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18:10:35

풍산역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수도권 전철 5호선의 도시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하남풍산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함북선의 철도역에 대한 내용은 풍산역(함북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전남선의 짓다가 만 역에 대한 내용은 풍산역(전남선)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풍산역
파일:GJ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서울 ·지평 방면
일 산
← 1.9 ㎞
백 마
1.7 ㎞ →
역명 표기
경의선 풍산
Pungsan
楓山 / 枫山 / [ruby(楓山, ruby=プンサン)]
경의·중앙선
서해선
주소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경의로 486 ( 풍동 1042)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풍산그룹[1] / KN 광역사업처)
( 문산역 관리 / 코레일 서울본부)
운영 기관
경의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의선 2009년 7월 1일
경의선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서해선 2023년 8월 26일
역사 구조
지상 1층 구조, 지하 1층 승강장[2]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3]
철도거리표
경의선
풍 산

1. 개요2. 역 정보3. 역 주변 정보
3.1. 1번 출구 - 일산신도시 정발산동 방면3.2. 2번 출구 - 중산동( 하늘마을), 애니골(풍산동) 방면
4. 일평균 이용객5. 승강장6. 연계 교통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풍산역 경의선1.jpg
1번 출입구에서 보이는 풍산역사[4]
파일:풍산역 경의중앙선.jpg
맞이방
2009년 경의선 복선전철과 함께 영업개시
풍산역은 2009년 경의선 복선전철 개통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기존 경의선의 긴 역 간 거리를 보완하고, 인근 주민들의 편의를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것이 특징이다. 역명이 유래한 지명은 옛 마을 이름인 풍동(楓洞)과 산황동(山黃洞)을 합쳐 붙인 이름이다. 이 중에서 풍동은 오래전부터 산이 없고 벌판이 넓어 바람이 많이 불어 붙여진 이름인데, 이후 바람을 막기 위해 단풍나무를 많이 심으면서 풍리로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산황동은 마을에 있는 산의 흙이 붉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325번, 수도권 전철 서해선 S08번.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경의로 486 ( 풍동 1042)에 위치해 있다. 부역명은 애니골이었으나 2012년 들어서 삭제되었다. 희한한 건 이 역은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의 대상이 처음부터 아니었다는 것. 즉 부역명을 삭제할 이유가 없었다. 애당초 풍동애니골로 지역에서도 유명했다. 왜 부역명이 삭제되었는지는 불명. 부역명이 있을 때에는 애니콜이나 애니메이션 체험관 같은 것을 떠올리는 사람도 있던 모양이다.

2. 역 정보

파일:풍산역 안내도(사본).png
역 안내도 크게보기
풍산역은 일산역 백마역 사이의 역간거리(3.6km)가 넓다 보니 두 역 사이에 사는 주민들을 위해 두 역의 거의 중간 지점에 세워진 역이다.[5] 2009년 복선전철화와 함께 개업한 유일한 역이며, 원래는 행신역, 탄현역, 금릉역, 월롱역 등도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개업할 예정이었지만 전철화가 예정보다 훨씬 미뤄지면서 저들 역은 2000년대 초반에 먼저 개통했다. 가장 우선순위가 낮았고 주민들의 불만도 별로 없었던 풍산역만 미리 열지 않고 전철 개통 때까지 기다릴 수 있었던 것이다. 경의선의 유일한 반지하 역사인데, 주민들이 소음과 생활권 단절을 문제삼아 지하화를 요구하여 고양시와의 협의 끝에 절충점을 찾은 것이다. 완전 지하화되지 못한 이유는 이 곳이 마포구 용산구만큼 인구 밀도가 높지도 않은데다가 통일 이후 일반열차와 화물열차가 수시로 드나들 것을 감안했기 때문이다.

역명인 풍산은 행정동 "풍산동"에서 유래했으며, 풍산이라는 이름은 법정동 "풍동"과 "산황동"에서 머릿글자를 따 온 것이다. 풍동은 바람이 많이 부는 지역이었기 때문에 風(바람 풍)을 썼는데, 이 바람을 막으려 단풍나무 은행나무를 많이 심은 후 가을이 되면 단풍이 흐드러지게 피어 한자가 楓(단풍 풍)으로 바뀌었다. 한편 산황(山黃)동은 산과 들에 누런 흙이 많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 아이러니한 건 풍산동 중에서 풍산역 역세권은 얼마 되지 않는데, 풍동은 애니골에 둘러싸여 있는 쌍용아파트와 이마트 옆의 와이하우스 등 2~3개 단지를 제외한 숲속마을, 은행마을 등 나머지 단지는 전부 백마역 역세권이고, 산황동은 동 전체가 곡산역 역세권이다(...) 여담으로 수도권 내에서 고양시 정반대쪽에 있다고 할 수 있는 하남시에도 풍산동이 있는데, 이 역이 먼저 지어졌기 때문에 하남시 풍산동에 지어진 하남선 역은 하남풍산역이 되었다.

풍동은 잘 알려져 있지만 산황동은 모르는 사람이 많기 때문에 흔히 풍산을 "동+중"으로 잘못 해석하곤 하는데, 중산은 중산지구가 생기고 나서 만들어진 이름이며, 중산동도 2005년이 되어서야 만들어진 동네이다. 원래는 구일산, 중산, 일산신도시 북부까지 전부 일산동 소속이었으며 현재 "구일산"이라 불리는 일산1·2동이 일산1동, 중산동이 일산2동, 일산3동은 그대로 일산3동, 정발산동이 일산4동이었다. 그러다 일산구가 고봉로를 경계로 일산동구 일산서구로 쪼개지는 바람에 일산동 역시 분할할 필요가 있었고, 그 결과 지금처럼 나뉘어진 것이다. 일산4동은 밤가시마을에서 따온 율동, 양지마을에서 따온 양지동, 그리고 인근 학교 이름에 있는 저동 세 개 중 하나로 개명하려 했으나 밤가시마을과 양지마을 측에서 병림픽을 벌이다 결국 정발산동이 되었다. 그런데 정작 정발산은 산 전체가 마두동 소속이다(...) 정발산 없는 정발산동

이곳은 원래 정발산에서 고봉산으로 이어지는 산 능선에 위치해 있어 경사가 있었지만,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신도시 구획에 포함된 정발산동은 평탄화를 위해 능선을 깎아(!)버렸고, 신도시 구획 밖인 풍산동과 중산동은 그대로 두었다. 때문에 풍산역 동서로 고도 차이가 심하게 난다. 만일 풍산역이 지상에 건설되었으면 일산역과 백마역 사이의 선로 경사가 급해졌을 것이고, 실제로 과거 단선 비전철 시절에는 경사가 심했다. 이미 중산동과 풍산동 일대 역시 개발이 완료되어 이제 와서 정발산동처럼 평탄화시킬수도 없다 보니 역을 반지하로 파게 된 것이다. 그래서 반지하역이지만 일산역 또는 백마역에서 풍산역으로 갈 때 지하로 내려간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고 그냥 평지를 달리는 것 같은데, 선로가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능선의 영향으로 주변 지형이 높아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과거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코레일 마트가 있었고 안에 역무원이 상주해있었으나 현재는 그 자리에 다른 협회가 들어와있고 무배치간이역이기 때문에 역무원을 보기 어렵다. 문의사항이나 용건이 있을 때 참고하자. 공익근무요원 2명과 미화원 2명이 직원의 전부. 역이 고지대에 위치해 있어서 부지가 남았는지 직원 기숙사가 역 내부에 위치해 있다. 역 안에서는 못 들어가고 풍산동 쪽의 주차장에서 보면 기계실 옆에 기숙사 입구가 있다. 이 기숙사에는 주로 막차시간대에 경의선 쪽 철도공사 역무원들이 잠을 자러 온다.

단, 풍산역부터 곡산역까지 모두 수도권 전철 서해선과 환승역임에도 중랑역, 정왕역~안산역, 고잔역, 중앙역과 다르게 환승안내 멘트 방송이 나온다. 한마디로 노선 공용이다.

3. 역 주변 정보

정발산동의 주택가와 빌라 아파트 단지, 2000년대 후반 개발된 풍동지구(테마마을), 중산동( 하늘마을)을 배후에 두고 있어 고정 수요가 꽤 있다. 하늘마을이나 센트럴 아이파크야 워낙 풍산역과 가까우니 도보로 이용 가능하지만, 중산마을과 산들마을은 어림도 없는 거리다. 이쪽은 대신 NH에도 5~7분 배차를 유지하는 11번을 타고 일산역을 이용한다. 심지어 산들마을은 일산역까지 도보로 이동이 가능한 거리이므로 풍산역을 이용할 가능성은 더더욱 낮다. 그래도 거리만 보고 이용객이 있겠거니 싶다면, 중산-일산역을 잇는 11번과 중산-풍산역을 잇는 고양 버스 070의 하늘과 땅 차이인 배차간격과 이용 승객을 확인하면 된다. 더군다나 주변 역들이 경의선 내에서 비중이 큰 역들 뿐이라 일산 내에서는 곡산역을 제외하고는 가장 비중이 떨어진다. 그러나 출퇴근시간에 빠르게 서울로 진입할 수 있다는 장점 덕에 직장인들의 수요를 꾸준히 끌어오면서, 개통 8년이 지난 시점에서는 일산역의 절반, 탄현역의 60%, 백마역의 3/4 수준까지 승객이 증가하였다.

이용객이 많지 않은 이유로는 정발산 주택가는 부촌이라 원래 대중교통 이용률이 낮을 뿐더러, 그나마 도보 10분 이내 거리에 사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풍산역을 자유롭게 이용하는 사람들은 하늘마을 3~5단지, 쌍용아파트, 밤가시 건영빌라 3~9단지와 근처의 몇몇 주택지구의 주민들이다. 그래도 정발산동의 양지마을 4~5단지 정도와 그 근처 다가구 주택 정도에서는 풍산역을 이용하는 비중이 꽤 높다.

입지만큼이나 연계 교통 또한 눈물날 만큼 부실하다. 2009년 개통을 앞두고 고양교통 99번이 신설되었지만 공기수송 끝에 폐선되었고, 기차 시절부터 역 앞으로 다니던 일반좌석 921번 조차도 일산로로 경유지가 바뀌면서 대중교통 연계는 거의 영 좋지 않은 상태. 풍동지구에서 이 역으로 오는 것도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백마역 문서 참고)... 81번이 풍산역-풍동지구 구간을 가긴 하는데 많이 돌아간다. 거의 일산신도시 투어 수준. 풍동지구 갈때 풍산역 이용하면 피본다. 그나마 하늘마을 쪽으로 가면 070번, 81번, 87번, 99번 등을 탈 수 있다. 문제는 81, 99번을 빼면 배차가 최소 20분 이상이라는 것. 결론은 풍산역 근처를 오려면 그냥 전철 타는 것을 추천한다. 돈이 많으면 택시를 타든지

그나마 있는 또 다른 환승연계 방법으로는 1번출구에서 횡단보도를 건너와 700여 미터를 도보로 이동하면 나오는 정발산동주민센터나 초가집 저동고등학교 정류장에서 일산 공식 순환버스 700번을 타는 방법이 있다. 다만 일산역과 백마역의 버스 연계성에 비하면 확실히 떨어지는 편이다.

원래 지하주차장 공사를 하고 있었으나 결국 LH에서 돈을 안 주는 바람에 지하주차장을 백지화하고 그냥 고양시가 인수하여 지하도로로 변경하여 2012년 완공했다. 그리고 주차장은 알뜰주유소 정발산 주유소에서 좀 더 가다보면 나오는 지상 주차장이며, 풍산역 뒤로 들어갈 수 있지만 평일 낮에도 항상 차들이 꽉 차있다.

풍동2 보금자리주택 택지지구가 추진되었으나 무산되었고, 풍산역은 풍동1지구가 건설비를 부담해서 지었으나 정작 풍동1지구에서는 이 역에 접근하기 어려워서 백마역으로 가게 된다. 다만 2015년 들어서 풍동2지구를 민간개발로 재추진한다는 떡밥은 돌고있다. 풍동2지구의 개발이 확정되었고, 더샵 일산엘로이 더샵 일산 데이엔뷰가 입주하게 되면 이용 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래도 정발산동에서 이용하기는 위치가 그렇게 나쁘지 않고 3호선의 우회하는 선형 때문인지 일산역이나 백마역만큼은 아니지만 수요는 꾸준히 늘고 있다. 양지마을에서도 풍산역을 이용하러 오는 정도이니...

이 역명을 따게 된 행정동 "풍산동"은 법정동 "풍동"과 "산황동"에서 한 글자씩 따 왔다. 풍동은 그 지역에 바람이 심하게 불어서 풍리(風里)였는데, 이 바람을 막으려고 단풍나무 은행나무를 많이 심어서 가을만 되면 단풍이 흐드러지게 피어서 풍리(楓里)로 바뀌었다. 이 풍리가 풍동(楓洞)이 된 것. 산황동(山黃洞)은 산과 들에 누런 흙이 많아서 산황. 간혹 역명을 중산에서 따왔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중산은 중산지구가 생기고 나서 만들어진 이름이다. 중산동 자체도 2005년 일산구 분할 때 신설된 행정동이다. 원래는 일산2동 관할이었다. 풍산동에서 '풍', 중산동에서 '산'을 따와서 '풍산역'이라 카더라

행정동 경계가 재밌는게, 풍산역 광장까지는 정발산동이다가 역 입구를 들어서는 순간 풍산동이 된다. 그런데 서울역/용문방면 승강장 끝의 일부분은 중산동, 문산방면 승강장의 양 끝 2량 만큼은 또 다시 정발산동에 속한다... 결국 정발산동에는 전철역이 사실상 하나도 없고 승강장만 있다... (?!)[6]

이런 행정구역이 나오게 된 이유는 원래 풍산역 일대가 모두 일산동이었기 때문이다. 중산동은 원래 일산2동이었고 정발산동은 일산4동이었다. 지금 일산2동 영역은 일산동구- 일산서구를 분할하면서, 일산1동에서 일부를 넘겨받은 것이다. 일산동구를 신설하면서 경계를 고봉로로 잡는 바람에 법정동 일산동을 쪼개야 했고, 일산동구 일산동을 중산동과 정발산동으로 신설한 것이다. 정발산역이 만들어질 때에는 정발산동같은 건 없었다. 일산4동은 정발산동 대신 양지마을에서 따온 양지동, 밤가시마을에서 따온 율동, 저동고등학교에도 있는 저동 셋 중 하나를 쓰려고 했는데 양지마을, 밤가시마을 측에서 병림픽을 벌이다가 관내에 있지도 않은 정발산이라는 이름을 갖다 붙이면서 개판이 된 것. 정발산은 마두동에 있다.(...)

3.1. 1번 출구 - 일산신도시 정발산동 방면

도시에 있는 역답지 않게 조용한 분위기를 지녔는데, 이쪽 출구로 쭉 올라가면 고양시의 유일한 초가집인 밤가시초가가 있다. 거기서 오른쪽으로 꺾어 좀 더 올라가면 고양시 최대규모였던[7] 마두도서관, 그리고 정발산공원 뒷길이 있다.

2010년대 후반부터 이 지역이 밤리단길 또는 보넷길이라고 불리면서 일산 지역의 주요 핫플레이스가 되었다.

밤가시마을 건영8단지 빌라, 밤가시마을 건영7단지 빌라, 밤가시공원, 한국기독글로벌스쿨, 일산칼국수본점, 현대셀프정발산 주유소가 있다.

3.2. 2번 출구 - 중산동( 하늘마을), 애니골(풍산동) 방면

풍동 애니골, 이마트 풍산점, 경기도교육청 미디어교육센터, 고양풍동쌍용아파트(테마마을 1단지), 고양시 KB국민은행 배움누리, 요진와이하우스, YMCA 고양국제청소년문화센터( YMCA유스센터), 하늘초등학교, 애니아트힐즈가 있다.

한적한 전원마을처럼 도로 따라 음식점이 자리한 애니골은 1970~1980년대 백마역 카페촌이나 1990~2000년대의 경춘선 따라 MT촌에는 못 미치지만 그에 준하는 여유를 즐길 수 있다.

맞은편에 있는 이마트는 중산동 주민들의 열렬한 이용으로 매일매일 발 디딜 틈이 없다. 헬게이트. 주말이라도 되었다가는 그날은 물건이 다 떨어지기도 한다. 이게 원래 풍산역 주변지구는 일산2지구( 하늘마을)와 풍동2지구(테마마을) 보금자리주택사업지구였는데 풍동2지구가 금융위기로 백지화된 탓이다. 테마마을 1단지만 완공되어 주민들이 입주해있다. 풍동2지구의 개발이 확정되어 더샵 일산엘로이 더샵 일산 데이엔뷰가 2번 출입구의 동쪽에 2025년에 들어서게 된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파일:GJLine_icon.svg 파일:SeohaeLine_icon.svg ||<bgcolor=#77c4a3> 비고 ||
2009년 2,848명 [8]
2010년 4,046명
2011년 4,887명
2012년 5,284명
2013년 6,240명
2014년 7,178명
2015년 8,447명
2016년 8,993명
2017년 9,307명
2018년 9,800명
2019년 10,665명
2020년 8,313명
2021년 9,039명
2022년 10,062명
2023년 10,953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5. 승강장

파일:attachment/Pungsan1.jpg
경의·중앙선, 서해선 승강장
일산
2
1
백마
1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대곡· 청량리· 용문 방면
1 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 김포공항· 소사· 원시 방면
2 파일:GJLine_icon.svg 경의·중앙선 일산· 금촌· 문산 방면
2 파일:SeohaeLine_icon.svg 서해선 일산 방면

위의 눈물나는 이야기와 더불어, 설상가상으로 문산 급행을 보내 주기 위해 완행의 대부분은 바로 앞 역인 백마역에서 대피를 하는 바람에 정말 내리고 싶어진다. 즉, 문산 급행을 탄다면 이 역을 기준으로 급행이 완행을 추월한다. 백마역에서 완행이 먼저 들어와서 급행을 기다리고 있으니 실질적인 추월은 여기와 일산역부터다. 그러나 요즘엔 백마역보다 운정역에서 추월을 많이 해 금릉역 야당역에서 운정 도착 안내가 장 시간 뜨다가 갑자기 당역 통과 열차가 전 역을 출발하였습니다라는 문구가 뜨게 된다.

2017년 가을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을 하고 있으나, 추운 겨울에는 문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활짝 열어놓고 사용할 때가 가끔 있다.

이 역은 백마 방면으로 7퍼밀 하구배가 있다.

6. 연계 교통

파일:풍산역버스지도.png
풍산역 연계 버스 정보
정류소 구분 노선
① 풍산역
(20753)
<colcolor=#ffffff> 시내
② 풍산역
(58271)
시내
③ 풍산역
(20573)
마을
시내
④ 풍산역
(20575)
마을
시내

7. 둘러보기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73c7a6>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fc31f> 경의선
서해선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경의선 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wiki style="margin: -10px auto" <tablebordercolor=#02574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고양시
}}}
{{{#!wiki style="margin: 0 -10px"
{{{#02574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철도 파일:KTX BI.svg 행신( 행신발 KTX) · 대곡( 서해선 KTX)
무궁화호 대곡 · 원릉
파일:Seoulmetro3_icon.svg 대화 · 주엽 · 정발산 · 마두 · 백석 · 대곡 · 화정 · 원당 · 원흥 · 삼송 · 지축
파일:GJLine_icon.svg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경의선/한국항공대~수색 중간역
파일:SeohaeLine_icon.svg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대곡 · 능곡
파일:GreatTraineXpress_A.svg 킨텍스 · 대곡 · 창릉
교외선 능곡 · 대곡 · 대정 · 원릉 · 삼릉 · 벽제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00.svg 수도권제1순환선 · 파일:Expressway_kor_17.svg 평택파주선 · 파일:Expressway_kor_130.svg 인천국제공항선 · 양재고양선
국도 1( 통일로) · 39( 호국로) · 77( 자유로)
지방도 78 · 98 · 356 · 357(제2자유로) · 359 · 363 · 367
버스 고양종합터미널 · 화정터미널 · 일산읍터미널(명성)
고양 BRT · 고양시 시내버스 · 고양시 마을버스
공유자전거 쏘카일레클 · 카카오 T 바이크 · 지쿠 · 피프틴
공유킥보드 Beam · Lime · SWING · 씽씽 · 지쿠터
경기도의 교통
}}}}}}}}}}}} ||

[1] 운천역, 파주역, 월롱역, 금릉역, 운정역, 야당역, 탄현역, 풍산역을 관리한다. [2] 반지하 [3] 형식은 쌍섬식 구조로 지어졌으나 부본선 자리에 선로가 없어서 사실상 상대식이다. [4] 현재는 애니골이라는 부기가 사라졌다. [5] 두 역의 역간거리가 각각 1.9km, 1.7km이므로 거의 중간 지점이나 마찬가지이다. [6] 정발산역은 사실 마두동에 있다. [7] 2018년부터 아람누리도서관이 고양시 최대 도서관이 됐기 때문이다. [8] 개통일인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