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릉역 | ||
문산 방면
금 촌 ← 2.1 ㎞ |
경의·중앙선 (K330) |
서울 ·지평 방면 |
운 정 3.1 ㎞ → |
||
경의·중앙선 경의선 급행 B
|
||
용문 방면
|
||
역명 표기 | ||
경의선 |
금릉 Geumneung 金陵 / [ruby(金陵, ruby=クムヌン)] |
|
경의·중앙선 | ||
주소 | ||
경기도 파주시 금릉역로 85 ( 금촌동 605-1)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
풍산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 문산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
||
운영 기관 | ||
경의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경의선 | 2004년 10월 31일 | |
경의선 | 2009년 7월 1일 | |
경의·중앙선 | 2014년 12월 27일 | |
역사 구조 | ||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1] | ||
철도거리표 | ||
서울 방면
운 정 ← 3.1 ㎞ |
경의선 금 릉 |
도라산 방면
금 촌 2.1 ㎞ → |
[clearfix]
1. 개요
금릉역사 |
임시 역사 |
금촌역 혼잡을 줄이기 위해 세워져
임시승강장으로 출발하여 괄목성장
금릉역은 2004년 10월 경의선 임시승강장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금촌역의 혼잡도를 해소하고, 인근의 택지개발로 대단위 상가와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후 2007년 10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으며,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임시역사를 거쳐 2011년에 현재의 역사로 이전하였다. 작은 임시승강장으로 시작했지만, 주요 관공서 및 주거지역, 상업지역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인근 주요역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성장, 오늘날에는 파주시의 대표 역사로 자리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임시승강장으로 출발하여 괄목성장
금릉역은 2004년 10월 경의선 임시승강장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금촌역의 혼잡도를 해소하고, 인근의 택지개발로 대단위 상가와 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후 2007년 10월 1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으며, 2009년 수도권 전철 경의선이 개통되면서 임시역사를 거쳐 2011년에 현재의 역사로 이전하였다. 작은 임시승강장으로 시작했지만, 주요 관공서 및 주거지역, 상업지역 가까이 자리하고 있어 인근 주요역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성장, 오늘날에는 파주시의 대표 역사로 자리하게 되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330번. 경기도 파주시 금릉역로 85 (금촌동 605-1) 소재.
2. 역 정보
역 안내도 크게 보기 |
맞이방 |
완전히 다지지도 않은 노반에 임시승강장을 만들었고 전철 공사로 어수선한 승강장에서 열차를 타야 했던 아찔한 묘미가 있었다.
개통 이후 2009년에 드디어 전철이 들어오고 금릉역이 담당했어야 할 원래 역할을 맡기 시작했으나, 토지 보상 문제 등으로 신역사 공사가 늦게 시작되었다.
따라서 2009년 수도권 전철 개업 당시에는 임시역사 생활을 해야 했지만, 2011년 연말에 신역사가 완공됨에 따라 신역사에서 제대로 된 영업을 하고 있다.
이 역은 실제로는 금촌동에 있으며, 파주시의 법정동인 금릉동에서 무려 1.2㎞나 떨어져 있다.
역명은 지자체의 지명위원회에서 심의 및 확정하는데, 금촌역이 이미 있기 때문에 인근 지명인 금릉동에서 역명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골때리는 건 금릉역 개통 이후 나중에 만들어진 평택파주고속도로(서울~문산) 금촌IC는 금릉역과 정 반대로 이름은 금촌인데 금릉동에 있다.
수도권 전철 개업 시점부터 급행열차가 정차하던 역이었으며,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아파트단지가 상당히 많고 상업지구 및 주요 관공서( 파주세무서, 파주우체국)가 위치해 있어 운정역보다 압도적인 승하차량을 기록하다가, 운정신도시 수요의 증가로 그 격차가 줄어들더니, 운정역 순환마을버스 개통으로 운정역에 역전당하는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그러나 2015년 10월 31일 야당역 개통으로 운정역 수요가 잠식당하면서 2015년 12월에는 운정역의 승하차량을 재역전하는 데 성공했다.
게다가 운정신도시 접근성이 운정역보다 야당역이 우세하여 운정신도시 수요(운정역+야당역) 중 야당역의 점유율이 개통 10개월에 불과함에도 40%에 이르는데다, 야당역 인근에 롯데캐슬 파크타운이 건설 중이며 2017년 말 입주 예정임을 감안할 때, 운정신도시의 대표 역이 운정역에서 야당역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금릉역은 앞으로도 운정역의 승하차량을 계속 앞설 것으로 예상된다.
경의·중앙선 문산 ~ 용산 구간 중 유일하게 급행 열차가 정차/통과 둘다 있는 역이다. 다른 역들은 문산 ↔ 용산 급행 및 문산 ↔ 서울 급행에서 모두 통과하거나 모두 정차하거나 둘 중 하나인데 금릉역만 문산 ↔ 용산 급행은 정차하고 문산 ↔ 서울 급행은 통과하는 형식이다.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발표에서, 수도권 전철 3호선 일산선이 운정신도시 지역을 거쳐 이 역까지(4개 정거장) 연장될 예정이다. 경의중앙선 급행 추가정차 등의 환승역으로의 변화 또한 함께 진행될 예정.
3. 역 주변 정보
금촌2지구 상업지구가 역 출구 앞에 바로 맞이하고 있으며, 2000년대 들어 깔끔하게 정비된 광장과 건물들 덕분에 일각에서는 금촌역보다 훌륭한 역세권으로 칭송하기도 한다.[2] 역 바로 맞은 편에는 로데오거리가 있다. 때문에 파주 내에서 주로 10대~20대가 놀만한 상가들이 주로 입주해있는 상황. 참고로 역 앞 모 분식집에서 무한도전 노홍철 장가가자 특집을 촬영하기도 했다. 역 바로 앞에는 파주세무서와 파주우체국이 자리잡고 있다. 조금 걸어가면 파주시 중앙도서관도 있다. 반대편으로는 상술한 공릉천이 있다.역 앞으로 주공아파트를 위시한 금촌2지구가 건설되어 있는 반면, 역 뒤로는 곡산역, 대곡역 못지않은 경의선 최강의 역세권을 자랑한다. 바로 뒤가 공릉천이다. 공릉천 따라 소규모 공원이 정비가 되어서 길 따라 벽제(관산동), 봉일천, 교하까지 산책이 가능하다. 다만 물가 바로 옆이라 여름엔 모기떼가 극성을 부리니 참고할 것. 선로와 하천 사이에 소규모의 논이 아직 남아있는데 거기 서식하는 모기 개체 수도 장난이 아니다.
금릉역의 문제는 출구가 동쪽으로만 나 있고 공릉천 서쪽으로 향하는 서쪽 방면 출구가 없다는 것. 금릉역을 와 보면 역 내부에 분명히 서쪽 출구를 위한 공간은 마련돼 있는데, 역사 증축을 하지 않고 계속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파주 상공회의소가 여기에 있어서 워드프로세서 자격증 시험을 볼 수 있다. 컴퓨터활용능력 시험은 2019년까지는 고양상공회의소만 가능하고 파주상공회의소는 불가능했다. 파주상공회의소는 금릉역 맞은편에 바로 있으니 참고.
금촌시내의 서남부 끝으로 매우 구석진 자리이지만 의외로 연계되는 버스가 많은 편이다. 구파발역, 일산 방향으로 넘어가는 상당수의 버스가 금릉역 앞을 경유한다. 경의선과 나란히 공릉천을 건너는 도로가 교하와 봉일천-광탄을 잇는 도로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덕분에 의외로 버스 환승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는데, 파주 버스시스템이 서울과 고양에 비하면 지극히 열악하므로 환승할 때 참고하는게 좋겠다.[3]
금융업체로는 KB국민은행 금촌중앙지점, 파주 우체국, 하나은행 파주지점, 은곡 신협 금촌지점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77c4a3><bgcolor=#77c4a3> 연도 ||
||<bgcolor=#77c4a3> 비고 ||
2009년 | 4,063명 | [4] |
2010년 | 5,430명 | |
2011년 | 6,523명 | |
2012년 | 6,934명 | |
2013년 | 8,105명 | |
2014년 | 8,891명 | |
2015년 | 9,318명 | |
2016년 | 9,680명 | |
2017년 | 9,829명 | |
2018년 | 9,442명 | |
2019년 | 9,597명 | |
2020년 | 7,102명 | |
2021년 | 7,720명 | |
2022년 | 8,962명 | |
2023년 | 10,035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역 주변 인구는 금촌2동 약 32,000명이다.
- 역 앞에 금촌2지구와 상업지구가 있어 유동인구가 제법 많으나, 역 서부가 공릉천에 막힌 까닭에 역세권 인구가 그리 많지는 않다.
- 2017년에 일평균 이용객 9,800명대를 기록하며 만명을 넘기는 줄 알았으나, 2018년에 수요가 도로 감소해 1만명 달성에 실패했다...가 2023년에 드디어 만명을 넘어섰다.
5. 승강장
경의·중앙선 승강장 |
↑ 금촌 | |||||
2 | ㅣ | ㅣ | 1 | ||
운정 ↓ |
1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완행·급행 | 운정· 일산· 서울역· 용문 방면 |
2 | 완행·급행 | 금촌· 월롱· 파주· 문산 방면 |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 중이다.
6. 연계 교통
금릉역 연계 버스 정보 | ||
정류소 | 구분 | 노선 |
금릉역 (31681) 역 앞 정류소 |
<colcolor=#ffffff> 마을 | |
직행좌석 | ||
공항 | ||
금릉역 (31682) 역 건너편 정류소 |
마을 | |
직행좌석 | ||
공항 |
7.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73c7a6> 경의선 |
도라산 -
임진강 -
운천 -
문산 -
파주 -
월롱 -
금촌 -
금릉 -
운정 -
야당 -
탄현 -
일산 -
풍산 -
백마 -
곡산 -
능곡 -
행신 -
강매 -
한국항공대 -
수색 -
가좌 -
신촌 -
|
용산선 |
가좌 -
서강대 -
효창공원앞 -
|
|
경원선 |
용산 -
이촌 -
서빙고 -
한남 -
옥수 -
응봉 -
|
|
중앙선 |
중랑 -
망우 -
양원 -
구리 -
도농 -
양정 -
덕소 -
도심 -
팔당 -
운길산 -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경의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주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bgcolor=#ffffff,#191919><colbgcolor=#004989><colcolor=#ffffff><tablewidth=100%> 철도 | 야당 · 운정 · 금릉 · 금촌 · 월롱 · 파주 · 문산 · 운천 · 임진강 · 도라산 | ||||
운정중앙 | ||||||
도로 | 고속도로 | 평택파주 · 수도권제2순환 | ||||
국도 | 1( 통일로) · 37( 율곡로) · 77( 자유로) | |||||
버스 | 버스노선 | 광역급행버스 | 직행좌석버스 | 일반버스 | 마을버스 | |
버스터미널 | 문산고속버스정류소(문산공용) · 금촌고속버스정류소 · 운정고속버스정류소 | |||||
항만 | 포구 | 학당포구 외 7개소 | ||||
공유이동수단 | deer, SWING, 씽씽, 킥고잉, 일레클 | |||||
경기도의 교통 |
[1]
형태는 쌍섬식 구조로 지어졌지만 선로가 없어서 사실상 상대식으로 운용되고 있다.
[2]
금촌역은 좀 걸어가면 파주시청과 주요 기관들이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노후화된 단독주택이나 구 상가들이 너무 많다. 금촌 주민들 또한 이를 모르는 것이 아니기에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2020년대 현재 시점에선 많이 지지부진한 상태. 그리고 이미 완공되어 입주한 신식 건물이 있어도 현재로서는 건물들마다 따로 노는 편이다.
[3]
구 파주시청 근처에 있던 금촌터미널이 사라지면서 새꽃마을 3단지 앞에서 버스들이 정차하다가 돌아갔다. 그마저도 구 32, 32-1 등 일부 노선은 폐지되고 38번은 운행축소 등으로 서서히 사라졌다.
[4]
개통일인 7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84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