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5 17:55:01

금강반야경소개현초

파일:금강반야경소개현초.jpg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보물 제207호

1. 개요

金剛般若經疏開玄抄. 고려 숙종 3년(1098)에 공철(公哲)이 짓고 지온(志蘊)이 초간한 불경을 조선 세조 7년(1461)에 복원한 책. 현재 송광사에서 소장 중이고 1963년 보물 제207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유명한 대승불경인 금강경에 고려 숙종 때 공철이 주석을 달고 지온이 초간한 불경 주석서이다. 이후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 즉 교장(敎藏)을 제작할 때 이 서적 또한 수록하였다. 그러나 이 고려속장경은 몽골의 침입 시기에 대부분이 불타 흩어졌다.

현재 전해지는 금강반야경소개현초는 조선 세조 7년(1461)에 왕의 명으로 과거 소실된 고려 불경 문화재들을 복원하던 도중, 과거 의천이 직접 제작, 수록하였던 교장본 금강반야경소개현초 한 권이 발견되어 이를 그대로 간경도감에서 복원한 것이다.

교장에 수록되었던 금강반야경소개현초 원본은 총 7권이라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현재는 세조가 복원한 1책만이 남아 전한다.

책에는 '수창 사년 무인세 고려국 대흥왕 사봉조조(壽昌四年戊寅歲高麗國大興王寺奉宣雕造)'라는 간기(刊記)가 있고 이후 조선 세조가 복원하였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여기서 수창(壽昌)은 요나라 도종이 사용한 연호이다. 고려가 꼭 송나라 연호만 사용하진 않았음을 알 수 있다.

고려속장경, 즉 교장의 모습과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우리나라 불경의 주요 형태와 구성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비슷하게 고려시대의 불경을 조선 세조 때 그대로 복원한 것으로 대반열반경소, 정명경집해관중소,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천태사교의집해,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 묘법연화경찬술,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 등이 있다.

3. 외부 링크

4. 보물 제207호

금강반야경은 줄여서 ‘금강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조계종의 근본 경전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많이 읽히는 경전이다.

이 책은 금강경에 대해 공철(公哲)이 쉽게 풀이한 것을 나중에 지온(志온)이 보충한 것으로 ‘개현초(開玄褻)’에 관한 7권 중 권4-6이 하나의 책으로 만들어져 전해진 것이다. 닥종이에 찍은 목판본으로 크기는 세로 36㎝, 가로 35㎝이다.

고려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 요, 일본 등에서 구해온 불경을 토대로 만든 교장(敎藏)을 보고 조선 세조 7년(1461)에 간경도감<刊經都監:세조 7년(1461) 불경을 한글로 풀이하여 간행하기 위해 설치한 기구>에서 다시 새겨 펴낸 것이다.

각 권의 끝 부분에 글씨를 쓴 사람들과 교정을 본 사람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다시 펴냈다는 기록이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송광사에 보존된 여러 교장(敎藏)들이 고려시대의 원본이 아니고 간경도감에서 교장(敎藏)을 보고 다시 새겨 펴낸 것임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