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Numeral |
|||
한자 수사( 갖은자) | 그리스 숫자 | 로마 숫자 |
수와
연산 Numbers and Operations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765432> 수 체계 | 자연수 ( 홀수 · 짝수 · 소수 · 합성수) · 정수 · 유리수 ( 정수가 아닌 유리수) · 실수 ( 무리수 · 초월수) · 복소수 ( 허수) · 사원수 | |
표현 | 숫자 ( 아라비아 숫자 · 로마 숫자 · 그리스 숫자) · 기수법( 과학적 기수법 · E 표기법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 BEAF· 버드 표기법) · 진법 ( 십진법 · 이진법 · 8진법 · 12진법 · 16진법 · 60진법) · 분수 ( 분모 · 분자 · 기약분수 · 번분수 · 연분수 · 통분 · 약분) · 소수 { 유한소수 · 무한소수 ( 순환소수 · 비순환소수)} · 환원 불능 · 미지수 · 변수 · 상수 | ||
연산 | 사칙연산 ( 덧셈 · 뺄셈 · 곱셈 구구단 · 나눗셈) · 역수 · 절댓값 · 제곱근 ( 이중근호) · 거듭제곱 · 로그 ( 상용로그 · 자연로그 · 이진로그) · 검산 · 연산자 · 교환자 | ||
방식 | 암산 · 세로셈법 · 주판 · 산가지 · 네이피어 계산봉 · 계산기 · 계산자 | ||
용어 | 이항연산( 표기법) · 항등원과 역원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분배법칙 | ||
기타 | 수에 관련된 사항 ( 0과 1 사이의 수 · 음수 · 작은 수 · 큰 수) · 혼합 계산 ( 48÷2(9+3) · 111+1×2=224 · 2+2×2) · 0으로 나누기( 바퀴 이론) · 0의 0제곱 | }}}}}}}}} |
1. 개요
Roman numerals고대 로마에서 사용했던, 로마자로 수를 나타낼 때 쓰는 숫자 체계. 한글 키보드에서 ㅈ+ 특수 문자 조합으로 입력한다.
2. 표기법
일반적인 표기법은 다음과 같다.[1]||<tablealign=center><tablewidth=100%><-2> 부호 || I || II || III || IV[2] || V || VI || VII || VIII || IX[3] || X ||
특수문자 | Ⅰ | Ⅱ | Ⅲ | Ⅳ | Ⅴ | Ⅵ | Ⅶ | Ⅷ | Ⅸ | Ⅹ | |
아라비아 숫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접두사 | uni |
bi duo |
tri | quadri/quint | quintal |
sex(t) se |
sept | oct |
nonus nobem |
dec(a) de |
|
독음 | 기수[4] | unus | duo | tres | quattuor | quinque | sex | septem | octo | novem | decem |
서수 | primus | secundus | tertius | quartus | quintus | sextus | septimus | octavus | nonus | decimus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2> 부호 || L || C || D || M || F[5] ||
특수문자 | Ⅼ | Ⅽ | Ⅾ | Ⅿ | ||
아라비아 숫자 | 50 | 100 | 500 | 1000 | 5000 | |
접두사 | quinquanginta | centum | mille | |||
독음 | 기수 | quinquaginta | centum | quingenti | mille | |
서수 | quinquagesimus | centesimus | quingentesimus | millesimus |
이 이외에는 여기와 여기서 확인하자.
쓰고 읽는 법은 다음과 같다.
- 위의 각 로마 숫자를 큰 단위부터 먼저(왼쪽에) 오도록 쓰고, 그 숫자 전부를 합해서 읽으면 된다. 이에 따라 III은 1+1+1=3이 되고, MDC는 1000+500+100=1600이 된다.
- 만일 작은 단위가 큰 단위보다 왼쪽에 나온 경우, 큰 단위에서 작은 단위를 뺀다는 뜻이다. 따라서 IV는 5-1=4, CM은 1000-100=900을 나타낸다. 로마숫자가 읽기 어려워지는 부분이 바로 여기서부터다.
- 이 규칙은 1,10,100을 뜻하는 I,X,C가 바로 다음 자리수 큰 단위[6] 앞에 나올때만 적용된다. 따라서 49는 IL(50-1)로 쓸 수 없고[7] XLIX{(50-10)+(10-1)}로 써야 하며, 45 또한 VL(50-5)이[8] 아닌 XLV{(50-10)+5}이다. 99도 IC(100-1)로 쓸 수 없고, XCIX{(100-10)+(10-1)}이라 써야 하며, 95 역시 VC(100-5)가 아닌 XCV{(100-10)+5}이다.
- 이 예외규칙은 늘 적용되는 게 아니라서, 영국 런던의 애드미럴티 아치(Admiralty Arch)에 로마 숫자로 새겨진 건립연도(1910년)는 MCMX가 아니라 MDCCCCX로 표기되었다.
: ANNO : DECIMO : EDWARDI : SEPTIMI : REGIS :
|
: VICTORIÆ : REGINÆ : CIVES : GRATISSIMI : MDCCCCX :
|
에드워드 7세 임금 재위 10년에 빅토리아 여왕께 매우 감사하는 시민들이, 1910년. |
중세에 들어서는 큰 숫자를 표기하기 위한 몇 가지 변형된 로마 숫자들이 고안되었다. 5000을 F로 쓴다. 한 가지는 글자 위에 가로 작대기를 그어 1000배를, 좌우에 세로 작대기를 그어 100배를 나타내는 방법이었다. 또 하나는 500을 D가 아닌 IƆ로, 1000을 CIƆ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IƆ, CIƆ은 D, M과 모양이 비슷하다. 맞대응하는 C와 Ɔ의 수가 늘어날 때마다 기본수치를 1,000 / 10,000 / 100,000 식으로 10배씩 올리고, 오른쪽에 추가로 Ɔ를 하나 적을 때마다 5단위의 추가 수치를 500 / 5,000 / 50,000 식으로 올려나가게 된다. 나중에 이를 간소하게 줄여버려서 1000은 ↀ, 5,000은 ↁ, 10,000은 ↂ 식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9]
또한 0의 기호는 원래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자릿수가 아닌 단순히 "수가 없음의 0" 을 표기하기 위해 "없다(Nulla)" 혹은 그의 약자인 N이 간혹 0의 개념을 표기하기 위해 사용된 적은 있다. 다만 로마 숫자를 쓰는 24시간 시계에서는 아라비아 숫자 0을 쓴다.[10]
로마 숫자 변환기
2.1. 소수
고대 로마에서는 정수 구간에서는 10진법을 쓰면서도, 소수 표기에는 12진법을 사용하였다.부호 | 나타내는 수 |
• | 1/12 |
•• / : | 2/12 |
••• / ∴ | 3/12 |
•••• / :: | 4/12 |
••••• / :•: | 5/12 |
S | 6/12(절반) |
7/12부터 11/12까지는 S와 나머지를 결합하여 표기하였다. 그 이외에도, 다른 분모를 가지는 분수들을 표기하기 위한 잡다한 기호가 사용되었다.
2.2. 4(IV와 IIII) 또는 9(IX와 VIIII)
로마 숫자에서 4 는 ‘빼는 방식’인 IV(또는 iv) 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더하는 방식’인 IIII(또는 iiii) 로 표기하는 것도 널리 쓰인다. 문서의 목차등을 로마 숫자를 적을 때는 관례적으로 소문자로 표기하는데, 4번째를 iiii 로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9 역시 VIIII(또는 viiii)로 표기하는 경우가 4보다는 적지만 고대로부터 간간히 용례를 찾아볼 수 있다.특히 시계에서는 시각을 로마자로 표기하는 경우 4를 IV가 아닌 IIII로 표기하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다. ( 파텍 필립, 샤넬, 부쉐론, 노모스, 모리스 라크로와, 론진 등의 일부 시계는 4를 Ⅳ로 표기하고 있어 예외도 존재한다.) 유독 시계에서 4를 IIII로 표기하는 방식이 정착된 정확한 이유는 알려져있지 않고 아직까지는 가설의 단계에 머물고 있다. 그런데 이 가설이 워낙 종류가 많아서 문제. 몇 가지 유명한 가설을 설명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① 비슷하게 생긴 6(Ⅵ)과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 특히, 원형으로 다이얼 가장자리를 둘러싼 인덱스 특성상 4시부터는 글자가 90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뒤집히는데, 6(VI)과 혼동될 가능성 때문이라는 설.
② 미적인 조화와 균형 관점에서 좌측 대칭부의 8(VIII)이 다소 복잡하기 때문에 IV보다 더 복잡한 IIII를 쓴다는 설. 이 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9는 반대편의 3이 획수가 적은 관계로 굳이 VIIII가 아니라 단순한 IX를 사용한다.
③ 시계의 다이얼을 3등분했을 때, 1(I)부터 4(IIII)까지는 I자만 표기하고, 5(V)부터 8(VIII)까지는 V자로 표기하고, 9(IX)부터 12(XII)까지는 X자로 표기하는 것이 밸런스가 좋기 때문이라는 설.
④ 기술이 상대적으로 발전하지 않은 과거에 시계제조업자들이 V보다는 I가 훨씬 만들기 쉽기 때문이었다는 설,
⑤ 조형상의 편의를 위한 것이라는 설. I부터 XII까지 사용된 알파벳의 개수를 세어 보면 4를 IV로 표기할 경우 I 17개, V 5개, X 4개가 되지만 IIII로 표기할 경우 I 20개, V 4개, X 4개가 되기 때문에 I 5개와 V 1개와 X 1개로 이루어진 형틀로 네 번 찍어내면 I부터 XII까지의 12개 숫자 한 벌을 만들 수 있다.
⑥ 고대 로마시대 해시계부터 내려오는 미신으로서, 라틴어 I와 V는 현대영어 J와 U에 해당하는데, IV는 최고신인 유피테르(라틴어 IVPPITER, 영어로는 JUPITER)를 뜻하기 때문에 이를 피하고자했다는 설,
⑦ 고대-중세에 시계는 주로 교회나 광장 높은 곳에 설치되어 불특정 다수가 보는 것이었는데, 문맹률이 높던 당시에 간단하게나마 계산이 필요한 IV보다는(5-1=4), 좀 더 직관적인 IIII(1+1+1+1=4)를 사용했다는 설,
⑧ 프랑스의 태양왕 루이 14세가 IV보다는 IIII를 선호해서라는 설 등이 있다.[11]
3. 활용성
읽는 것은 규칙만 알면 어느 정도 수월히 할 수 있으나, 로마 숫자로 수학적 계산을 하는 것은 대단히 어렵다. 기본적으로 0의 일반적인 기호가 없을뿐더러 자릿수를 맞추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문자와 혼용할 경우 라틴 문자와 같은 문자(I, V, X)를 쓰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어 가독성에도 문제가 있다.같은 기호를 중복해서 복수의 양을 나타내는 성질 때문에 숫자 길이가 터무니없이 길어지고 지저분해지기가 쉽다. 특히 여기서 가장 문제가 되는 숫자는 다름아닌 8로, 이게 어느 자리에 들어가든 항상 문자 4개를 잡아먹는다는 게 큰 문제. 예를 들어 아라비아 숫자 88은 간단하게 2문자로 정리되지만, 이를 로마 숫자로 나타내면 LXXXVIII로 8문자나 사용해야된다. 이와 반대로 1000은 M, 1001은 MI, 2000은 MM으로 더 짧다. 아라비아 숫자는 길이가 길면 더 크다라는 지극히 상식적인 체계이지만, 로마 숫자는 기호 길이와 숫자 크기가 무관하기에 그만큼 불편하다. 특히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 제작년도를 로마 숫자로 쓰는 경우 1900년대는 몇 년도인지 읽어보려 하면 벌써 자막이 올라가버려 못 읽는 경우가 발생할 정도로 가독성을 저해한다. 타이토에서 만든 오락실 게임 중에서도 1980년대 초반에 나온 게임은 연도 표기가 'MCMLXXXIII'(1983) 식으로 적혀 있어서 멍때리게 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나마, 2000년도 이후 제작 영화는 다행히도 문자의 수가 적어졌다.
전술했듯이 0의 표기가 없고, 40 이상의 숫자를 표기하는 것은 불편하고, 1000 이상의 숫자를 표기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는 쓰이지 않고, 1~10까지의 간단한 숫자가 들어가는 항목에 대해서만 종종 쓰이는 편이다.
4. 사용되는 곳
활용성이 지나치게 낮아서 실생활에서는 아라비아 숫자에 밀려 거의 사용할 일이 없다. 다만 너무 흔한 아라비아 숫자에 비해 나름의 멋이 있기 때문인지, 1~10까지의 간단한 숫자가 들어가는 항목에 대해서는 알아보기 크게 어렵지도 않다보니 종종 쓰이는 편이다. 대체로 동아시아보다 서구권에서, 서구권에서도 영미권보다 유럽 대륙권이 일상에서도 로마 숫자의 활용빈도가 잦다.- 이름이 같은 창작물이나 제품의 시리즈를 표기할 때 서구권은 10까지는 대개 로마 숫자로 표기하는 걸 선호하며[12], 혹은 1부터 3까지만 로마 숫자로 그 이상부터는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13] 이런 활용법은 로마 숫자가 익숙하지 않은 동아시아에서도 꽤 사용하는 편이다. 물론 10편이 넘어가도 계속 로마 숫자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평소에는 넘버링을 아라비아 숫자로 표기하가도 10, 20처럼 뭔가 그럴싸하게 의미 부여를 할 때는 로마 숫자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14]
- 대단원, 챕터, 악장, 편수( Volume), 희곡의 막(幕, Act) 등 항목 별로 분류하고 넘버링을 할 때 큰 부분은 로마 숫자로 쓰고 그 하위 분류는 아라비아 숫자로 쓰는 것이 서구권에서는 관례이다.
- 서양에서는 동명의 군주나 교황, 총대주교를 구별하는 '~ 세'를 나타낼 때 로마 숫자를 사용한다.[16] 가령 조지 6세를 'George VI'로 표기하는 것처럼. 라틴 문자 이외의 문자를 사용하는 유럽 언어들도 그리스어를 제외하면 로마 숫자를 사용하고 있다.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들도 로마 숫자를 받아들였고, 조지아어와 아르메니아어도 로마 숫자를 도입하였다.
- 다만, 그리스어권에서는 유럽에서 유일하게 로마 숫자를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로마 숫자가 쓰일만한 곳이면 그 대신 그리스 숫자 표기를 고수하고 있다. 가령 콘스탄티노스 11세의 경우 Κωνσταντίνος ΙΑ΄로 표기하는데, 10을 나타내는 Ι와 1을 나타내는 A의 조합이다. 주니어에 해당하는 동명이인 후손들도 똑같은 표기로 후손임을 구분한다. 물론 그리스어권이 아닌 서양에서 그리스어권의 군주를 지칭할 경우엔 그냥 로마 숫자로 지칭한다. 예를 들어, 콘스탄티노스 11세를 영어로는 Constantine XI, 독일어로는 Konstantin XI, 프랑스어로는 Constantin XI, 라틴어로는 Constantinus XI 라고 쓴다.
- 서기년도를 표기할 때도 쓰는데, 서양에서 기념비적인 건축물의 머릿돌, 중요한 문서나 예술작품에 연도 표시를 할 때에는 로마숫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로마숫자로 쓰인 연도를 읽는 법을 알아두면 여행을 갔을 때 현지어를 잘 몰라도 연도 정도는 읽을 수 있게 된다. 올림픽 개최 연도, 저작권 표시의 연도도 로마 숫자를 많이 쓴다.
-
다음은 저작물에서 연도표기를 한 예이다.
FIRST NOTIONS OF LOGIC M.DCCC.XXXIX. AUGUSTUS DE MORGAN [17]
논리의 제일 개념들, 1839년, 어거스트 드 모르간 - 파시스트 이탈리아에서 서력기원과 함께 사용되었던 파시스트 기원(Anno Fascista, Era Fascista)의 햇수도 고대 로마를 기념하기 위해 로마자로 나타냈다. 가령 폐지되기 직전 마지막 해인 1945년[18]은 XXII E.F.로 표기했다.
- 할리우드 영화를 비롯하여 20세기에 서구에서 제작된 영상물은 로마 숫자로만 저작권 연도를 표기했다. 한국 대중에게도 익숙한 톰과 제리, 루니툰 등도 크레딧을 잘 보면 로마 숫자로 해당 에피소드의 제작 연도가 표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1세기에는 로마 숫자로 저작권 연도 표기하는 것이 사실상 사장되었으나, 라라랜드처럼 복고풍을 내기 위해 로마 숫자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 간혹 유럽 국가에서는 달(月, month)을 나타낼 때도 일(日, day)과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로마 숫자를 쓴다. 가령 '8.VII.2020'(2020년 7월 8일) 이런 식으로 표현한다.
- 로망스어권 사용 지역은 세기를 로마 숫자로 표기하는데 과거 러시아 제국의 귀족들이 프랑스어를 즐겨 사용한 덕에 구소련 언어에서도 로마 숫자로 세기를 표기하곤 한다. 21세기를 표기할 경우에는 프랑스어 XXIe siècle, 스페인어 Siglo XXI, 포르투갈어 Século XXI, 러시아어 XXI век, 아제르바이잔어 XXI əsr 같이 표기하는 게 정석적이다.
- 서양에서는, 군대( 육군)의 편제 단위들 중에서 군단을 나타낼 때에 로마 숫자로 표시한다. ( 영어: I Corps, 독일어: II. Korps 등) 한국 육군의 군단 편제에서도, 로마 숫자를 부대의 휘장이나 로고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제5군단이 좋은 예시.
- 국방과학연구소 등에서 개발한 한국산 무기의 제식 명칭에는 아라비아 숫자가 아닌 로마 숫자 대문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천궁의 두 번째 미사일은 천궁-Ⅱ이며, 최신예 잠수함에는 '장보고-Ⅲ'급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천궁2, 장보고3라고 써도 알아 듣는 데는 지장이 없으나 ADD 공식 홈페이지에서 쓰는 것은 로마 숫자 대문자이다.[20]
- 야구 기록용지에서 아웃카운트를 표시하기 위해 로마 숫자를 쓴다. 타자 및 주자 상황을 기록하는 부분을 보면 네모칸 안에 마름모꼴이 있는데 아웃된 타자 혹은 주자는 마름모꼴 안에 로마 숫자를 쓴다. 이닝의 첫 번째 아웃은 Ⅰ, 두 번째 아웃은 Ⅱ, 세 번째 아웃은 Ⅲ으로 표시. 이 경우 세로획 양 끝에 짤막한 가로획을 붙여서 工(장인 공)자처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 마인크래프트의 인챈트 레벨을 로마숫자로 표기한다. 그러나 10레벨까지만 X로 표기되고 11레벨부터는 아라비아 숫자로 바뀐다. 물론 11레벨은커녕 10레벨도 일반적으로 서바이벌 모드에서는 볼 수 없다.
- 리그 오브 레전드의 랭크를 나타내는 데에 쓴다.
- 고등학교 교과 중에서도 로마 숫자를 쓰는 과목이 있다. I 과목은 조금 더 쉽고 II 과목은 더 어렵다.[21] 다만,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I, 수학II의 경우는 아예 별개 과목 취급이라 연관성이 거의 없다. 이 때문에 수학II를 먼저 배우고 수학I을 나중에 배우는 것도 가능하긴 하다. 그렇지만, 학력평가 범위 때문에 수학I을 먼저 배우는 학교가 대부분이다. 심하게는 수학I을 고1 때 배우는 곳도 있다.
- 가톨릭에서 쓰는 십자가의 길 조각상 14개도 대부분 로마 숫자로 순서를 표시한다.
- 초신성 분류에서 I형 초신성, II형 초신성은 로마 숫자로 쓴 것이기 때문에 '1형 초신성', '2형 초신성'이란 의미이다.
- 가면라이더 에그제이드에서도 단 마사무네가 크로노스로 변신할때 로마 숫자(1~12까지)가 먼저 앞에 표시된다.
- 지진의 진도 체계 중 한국 기상청이 사용하는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은 로마 숫자로 표기한다. I(1)은 극소수의 사람만 느낄 정도의 약한 지진이고 숫자가 커질수록 강한 지진이다.
- 미쓰비시 랜서 에볼루션의 차량 세대를 표기할 때 로마 숫자를 정식 표기로 한다.[23]
- IOC에서 주관하는 올림픽 게임의 정식 명칭에는 그 게임의 회차 번호가 들어가 있는데 이 번호를 로마 숫자로 쓴다. 1988 서울 올림픽은 영어 Games of the XXIV Olympiad / 프랑스어 Jeux de la XXIVe Olympiade
5. 여담
유니코드에 별도로 특수문자 영역에 존재하지만, 닮은꼴 문자인 라틴 문자 대문자를 조합해서 대신하는 경우가 더 많다. 유니코드 구간은 U+2160-2188. 유니코드 6.1 기준으로는 100,000을 나타내는 중세 부호 ↈ마저 단일 문자로 제공되고 있다. 시계 등의 표현을 고려한 것인지 11과 12까지(Ⅺ, Ⅻ) 단일 문자로 포함되어 있다. 또한 소문자로 된 것도 있다.차두리는 로마 숫자로 된 문신을 새겼었다. 의미는 해당 문단을 참조.
서양 공동체에서 "SIX without S is 9."라는 문장으로 개드립을 날렸다. SIX(6)에서 S를 빼니 로마숫자 Ⅸ(9)가 나왔다는 것이다. 우연의 일치로, 6을 180도로 회전시키면 9가 된다.
6. 관련 문서
[1]
참고로 아라비아 숫자 1은 표기법에 따라 로마 숫자와 똑같이 생길수도 있다. 어차피 7과 혼동이 되어서 표기할 땐 잘 쓰지 않는다.
[2]
V(5)의 왼쪽에 놓인 I(1)은 V에서 빼는 수로 생각하면 된다. 즉 (-1)+5=4이다. 시계에서는 IIII로 쓰일 때가 많다. 한편 24시간 시계의 경우, 4는 IIII로 쓰더라도 14는 XIIII로 거의 안 쓰고 다 XIV라고 쓴다. 또 24시간 시계에서 자정은 보통 0으로 쓰지만 24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으며 XXIIII와 XXIV도 모두 쓰이는 편이다.
[3]
4와 비슷하게 (-1)+10=9가 된다. 드물게 VIIII로 쓰기도 한다.
[4]
스페인어 숫자(uno, dos, tres,....)와 왠지 유사해보이는데, 그 이유는 스페인어가
라틴어의 직계 후손이기 때문이다.
[5]
거의 안 쓴다.
[6]
최대 2단위까지, 예: I는 V와 X, X는 L와 C
[7]
3단위 이상 넘어갈 수 없다.
[8]
V, L은 앞자리에 올 수 없다.
[9]
무한대 기호 [math(\infty)]가 여기서 유래하였다.
[10]
로마숫자 체계에 0의 공식 기호가 없었던 이유는, 숫자 0의 기호 자체가 인도 아라비아 숫자 체계에서 처음 생겼기 때문이다. 그래서 고대 그리스 숫자 체계나 이집트 상용문자 숫자 체계에도 마찬가지로 0이 없었다.
[11]
실제로 루이 14세는 자신의 왕호가 XIV로 각기 다른 숫자가 3개나 있다. 때문에 당시에 만들어진 동전을 보면 루이 14세를 Louis XIIII로 묘사한 동전들이 많다.
[12]
예시:
삼국지 시리즈
[13]
예시:
갤럭시 S4,
펜티엄 4 등
[14]
예시:
macOS의 이전 명칭 OS X,
iPhone X
[15]
법 조문에서 조 및 항의 하위분류.
법 조문 체계 참조
[16]
"군주제 폐지론자들의 레퍼토리 중 하나가 만약 군주들이 계속 재위해서 왕호가 100세(C)를 초과하면 어떻게 할 것이냐다"라는 서술이 있었는데, 군주제의 역사가 천년 가까운 유럽 주요국들 중에서도 가장 높은 넘버링이 프랑스의 루이 18세, 혹은 바티칸의 성 요한 23세인 걸 보면, 19세기 이후 폐지된 모든 군주제가 부활한다쳐도 왕호 100세(C)가 나타나는 것보다 서기 5000년이 되는 게 더 빠를 듯하다.(...) 게다가 100 이후로도 500(D), 1000(M)도 있는데 왜 하필 100세인지는 미상. 독일
로이스-그라이츠 공가는 가문의 모든 공자들의 이름을 전부 하인리히로 작명했기에 100세(C)를 초과하면 그 다음부터는 다시 1세(I)로 표기하자고 정했지만, 이 가문도 67세까지만 나타나고 단절되었다.
[17]
FIRST NOTIONS OF LOGIC) 1839 AUGUSTUS DE MORGAN
https://www.gutenberg.org/files/67017/67017-h/67017-h.htm
[18]
엄밀히는 1944년 10월 28일부터 이듬해 10월 27일까지
[19]
사실 아라비아 숫자가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편화되어 로마 숫자는 상징적으로만 사용하는 게 근현대의 실정이지만, 세계 대전 자체가 두 번의 세계 대전을 겪고 나서는 국제사회가 정교하게 조정되어 개별 국가 간의 전쟁 자체는 막지 못하더라도 세계 3차 대전만큼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는 범지구적인 공감대가 있기 때문에 일어날 가능성이 낮아서 저런 명명이 가능한 것이다. 사실 1차대전 이전에 "대전"이라 불릴 만큼 큰 전쟁들(
30년 전쟁,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나폴레옹 전쟁 등)이 있긴 했지만 이들은 일단 학계에서 공식적으로 대전으로 불리진 않는다.
[20]
북한의
화성 미사일이나
북극성 미사일은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해 대조를 이룬다.
[21]
공통으로는 수학I, II, 영어I, II에 로마자가 표기되며 문과생이라면 제2외국어/한문 과목에(예: 중국어I, 중국어II, 한문I, 한문II), 이과생이라면 과학탐구(예: 물리학I, 물리학II, 화학I, 화학II)에 로마자가 표기된다.
[22]
Ⅰ, Ⅳ, Ⅴ를 많이 쓴다.
[23]
예시로 4세대 CN9A의 차량 측면에 EVOLUTION IV 라는 레터링이 적혀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