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18 04:38:08

본조사략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 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 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 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 동국통감제강 본조편년강목
여사제강 동사회강 대동사강
휘찬려사 국조정토록
사략(史略) 본조사략 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 일성록 동궁일기
각사등록 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 응제시주 제왕운기
기타 삼국유사 개황력 대사편년
대사기 속무정보감 국조통기
발해고 해동고승전 동국병감
단군세가 기자지 동사
해동명장전 단군고기 신라고기
백제고기 해동고기 본국고기
삼한고기 고려고기 연려실기술
동사보유 동국역대총목 동사세가
해동역사 열조통기 동사찬요
기타 실전(失傳) <colbgcolor=#fff,#191919>고구려 유기 신집
신라 국사 제왕연대력 화랑세기
백제 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 서기
고려 구삼국사 가락국기 편년통록
왕대종족기 성원록 금경록
위서(僞書) 환단고기 규원사화 단기고사
부도지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


1. 개요2. 史畧3. 史略

1. 개요

'본조사략'이란 제목을 가진 고려시대 역사서에 관한 문서. 본조(本朝)는 단순히 '우리나라', '우리왕조'란 뜻으로 고유명사는 아니다. 즉 사서의 진 제목은 사략 뿐이다.

고려시대엔 사략이란 이름을 가진 사서는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는 삼국유사가 인용한 사(史), 하나는 공민왕대에 제작된 사(史)이다.

현재는 두 사서 모두 실전되었다.

2. 史畧

가락기찬[1]에 의하면 "한 가닥의 자줏빛 노끈이 드리워 여섯 개의 둥근 알을 내리니 다섯 개는 여러 고을로 들어가고 한 개가 이 성안에 남았다."라고 하였다. 즉 한 개는 수로왕이 되고 남은 다섯 개는 다른 가야의 왕이 되었다는 것이니, 금관국을 다섯 숫자에 꼽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본조사략(本朝史畧)에서는 금관국도 함께 꼽아 창녕이라 함부로 기록한 것은 잘못이다.
按駕洛記賛云, “垂一紫纓下六圎卵五歸各邑一在兹城.” 則一爲首露王餘五各爲五伽耶之主, 金官不入五數當矣. 而本朝史畧並數金官而濫記昌寕誤.
- 삼국유사 제1권 기이 제1 5가야(五伽耶)조 서문 中.
고려시대에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역사서.

공민왕 시기 편찬된 사(史)과는 별개의 사서로 금관국을 제외한 5가야에 대해 쓴 책으로 추정되나 위의 기록과 940년 태조 왕건이 5가야의 이름을 고친 기록밖에 실리지 않아서 사서의 성격을 파악하기 어렵다.

삼국유사가 충렬왕 시기에 제작되었다는 걸 감안하면 사략은 최소 충렬왕 이전에 제작되었다는 건 확실하다.

3. 史略

서기 1357년, 공민왕 재위 6년차에 제작된 고려의 역사서로, 자주정책을 내세움과 동시에 고려의 역사를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야침차게 시행한 사업이었다.

공민왕의 배향공신인 김해후 이제현이 감독을 맡아 제작했으며 당시엔 국사(國史)로 불렸다. 고려사 이제현 열전엔 이제현이 국사(사략) 편찬을 시작하자 당시 사관, 춘추관, 성균관 등 내로라하는 학자들이 모두 모였다고 한다.

허나 내우외환에 시달렸던 시대라 편찬에 어려움을 겪었고, 제대로 완성시키지 못했다. 동문선 제92권에 수록된 '진고려국사전'과 고려사의 기록에 따르면:

정도만 알 수 있다. 그래도 제목 말고는 아무것도 알 수 없는 1번 항목의 사략보단 나은 형편이다.
[1] 일연이 인용한 가락기찬은 가락국기와 동일한 서적으로 추정된다. [2] 기년체는 달리 편년체로도 불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