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8 02:43:04

거영일기


1. 개요2. 내용3.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2-1호

1. 개요

居營日記. 조선 선조 38년인 1605년 7월 30일부터 선조 39년, 1606년 9월 1일까지 삼도수군통제사 이운룡(李雲龍)이 매일의 일상을 기록한 일기. 현재 청도에 살고 있는 후손 이우섭이 소장하고 있으며, 선조에게 올렸던 장계 138건과 함께 식성군문적(거영일기 및 계본등록)이란 이름으로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2-1호로 등록되어 있다.

2. 내용

임진왜란 이순신 장군의 부장으로 활약했던 무신 이운룡이 종전 후 얼마되지 않아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되어 수군을 총괄하게 된 1605년 7월 30일부터 1606년 9월 1일까지 15개월 동안 하루도 빠짐없이 쓴 일기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직후 조선 수군의 활약상과 군사 편제, 병장기와 군선의 상태 여부, 훈련 상황 등이 세세히 기록되어 있어 조선수군사에 대해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으며, 당대 수군 최고 지휘관이 전쟁 직후에 남긴 일기로 종전 후 조선과 일본의 경계지역에서의 외교적, 군사적 긴장 상황과 적국의 정황, 그리고 일기를 쓴 저자의 개인적인 일상과 심리 상태 또한 알아볼 수 있는 사료이다.

기타 자세한 내용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거영일기및계본등록 항목을 참조.

3.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2-1호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의 부장으로 활약했던 이운룡(1562년 ∼ 1610년) 장군이 임진왜란 전후의 상황을 기록한 일기와 장계이다.

이운룡은 선조 18년(1585년) 무과에 올라 선전관, 옥포만호 등의 벼슬을 거쳤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부산앞바다에 왜구가 나타나자 적의 거대한 외형에 밀려 대적하지 않고 도망하려는 경상우수사 원균에게 도망하는 것은 나라와 백성에 대한 배신행위라 하고, 이순신에게 원군을 요청, 함께 싸워 적선 50여 척을 불태우는 큰 전과를 거두었다. 그 후 전쟁 기간 내내 우리 수군이 남해를 장악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1596년 이순신의 추천으로 경상좌수사에 승진하였다. 그가 죽은 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고, 청도의 금호서원과 의령의 기강서원에 그 위패가 모셔졌다.

『거영일기』는 선조 38년(1605년) 7월 30일부터 선조 39년(1606년) 9월 1일까지의 일을 빠짐없이 기록한 일기이다. 여기에는 병영예식(兵營禮式), 군의 장비, 훈련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

『계본등록』은 선조 38년(1605년) 9월 15일부터 선조 40년(1607년) 6월 1일까지 수군통제사로 있으면서 왕에게 올렸던 장계 138건이 기록되어 있다.

이 문헌들은 임진왜란 때 수군의 활약상과 화기, 전선, 수군편제, 훈련과정 등이 총망라되어 있어 조선 시대 전쟁사 연구에 매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