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5:55:36

평양행궁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성부
경모궁 계동궁 남별궁 누동궁 도정궁
명례궁 사동궁 선희궁 수진궁 순화궁
안동별궁 어의궁 연희궁 영수궁 영희전
용동궁 운현궁 이현궁 인경궁 인덕궁
자수궁 죽동궁 창성궁 창의궁 칠궁
태화궁
경기도
강화행궁 개성행궁 경덕궁 남한산성 행궁 낙생행궁
낙천이궁 노량행궁 목청전 수원행궁 수창궁
시흥행궁 안산행궁 안양행궁 양주행궁 용흥궁
월미행궁 이천행궁 이태조 행궁 진위행궁 파주행궁
풍덕행궁 풍양궁 포천이궁 화성행궁
충청도
노은리 행궁 목천행궁 보은행궁 신도안 대궐 온양행궁
전의행궁 직산행궁 초정행궁 천안행궁
전라도
격포행궁 경기전 무풍 명례궁 전주행궁
경상도
집경전
평안도
영변행궁 영숭전 영유행궁 의주행궁 평양행궁
풍경궁
황해도
배천행궁 평산행궁 해주행궁
강원도
고성행궁 분수령 행궁 상원사 행궁 춘천이궁
함경도
영흥본궁 함흥본궁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당시 기준 }}}}}}}}}

평양의 도성 및 궁궐
고조선 고구려 고려 조선 대한제국
왕검성 대성산성 안학궁 장안성 구제궁 장락궁 좌우궁궐 대화궁 용덕궁 평양행궁 풍경궁
파일:평양객사 대동관(일본군에게 점령당시).png
<colbgcolor=#bf1400>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이 점령한, 평양행궁이자 객사인 대동관의 모습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고려 시대의 역원이자 조선 시대의 행궁 및 객사. 평양부 객사 대동관에 위치했다.[1]

2. 상세

조선 시대 고려 시대에는 각 지방마다 역원과 객사를 세웠는데, 그 중에서 평양부에 있는 객사의 이름을 대동관이라 했다.

고려 시대에는 역원으로 운영되었으며 고려 후기 홍건적의 난 때 불탄 뒤 다시 지었다.

이후 조선 시대에는 공식적으로 객사를 만들어 세웠다. 대동관은 의주객사 용만관과 성천객사 강선루, 안주객사 안흥관과 더불어 평안도 4대 객사 중 하나로 꼽혔다. 특히 명나라 청나라의 관리들이 오가는 길목에 있어 평양을 지날 시 이곳에서 묵었기 때문에 객사의 크기도 상당히 컸다. 임진왜란 선조가 의주로 피난가던 당시에 여기서 머물기도 했다.

기록에 따르면, 대동관 경내는 꽤 화려했던 듯 하다. 먼저 현재 남아있는 일반 객사에서는 보기 힘든 정원이 존재했다. 또한 객사 크기는, 정청은 정면 4칸에 측면 4칸, 양쪽 익사의 크기는 정면 6칸에 측면 4칸이었다. 조선시대 건물치고는 굉장한 규모이며, 당시 그 정도 크기를 가지고 있던 객사는 전국에 손에 꼽을 정도였다.[2] 그리고 왕권을 상징하는 위패와 영정을 모셨으니 대동관은 평양에서 규모 및 위상이 제일가는 건물이었다고 할 수 있다.[3] 저렇게 대동관의 규모가 크고 화려했던 이유는 평양이 가지는 상징성 때문인 듯 하다. 평양은 역사적인 고도였고, 관서 지방의 가장 큰 도시였기 때문에 저런 큰 규모의 객사를 세운 것으로 보인다.

조선 중기까지는 보존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 잿더미가 되고 말았다. 상술했듯 선조가 피난가다가 머물기도 했단 것을 보아 불탄 것은 그 이후인 듯 하다. 전쟁이 끝나고 다시 재건했다. 그후 1950년 6.25 전쟁 때 폭격을 맞아 완파되어 사라졌다. 현재 대동관 자리에는 만수대 분수공원과 평양 학생소년궁전이 들어섰다.

[1] 일부 사람들은 대한제국 시기에 지은 풍경궁과 평양행궁을 구분하지 못하는데, 평양행궁과 풍경궁은 엄연히 다른 행궁이다. [2] 당시 전라도에서는 전주객사 풍패지관, 나주객사 금성관과 같은 객사가 그나마 비슷했고, 경상도에서는 동래객사와 상주객사가 견줄 만 했다. 강원도에서는 강릉객사와 춘천객사가 가장 컸고, 충청도는 청주객사와 공주객사가 규모가 컸다고 전해진다. 함경도의 경우는 함흥객사인 풍패관과 길주객사, 경성객사가 가장 컸다. [3] 평양객사의 경우 조선 초기, 중기에는 태조 이성계를 비롯한 다른 왕들의 어진을 모시는 어용전이 같이 위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