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03 14:56:22

부여단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c51426> 대(隊)급 편제
편제 분대 소대 중대 지역대 대대 연대
지휘관 분대장 반장 소대장 중대장 지역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부지휘관 부분대장 부소대장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
단(團)급 편제 군(軍)급 편제
편제 여단 사단 군단 작전사령부 야전군 집단군 군관구
지휘관 단장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작전사령관 야전군사령관 집단군사령관 군관구사령관
부지휘관 부단장 부여단장 부사단장 부군단장 부사령관
포병의 편제 지휘소
편제 포반 전포대 포대 포병단 사령부
지휘관 포반장 전포대장 포대장 단장 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1. 개요2. 상세3. 관련문서

1. 개요

군대의 각 여단 부지휘관으로 여단장 다음의 직위이다. 간단하게 말해서 해당 여단의 2인자인 셈이다. 원래는 여단장을 보좌하며 여단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그 직무를 대행하기 위해 만든 보직이다 장포대라면 그 여단은 망한 거다. 기갑여단, 공병여단, 공수여단과 같이 여단장 준장 여단 부여단장으로 대령이 보임되며, 여단장이 대령 보병여단의 경우 부여단장이 중령이 보임되며 기계화보병여단 예비역 중령 동원보직으로 지정되어있다.

2. 상세

한국 육군의 경우 준장 여단장 여단의 경우 대령 부여단장으로 두나, 이들 역시 부사단장과 마찬가지로 진급은 어려운 말년 대령이 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여단장보다 사관학교 선배인 일도 흔하며, 이런 경우 상호 존대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역시 계급보다 기수. 종종 극 말년 중령 부여단장으로 보임되는 경우도 있다.

임무는 상술한대로 여단장을 보좌하거나 여단장 궐위 및 부재시 그 임무를 대리하는 것인데, 가끔 여단 휘하 대대의 대대장이 휴가를 가거나 보직해임되어 부재시에는 여단장이 임시로 부여단장을 그 대대로 내려보내어 대대장 역할을 하게하는 경우도 있다. 보병여단이면 사실상 연대급이라 여단내에 대대장을 할만한 중령급이 별로 없기 때문이다.[1] 마찬가지로 독립포병여단(준장급)이면 부여단장(대령)을 휘하 포병단의 단장(대령) 역할로 잠시 내려보내는 경우가 있다. 중령 ~ 대령 다신 분들이 휴가를 잘 가지도 않긴하지만...

3. 관련문서



[1] 그래봐야 부여단장(1명), 3개 보병대대장 (3명), 있을수도 있고 없을수도 있는 보급대대장(1명)으로 4~5명이 다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