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한성부 | ||||
경모궁 | 계동궁 | 남별궁 | 누동궁 | 도정궁 | |
명례궁 | 사동궁 | 선희궁 | 수진궁 | 순화궁 | |
안동별궁 | 어의궁 | 연희궁 | 영수궁 | 영희전 | |
용동궁 | 운현궁 | 이현궁 | 인경궁 | 인덕궁 | |
자수궁 | 죽동궁 | 창성궁 | 창의궁 | 칠궁 | |
태화궁 | |||||
경기도 | |||||
강화행궁 | 개성행궁 | 경덕궁 | 남한산성 행궁 | 낙생행궁 | |
낙천이궁 | 노량행궁 | 목청전 | 수원행궁 | 수창궁 | |
시흥행궁 | 안산행궁 | 안양행궁 | 양주행궁 | 용흥궁 | |
월미행궁 | 이천행궁 | 이태조 행궁 | 진위행궁 | 파주행궁 | |
풍덕행궁 | 풍양궁 | 포천이궁 | 화성행궁 | ||
충청도 | |||||
노은리 행궁 | 목천행궁 | 보은행궁 | 신도안 대궐 | 온양행궁 | |
전의행궁 | 직산행궁 | 초정행궁 | 천안행궁 | ||
전라도 | |||||
격포행궁 | 경기전 | 무풍 명례궁 | 전주행궁 | ||
경상도 | |||||
집경전 | |||||
평안도 | |||||
영변행궁 | 영숭전 | 영유행궁 | 의주행궁 | 평양행궁 | |
풍경궁 | |||||
황해도 | |||||
배천행궁 | 평산행궁 | 해주행궁 | |||
강원도 | |||||
고성행궁 | 분수령 행궁 | 상원사 행궁 | 춘천이궁 | ||
함경도 | |||||
영흥본궁 | 함흥본궁 | ||||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 |
평양의 도성 및 궁궐 | |||||||||||
고조선 | 고구려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
왕검성 | 대성산성 | 안학궁 | 장안성 | 구제궁 | 장락궁 | 좌우궁궐 | 대화궁 | 용덕궁 | 평양행궁 | 풍경궁 |
|
<colbgcolor=#bf1400>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점령한, 평양행궁이자 객사인 대동관의 모습 |
[clearfix]
1. 개요
고려 시대의 역원이자 조선 시대의 행궁 및 객사. 평양부 객사 대동관에 위치했다.[1]2. 상세
조선 시대와 고려 시대에는 각 지방마다 역원과 객사를 세웠는데, 그 중에서 평양부에 있는 객사의 이름을 대동관이라 했다.고려 시대에는 역원으로 운영되었으며 고려 후기 홍건적의 난 때 불탄 뒤 다시 지었다.
이후 조선 시대에는 공식적으로 객사를 만들어 세웠다. 대동관은 의주객사 용만관과 성천객사 강선루, 안주객사 안흥관과 더불어 평안도 4대 객사 중 하나로 꼽혔다. 특히 명나라와 청나라의 관리들이 오가는 길목에 있어 평양을 지날 시 이곳에서 묵었기 때문에 객사의 크기도 상당히 컸다. 임진왜란 때 선조가 의주로 피난가던 당시에 여기서 머물기도 했다.
기록에 따르면, 대동관 경내는 꽤 화려했던 듯 하다. 먼저 현재 남아있는 일반 객사에서는 보기 힘든 정원이 존재했다. 또한 객사 크기는, 정청은 정면 4칸에 측면 4칸, 양쪽 익사의 크기는 정면 6칸에 측면 4칸이었다. 조선시대 건물치고는 굉장한 규모이며, 당시 그 정도 크기를 가지고 있던 객사는 전국에 손에 꼽을 정도였다.[2] 그리고 왕권을 상징하는 위패와 영정을 모셨으니 대동관은 평양에서 규모 및 위상이 제일가는 건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3] 저렇게 대동관의 규모가 크고 화려했던 이유는 평양이 가지는 상징성 때문인 듯 하다. 평양은 역사적인 고도였고, 관서 지방의 가장 큰 도시였기 때문에 저런 큰 규모의 객사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기까지는 보존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 잿더미가 되고 말았다. 상술했듯 선조가 피난가다가 머물기도 했단 것을 보아 불탄 것은 그 이후인 듯 하다. 전쟁이 끝나고 다시 재건했다. 그후 1950년 6.25 전쟁 때 폭격을 맞아 완파되어 사라졌다. 현재 대동관 자리에는 만수대 분수공원과 평양 학생소년궁전이 들어섰다.
[1]
일부 사람들은
대한제국 시기에 지은
풍경궁과 평양행궁을 구분하지 못하는데, 평양행궁과 풍경궁은 엄연히 다른 행궁이다.
[2]
당시 전라도에서는 전주객사 풍패지관, 나주객사 금성관과 같은
객사가 그나마 비슷했고, 경상도에서는
동래객사와 상주객사가 견줄 만 했다. 강원도에서는 강릉객사와 춘천객사가 가장 컸고, 충청도는 청주객사와 공주객사가 규모가 컸다고 전해진다.
함경도의 경우는 함흥객사인 풍패관과 길주객사, 경성객사가 가장 컸다.
[3]
평양객사의 경우 조선 초기, 중기에는 태조 이성계를 비롯한 다른 왕들의 어진을 모시는 어용전이 같이 위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