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6 09:27:54

간경도감

파일:간경도감 변상도 판화.jpg
세조 9년(1463) 간경도감에서 만든 변상도 판화. 현재 총 20종 남은 15세기 조선시대 왕실판화 중 하나이다. #, ##, ###

1. 개요2. 내용3. 현존하는 서적 목록(1994년 기준)4. 외부 링크

1. 개요

刊經都監. 조선 세조 7년(1461) 세조의 명으로 설치된 관립 도서편찬 기관.

2. 내용

세조 7년(1461)에 세조가 만든 공립 도서편찬 기관으로 성종 2년(1471)까지 약 11년간[1] 한시적으로 존재했던 임시기관이었다.

과거 고려시대의 교장도감(敎藏都監 1086~1101), 대장도감(大藏都監 1236~1318)의 전통을 이어 설치했다. 다만 세종-세조조에 금속활자 기술과 인쇄술이 발달하여 고려 시절 두 도감보다 존속기간이 훨씬 짧았는데도(존속기간 97년vs11년) 인쇄물은 더 많이 찍고 배포했다. 목판 대장경 판각 역할만 했던 과거의 도감들과는 달리 간경도감은 금속활자 제작, 훈민정음 연구, 책 번역 및 한글보급 사업, 불교진흥 사업, 고려시대 불경 복원[2] 등 다양한 학문 연구기관 및 인쇄소의 역할을 겸했다.

전국적인 기관으로 서울에 본사를 두었고 지방에 개성부, 안동부, 상주부, 진주부, 전주부, 남원부 등의 분사를 두었다. 거의 대부분의 업무를 세조가 관장하였고, 세조가 재위 14년(1468) 9월 사망하고 3년이 지나 성종 2년(1471) 성종이 유학자들의 철폐상소[3]를 받아들이면서 폐지되었다.

당시 전례가 없을 만큼 책을 엄청나게 활자로 뿜뿜 찍어내 전국으로 뿌려댔기 때문에 아직도 남아 전하는 간행물들이 많다. 몇몇 학자들은 만약 간경도감이 철폐되지 않고 계속 이어졌다면 한국의 인쇄술이 유럽과 비슷한 수준으로 발전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고 상상하기도 한다.

당시 많은 책을 찍어냈지만 훗날 임진왜란, 병자호란, 일제강점기, 6.25 전쟁 등 수많은 전란을 거치며 대부분이 사라졌고 남은 서적은 아래의 것이 전부다.

3. 현존하는 서적 목록(1994년 기준)

번호 서적명 연도 비고
1 활자본 능엄경언해(活字本楞嚴經諺解) 1461 한글 국역본
2 금강반야경소개현초(金剛般若經疏開玄抄) 1461
3 대반열반경의기원지초(大般涅槃經義記圓旨鈔) 1461
4 대반열반경소(大般涅槃經疏) 1461
5 사분율산번보궐행사초상집기(四分律刪繁補闕行事紗詳集記) 1461
6 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삼현원찬과문(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三玄圓贊科文) 1461
7 수능엄경환해산보기(首楞嚴經環解刪補記) 1461
8 묘법연화경찬술(妙法蓮華經纘述) 1461
9 대승아비달마잡집론소(大乘阿毗達磨雜集論疏) 1461~1462
10 정명경집해관중소(淨名經集解關中疏) 1461~1462
11 목판본 능엄경언해(木版本楞嚴經諺解) 1462 한글 국역본
12 대승기신론필삭기(大乘起信論筆削記) 1462
13 대방광불화엄경합론(大方廣佛華嚴經合論) 1462
14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의석연밀초(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義釋演蜜鈔) 1462
15 유가론소(瑜伽論疏) 1462
16 수능엄경해의(首楞嚴經解意 1462
17 능엄경의소(楞嚴經義解) 1462
18 오삼연야신학비용(五杉練若新學備用) 1462
19 진실주집(眞實珠集) 1462
20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 1462
21 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 1462
22 법화경언해(法華經諺解) 1463 한글 국역본
23 구사론송소초(俱舍論頌疏抄) 1463
24 노산집(盧山集) 1463
25 달마대사관심론(達磨大師觀心論) 1463
26 선종영가집언해(禪宗永嘉集諺解) 1464 한글 국역본
27 활자본 아미타경언해(活字本阿彌陀經諺解) 1464 한글 국역본
28 목판본 아미타경언해(木版本阿彌陀經諺解) 1464 한글 국역본
29 금강반야바라밀다경언해(金剛般若波羅蜜多經諺解) 1464 한글 국역본
30 반야바라밀다심경약소언해(般若波羅蜜多心經略疏諺解) 1464 한글 국역본
31 보리달마사행론(菩提達磨四行論) 1464
32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 1464
33 선문삼가염송집(禪門三家拈頌集) 1464
34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 1465 한글 국역본
35 원각경구결(圓覺經口訣) 1465 한글 국역본
36 구급방언해(救急方諺解) 1466
37 자애화상광록(慈愛和尙廣錄) 1466
38 목우자수심결언해(牧牛子修心訣諺解) 1467 한글 국역본
39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蒙山和尙法語略綠諺解) 1467 한글 국역본
40 사법어언해(四法語諺解) 1467 한글 국역본
41 무주묘법연화경(無注妙法蓮華經) 1467
42 원종문류집해(圓宗文類集解) 1468
43 석문홍각범임간록(石門洪覺範林間錄) 1468
44 개사분율종기의경초(開四分律宗記義鏡鈔) ?
45 수능엄경의소주경(首楞嚴經義疏注經) ?
46 화엄경론(華嚴經論) ?
47 금광명경문구소(金光明經文句疏) ?

4. 외부 링크



[1] 세조 14년(1468)에 세조가 사망한 이후부터 책 인쇄작업을 더는 하지 못했으므로 실제 활동기간은 8년이다. [2] 다양한 고려 불경 중에서도 대각국사 의천(義天: 1055-1101)이 초조대장경(1011-1087)에서 누락된 것을 모아서 1090년 즈음에 편찬한 교장(일명 속장경)을 복원하는 일을 중점으로 삼았다. 초조대장경은 그 후신이라 할 수 있는 팔만대장경이 있었을뿐더러 이미 세조 4년(1458)에 팔만대장경 전문을 50부 필인하여 전국으로 배포하는 사업을 마무리했기 때문에, 대장경 다음으로 가치있는 기록유산인 교장으로 눈을 돌린 것이다. 학자들에 따르면 이후 임난, 호란, 양요, 6.25 등을 거치며 상당수 다시 소실되어서 그렇지 기록으로 보면 세조가 의천의 교장 5천여 권 대부분을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고 한다. [3] 유학자들이 불교를 거부한 것이 가장 큰 이유지만, 활자로 책을 개나 소나 마구 찍어낸다고 반발하던 심리 탓도 있었다. 지금은 잘 이해되지 않지만 당시에는 글을 쓸 줄 안다는 것이 신분제를 관통하는 한 가지 큰 힘이었다. 남들 익히기 어려운 한자를 향유하면서 훈민정음 쓰는 것에는 부정적이었던 것이나, 조보같이 아랫것들이 대중적으로 활자 만들어 찍어내는 행위를 크게 제재했던 것에는 이러한 이유도 한 몫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