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곡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옛 4호선과 수인선의 환승역 원곡역에 대한 내용은
안산역 문서, 경기도 김포시에 있는 비슷한 이름의 김포골드라인의 역에 대한 내용은
사우역
문서
참고하십시오.시우역 | |||||
일산 방면
초 지 ← 1.4 ㎞ |
서해선 (S27) |
원시 방면
원 시 1.5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
여의도 방면
초 지 ← 1.4 ㎞ |
건설 중
|
원시 방면
원 시 1.5 ㎞ → |
}}}}}}}}} | ||
역명 표기 | |||||
서해선 |
시우 Siu 時雨 / 时雨 / [ruby(時雨, ruby=シウ)] |
||||
서해선 |
주소 |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지하50 (원시동 804)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위탁] ( 안산역 관리 /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서해선 | 한국철도공사[위탁] | |
개업일 | ||
서해선 | 2018년 6월 16일 | |
서해선 | ||
|
2026년 12월 예정 | |
역사 구조 | ||
지하 3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철도거리표 | ||
대곡 방면
초 지 ← 1.4 ㎞ |
서해선 시 우 |
원시 방면
원 시 1.5 ㎞ → |
기점
|
안산연결선 시 우 |
안산 방면
안 산 2.6 ㎞ → |
[clearfix]
1. 개요
수도권 전철 서해선 S27번.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지하50 (원시동 804) 소재.2. 역 정보
조감도 |
역명판 |
지하 3층, 상대식 승강장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외부 출입구 4개와 엘리베이터 4개, 양방향 에스컬레이터 8개가 만들어졌다. 역사 시설(역명 개정 전, PC 확인 요망)
2.1. 역명 개정
역명 개정 전 역명판 |
계획 및 공사 당시 사용하던 가역명은 원곡역으로, 개통을 앞두고 안산시청에서 진행한 역명 설문조사에 후보로 나온 역명은 시민제안으로 나온 시우와 안산스마트허브[3]가 있었다. 이후 역명심의위원회에서 원곡역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해 말이 많았는데, 우선 역명이 역이 소재한 행정구역명과 맞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원곡동은 이 역과 단 1mm도 걸쳐있지 않은데도 역명으로 가져온 것.
결국 계속되는 역명 개정 요구에 안산시가 2019년 4월 15일부터 26일까지 안산시민을 대상으로 신규 역명을 공모하고 동년 5월 8일부터 15일까지 선호도조사를 실시했다.
2020년 11월 24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0-835호에 따라 역명이 시우역으로 개정되었다. 새 역명은 일대의 옛 지명인 시우동(時雨洞)에서 따왔다.[5]
3. 역 주변 정보
공단지원회관, 반월공단우체국, 한국산업단지공단 경기지역본부, 공단파출소,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연수원 등이 있다.4. 연계 교통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ddd><table bgcolor=#fff,#1F2023>
시우역1번출구(18655) ||
일반시내 | |
직행좌석 |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ddd><table bgcolor=#fff,#1F2023>
시우역4번출구.산업단지공단(18516) ||
일반시내 | |
직행좌석 |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ddd><table bgcolor=#fff,#1F2023>
우진공업(18557) ||
일반시내 |
||<-2><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000,#ddd><table bgcolor=#fff,#1F2023>
엠케이켐앤텍(18654) ||
일반시내 |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8fc31f><bgcolor=#8fc31f> 연도 ||
||<bgcolor=#8fc31f> 비고 ||
2018년 | 1,704명 | [6] |
2019년 | 2,143명 | |
2020년 | 2,173명 | |
2021년 | 2,444명 | |
2022년 | 2,624명 | |
2023년 | 2,550명 | |
출처 | ||
서해철도㈜ 자료실 |
- 반월공단 동북부를 역세권으로 삼는다. 그러나 다음 역인 원시역이 공단 안쪽까지 들어가고, 공단에서 운행되는 시내버스 대부분이 안산역과 연계되기 때문에 서해선 전체에서 부천종합운동장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적다.
- 매우 소폭이긴 하나, 코로나19가 강타한 2020년에 이용객이 상승한 몇 안되는 역이다.[7] 반월공단에는 재택근무가 사실상 불가능한 제조업 분야 업체들이 집적해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6. 승강장
역이용 및 대피 안내도 크게 보기 |
↑ 초지 | |||
상 | ㅣ | ㅣ | 하 |
원시 ↓ |
상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초지· 선부· 김포공항· 일산 방면 |
하 | 원시 방면 |
7. 기타
- 서해선 입출고선이 위치하고 있다. 연장 2.4km로, 안산역 남쪽에서 복선으로 접속한다. 이 입출고선을 통해 서해선 전동차가 시흥차량사업소로 입출고하고 있다. 또한, 고잔역 방면으로도 연결선이 설치될 예정이다.
- 역명이 영어로 Siu라서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리액션인 Siuuu와 엮는 개그가 있다.
- 영동선 양원역이 원곡역으로 했다는 여담이 있었는데 안산의 원곡 때문에 양쪽의 원곡이라는 뜻으로 양원역으로 정했다는 이야기가 있다.
8.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fc31f> 경의선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
서해선 |
능곡 -
원종 -
부천종합운동장 -
소사 -
소새울 -
시흥대야 -
신천 -
신현 -
시흥시청 -
시흥능곡 -
달미 -
선부 -
시우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서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미개통) - - - - - - - |
}}}}}}}}} |
안산연결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04938> |
'''
영등포 -
신풍 -
구로디지털단지 -
독산 정거장 -
석수 -
목감 정거장 -
성포 정거장 -
호수 정거장 - '''
|
''' |
||
'''
시흥능곡 -
달미 -
선부 -
시우 -
원시 -
국제테마파크 -
서화성 -
화성시청 - '''
|
}}}}}}}}} | |
타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위탁]
서해철도㈜
[위탁]
[3]
반월국가산업단지의 노후화된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2011년 8월부터 전국 각지에 위치한 6개 국가산업단지와 함께 명칭을 변경하였다.
[4]
원곡동은 안산에서 외국인이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곳으로,
현재의 안산시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많은 역할을 한 동네이다. 외국 문화를 간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긍정적인 부분도 있지만 치안이 워낙 불안하다보니 서울의
대림동 수준으로 이미지가 좋지 않다.
[5]
사실 엄밀히 따지면 시우동은 원시역 일대의 옛 이름이며, 이 역 일대의 옛 지명은 원하리(元下里)였다. 이후 1914년 행정구역 대개편 때 두 곳이 합쳐져 원시리(元時里)가 된 것. 어떻게 보면 시우역 대신 '원하역' 등으로의 개명이 역사성으로는 더 적절했을지도 모르는 셈. 참고로 원상리(元上里)도 있었는데, 이쪽은 모곡리(茅谷里)와 합쳐져 원곡리(元谷里)가 되었다.
[6]
개통일인 6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19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7]
동년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역은
3호선에 있는
지축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