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23:37:51

수영(동음이의어)

1. 水泳, 헤엄의 한자어2. 水營3. 2에서 유래한 대한민국 지명4. 걸그룹 소녀시대 멤버5. 식물의 종류

1. 水泳, 헤엄의 한자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水營

파일:조선군 좌독기_White.svg 조선 수군 수영
삼도수군통제영 휘하 수영 삼도수군통어영 휘하 수영
경상좌수영 경상우수영 전라좌수영 전라우수영 충청수영 경기수영 황해수영

조선 시대 수군절도사의 군영(軍營).[1]

1393년(태조 2) 3월에 왜구를 격퇴하기 위한 해양방위체제가 성립된 뒤, 1457년(세조 3)에 전국을 방위체제화하는 진관체제가 실시됨으로써 각 도의 수군지휘관의 명칭이 수군절도사(수사)로 통일됨에 따라 수사의 군영으로 자리잡았다.

진관체제에 따라 주지으로 아래에 거진과 제진을 두었으며,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함경도에는 각 1인의 전임수사와 1인의 겸임수사(주로 관찰사가 겸임)가 배치되고 경상도 전라도에는 각 2인의 전임수사가 배치되었는데, 일반적으로 전임수사가 집무하던 곳을 수영이라 하였다. 다만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는 육군에 북방 이민족의 침공이 주로 육로로 집중되기에 육군으로만 편성되어 있어 수영이 설치되지 않았다.

각 수영은 모두 주위에 석성을 구축하고 해안 및 연안방위에 임하고 있었으나, 조선 초기의 수군 편성이 엄격한 지역방위 개념에서 벗어나지 못하였으므로 각 도의 수영에서는 인원의 차출, 병선의 건조, 무기의 제조, 수군의 훈련 등 중요한 의무가 부여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때 군사상의 취약점을 고려하여 하삼도의 수영들을 통괄하는 통제영이 설치되고 인조 때에는 경기수영과 충청수영을 통괄하는 통어영이 설치되기도 하였으나, 수사가 지휘하는 수영의 업무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단지 수영의 위치가 군사상의 이유로 옮겨진 곳은 있었다.[2]

1907년 일제의 군대해산령에 의해 각 도의 수영은 폐영되었으나, 지금까지도 수영이 있었던 곳은 그 명칭과 함께 흔적을 남겨두고 있다.

3. 2에서 유래한 대한민국 지명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 수영구(水營區) 일대를 말한다.

조선시대 경상좌수영이 있었던 자리가 지금의 수영구 지역이었으며, 수영강, 수영구, 수영동 등 현재도 많은 지명이 남아있다.

이 외에 공식 행정지명은 아니지만, 조선시대 전라우수영이 있던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일대가 '우수영' 이라는 지명으로 불리고 있다.

우수영여객선터미널, 우수영국민관광지 및 진도대교가 위치하며, 이 앞을 흐르는 바다가 바로 울돌목( 명량수도) 이다.

4. 걸그룹 소녀시대 멤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수영(소녀시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식물의 종류

Rumex acetosa 석죽목 마디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수영을 흠씬 고아서 졸인 다음 감주같은 식혜를 만들어 먹으면 오래된 구체도 낫고, 못고치는 위장병도 낫고, 그것이 장을 타고 직장까지 내려가면서 다 좋아지는 묘한 약성을 지니고 있다. [출처]


[1] 조선 시대 지방 행정·군사기구에서의 좌우 개념은 북쪽을 위로 두는 일반적인 지도에서 볼 때가 아닌, 임금이 계신 서울(한성)에서 바라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충청, 전라, 경상 등 남부지방의 경우 서쪽이 우, 동쪽이 좌가 된다. [2] 해안지대의 지형, 간석지의 형성, 흙모래의 퇴적은 시기마다 달라질 수 있어 해안선이 함선을 정박하기 힘들 정도로 모래가 쌓여 있다면 위치를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 [출처] 天壽 - 김일훈선생과 오정삼 대화록 55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