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斥 和 碑조선 고종 때 문호 개방에 부정적이었던 흥선대원군이 서양과 양인( 洋 人)과의 교류 및 접촉을 배제하고, 서양의 침범에 대비하여 싸우지 아니함은 나라를 파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세웠던 석비( 石 碑).
최근에는 직구 금지 같은 보호 무역 정책을 비판할 때 비유적 의미로 쓰이기도 한다.
2. 역사
신미양요가 일어났던 1871년에 처음 건립했는데 비문은 아래와 같다.작은 글자로 왼쪽, 또는 뒷면에 이런 내용을 병기했다.원래는 1866년 병인양요 당시 흥선대원군의 명령하에 처음 만들었는데, 1871년 신미양요까지 겹치면서 더 이상은 서양 오랑캐들과는 관계를 맺을 수 없다는 흥선대원군과 위정척사파 및 유림들의 확고한 입장을 드러내었다.신미양요 이후 한양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 널리 세웠다. 그러나 흥선대원군이 1882년 청나라로 납치되어 정치에서 실각하고, 명성황후 민씨가 환궁하여 실권을 잡은 뒤 문호 개방을 가속화하면서 일본 공사의 요구에 따라 철거되거나 매장되었다. 광복 이후에도 삼전도비와 마찬가지로 부끄러운 역사의 증거라는 이유로 종종 척화비를 페인트칠 등으로 훼손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3. 현황
똑같은 척화비를 여러 기 만들어 세웠지만, 상당수는 통상 수교 거부정책( 쇄국정책)이 끝난 뒤에 의미를 잃어 폐기 처분되거나 방치, 훼손되었다. 그래도 워낙 많이 만들었다 보니 지금도 전국 각지에 여럿 남아 있다.3.1. 현재 남아 있는 곳
- 서울특별시 운현궁: 전시용으로 만든 비석이 따로 있다.
- 서울특별시 절두산 성지
- 충청북도 청주시
- 경상북도 경주시 국립경주박물관 관내
- 부산광역시 용암초등학교 교내
- 부산광역시 천가초등학교
- 대구광역시 원화여자고등학교 교내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여자고등학교 교내: 본래 성주초등학교에서 발견되었으나 성주여고로 옮겼다.
- 경상남도 양산시
- 경상남도 창녕군 만옥정공원: 원래부터 이곳에 있던 건 아니고, 이 만옥정공원은 창녕군 이곳저곳의 문화재를 모아놓은 곳이다. 이곳에 창녕 진흥왕 척경비, 창녕 객사, 창녕 퇴천리 삼층석탑, 역대 창녕군수 선정비, 6.25 전쟁 창녕지구 전승비 등이 모여있는 일종의 작은 야외 박물관 같은 곳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고창읍성 내부
이외에도 전국 각지에 척화비 30여 개가 남아 지방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