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81820><tablecolor=#E81820><tablebgcolor=#E81820>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E81820><tablebgcolor=#E8182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9f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이세호 |
2대 김종환 |
3대 박희동 |
4대 이건영 |
5대 유학성 |
|
6대 황영시 |
7대 정호용 |
8대 박희도 |
9대 최세창 |
10대 고명승 |
|
11대 신말업 |
12대 구창회 |
13대 윤용남 |
14대 도일규 |
15대 유재열 |
|
16대 길형보 |
17대 이남신 |
18대 서종표 |
19대 이상희 |
20대 김관진 |
|
21대 백군기 |
22대 이상의 |
23대 김상기 |
24대 이홍기 |
25대 권혁순 |
|
26대 김현집 |
27대 엄기학 |
28대 김운용 |
→ 지상작전사령부 통합 이전 | ||
※ 초대~28대: 대장 (4대 제외), 명칭 변천: 제3군사령관(초대~25대) ▸ 제3야전군사령관(25대~28대) |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ea2>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ea2>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김홍일 |
2대 김백일 |
3대 백선엽 |
4대 이형근 |
5대 김종오 |
|
6대 전부일 |
7대 김익렬 |
8대 장창국 |
9대 양국진 |
10대 김용배 |
|
11대 최석 |
12대 박임항 |
13대 임부택 |
14대 김익렬 |
15대 문형태 |
|
16대 이상철 |
17대 김상복 |
18대 심흥선 |
19대 전부일 |
20대 김재명 |
|
21대 최우근 |
22대 박희동 |
23대 양봉직 |
24대 이희성 |
25대 황영시 |
|
26대 김윤호 |
27대 이기백 |
28대 백운택 |
29대 박희도 |
30대 최세창 |
|
31대 류승국 |
32대 문영일 |
33대 이필섭 |
34대 이병태 |
35대 김상준 |
|
36대 조성태 |
37대 김척 |
38대 박영익 |
39대 강신육 |
40대 정중민 |
|
41대 오현구 |
42대 김선홍 |
43대 임충빈 |
44대 장광일 |
45대 황중선 |
|
46대 권오성 |
47대 최종일 |
48대 모종화 |
49대 엄기학 |
50대 김용우 |
|
51대 서욱 |
52대 안영호 |
53대 황대일 |
54대 안병석 |
55대 이두희 |
|
56대 강호필 |
57대 주성운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
|
출생 | 1957년 |
서울특별시 | |
재임기간 | 제27대 제3야전군사령관 |
2015년 9월 16일 ~ 2017년 8월 9일 | |
배우자 | 이은정 |
자녀 | 슬하 1남 |
학력 | 보성고등학교 (졸업) |
군사 경력 |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81년 ~ 2017년 | |
임관 | 육군사관학교 (37기) |
최종 계급 | 대장 (대한민국 육군) |
최종 보직 | 제3야전군사령관 |
주요 보직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제1군단장 합동참모본부 작전기획부장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제3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제205특공여단장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육군 대장. 최종 보직은 제3야전군사령관. 인물을 검색하면 1957년으로 재수했을 가능성이 있다.2. 생애
제3야전군사령관 취임식 당시의 모습.[1] |
3. 경력
대령 : 육군 (구)제65보병사단 제185 연대장대령 : 육군 제6군단 작전참모
준장 : 육군 제205특공여단장
준장 : 육군 (구)제3야전군사령부 관리처장, 작전처장[3]
소장 :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작전부장, 작전기획부장[4]
소장 1차 진급을 하여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역임 후 작전 직능 소장 최요직으로 평가받는 합참 작전부장으로 영전하며 육사 37기 중 선두주자였으나 2012년 발생한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 당시, 합참 담당자의 보고누락을 제 때에 챙기지 못하고 합참의장에게 계속 잘못된 내용의 보고를 올려 당시 합참 작전본부장이던 신현돈 중장[5]과 함께 징계유예를 받았다(당시 각 기수의 선두주자였던 합참 작전라인 합참 작전본부장 신현돈(35기), 합참 작전부장 엄기학(37기), 합참 작전1처장 구홍모(40기)가 징계를 받게 되었다.). 군단장 진출이 유력하던 중장 1차 진급 대상이었으나 해당 내용으로 1차 중장 진급 실패 후 작전부장에서 작전기획부장으로 전보되며 2차 진급도 실패 그로 인해 중장 진급이 힘들 것으로 보였으나, 워낙에 합동작전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이라 3차로 진급했다.
중장 : 육군 제1군단장
중장 :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
2013년 10월에 중장으로 진급했는데 육사 37기에선 전인범, 조보근과 중장 3차 진급에 속한다.[6] 1군단장 역임 후 동기 신원식의 후임으로 요직인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7]에 올랐다.
대장 : 제3야전군사령관
중장 3차 진급자이므로 대장으로의 진급이 힘들어 보였으나, 2015년 9월 대장 진급과 동시에 야전군사령관 중 최요직인 제3야전군사령관에 임명되었다. 상기 경력을 종합해보면 야전군사령부 작전처장 → 합참 작전부장 → 합참 작전본부장 등 작전분야 요직을 거친 합동작전분야 전문가다.
최순실 게이트 와중에 알자회 관련 폭로 문건이 공개되었고, 알자회 세력에 의해 엄기학이 2017년 상반기 인사에서 합동참모의장으로 내정되었다는 설이 폭로되었다. 야전군사령관 중 파워로는 으뜸격인 3군사령관인 엄기학이 다른 야전군사령관들을 제치고 합참의장으로 영전하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내정설의 진위 여부를 떠나 정권 교체 후 첫 군 인사에서 알자회 일소 여론이 힘을 얻게될 것인데 오히려 악영향을 받게 생겼다. 정작 엄기학 본인은 알자회에 속한 장성이 아니다. 그렇지만 알자회 폭로건이 아니더라도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 때문에 더 이상 영전이 힘든 상황이다.
알자회 관련 폭로 문건의 진위 여부는 차처하더라도 정권의 신뢰를 받는 장성들이 주로 보임되는 제3야전군사령관은 정권 중에는 승승 장구하지만, 정권 교체 후에는 전임 정권 라인으로 구분되어 영전하지 못할 확률이 매우 높다. 현재 정권 교체가 된 상황에서 엄기학 대장은 결국 2차 보직으로 영전하지 못하고 퇴역할 확률이 매우 높은 편이었고 8월 10일 결국 3기수 후배인 김운용 대장에게 이임하고 격동의 군 생활을 마감했다.
수도기계화보병사단장, 제1군단장 등 주요 지휘관 시절 크고 작은 훈련들을 통합하여 훈련 횟수를 줄이는 대신 한번에 완벽하게 끝내는 방식으로 지휘하였으며 얼차려와 가혹행위 등 내무생활 부조리를 없애려 노력하여 휘하에서 복무한 장병들로부터 평가가 매우 좋은 장군이다.
이후 2019년에 NGO인 월드투게더 회장 직에 추대되어 재임 중이다.[8] #
[1]
엄기학 대장 왼쪽에서 부대기를 전달하고 있는 인물은
김요환 전
육군참모총장(육사 34기)이며, 그 왼쪽의 대장은 전임이었던
김현집 대장(육사 36기)으로 이임 후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으로 영전하였다가 이듬해 예편하였다.
[2]
육사 37기 동기로는
신원식,
양종수,
이재수,
박찬주,
전인범,
조보근,
김영식,
고명현,
박지만 등이 있다.
[3]
1~3군사령부 작전처장 중 가장
요직이다.
[4]
합참 내 소장 보직 중 요직으로 꼽히는 투톱이다.
[5]
예)대장
[6]
1차는 2012년 10월에 진급한
신원식,
양종수이며 2차는 2013년 4월에 진급한
이재수,
박찬주,
김영식이다. 이때
학군사관 18기인
이범수도 중장 진급하였다.
[7]
이 보직은 대표적으로 대장 진급코스이며
남재준(육사 25기),
이상희(육사 26기),
김장수(육사 27기),
김관진(육사 28기),
김태영(육사 29기),
김근태(육사30기),
이홍기(육사 33기),
권오성(육사 34기),
신현돈/
박선우(이하 육사 35기),
서욱(육사 41기),
박정환(육사 44기),
전동진(육사 45기),
강신철(육사 46기),
강호필(육사 47기) 장군 역시 이 보직을 거쳐서 대장으로 진급했다.
[8]
해당 단체는 박노숙 前 제3군단장(육사 24기)가 설립하였으며,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이 이사로,
조정환 前 육군참모총장과
엄기영 前 MBC 사장이 명예이사로 참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