 2012년 팔당역 회차선 신설 예산까지 나왔으나 기획재정부의 강력한 반대로 팔당역 회차 시설 개선 사업이 무산된 이후 여전히 팔당역 회차 시설 개량 사업을 진행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역에서 꾸준한 요구가 빗발쳤고, 결국 2022년 7월 31일부터 금~일요일 4회(하행 2편, 상행 2편) 강릉선 KTX가 덕소역에 정차하게 되었다. 관련 글 윗 문단에서 언급된 팔당역 회차선 등의 개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이루어진 정차라 지역의 요구보다 적은 횟수로 정차하게 되었고, 그마저도 덕소역에 정차하는 KTX는 전부 청량리 착발로 서울역 착발은 없다.

지역의 요구와는 별개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당시 임시로 KTX가 정차한 이력은 있다. 당시 개막식에 참석한 북한 김여정이 숙소인 워커힐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덕소역에 정차한 적이 있고 2018년 2월 25일에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폐회식 참석을 위해 방남한 북한 김영철 단장 등 8명의 대표단이 이 역을 이용한 적은 있다. 당시 대표단이 서울 광진구의 워커힐을 숙소로 사용했기에, 시위로 인한 만약의 사태를 막기 위해서라도 강릉선 KTX 운행 구간 중 일반 열차를 취급할 수 있는 (정차 가능한) 덕소역을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날 덕소역에 특별 정차한 KTX를 이용한 8명의 북한 대표단은 진부역까지 이동 후 올림픽플라자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폐회식에 참석하였다. 이후 복귀도 청량리역이 아닌 덕소역에서 했다. #

덕소역에 KTX가 정차하게 되면서 행신역과 함께 경기북부의 단 2개뿐인 KTX 정차역이 되었다.

3. 역 주변 정보

덕소역 북쪽으로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지나가며 덕소삼패IC가 있다. 역 남쪽으로는 6번 국도( 경강로)가 지나간다. [13]

상가, 병원, 아파트, 오피스텔 등이 밀집해 있다. 1번 출구로 나와서 바로 보이는 주공3단지 및 왼쪽으로 신암밀리안 아파트가 있는데 비교적 신축이다. 덕소역에서 나와 오른쪽으로 5분 정도 걸어가면 와부읍의 번화가인 덕소삼거리가 있다. 바로 앞에는 택시정거장과 버스정류장이 있고, 그 뒤에는 주차장이 있다. 2번 출구로 나와 도보로 3분 정도 걸어가면 한강공원이 있고, 바로 보이는 아파트는 덕소강변삼익아파트와 그 옆에는 세양청마루아파트, PC& 피시방과 음식점등 약간의 상권이 있다. 삼익아파트에는 물놀이놀이터가 있어 매년 여름마다 물놀이장을 개장한다.

경강로 삼패사거리 쪽으로 가면 스타벅스 남양주삼패점이 있고 이 역에서 버스로 환승해서 10분만 더 가면 스타벅스 리버사이드팔당DT점이 있다. 둘 다 한강을 전망으로 하는 카페라 사람이 많은 곳이다.

이 역 일대에 덕소뉴타운 사업이 추진 중이다. 자세한 사항은 덕소리 문서 참조.

4. 일평균 이용객

4.1. 수도권 전철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파일:GJLine_icon.svg ||<bgcolor=#77c4a3> 비고 ||
2005년 8,755명 [14]
2006년 9,558명
2007년 12,562명
2008년 11,653명
2009년 11,733명
2010년 11,839명
2011년 12,350명
2012년 12,437명
2013년 12,792명
2014년 13,098명
2015년 13,084명
2016년 13,156명
2017년 13,068명
2018년 12,750명
2019년 12,788명
2020년 9,551명
2021년 9,554명
2022년 10,256명
2023년 10,539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4.2. 일반철도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da5><bgcolor=#003da5> 연도 || 파일:KTX BI.svg ||
파일:ITX-마음 BI.svg
||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누리로 BI.svg
||
파일:ITX-새마을 BI.svg
||<bgcolor=#003da5> 총합 ||<bgcolor=#003da5> 비고 ||
2004년 미운행 62명 미운행
2005년 84명
2006년 160명
2007년 188명
2008년 325명
2009년 407명
2010년 114명
2011년 110명
2012년 106명
2013년 154명
2014년 167명
2015년 166명
2016년 98명
2017년 182명
2018년 180명
2019년 196명
2020년 114명
2021년 186명
2022년 23명 242명 81명 347명 [15]
2023년 19명 20명 192명 45명 276명 [16]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승강장

파일:deoksostn.jpg
경의·중앙선 승강장
양정
4 3 2 1
3 2
도심
1
2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양평· 용문 방면
2 강릉선 파일:KTX BI.svg 서원주· 강릉· 동해 방면
중앙선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원주· 제천· 안동 방면
태백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제천· 태백· 동해 방면
3 강릉선
중앙선
태백선
파일:KTX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청량리 방면
3
4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완행·급행 회기· 용산· 문산 방면

2폼 6선이다. 1번 승강장 쪽 바깥 선로는 주로 화물열차가 대기하며, 막차 시간대 주박 열차는 1·4번 승강장과 4번 승강장 쪽 바깥 선로에서 주박한다. 덕소 착발 열차는 극히 일부 열차를 제외하고 4번 승강장에서 승객들을 내려주고 대기하다가 문산 방면으로 되돌아간다.
파일:덕소역 승강장 구조.jpg
덕소역 구조

덕소역은 고상홈과 저상홈이 일자로 붙어 있는 특이한 역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17] 전철은 고상홈 쪽에 서고, KTX, ITX-마음, ITX-새마을, 무궁화호는 저상홈 쪽에 서기 때문에 한 승강장에서 전철과 일반열차 둘 다 탈 수 있다.

2017년 8월에 본선측 2, 3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며, 2020년 3월에 부본선측 1, 4번 승강장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어 가동 중이다.

이 역은 구배가 평지(0퍼밀)이다. 중앙선, 강릉선 KTX는 이 역을 지난 이후로 운행 속도가 높아지는데, 서원주역 부근까지 최대 200km/h까지 속도를 낸다.

6. 연계 교통

덕소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덕소역
(23376)
<colcolor=#ffffff> 마을
시내
땡큐
직행좌석
덕소역
(23383)
마을
시내
땡큐
직행좌석

7. 기타

경의·중앙선에서 남한강 자전거길과 인접한 역들 (팔당, 운길산, 양수, 양평 등) 가운데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역이다. 한강공원 방면 출구로 나오면 3분도 채 걸리지 않아 충주까지 이어지는 자전거도로로 진입할 수 있어서 서울시내 구간의 혼잡함이 싫다면 전철로 덕소까지 와서 라이딩을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가끔 가다 1번 출구와 2번 출구를 헷갈려 2번 출구에서 버스와 택시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다. 2번 출구는 삼익아파트, 세양청마루 쪽으로 가는 길이고, 버스정류장과 택시정류장은 1번 출구에만 있으니 주의.

전철을 기다릴 때, 무궁화호 탑승하는 플랫폼 수도권 전철 탑승하는 플랫폼쪽에 있는 펜스가 있는데 가뿐하게 철로로 넘을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수도권 전철 무궁화호, KTX까지 지나가는 곳이므로 절대로 손을 뻗거나 넘지 말자. 넘어가도 높이가 있어 최소 골절이다.

2021년 1월 5일부터 중앙선 KTX 준고속열차의 개통으로 인해 덕소역에 정차하는 무궁화호 누리로 열차가 상행 7회, 하행 7회로 증편된다. (동해행 4회, 안동행 2회, 제천행 1회, 청량리행 7회) 그러다가 2년이 채 안 되어서는 누리로 열차가 철수하며 누리로가 다녔던 열차편 중 중앙선 계통 2회는 ITX-새마을로 승격된다.

8.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서경주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경주}}}}}}
취소선:폐역, †:여객영업 X ||}}}}}}}}} ||


[1] 경경남·북부선 통합 및 경경선으로 개칭된 날짜. [2] 1948년 1월 하순 경경선에서 중앙선으로 개칭. [3] 금~일요일에만 정차 [4] 2022년 6월 14일 촬영 [5] 2005년 12월 중앙선 복선전철화 직후 철거되었다. 현재의 1번 출구에서 북서쪽으로 약 100m 자리, 즉 주차장 입구에 있었다. 사진출처 2004년 2월 촬영 [6] 2005년까지 왕십리역의 역번호였다. [7] 2022년 7월 9일 촬영 [8] 주말 상행 6회, 하행 5회 [9] 청량리역 ~ 망우역 간 선로 용량 초과로 경의·중앙선 급행전동열차 조차도 간혹 여객열차에 밀려서 서행할 때가 잦고, 전 역 정차하는 일반전동열차는 말할 것도 없다. 반대로 생각해 보면 무궁화를 탈 경우 지연을 먹을 일이 없이 어지간하면 정시에 도착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0] 상행 덕소 출발 7:08, 8:24 / 하행 청량리 출발 19:10, 20:30 [11] 회차 시 평면교차를 하고 있는데, KTX 정차 시 유효장 문제로 회차에 어려움을 야기시킨다. 다만 팔당 회차로 변경되어도 평면교차 자체는 선로 구조 상 그대로 유지된다. [12] 특히 경의·중앙선으로 직결하고 나서 파주나 일산에서 양평으로 가는 승객들도 많아지면서 15분~20분 늦게 가더라도 편하게 앉아서 오는 걸 택하는 경우가 많다. [13] 1번출구 앞에 있는 덕소로는 구 6번국도로 한번 이설이 된 것이다. [14] 개통일인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5] KTX의 자료는 7월 3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15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며, ITX-새마을의 자료는 11월 5일부터 12월 31일까지 5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6] ITX-마음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2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17] 전철용 고상홈이 쭉 있다가 지하철용 승강장이 끝나는 지점에서 경사가 내려가고 그 뒷쪽부터는 저상홈으로 바뀌는 형식이다. 이는 경부선 안양역도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