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라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1954 김경진 육군소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colbgcolor=#000><colcolor=#fff> 심일 沈鎰 | Sim Il |
|
|
|
출생 | 1923년 6월 5일 |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선천군 선천면 내문리 40번지 | |
사망 | 1951년 1월 26일 (향년 27세) |
대한민국 강원도 영월군 북면 마차리 | |
호 | 침랑(浸朗) |
본관 | 청송 심씨 |
학력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중퇴) 육군사관학교 |
가족 |
부: 심기연(?~1979) 모: 조보배(1904~2005) 동생: 심민[1] (1929~1960) 동생: 심익[2] (1934~1950) 동생: 심승택(1954~) |
군사 경력 | |
복무 기간 | 대한민국 육군 |
1949년 ~ 1951년 | |
최종 계급 | 대위[3] (대한민국 육군) |
참전 | 6.25 전쟁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군인이며 6.25 전쟁 참전용사이다.2. 생애
평안북도 선천군 출생으로 일찍이 서울로 내려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중퇴하고 육군사관학교 8기로 입교해 1949년 5월 육군 소위로 임관되어 춘천에 제6보병사단에 배치되었다.1950년 6월 25일 6.25 전쟁이 발발하자 춘천-홍천 전투에서 당시 제6사단 7연대 대전차포대 2소대장으로 백철원, 김순화, 윤봉국 등 명시된 대전차포대원 3명의 조력을 받아 남하하는 조선인민군의 SU-76 자주포 2~3대를 격파하는 전공을 세웠다. #
이러한 전공은 순식간에 전군에 알려져 조선인민군의 전차 및 자주포에 대한 공포심을 떨쳐버릴 수 있게 되었으며 모든 전선에서 육탄공격으로 적의 전차를 노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의 영웅적인 행동은 개전 초기 조선인민군의 남진을 지연시켜 국군이 한강 방어선을 구축하고 유엔군이 참전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 공로로 소위에서 중위로 1계급 특진되었으며, 이후도 충청북도 음성군, 경상북도 영천군 등지의 전투에서도 참가했다.
1951년 1월 26일 제7보병사단 수색중대장으로 수색임무를 수행하던 도중 강원도 영월군에서 조선인민군의 기습에 대응하는 중 총에 맞아 전사했다. 시신은 발견하지 못했다.
사후 1951년 7월 26일 태극무공훈장(훈기번호 제9호)이 수여되었고, 11월 11일 소령으로 추서되었다. 1954년 6월 12일에는 미군 은성훈장이 추서되었다.
그 뒤 그의 생도 시절 교관이었던 손희선 육군대학 명예교수 등의 주도로 그가 전사한 곳인 강원도 영월군 북면 마차리에 위령비가 건립되었다.
대한민국 육군은 심일 소령의 군인정신과 유훈을 기리기 위해 2002년 심일상을 제정하였다. 이는 군단 단위 전투부대 중대장 가운데 탁월한 리더십과 지휘통솔력을 발휘한 우수장교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2003년부터 매년 심일 소령이 전사한 1월 26일에 시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