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10px" {{{#!wiki style="margin:-6px 0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ea2> |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004ea2>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81818,#e5e5e5 |
|||||
초대 김홍일 |
2대 김백일 |
3대 백선엽 |
4대 이형근 |
5대 김종오 |
|
6대 전부일 |
7대 김익렬 |
8대 장창국 |
9대 양국진 |
10대 김용배 |
|
11대 최석 |
12대 박임항 |
13대 임부택 |
14대 김익렬 |
15대 문형태 |
|
16대 이상철 |
17대 김상복 |
18대 심흥선 |
19대 전부일 |
20대 김재명 |
|
21대 최우근 |
22대 박희동 |
23대 양봉직 |
24대 이희성 |
25대 황영시 |
|
26대 김윤호 |
27대 이기백 |
28대 백운택 |
29대 박희도 |
30대 최세창 |
|
31대 류승국 |
32대 문영일 |
33대 이필섭 |
34대 이병태 |
35대 김상준 |
|
36대 조성태 |
37대 김척 |
38대 박영익 |
39대 강신육 |
40대 정중민 |
|
41대 오현구 |
42대 김선홍 |
43대 임충빈 |
44대 장광일 |
45대 황중선 |
|
46대 권오성 |
47대 최종일 |
48대 모종화 |
49대 엄기학 |
50대 김용우 |
|
51대 서욱 |
52대 안영호 |
53대 황대일 |
54대 안병석 |
55대 이두희 |
|
56대 강호필 |
57대 주성운 |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 |
임부택 관련 틀 | |||||||||||||||||||||||||||||||||||||||||||||||||||||||||||||||||||||||||||||||||||||||||||||||||||
|
<colbgcolor=#004ea2><colcolor=#fff> {{{#fff 대한민국 제13대 제1군단장}}} 임부택 林富澤 | Lim Butaek |
|
|
|
출생 | 1919년 9월 24일 |
전라남도 나주군 | |
사망 | 2002년 11월 13일 (향년 82세) |
서울특별시 | |
군사 경력 | |
임관 | 국방경비사관학교 (1기) |
복무 | 대한민국 육군 |
1946년 ~ 1962년 | |
최종 계급 |
상사 (일본제국 육군) 소장 (대한민국 육군) |
최종 보직 | 제1군단장 |
주요 보직 |
제6보병사단
제7보병연대장 제11보병사단장 제1야전군사령부 참모장 제2군관구사령관 제3군관구사령관 |
참전 |
춘천 전투 무극리 전투 동락리 전투 초산 전투 용문산 전투 금성 전투 |
수훈 |
태극무공훈장 (2회) 을지무공훈장 (4회) 충무무공훈장 (4회) 화랑무공훈장 (2회) |
[clearfix]
1. 개요
일제강점기 당시 군인이며 6.25 전쟁 당시 활약한 대한민국 국군의 장성. 자는 거산(巨山).2. 생애
1919년 9월 24일 전라남도 나주군(현 나주시)에서 아버지 임종곤(林鍾坤)과 어머니 한산 정씨(韓山 程氏) 정반기(程胖基)의 딸 사이의 3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 부모님의 농사일을 돕다가 1939년 조선지원병 2기로 일본제국 육군에 입대하여 조선총독부 육군병지원자훈련소 훈련교관으로 근무하던 중 8.15 광복을 맞았다. 창씨개명한 이름은 하야시 토미자와이며 광복 당시 그의 계급은 조장(曹長), 즉 상사 급이었다. #1945년 해방 후 그 해 10월 국방경비대 창설 준비를 위한 군간부양성소에 들어가 교관으로 근무하다가, 1946년 2월 국방경비대가 정식으로 창설되면서 중사계급장을 달고 사병 최초 군번인 '110001'을 부여받았다. #
같은 해 5월에는 국방경비사관학교 1기 소위로 임관되어 이듬해 대대장으로서 제주 4.3 사건 진압군으로 투입되기도 하였다. 1950년 1월 국군 제6보병사단 제7연대장으로 부임하였다.
한국전 초기의 6사단 춘천 전투의 실질적인 주인공으로서 춘천을 방어하던 7연대장으로서 북괴군을 저지하여 적의 의도를 저지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한다. 이후 동락리 전투에서 적을 섬멸하여 전 부대원 1계급 특진이라는 위업을 다시 이룩하며 초창기 지리멸렬하던 한국군에서 선전을 거듭하던 주요 지휘관이었다.
사단장 김종오 장군휘하에서 춘천 전투, 무극리 전투, 동락리 전투, 초산 전투, 용문산 전투 등 6.25 전쟁 당시 수많은 전투에서의 맹활약으로 특히 유명하다. 이들 전공으로 대한민국 국군 최고의 무공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을 받았다. 최종 계급은 육군 소장이다.
3. 여담
사후 그가 연대장으로 근무했던 6사단 7보병여단에는 임부택 사격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사단장으로 근무했던 제11보병사단에는 임부택 장군실이라는 명칭의 회의실이 조성되어 있다.5.16 군사 혁명 당시 상관의 명령에 불복종했으며 혁명군 측과 내통을 시도하였다. 이한림 제1군 사령관으로부터 진압을 명령받고 출동 준비를 갖추었다. 그러나 김종오 중장 및 김점곤 소장과 미군 전용선으로 연락해 김 소장의 혁명에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에 동의하고 출동 준비를 풀고 그 사실을 혁명군 측 4명의 각 군단장에게 통보했다. 그러나 임부택의 진의가 서울에 전달되지 않아 반혁명 혐의로 체포되기 시작했으나 진상이 밝혀져 현직에 머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