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22 18:17:16

부중대장

대한민국 육군/ 해병대 국방부 직할부대의 편제단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6400> 대(隊)급 편제
편제 분대 소대 중대 지역대 대대 연대
지휘관 분대장 반장 소대장 중대장 지역대장 대장 대대장 연대장
부지휘관 부분대장   부소대장 부중대장     부대대장 부연대장
단(團)급 편제 군(軍)급 편제
편제 여단 사단 군단 작전사령부 야전군 집단군 군관구
지휘관 단장 여단장 사단장 군단장 작전사령관 야전군사령관 집단군사령관 군관구사령관
부지휘관 부단장 부여단장 부사단장 부군단장 부사령관
포병의 편제 지휘소
편제 포반 전포대 포대 포병단 사령부
지휘관 포반장 전포대장 포대장 단장 사령관
※둘러보기: 군사학교 }}}}}}}}}

중대(中隊) 편제 (중대본부)
중대장
부중대장 행정보급관
소대장 반장/ 담당관
부소대장 통신 작전/ 교육
분대장 행정 탄약 /화학
부분대장 보급

1. 개요2. 일반 중대에서3. 특수부대 중대에서4. 예비군 중대에서

1. 개요

중대에서 중대장 다음의 선임장교로 중대장 부재 시에 그 직무를 대행하는 부지휘관 보직이다.

2. 일반 중대에서

GOP 부대에서 완편이며[1], 그 외 부대는 전시 동원이다. 경제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부중대장 같은 경우엔 장교 부사관이 적어 지휘자 부재 시에 지휘가 불완전해지는 소대장이나 분대장과 달리 여러 소대장이 있어 직무 대행이 가능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GOP 부대를 제외하면 부대대장이나 부연대장/ 부여단장이 잘 보임되지 않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2] 평시 일반 부대에서는 굳이 따지자면 행정보급관이 부중대장이라고 보면 된다. 애초에 당직부사관이 당직근무 시 행보관 대행이기도 하고.

GOP 부대는 부중대장이 상시 편제되어 있으며 보통 단기 장교, 즉 전역을 앞둔 중대 최선임 소대장이 소대장 보직 종료 후 보직된다. GOP 부대 임무 특성상 중대장 대리[3], 소초장 대리 임무[4]가 주 임무이다. GOP 경계 교대 후에도 전역 기간이 애매하게 남은 단기 장교는 그대로 부중대장으로 남아있는 경우도 있다.

보통 보임되면 중위가 보임된다. 그런데 2014년 임관 장교들부터 육군본부의 선 참모/후 지휘 보직 지침에 따라 소위가 소대장을 거치지 않고 바로 부중대장에 보직되기 시작했다. 모 부대의 경우, 중대의 세 소대장이 동시에 전입 와서 GOP를 올라갔다 내려온 후에 동시에 전출을 가는 바람에 동시에 들어온 네 명의 소위가 부중대장, 소대장 직을 맡게 되는 경우도 있었다.[5]

일부 FEBA 부대에도 존재하긴 한다. 복무기간을 애매하게 연장한 말년 중위들이나 군 가산복무 지원금 지급 대상자라 대위 진급 전까지 맡을 보직이 마땅히 없는 중위가 맡기도 하나, 이쪽 역시 위에 언급된 선 참모/후 지휘 보직 지침에 의해 신임 소위가 바로 보직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 외 동원, 향토, 예비사단에는 부중대장 보직이 드물다.[6] FEBA 부중대장은 비교적 중대장의 출타가 적고 부여된 임무도 단순하여 나름대로 꿀보직으로 통하나...[7] GOP 부중대장은 상술한 각종 "대리" 임무로 은근히 스트레스를 받는다. 중대장, 소초장, 통문장이 휴가나 외박 시 대리임무를 수행해 한 달의 대부분을 대리임무로 하다 보면 이게 뭐하는 짓인지 회의감이 들기도 한다. GOP 특성상 중대의 경계 시스템, 소초 자체의 작전 현황이나 통문 브리핑까지 숙지해야 하기 때문에 알아야 할 것도 은근히 많다.[8]

공군에서는 부중대장이 없는 경우가 많다. 중대장 부재 시 그냥 해당 중대의 선임 부사관이 직무를 대행한다. 육군에 비유하면 행정보급관이 중대장의 직무를 대행한다고 이해하면 편하다.

3. 특수부대 중대에서

10여 명 규모의 중대가 있을 때, 한국 특전사에서는 소위, 중위나 상사, 영어권에서는 준위가 담당한다. 특수전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존재이므로 평시에도 반드시 완편한다. 다만 한국군 특전사 부중대장은 아예 처음부터 특전사관을 목표로 한 경우가 아니라면 장기복무를 목적으로 지원한 보병 소위들에게는 굉장히 힘든 보직이다. 우선 특전사라는 부대는 특수전을 담당하기 때문에 너무나도 프로페셔널한 부대라 체력단련이니 전술훈련이니 적응을 못 하고 죽어나갈 확률이 극히 높다. 또한 체력단련과 특수전 전술을 익히는 동시에 타 야전부대 장교들과 마찬가지로 일반 보병 전술 교리를 밤낮으로 공부해야하며, 훈련 작계나 전술 토의 등 또한 야전에 비해 훨씬 복잡해 밤낮으로 중업무에 시달려야한다. 무엇보다도 특전사의 특성상 장교의 본 업무인 행정업무를 익히기 어려우며, OAC에서 야전 참모 경험이 있는 동기들에 비해 초반에는 고생을 할 수가 있어 향후 진급에 어느정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물론 저 두 요소들의 경우에는 케바케가 커 개인 노력으로 극복이 가능[9] 하다.

물론 본인이 이쪽 계열에 몸을 담고 특수전 역사에 한 획을 긋겠다면야 강추, 특히 갈수만 있다면야 707이나 국평단 같은 곳은 향후 미 특수전과정 위탁같은 교육 따기에도 좋고 파병 지원 등 엘리트코스를 밟기에 너무나도 좋으니 추천 또 추천이다. 하지만 본인이 인사적체가 극심한 이 한국군에서 "야전 지휘관으로서 향후 대장 진급까지 노리겠다"가 목표라면 오는 것을 "절대 비추천"한다. 한국군에서 특전사 부중대장은 707이나 국평단 파병같은 예외적인 곳이 아닌 이상 진급 성적 반영에 전혀 쓸모 없으며, 설사 저 두 부대로 가더라도 차라리 그 노력으로 JSA나 전방 수색대를 가는게 더 이득이다.

4. 예비군 중대에서

흔히 예비군동대라고 불리우는 X동 예비군중대도 부중대장이 있다. 이 직위는 2016년까지는 향방부중대장과 동원부중대장으로 두 명이서 했으나 2017년부터 부중대장으로 일원화되었다. 주로 예비역 장교로 보한다. 하지만 해당 부대의 사정에 따라 예비군업무에 익숙한 상근예비역 출신 예비역 병장을 임명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물론, 부중대장이 예비역 부사관인 경우도 있다.


[1] 일부 GOP 부대는 아니지만 최전방에 해당하는 FEBA 부대들도 종종 현역 중위가 편성되는 경우가 있다. 단기 복무만 하고 전역할 ROTC 자원들이 1차 소대장을 마치고 부중대장으로 간다. 병력 관리 등에서 자유롭기에 편하기 때문이다. [2] 이쪽은 평시엔 대대/연대 참모장이 대행한다. [3] 다만 중대장 대리의 경우 철책 경계를 담당하는 소총중대에 비해 비교적 여유가 있는 화기중대장이나 상급부대의 참모급 장교(~과장)가 대리로 오는 경우도 있다. [4] 소초장이 휴가를 가면 부중대장이 소초장 대리가 된다. [5] 이 경우에는 병사들이 편하다. 소위만 넷이니 지시사항이 꼬일 일이 없다. [6] 한 예로 모 동원사단의 중대원은 총 10명이었고 중대장은 1년차 중위급 장교였다. [7] 물론 이것도 정말 부바부다. 중대장이 대대 내 중대장 중 최선임이라 여기저기 불려다닌다거나 1차 중대장이라 헤매는 경우라면 꿀보직은 고사하고 중대장 업무에 왕창 치여 살 수도 있다. [8] 물론 100% 숙지하기는 어렵거니와 그렇게 열심히 해야 할 만큼 주위 사람들의 기대도 크지 않기 때문에 적당히 알면 된다. [9] 애초에 특전사 부중대장도 부대 행정업무를 겸해야 한다. 징병제 군대인 한국군 특성상 무지막지한 행정업무를 감당하고 있는 야전부대 장교들에 비해 쌓기가 안 좋다는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