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8:09:16

기자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 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 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 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 동국통감제강 본조편년강목
여사제강 동사회강 대동사강
휘찬려사 국조정토록
사략(史略) 본조사략 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 일성록 동궁일기
각사등록 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 응제시주 제왕운기
기타 삼국유사 개황력 대사편년
대사기 속무정보감 국조통기
발해고 해동고승전 동국병감
단군세가 기자지 동사
해동명장전 단군고기 신라고기
백제고기 해동고기 본국고기
삼한고기 고려고기 연려실기술
동사보유 동국역대총목 동사세가
해동역사 열조통기 동사찬요
기타 실전(失傳) <colbgcolor=#fff,#191919>고구려 유기 신집
신라 국사 제왕연대력 화랑세기
백제 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 서기
고려 구삼국사 가락국기 편년통록
왕대종족기 성원록 금경록
위서(僞書) 환단고기 규원사화 단기고사
부도지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속 기자지5. 같이보기


箕子志

1. 개요

조선 선조 13년(1580년)에 당시 왕이었던 선조의 명으로 윤두수 등이 기자에 관한 기록을 모아 만든 일종의 역사책. 정사가 아닌 야사에 해당된다. 총 5권 1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1577년, 명나라에 사은사로 떠난 윤두수가 당시 명나라의 사인(士人)들로부터 기자에 대한 많은 질문을 받았으나, 충분한 답변을 하지 못하고 돌아오게 되자 이에 왕의 명으로 만들게 한 것이다. 기자와 기자조선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16세기 사림이 대거 중앙정계에 진출하고 성리학 교조 현상이 심화되는, 당시 한국의 사상계 및 정치계의 전반적인 변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책이다. 율곡 이이가 이 책을 참고하여 기자실기(箕子實記)를 저술하였고, 훗날 광해군 때에 평양 지역의 선비들이 책의 내용을 증보하였다.

3. 외부 링크

4. 속 기자지

조선 고종 16년인 1879년에 정인기(鄭璘基) 등이 만든 책. 총 9권 3책이며,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위의 윤두수가 편찬한 기자지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내용들을 추가한 것으로, 위의 책과 마찬가지로 정사책이 아닌 야사집 정도로 평가받는다.

기자가 처음 한반도에 도래한 때로부터 기자조선의 마지막왕 애왕(哀王, 準)이 남하한 41대 929년까지의 내용과, 애왕이 남하하여 마한을 처음 세운 날로부터 마한이 멸망하는 계왕(稽王)에 이르기까지 9대 177년의 내용을 수록하고 있다.

5. 같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