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서 쿠데타 모의 후 발각되었다고 알려진 북한의 제6군단에 대한 내용은 제6군단 쿠데타 모의 사건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6군단 | 8군단 | 9군단 | 11군단 | |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육군 부대 | ||||
군단 | 해체된 군단 |
제6군단 第六軍團 VI Corps |
||||||
중서부전선을 지키는 강한 힘! 진군부대 | ||||||
창설일 | 1954년 5월 1일(제6군단) | |||||
해체일 | 2022년 11월 30일[1] | |||||
상징명칭 | 진군부대(進軍部隊)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지상작전사령부 | |||||
규모 | 군단 | |||||
역할 | 경기도 북부 지역 방어 | |||||
초대 군단장 | 예) 중장 이한림(군영 1기) | |||||
해체 전 군단장 | 예) 중장 강건작(육사 45기) |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자작동 | |||||
[clearfix]
1. 개요
군단사령부령 제1조(설치) ① 육군에 군단을 두며, 그 관할구역의 작전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기 위하여 군단사령부를 둔다. ② 군단의 명칭은 대통령이 정하고, 군단의 예속(隸屬)은 육군참모총장이, 군단의 배속(配屬)은 합동참모의장이 정하며, 군단 관할구역은 직속상관이 정한다. |
2. 연혁
1954년 6월 1일 경기도 포천군에서 창설되었다.1993년에 기동군단 개편계획이 잡혀 706특공연대[2], 306경비연대 등이 해체되었고 30사단을 1군단에서 받고 5, 73사단은 5군단, 28사단과 65사단을 1군단으로 넘겨 26, 30사단을 예하에 두었으나 외환위기의 여파로 이 계획이 무산되어 2000년 말에 전부 예하 연대들이 재창설되었으며 사단들도 전부 원위치되었다.
국방개혁 2020에 따라 제5군단과 합병될 예정이다. 합병에 어려움을 겪었던 8군단과 달리, 5, 6군단은 지리적으로 인접해있을 뿐 아니라 기능도 유사해 큰 어려움 없이 합병되었다.
2022년 10월 1일 0시부로 6군단 직할대 제외 예하 전투부대들이 5군단으로 제6군수지원단은 5군단 지원으로 전환되었다.
또한 예하 사단인 제28보병사단은 차후 해체 예정이며 현 6군단 소속의 제5보병사단과 1군단 소속의 제25보병사단으로 병력이 반반씩 전출될 예정이라고 한다. 제5보병사단과 제5기갑여단이 제5군단으로 전환될 예정이며 제6포병여단은 해체되어 제5포병여단과 화력여단으로 전환될 예정이다.[3]
3. 편제
3.1. 직할부대
3.2. 예하부대
4. 과거부대
- 제5보병사단(열쇠부대) - 2022년 제5군단으로 예속 전환.
-
제26기계화보병사단(불무리부대)- 2016년 제7기동군단으로 예속전환 된 후 2018년 제8기동사단으로 개편. - 제28보병사단(무적태풍부대) - 2022년 제5군단으로 예속 전환.
-
제29보병사단(태권부대)- 1959년 해체. -
제30기계화보병사단(필승부대)- 2000년 제1군단 예속전환, 2020년 제30기갑여단으로 축소 -
제65보병사단(밀물부대)- 2017년 부대 해체. - 제73보병사단(충일부대) - 2018년 육군동원전력사령부로 예속전환.
- 제5기갑여단(철풍부대) - 2022년 제5군단으로 예속 전환.
- 제706특공연대(비호부대) - 2022년 8월 22일에 해체
- 제516방공대대 - 2022년 제5군단으로 예속 전환.[7]
5. 출신 인물
5.1. 군단장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ea2>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ea2>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이한림 |
2대 백인엽 |
3대 강영훈 |
4대 김웅수 |
5대 최홍희 |
|
6대 김계원 |
7대 정래혁 |
8대 한신 |
9대 김희덕 |
10대 이세호 |
|
11대 박원근 |
12대 이소동 |
13대 김용휴 |
14대 이재전 |
15대 신현수 |
|
16대 강영식 |
17대 김홍한 |
18대 안필준 |
19대 박명철 |
20대 나병선 |
|
21대 임인조 |
22대 김재창 |
23대 최경근 |
24대 이재관 |
25대 서경석 |
|
26대 김판규 |
27대 서종표 |
28대 김충배 |
29대 류우식 |
30대 송기석 |
|
31대 정두근 |
32대 이홍기 |
33대 서길원 |
34대 김학주 |
35대 이범수 |
|
36대 박종진 |
37대 김성진 |
38대 김성일 |
39대 박양동 |
40대 강건작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군단장. |
역대 제6군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이한림 | 예) 중장 | |||
2대 | 백인엽 | 예) 중장 |
백선엽의 친동생, 휘하 부군단장이 박정희 준장 |
||
3대 | 강영훈 | 예) 중장 | |||
4대 | 김웅수 | 예) 중장 | 5.16 쿠데타 항거 | ||
5대 | 최홍희 | 예) 소장 | |||
6대 | 김계원 | 예) 대장 | 군영 01기 | ||
7대 | 정래혁 | 예) 중장 | 군영 01기 | ||
8대 | 한신 | 예) 대장 | 육사 02기 | ||
9대 | 김희덕 | 예) 중장 | |||
10대 | 이세호 | 예) 대장 | 육사 02기 | ||
11대 | 박원근 | 예) 중장 | 육사 02기 | 前 체신부장관 | |
12대 | 이소동 | 예) 중장 | |||
13대 | 김용휴 | 예) 중장 | |||
14대 | 이재전 | 예) 중장 | |||
15대 | 신현수 | 예) 중장 | |||
16대 | 강영식 | 예) 중장 | |||
17대 | 김홍한 | 예) 대장 | 육종 09기 | ||
18대 | 안필준 | 예) 대장 | 육사 12기 | 하나회 | |
19대 | 박명철 | 예) 중장 | |||
20대 | 나병선 | 예) 중장 | |||
21대 | 임인조 | 예) 중장 | |||
22대 | 김재창 | 예) 대장 | 육사 18기 | 하나회 | |
23대 | 최경근 | 예) 중장 | |||
24대 | 이재관 | 예) 대장 | 육사 21기 | ||
25대 | 서경석 | 예) 중장 | 학군 03기 | ||
26대 | 김판규 | 예) 대장 | 육사 24기 | ||
27대 | 서종표 | 예) 대장 | 육사 25기 | ||
28대 | 김충배 | 예) 중장 | 육사 26기 | ||
29대 | 류우식 | 예) 중장 | 육사 28기 | 前 육군본부 군수참모부장(소장) | |
30대 | 송기석 | 예) 중장 | 육사 29기 | 前 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장(소장) | |
31대 | 정두근 | 예) 중장 | 3사 07기 | 前 제2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32대 | 이홍기 | 예) 대장 | 육사 33기 | 前 제3야전군사령관 | |
33대 | 서길원 | 예) 중장 | 육사 34기 | 前 제1야전군사령부 부사령관 | |
34대 | 김학주 | 예) 중장 | 육사 35기 | 前 육군항공작전사령관 | |
35대 | 이범수 | 예) 중장 | 학군 18기 | 前 군단장 | |
36대 | 박종진 | 예) 대장 | 3사 17기 | 前 제1야전군사령관 | |
37대 | 김성진 | 예) 중장 | 학군 22기 | 前 국방대학교 총장 | |
38대 | 김성일 | 예) 중장 | 육사 42기 | 前 국방대학교 총장 | |
39대 | 박양동 | 예) 중장 | 학군 26기[8] | 前 육군군수사령관 | |
40대 | 강건작 | 예) 중장 | 육사 45기 | 前 육군교육사령관 | [마지막] |
5.2. 장교/부사관
직할부대 출신만 기재 요망. |
- 박정희: 육사 2기, 예)대장. 부군단장 역임.
- 김익권: 육사 5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 이진모: 3사 12기, 예)소장. 부군단장 역임.
- 김동명: 육사 28기, 예)준장. 참모장 역임
- 장학명: 육사 41기, 예)준장. 참모장 역임
- 김승겸: 육사 42기, 예)대장. 참모장 역임
- 이기성: 육사 44기, 예)소장. 참모장 역임
- 안병석: 육사 45기, 예)대장. 참모장 역임
- 고창준: 3사 26기, 대장. 참모장 역임
- 김호복: 3사 27기, 중장. 참모장 역임
- 석용규: 육사 49기, 준장. 참모장 역임.
- 강현우: 육사 50기, 소장. 참모장 역임.
- 김종묵: 학군 32기, 소장. 참모장 역임.
- 홍종철: 육사 8기, 예)준장. 작전참모 역임.
- 전제현: 육종 3기, 예)소장. 작전참모 역임.[10]
- 엄기학: 육사 37기, 예)대장. 작전참모 역임.
- 박일재: 육사 42기, 예)준장. 작전참모 역임.[11]
- 김태성: 육사 44기, 예)소장. 작전참모 역임.
- 권영호: 육사 45기, 중장. 작전참모 역임.
- 박후성: 육사 48기, 중장. 작전참모 역임
- 문성철: 육사 42기, 예)소장. 정보참모 역임.
- 엄용진: 육사 46기, 중장. 군수참모 역임.
5.3. 병
-
고누리 - 인터넷 방송인
제28보병사단 신병교육대를 수료하고 6군단 산하 포병부대로 전입해 K9 자주포병으로 복무했다. 군복무 일화를 주요 콘텐츠로 삼고 있어서 본인 및 함께 군복무한 사람들의 신상 유추를 방지하고자 정확한 출신 부대는 비밀로 하고 있다. 과거 누군가 고누리가 28사단 포병부대에서 복무했다는 유언비어를 나무위키 이곳저곳에 적어놓았는데, 원래부터 나무위키 뇌피셜에 이골이 난 고누리였던지라 생방송 중 그것을 보고 극대노해 나무위키를 작심 비판하기도 했다.
- 김석환 - 야구선수
-
조정식 - 제17·18·19·20·21·22대 국회의원
1985년 11월 18일 입대, 야전건설공병으로 복무, 1988년 2월 25일 병장 만기전역.
6. 기타
6.1. 근무환경
순찰로 구간의 길이가 길다.6.2. 진군회관
6.2.1. 본점(포천)
진군회관 본점 進軍會館 本店 Jin-gun Hall head office |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중앙로 35번길 2-19 |
6.2.2. 연천점
진군회관 전곡점 進軍會館 漣川店 Jin-gun Hall Yeoncheon office |
||||||
위치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은대성로 50 |
6.3. 군단가
1절조국의 부름받은 진군 용사들
충정의 기백으로 내일을 연다
피 끓는 전우애로 하나가 되어
승리의 깃발을 높이 날린다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충정의 기백으로 내일을 연다
피 끓는 전우애로 하나가 되어
승리의 깃발을 높이 날린다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2절
한 방울 피땀 속에 승리가 있고
두 방울 피땀 속에 나라가 산다
교육은 피가 되어 혈관을 돌고
훈련은 힘이 되어 지축을 흔든다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두 방울 피땀 속에 나라가 산다
교육은 피가 되어 혈관을 돌고
훈련은 힘이 되어 지축을 흔든다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3절
대한의 굳센 정기 한 몸에 안고
조국을 수호하는 진군 용사들
진군의 힘찬 함성 크게 외치며
통일의 최선봉에 우뚝 서리라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조국을 수호하는 진군 용사들
진군의 힘찬 함성 크게 외치며
통일의 최선봉에 우뚝 서리라
아! 중서부전선 강한 힘 6군단
조국 모두 우리를 믿고 있노라
7. 사건사고
- 2014년 8월 8일 밤 예하 6포병여단 소속 이○○상병이 차량정비병으로 복무 중 후임병에게 욕설 등 폭언을 해서 징계위원회에 넘겨져 15일 영창 판결을 받고 대기하던 중 군용트럭을 몰고 부대를 탈영해 시내버스와 승용차를 박고 튀다가 트럭과 같이 차탄교 아래로 떨어져 부상을 입고 병원 치료 후 헌병에 의해 연행되었다. 피해자들 중 중상으로 장해 위기까지 가기도 했다. 군 간부와 경찰 순찰차가 뒤쫓아오는데도 계속 질주한 걸 보면 처벌이 더 무거워질까 두려웠었다. 더군다나 이○○ 상병은 적성검사 결과 군 생활 부적응에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은 적이 있어서 B급 관심병사로 지정되었었다. # #
8. 여담
- 부대 마크가 얼핏 보면 방사선 마크와도 닮아서 해당 군단 혹은 대한민국 국군에 대해서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화생방 부대로 오해받기도 하며, 심지어 군단 마크가 붙은 차량이 찍힌 국군의 날 사진을 두고 핵무기 탑재 혹은 핵추진 차량으로 오해하는 사람도 있다. 누군가는 엄브렐러 같다고도 한다.[15] 실제로는 돌아가는 헬기의 프로펠러를 상징하며 힘차고 전진하고 상승하는 그런 기상을 이미지화 했다고 한다.
- 의정부시, 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포천시 남부 지역 향방예비군 훈련을 담당하기도 한다. 이는 군단 예하 306경비연대가 담당했다.
- 2018년 해체된 제26기계화보병사단이 2016년 하반기까지 6군단 예하 부대였다. 이후 제65보병사단이 해체, 제73보병사단이 동원전력사령부로 넘어가면서 군단의 규모가 상당히 작아졌고 해체시까지 이어졌다.
[1]
#
제27보병사단과 해체일이 같다. 예하부대의 지휘관계는 10월 1일부로 전환되었다.
[2]
1대대만 존속하여 제6강습대대 개편.
[3]
그리고 편제상 직할부대인 부대 상당수가 제5군단 직할부대와 중복되기 때문에 한쪽이 해체되는 식으로 통폐합될 가능성이 크다.
[4]
제5보병사단 정보대대로 재창설됨.
[5]
영외부대로,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
[6]
영외부대로 경기도 양주시에 위치.
[7]
6군단 시절에 사령부 內 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
[8]
금오공과대학교
[마지막]
군단장
[10]
前 6포병여단장, 11사단장, 3사교장.
[11]
前
제61보병사단장.
[12]
前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장.
[13]
前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262대대장.
[14]
수도군단은 애당초 명칭에 숫자가 안 들어가며, 부대 마크에
Λ가 들어간다.
[15]
사실 진짜 엄브렐러 마크와 비슷한 것은
미8군 마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