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2:58:46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군에서 넘어옴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colbgcolor=#c51426><col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대한민국 해병대
]]
대한민국 공군 }}}}}}}}}
대한민국 국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서유럽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베니아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91919> 상고· 원삼국시대 고조선군 / 부여군 / 삼한군
삼국시대 고구려군 백제군 신라군 가야군
남북국시대 발해군 신라군
고려시대 고려군
조선시대 조선군
대한제국 대한제국군 / 의병
일제강점기 일본 제국 육군 조선군· 조선보병대 / 독립군
분단시대
(건군기)
미군
해방병단 조선해안경비대
남조선국방경비대 조선경비대
소련군
적위대 보안대
철도보안대 북조선철도경비대
수상보안대 해안경비대
현대 대한민국 국군 조선인민군 }}}}}}}}}

대한민국 국군
大韓民國 國軍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파일:대한민국 국군기.svg
<colbgcolor=#d2cfca,#423f3a><colcolor=#212529,#e0e0e0>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건군일 1948년 ([dday(1948-01-01)]일, [age(1948-01-01)]주년)
소속 대한민국 국방부
통수권자 대한민국 대통령
현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지휘·감독권자 대한민국 국방부장관
현임 공석 (직무대행 김선호)
군령권자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1]
현임 김명수 ( 해군 대장)
군정권자 각 군 참모총장[2]
현임 고창준 ( 육군 대장)[직무대리]
양용모 ( 해군 대장)
이영수 ( 공군 대장)
병력(평시) 477,470 명(2023년 12월 기준)[4]
예비병력 290만여 명[5] (2022년 국방백서)
병역제도 징병제
육군력[6]
병력 365,000여 명[7]
전차 2,200여 대[8]
장갑차 3,100여 대[9]
야포/다련장 5,900여 문[10]
유도탄 60여 기
헬기 620여 대
해군력[11]
병력 70,000여 명[12]
전투함정 90여 척
상륙함정 10여 척
기뢰전함정 10여 척
지원함정 20여 척
잠수함정 10여 척
항공기 60여 대
공군력[13]
병력 65,000여 명[14]
전투임무기 410여 대
공중기동기 50여 대
감시통제기 50여 대
훈련기 190여 대
헬기 40여 대
천궁/패트리어트 150여 기
예산
국방비 59조 4244억 원 (2024년 본예산)

1. 개요2. 역사3. 수뇌부
3.1. 장성급 장교3.2. 주임원사단
4. 편성5. 전쟁 및 참전 경력6. 복무7. 복제(服制)8. 특징9. 전력10. 예산11. 출신 인물12. 비판 및 문제점13. 오해14. 사건·사고15. 기타
15.1. 용어 및 은어15.2. 해외에서의 인식15.3. 매체에서
16. 관련 문서
16.1. 역사 관련16.2. 기술 관련16.3. 군대 문화16.4. 복무 관련16.5. 미디어
1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헌법 제5조
① 대한민국은 국제평화의 유지에 노력하고 침략적 전쟁을 부인한다.[15]
② 국군은 국가의 안전보장과 국토방위의 신성한 의무를 수행함을 사명으로 하며, 그 정치적 중립성은 준수된다.

군인복무기본법 제5조(국군의 강령)
① 국군은 국민의 군대로서 국가를 방위하고 자유 민주주의를 수호하며 조국의 통일에 이바지함을 그 이념으로 한다.
② 국군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보전하고 국토를 방위하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나아가 국제평화의 유지에 이바지함을 그 사명으로 한다.
③ 군인은 명예를 존중하고 투철한 충성심, 진정한 용기, 필승의 신념, 임전무퇴의 기상과 죽음을 무릅쓰고 책임을 완수하는 숭고한 애국애족의 정신을 굳게 지녀야 한다.

대한민국 국군(, ROK Armed Forces[16])은 대한민국 정규군이다. 육군, 해군, 공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군 예하에 해병대를 두고 있다. 줄여서 '한국군(韓國軍)', 또는 ' 국군(國軍)'이라고도 한다.[17]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50년대의 6.25 전쟁, 1960년대의 베트남 전쟁 등 굵직한 전쟁에 참전하며 성장했다. 육군의 규모 자체가 워낙 비대해서 기갑전력, 포병전력에 있어서는 세계에서 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로 강력하며, 국토 면적, 인구에 비해서도 매우 거대한 규모를 가지고 있다.[18]

대한민국 헌법 제74조 1항에 따라 대한민국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統帥)한다.[19]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수뇌부

국군조직법
제6조( 대통령의 지위와 권한) 대통령은 헌법, 이 법 및 그 밖의 법률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국군을 통수한다.
제8조( 국방부장관의 권한) 국방부장관은 대통령의 명을 받아 군사에 관한 사항을 관장하고 합동참모의장과 각군 참모총장을 지휘·감독한다.
제9조( 합동참모의장의 권한) ① 합동참모본부에 합동참모의장을 둔다.
② 합동참모의장은 군령(軍令)에 관하여 국방부장관을 보좌하며,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각군의 작전부대를 작전지휘·감독하고, 합동작전 수행을 위하여 설치된 합동부대를 지휘·감독한다. 다만, 평시 독립전투여단급(獨立戰鬪旅團級) 이상의 부대이동 등 주요 군사사항은 국방부장관의 사전승인을 받아야 한다.
제10조(각군 참모총장의 권한 등) ① 육군에 육군참모총장, 해군에 해군참모총장, 공군에 공군참모총장을 둔다.
② 각군 참모총장은 국방부장관의 명을 받아 각각 해당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지휘·감독은 제외한다.
③ 해병대에 해병대사령관을 두며, 해병대사령관은 해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해병대를 지휘·감독한다.
<bgcolor=#003478> 파일:대한민국 국무총리기.svg
대통령 권한대행
파일:대한민국 국방부장관기.svg
국방부장관
<nopad> 파일:한덕수총리프로필.jpg <nopad> 파일:차관김선호.jpg <nopad> 파일:김명수고화질.jpg
<bgcolor=#003478> 한덕수 김선호
직무대행
해군 대장 김명수
<colbgcolor=#f00> 파일:liujuncanmou_2.png
육군참모총장
<colbgcolor=#039> 파일:haijun.png
해군참모총장
<colbgcolor=#34acf1>
파일:고창준(대장).jpg <nopad> 파일:양용모대장.jpg 파일:이영수총장.jpg
육군 대장 고창준
직무대리
해군 대장 양용모 공군 대장 이영수
{{{#!wiki style="margin: -16px -11px" <colbgcolor=#10007c> <colbgcolor=#063> <colbgcolor=#2e3192> <colbgcolor=#004080>
파일:연합사부사령관 강신철.jpg 파일:회색강호필.png 파일:중장김봉수.jpg <nopad> 파일:차관김선호.jpg
육군 대장 강신철 육군 대장 강호필 육군 중장 김봉수
직무대리
김선호 }}}

3.1. 장성급 장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인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주임원사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임원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993334> 파일: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 MI.svg
합참​주임원사
<colbgcolor=#2a5034>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주임원사
<colbgcolor=#039>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해군​주임원사
<colbgcolor=#34acf1>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공군​주임원사
파일:합참 주임원사 이재호.jpg 파일:제15대 육군주임원사 강민수.jpg 파일:원사 김요한.png 파일:제28대 공군주임원사.jpg
<bgcolor=#801a24> 육군 원사 이재호
파일:원사 계급장.svg
육군 원사 강민수
파일:원사 계급장.svg
해군 원사 김요한
파일:원사 계급장.svg
공군 원사 박석화
파일:원사 계급장.svg

4. 편성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편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opad> 파일:20230501군.png

4.1. 해체된 부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해체된 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파병부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파병부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전쟁 및 참전 경력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 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 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대한민국 국군으로서 치른 전쟁은 다음과 같다.

6. 복무

병의 경우 육군 18개월, 해군 20개월, 공군 21개월이다.

대한민국 국군의 연간 장교 유입 숫자는 세계적으로 큰 편이다. 연간 6,000명 이상이 신규 장교로 입대한다.[20]
장교(준위포함) 정원 증가 추이 (단위:명)
<rowcolor=#212529,#e0e0e0> 연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장교(예산편성)정원 71,440 71,701 71,756 71,846

2022년 기준 장교가 약 69,900명, 부사관이 약 131,000명 정도다. 2004년[21]과 비교하면 부사관의 비중을 꾸준히 늘리는 상태다. 2022년 기준 부사관 숫자는 육군 85,500여 명, 해군 18,800여 명, 공군 19,900여 명, 해병대 6,800여 명 등 모두 131,000여 명이다. 은 299,000명 수준인데 18~21개월이면 은 인원이 모두 교체된다.
연도별 장성정원 추이 (단위:명)
<rowcolor=#212529,#e0e0e0> 연도(회계연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장성(예산편성)정원 442 444 444 444 444 444 441 441
자료출처 : 정부(기획재정부)의 각 연도 세입세출 예산안 사업설명서

장성의 경우 전체 인원은 약 400명 정도다. 공군 해군은 각각 50명, 60명을 조금 넘기는 수준이고 육군에 290명가량의 장군이 있다.

대장은 7명이다. 육군 4명, 해군 1명, 공군 1명이며 합동부대가 1명이다. 합동부대 대장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인데 2022년 기준으로는 김명수 해군 대장이다.

중장은 34명으로 육군 23명, 해군 6명( 해병대사령관 포함), 공군 5명이다. 1964년에는 군 규모는 지금과 큰 차이는 없었지만 장성 숫자가 251명이었는데, 1980년대에 380명으로 늘었다. 1993년에는 정원은 440명이었지만 510명을 운용하기도 했다. 자세한 것은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 문서를 참고할 것.
영관급 장교 정원 증가 추이 (단위:명)
<rowcolor=#212529,#e0e0e0> 연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영관급 장교 정원 20,440 20,662 20,777 20,865

대령은 약 2,300명이다. 편제는 2,444명 정도다.

6.1. 계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사 계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병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군사특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급여

2024년 기준으로, 이하 기재된 내용은 기본급(단위: 대한민국 원) 기준이다.
직업군인의 세부적인 각 계급별, 호봉별 기본급은 인사혁신처 공무원 봉급표 - 군인항목에서 볼 수 있으며, 군무원의 경우 해당 링크의 '일반직공무원과 일반직에 준하는 특정직 및 별정직 공무원 등' 탭을 보면 된다. 병사의 월급 추이는 병(군인) 문서에서 볼 수 있다.

6.3.1. 과거 급여

1967년에는 달러로 환산할 때 월급이 아래와 같았다. 출처는 <한국군인급여제도에 관한 연구 (1967, 연세대경영대학원)>이다. 편의상 소숫점은 반올림하여 표기. 단 대한민국 국군 은 1달러가 되지 않는 관계로 반올림하지 않는다.
구분 대한민국 국군 미군 자위대
대장 163 1,200 ~ 1,758 280 ~ 322
중장 120 1,063 ~ 1,575 206 ~ 290
소장 88 ~ 99 963 ~ 1,420 166 ~ 246
준장 78 ~ 85 800 ~ 1,235 -
대령 66 ~ 80 593 ~ 1,085 134 ~ 221
중령 53 ~ 62 474 ~ 885 115 ~ 189
소령 40 ~ 52 400 ~ 740 100 ~ 167
대위 27 ~ 39 326 ~ 640 83 ~ 143
중위 21 ~ 27 359 ~ 475 66 ~ 120
소위 21 222 ~ 375 58 ~ 115
준위 20- ~ 7 219 ~ 685 -[27]
상사[28] 19 ~ 34 365 ~ 500 46 ~ 105
중사 18 ~ 19 207 ~ 450 39 ~ 83
하사 5 ~ 17 176 ~ 330 36 ~ 62
병장 0.82 145 ~ 380 30 ~ 45
상병 0.72 122 ~ 215 26 ~ 33
일병 0.6 99 ~ 165 24
이병 0.52 86 ~ 120 22

1960년대 국민총생산( GNP)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다.
구분 1963년 1964년 1965년
대한민국 4,715억 원 6,667억 원 7,794억 원
미국 150조 2,460억 원 160조 3,180억 원 171조 4,565억 원
일본 17조 3,340억 원 20조 3,344억 원 22조 4,220억 원
대한민국 : 미국 0.3% 0.4% 0.4%
대한민국 : 일본 2.7% 3.2% 3.5%
일본 : 미국 11.5% 12.7% 13.1%

참고로 맨 위 표의 시점(1967) 당시 대한민국의 1인당 GDP는 156$로, 2014년(27,970$)의 약 180분의 1 정도였다. #

6.3.2. 전사자 보상금

사망 시의 보상금은 "군인연금법 시행령 제66조(사망보상금)" 에 명시되어 있다. 전사자에게는 소령 10호봉 기준으로 월급의 72배를, 공무 중 사망한 자에게는 당시 월급의 36배[29]를 지급한다. 공무 외의 일로 사망한 자는 당시 월급의 12배[30]를 지급한다. 예를 들어, 연평도 포격전에서 전사한 2명의 장병은 전사자로 예우되어 약 2억원 정도의 사망보상금이 지급된다.

6.4. 정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인사법 문서
번 문단을
정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1. 초임연령

부사관 소위는 29세이나 군경력자는 군경력 기간만큼 늘려준다. 위로는 그렇고 아래로는 부사관은 18세 이상, 장교는 20세 이상이어야만 임관이 가능하다. 특히 장교의 경우는 나이가 지나치게 어리면 지휘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런 것이다.

석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들이 초임할 수 있는 중위는 31세며 박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들이 초임할 수 있는 대위는 34세다. 법적으로 임관할 수 있는 가장 높은 계급 소령은 38세이나 실제로는 임관하는 일이 북한에서 내려온 귀순자 등에 제한적이다. 건군기에는 김홍일 특별임관으로 준장으로 임관한 적이 있다. 당시 김홍일은 대한민국 육군 유일의 정규군[31] 장성급 지휘관 경력자 였기에 이러한 특례가 가능했다.

전시에는 소위가 35세까지 높아진다.

준사관의 경우 50세까지 가능하다. 다만 이는 준사관후보생 얘기고 통번역준사관은 45세까지다. 2015년부터 대한민국 육군 항공준사관의 경우 '항공운항준사관'으로 명칭이 개칭됐으며 지원연령은 민간(이지만 군필 예비역인), 현역 내 지원 모두 임관일 기준 50세까지 지원이 가능하도록 변경됐다.

대한민국 국군은 다른 군에 비해서 임관 나이제한이 빡빡한 편이다. 대다수의 모병제 서방 국가 군대들은 딱히 인력난이 아니더라도 일반모병으로 30대 중반까지는 받아주는 경우가 많다.[32]

6.4.2. 연령정년

의 경우 40세, 전시 45세다.
<rowcolor=#212529,#e0e0e0> 계급 원수 대장 중장 소장 준장 대령 중령 소령 대위 중위 소위 준위 원사 상사 중사 하사
정년 종신 63세 61세 59세 58세 56세 53세 50세 43세 55세 53세 45세 40세

대한민국 국방부에서는 인사적체를 완화하고 군인의 처우의 개선을 위해 2~3년씩 연령정년을 늘려주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럴 경우 1973년에 고갈된 군인연금이 20년 이상 근속자[33]의 속출로 악화되고 소포대 (소령 포기한 대위), 중포소 (중령 포기한 소령)같이 장포대의 마이너 버전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우려가 있다. 관련기사.

6.4.3. 근속정년

근속정년 임관하여 복무할 수 있는 최대기간을 말한다.

6.4.4. 계급정년

계급정년 장성급 장교 등에 제한적으로 적용된다.

6.5. 교육 및 훈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교육훈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복제(服制)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복/한국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특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특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다른 나라의 관점에서 봤을 때, 대한민국 국군은 절박해 보일 정도로 극단적인 총력전 지향 군대다. 이로 인해 굉장히 강력한 재래식전력을 자랑하는 군대이다. 주변국에 비해서 작은 경제 규모에도 불구하고 세계 3/4위의 육군력과 세계 10위권 안에 드는 해·공군을 실질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중이고, 해마다 조금씩 달라지지만 종합적인 군사력( GFP)도 세계 5위권 안팎으로 들어갈 정도로 강군이다.

비대칭전력 또한 각종 제약에도 불구하고 객관적으로 굉장히 잠재력 있는 뛰어난 국가로 평가받는다. 대량살상무기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의 관련 기술력과 인프라를 자랑하기 때문에 일본과 함께 잠재적 생화학무기/ 핵무기 보유국가로 인식되고 있다.[34] 2021년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의 폐지 이후 급격한 속도로 미사일 로켓 관련 기술 또한 두각을 나타내며 발전하는 중이다. 극단적으로 총력전을 지향하는 징병제 군대임에도 전문 직군인 특수작전 분야에서 일부 특수부대가 세계적으로 뛰어난 기량과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민사작전 능력은 항일투쟁/ 6.25 시기부터 이어져 온 유서 깊은 노하우로 인해 미국도 인정할 정도로 유명하다.[35] 군 정보작전 분야에서도 무려 미 NSA가 뽑은 첩보 위협국 탑 10에 이름을 올린 대한민국인만큼, 세계적 우수 국가정보기관인 국가정보원과의 협업 하에 국방정보본부, 국군방첩사령부와 같은 군 정보기관이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이름을 날리고 있다. 특히 대북/대공 관련 군사 첩보작전으로는 전세계 최고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고 봐도 무방한 수준이다.

다만 상대적으로 취약한 사이버전 전력, 전자전 자산과 위성정보 수집 자산에 대한 미군/일본 자위대로의 지나친 의존은 대한민국 국군 정보작전 역량의 최대 약점으로 꼽혀왔다. 특수전도 마찬가지로 일부 부대를 제외하곤 시대에 동떨어진 전술과 야전부대 출신 지휘관으로부터 비롯된 경직되고 무능한 부대문화, 특수부대라곤 볼 수도 없는 처참한 수준의 전문 교육 및 인프라, 복지, 개인 장구류와 같은 대원 1인당 투자 비용, 전무한 특수전 침투수단과 미군으로의 지나친 의존이 큰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그나마 이도 2020년 국방개혁 이후로 꾸준히 가시화된 수준으로 개선되고 있는 중이다.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단기간에 국력을 키운 대한민국은, 그동안 주위 군사 대국들에 비해 부족했던 군사력에 어마어마한 투자를 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그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다 보니 대한민국 국군의 종합적인 규모는 소규모 유럽 국가들보다 상당히 크고, 질적으로도 미국, 유럽을 비롯한 여타 선진국 군대와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상당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이다.

또한, 275만 명의 예비군을 강대국 못지않게 보유하고 있다는 것도 특징이다. 해마다 50만 명의 남성들이 총기, 포, 궤도장비를 운용하고 정비하다 사회로 복귀한다. 이게 군필자 입장에선 별거 아닌 것 같아 보여도, 18개월에 걸쳐 주특기를 훈련받았던 경험은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심지어 궤도장비 조종수, 박격포병, 포병 등 전문적인 숙달이 필요한 주특기를 익힌 전역자들은 당장이라도 실전에 투입될 수 있는 기량이 있을 정도다. 총기 허용국 이외 국가의 남성들이나 총기 허용국이라 하더라도 총기에 관심이 없는 남성들은 군사적 지식은커녕 총기의 기본 매커니즘조차 잘 모른다는 것을 감안하면, 대한민국의 군사 인프라는 상당히 좋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이런 강력한 군사력은 파병 병력의 뛰어난 민사작전 능력, 방산수출 분야와 접목되어 국익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UAE에 특수전 기술을 전수하고 여러 국가에 무기를 수출하는 등 대한민국의 국가 이미지를 높이고 국력을 신장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해군 특수전전단은 방글라데시 특수부대의 교관 BUD/S 과정에서 방글라데시 장교를 위탁교육하고 있고, 공군은 요르단 공사 생도에게 F-16 전투기 위탁교육을 시키고 있으며[36], 육군특수전사령부는 인도네시아 특수부대를 위탁교육시키고 있다. 덕분에 후술할 군 신뢰도에 대한 문제와는 별개로, 대한민국 국민 대부분은 북한을 상대로는 미군 없이도 자주국방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37]

그러나 대한민국의 군사력은 공공연히 위협을 가하고 있는 북한이라는 동족이면서 동시에 매우 난폭한 인접 적성세력의 존재와, 역사적, 정치적으로 마냥 신뢰하기에는 위험한 주변 3강( 중국, 러시아, 일본)에 둘러싸인 불안정한 국제정세 때문에 쉽게 군축을 하지 못하는 현실을 역설적으로 방증하기도 한다.[38]

이에 따라, 대한민국은 냉전기의 서부 유럽에서 벌어질 법한 대규모 기동전 및 화력전을 상정하여 창설 초기부터 심하다 싶을 정도로 육군에 치중했다. 그리고 현대에는 북한의 핵무기를 방어하고 비대칭 전력을 무력화할 KAMD 킬 체인에 대한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1990년대 이후에는 육군만으로는 전쟁을 수행할 수 없다는 깨달음과 함께 일본이나 중국과의 영토 및 배타적 경제수역상의 분쟁이 빈번해지면서 독도 동해, 서해, 남해의 EEZ 수호를 위해 해군과 공군에 대한 투자 또한 이뤄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동안 수입에 의존해 왔던 지상군 기동전력과 해상 무기체계의 국산화도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2020년대에는 완전한 국산화와 함께 공군 무기체계의 국산화와 정보전/특수전 및 지원전력 체계에 대한 투자의 성과가 가시화될 예정이다. 그동안 주한미군에 의존해 왔던 특수전 침투체계, 인공위성 및 정찰기 전력, 해군 대잠전력이나 육군의 의무수송 체계, 공군의 공중급유 및 전자정보전 체계 등이 이에 해당된다.

이렇게 대한민국 국군은 군대에 대한 투자 자체는 활발하지만, 정작 그 병기를 운용하는 장병들의 복지와 지원전력에서는 매우 부족한 면을 많이 보이고 있다. 해군이나 공군은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규모가 크고 대중들이 관심을 더 가지는 육군은 장병 개개인의 장구류, 피복류 등에서 열악한 보급을 자주 노출해 왔다. 그리고 선진국에 걸맞지 않는 윤리 의식의 부족으로 인해 군납비리와 가혹행위와 같은 각종 군대의 사건사고, 그리고 이를 은폐하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드러나고 있으며, 장병들의 건강 및 의료 문제, 그리고 군 생활 환경 및 봉급/처우 문제 등에서 비리가 심각할 정도로 부패한 모습이 2010년대부터 대중들에게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한민국 국군의 전투력과는 별개로, 대한민국 국민들이 대한민국 국군에 대해 갖는 신뢰도는 떨어져 있다.

한편 대한민국 사회에서 심화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인구 감소의 영향을 대한민국 국군도 점점 직격탄으로 맞고 있다. 2023년부터는 징병 가능 청년 남성이 20만 명대로 급감하고 통계청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남아 출생아 수는 14만이 안 된다. 따라서 2020년 출생 남성들이 본격적으로 입대하는 2040년부터는 아무리 쥐어짜내도 현역병으로 갈 수 있는 인원이 고작 11만 명에 불과, 따라서 2040년대 중후반부터는 매우 높은 확률로 매년 현역병 징병대상이 수만 명대까지 내려갈 것으로 보인다. 설령 병사 수를 30만 명으로 유지한다고 가정할 시에도 2035년부터는 징집률이 100%를 넘어간다.[39] 이에 대한민국 국군은 기계화, 첨단화를 통해 병력 감축에 대비하고 전문 부사관 수를 점차 늘리는 방향으로 국방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다만 징집가능 남자가 줄어드는 속도가 워낙 빨라서 어떻게 될 지가 미지수다. 한편, 2023년 문재인 정부 국방개혁 2.0이 완료되어 병력은 50만 명으로 감축되었다. # 다만 얼마 안가 국방개혁에 관한 법률에서 병력 50만명을 목표로 한다는 조항을 삭제하게 되었다. #

장교 및 부사관의 지원률 감소와 병사 복무기간 감소 여파가 생각보다 더 빨리 다가오고 있다. 이미 2022년 말에 50만 명이 아니라 실 병력이 48만 명 밖에 되지 않는다는 기사가 등재됐다.[40] 실제로 2023년 하반기 기준 기행부대 및 교육부대에서는 이미 부사관과 병사가 손실되는 만큼 충원이 되지 않아 병력 부족 문제가 다가오는 중이다. # 한편 이와는 별개로 다문화 가정 출신의 병사들은 늘어나고 있다. #

또한, 스톡홀름 국제 평화연구소의 연구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2년까지 기준 전세계에서 무기 수출의 2.4%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러시아, 프랑스, 중국, 독일,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다음인 8위에 해당한다.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는 필리핀(16%)이고, 인도와 태국이 공동 2위(13%)다. 한편 무기 수입의 경우에는 전세계 무기 수입의 3.7%를 점유하고 있으며, 이는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호주, 중국, 이집트에 이은 세계 7위에 해당한다.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는 어느 정도 예상이 가듯이 미국(71%), 독일(19%), 프랑스(7.9%)이다. 수치에도 보이듯이 대한민국이 수입하는 무기는 대부분은 미국산 무기이다.

9. 전력

병력
<colcolor=#212529,#e0e0e0> 상비군 477,470명 (2023년 12월 기준)[41]
예비군 약 2,730,000명 (2022년 기준)[42]
전시 최대 가용 인원 약 3,580,000명 (2022년 12월 기준)[43]
육군력
3.5세대 전차 690대(+1,287대)[44]
3세대 전차 1,062대(-1,062대)[45]
2세대 전차 0대[46]
1세대 전차 485대(-485대)[47]
전차 총합 2,237대[48]
병력수송장갑차 3,100여 대[49]
보병전투차 470여 대[50]
소형전술차 10,000여 대[51]
견인포 3,500여 문[52]
박격포 14,900여 문+[53]
자주포 3,200여 문[54]
야포 총합 5,600여 문[55]
다연장로켓 310여 문+[56]
지대지 유도무기 60여 기[57]
해군력
해군 함정 총합 200여 척
전투함정 총합 90여 척+
상륙함정 총합 17척+
소해정 총합 14척+
지원함정 총합 20여 척
잠수함정 총합 10여 척+
주력 수상함
10,000톤 이상-15,000톤 미만
방공구축함
4척(+2척)[58]
8,000톤 이상-9,000톤 미만
방공구축함
0척(+6척)[59]
5,000톤 이상-6,000톤 미만
구축함
6척[60]
3,000톤 이상-4,000톤 미만
구축함
3척(-3척)[61]
4,000톤 이상-6,000톤 미만
방공호위함
1척(+11척)[62]
2,500톤 이상-4,000톤 미만
호위함
14척[63]
2,000톤 이상-2,500톤 미만
호위함
2척(-2척)[64]
1,000톤 이상-1,500톤 미만
초계함
3척(-3척)[65]
500톤 이상-600톤 미만
미사일 고속함[66]
18척[67]
200톤 이상-300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16척(+18척)[68]
100톤 이상-200톤 미만
고속정
31척(-31척)[69]
항공모함, 상륙함, 군수지원함, 수송함
30,000톤 이상-45,000톤 미만
항공모함
0척(+1척)[70]
15,000톤 이상-20,000톤 미만
강습상륙함
2척[71]
20,000톤 이상-25,000톤 미만
군수지원함
1척(+1척)[72]
8,000톤 이상-10,000톤 미만
군수지원함
3척[73]
5,000톤 이상-10,000톤 미만
LSD
4척[74]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LST
4척[75]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기뢰부설함
2척[76]
100톤 이상-200톤 미만
공기부양정
7척(+4, -3척)[77]
잠수함[78]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3척(+6척)[79]
1,700톤 이상-1,8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9척[80]
1,100톤 이상-1,2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9척[81]
공군력
5세대 전투기 39기(+40기)[82]
4.5세대 전투기[83] 59기(+261기)[84]
4세대 전투기[85] 235기(-141기)[86]
3세대 전투기[87] 98기(-98기)[88]
조기경보통제기
(AEW&C)
4기(+4기)[89]
해상초계기 16기(+6기)
공중급유기 4기(+2기)[90]
고고도 무인 정찰기
(SIGINT/ISTAR)
4기[91]
전투임무기 총합 410여 대[92]
공중기동기 총합 50여 대
감시통제기 총합 70여 대[93]
훈련기 총합 190여 대
공군기 총합 720여 대
헬리콥터 700여 대[육/해/공군]
항공기 총합 1,400여 대

9.1. 대한민국 국군 장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혹은 하단의 "둘러보기" 항목을 참고하는 것을 추천한다.

9.1.1. 국산 장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장비/국산 장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2. 장비 도입 사업

10. 예산

( 2000년 ~ 2018년) 대한민국 명목 GDP [95], 경제성장률, 국방비 흐름[96]
종류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전체 명목 GDP[97](10억 달러; 약 1조 원) 561 533 608 680 765 898 1,011 1,122 1,001 902 1,094 1,202 1,222 1,305 1,411 1,382 1,414 1,530
경제성장률(%) 8.9 4.5 7.4 2.9 4.9 3.9 5.2 5.5 2.8 0.7 6.5 3.7 2.3 2.9 3.3 2.8 2.9 3.1
SIPRI[98]: 전체 국방비(100만 달러; 약 10억 원) 20,395 20,978 21,556 22,289 23,268 25,165 26,072 27,253 29,035 30,861 31,117 31,544 32,347 33,157 34,638 35,983 36, 934 37,560 39,153
대한민국 국방부: 전체 국방비(10억 원; 약 100만 달러)[99] 14,439 15,388 16,364 17,426 18,941 20,822 22,512 24,497 26,649 28,532 29,562 31,403 32,957 34,345 35,705 37,456 38,799 40,334 43,158
영어위키 국방비 자료[100]: SIPRI(10억달러; 약 1조원) 13.8 12.9 14.1 15.8 17.8 22.1 25.1 27.7 26.0 24.4 27.5 30.8 31.6 33.9
SIPRI: GDP 대비 국방비(%) 2.5 2.4 2.3 2.3 2.3 2.5 2.5 2.5 2.6 2.7 2.6 2.6 2.6 2.6 2.7 2.6 2.6 2.6
대한민국 국방부: GDP 대비 국방비(%) 2.27 2.24 2.15 2.15 2.16 2.26 2.33 2.35 2.41 2.48 2.34 2.36 2.39 2.4 2.4 2.39 2.37 2.33 2.38
대한민국 국방부: 증가율(%) 5.0 6.6 6.3 6.5 8.7 9.9 8.1 8.8 8.8 7.1 3.6 6.2 5.0 4.2 4.0 4.9 3.6 4.0 7.0

대한민국의 국방비는 1950년대 ~ 2010년대까지 지속적으로 경제규모가 확대되면서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중이다.

2016년 8월 8일,여당과 정부가 국방예산을 평균이상 증액하기로 합의하면서 앞으로도 국방비의 증가율은 더 높아질것으로 보인다.

11.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장성급 장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비판 및 문제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문제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오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오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사건·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기타

15.1. 용어 및 은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국군/용어 및 은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2. 해외에서의 인식

파일:국군밀덕일인2.jpg 파일:국군밀덕일인1.jpg
파일:국군밀덕양인11.jpg 파일:국군밀덕양인2.jpg
위쪽은 일본인들, 아랫쪽은 서양인이다. 일본인은 한국인과 외모가 비슷하여 설명이 없으면 진짜로 오인할 수도 있다. 일본 내에서는 진위 여부로 많은 설전이 오가는 듯하다.
해외에서 대한민국 국군을 실제로 코스프레까지 하는 밀리터리 동호인들도 소수이지만 존재한다. 이쪽은 평범한 밀덕으로, 독일군, 미군, 러시아군, 이탈리아군을 연구하고 군장을 수집하는 다른 밀덕들하고 큰 차이가 없다. 월간 플래툰 취재를 보면 미국, 유럽, 일본의 군장점/리프로샵에서 대한민국 국군 군복이 몇 벌쯤 걸려 있는 경우도 있다. 값은 희귀품이라 꽤 비싸다고한다. 특히 일본은 대한민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워 군복과 부대패치 등 군장류 일체를 입수하기 쉽다. 코스프레를 할 때도 머리만 잘 깎아놓으면 싱크로가 100%라는 것이 장점. 더군다나 꼭 현대군장구류 말고도 6.25 전쟁 재현에 관심이 많은 동호인도 많다고 알려져있다.

과거 속 군대가 아니라 정보와 장비가 계속 갱신되므로 파고들 가치도 있는 모양이다. 과거부터 국방에 관련된 것을 신경을 많이 쓴 군대라서 독자적인 장비가 많고 자료도 풍성한 편이라고 한다.

일본 동호인들이 밝힌 바에 따르면 대한민국 국군에 대해서 약간의 환상이 존재한다고 한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에 가장 많이 알려진[101] 분단국가이고 공산권을 적으로 둔다. 실제로 가장 최근에 있던 대규모 전쟁으로는 6.25 전쟁도 있었고 국경도 중국, 북한과 맞닿아 있고 군경험도 희귀한 일본인들 입장에선 마치 실전 경험이 많은 듯한 인상을 받을 것이다. 특히 그중에서도[102] 특수부대는 북한을 상대로 본격적인 작전을 하는 듯이 보일지도 모른다.[103] 미국이 중동의 경험이 근거가 되듯 일본은 대한민국과 북한을 그리 보는 듯하다.

반면에 우익성향의 밀리터리 매니아들에게는 과도한 폄하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아예 밈으로 승화되어 '웃기는 한국군(お笑い韓国軍)'이라는 용어가 따로 존재하며 부정적인 이슈만을 선별하여 매년 갱신중이다, 2020년대에 들어와서는 다소 누그러졌지만 대한민국의 밀리터리 매니아들과는 늘 유튜브등에서 충돌하여 왔다.

주의할 점은 군인신분이 아닌 민간인은 절대로 군복 코스프레를 하면 안된다. 법적으로 민간인이 군복을 착용하거나 군용품을 장비하고 바깥을 활보하고 다니는 것은 불법행위이다. 하게 되면 경찰이 뜰 수가 있다. 물론 얼룩무늬의 구형 전투복이나 해군의 해상병전투복, 고속정복 등 폐지된 피복의 경우는 민간인이 입고 다녀도 군복단속법의 적용을 전혀 받지 않지만.

15.3. 매체에서

16. 관련 문서

16.1. 역사 관련

16.2. 기술 관련

16.3. 군대 문화

16.4. 복무 관련

16.5. 미디어

17.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 한국의 역사( 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 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수도권 · 충청 (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 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 견종) · 파충류 · 어류( 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국회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정부 (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 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기초과학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 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 문제점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JUSCANZ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 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 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 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 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 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 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 한국어 (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98, '07, '18)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91~현재)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MBT <colbgcolor=#2A5034> 1세대 M47 패튼R | M48( A1/ A2C/ A3K)R
2세대 M48A5( K1/ K2/ KW) | Tiran-6X | T-72M1X | M60X
3세대 K-1 | K-1A1 | T-80U
3.5세대 K-1( E1/{ E2}) | K-1( A2/{ A3}) | K-2 흑표
장갑차 차륜형 KM900R | RG-31 Mk.3 니알라L | 바라쿠다R | K806/808 백호 | KMPVX | M1224 MaxxPro Dash
궤도형 LVTP-7R | K200( A1) | K277(A1) | KAFV | BMP-3 | K-21({ PIP}) | AS-21 레드백X | KAAVP-7A1 | { KAAV-II}
차량 소형 K-100R | K111 | K131 | K151 현마 | 전역차륜차량 | 샌드캣
트럭 K300/K301R | K800R | M37R | M602R | M35R | K311( A1/ A2) | K511(A1) | K711(A1) | K911 | { K351} | { 중형표준차량} | 민수용트럭 | FOX RRV | HEMTT(M977, M984A1, M985A2, M1142) | MTVR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 M110R | K-55( A1) | K-9( A1/{ A2}/{ A3}) | K105A1 풍익
자주박격포 M106R | M125R | K242(A1) | K281(A1) | K532 | KSM-120 비격
포병지원차량 탄약보급 K-10 | K-56
사격지휘 K-311 포사격지휘차 | K-514 | K-77
대포병 레이더 AN/TPQ-(36/37) | 아서-K | TPQ-74K 천경-II
다연장로켓 M270(A1) MLRS | K-136 구룡 | K-239 천무
TEL K409 TEL | K501 TEL | K-91X TEL
야전방공무기 자주대공포 K263(A1/A3) | K-30 비호 | K-30W 천호
대공 미사일 K-30 SAM 비호복합 | K-31 천마
지원 차량 구난차량 K288(A1) | K1 구난전차 | K-912 | 경구난차량 | KAAVR7A1 | M88(A1) 구난전차R | M578 경구난차량
AEV KM9 ACE | K-600 코뿔소
교량차량 K-1 AVLB 교량전차 | K-719 | 부교 운반차 | KM3 수룡
통신차량 K533/534
화생방차량 K-316 | K-332 | KM9
기타 K-313 | K-512
대테러부대용차량 TM-170 | S5 장갑차 | 렌코 베어캣 | 숄랜드 S600 | 포드 익스커션 | 포드 F-350 | 로셸 세네터 AR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시범운용, 연구 목적 도입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 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 K14, M107A1-CQ
기관단총 K1A
산탄총 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 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 KM7, M9P





경​기관총 K3, K15
다목적 기관총 M60, K16, M134, PKT
중​기관총 M2, K6, NSVT
유탄발사기 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 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 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KH179
맨패즈 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 K75/K400, K413, MK3A2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소​총 돌격​소총 HK416, HK416A5, SCAR-L, SIG516, CAR816, M4A1P, DD Mk.18P, SR-16, KAC KS-3, M6P, ARADP, K2C,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 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RAD, M107A1, PSLC
기관단총 K7, K13, MP5A5, MP5SD6, MP5K, MP9, APC9K PRO, DSMG9P, X95 9mm SMG, DSAR-15PC, Vz.61C
산탄총 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 G17, G19, G26, 베레타 92(SB/F), P7M13P, USP9T, P2000P, P226,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M&P9P, SFP9P, TT-33C
특수화기 APS, KSPW, M32 MGL
총검 KCB-77, 6X5C
의장 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에서 조류퇴치용으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1B69><colcolor=white> 잠수함 <colbgcolor=#001B69><colcolor=#fff> SS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 KSS-III Batch-II}
SSM 비둘기/갈매기급정·R, 돌고래급R, 참고래나포·R, 가자미급나포, 범고래급
SSN 362사업
항공모함 한국형 경항모 계획, { CVX}
아스널십 { 합동화력함}
구축함 DDG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 KDDX}
DDH 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DD 충무급R, 충북급R, 대구·인천R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경기·강원R, 충남급R, 경남·아산R, 경북·전남R
호위함 FFG 인천급, 대구급, { 충남급}, { FFX Batch-IV}
FF 울산급
PF 두만강급R
초계함 PCC 동해급R, 포항급
경비함정
(PG, PCS, PC, PCE)
충무공 313·315R, 수성급R, 백두산급( 백두산함)R, 노량급R, 거진R, 신성급R
유도탄고속함 PKG 윤영하급
PGM 백구/검독수리급R
PKMM 기러기 121·122R
고속정 PKM
PKMR
기러기 123R,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PB
SB
FB
PK
올빼미급R
보라매급R
독수리급R
제비급R
PT 갈매기급R
상륙함 LPH 독도급
LST-II (LSD) 천왕봉급
LST 천안/용화급R, 안동R, 용비급R, 운봉급R, 고준봉급
LSM
LSMR
대초급R
시흥R
상륙정 LSF 솔개 611R, 거북이 613급정·R, 솔개 621급, 솔개 631급
LCU 물개급
LCI
LSSL
서울/천안급R
영흥만급R
기뢰부설함 LSML
MLS
풍도·울릉R
원산, 남포
소해함 MSC
MHC
MHS
금산급R, 남양급R
강경급
양양급, { MSH-II}
소해정 YMS
JMS
AMS
금강산/강진급R
대전급R
금화급R
군수지원함 AOE 천지급, 소양급
수상함구조함 ARS
ATS
창원·구미R
평택·광양R, 통영·광양
잠수함구조함 ASR 청해진, 강화도
훈련함 ATH 한산도
정보함 AGS 신천지R, 신세기, 신기원, { AGX-III}
잠수정모함 ASL 남양정·R, 다도해R
수리함 ARL 덕수R
수송함 AKL 부산·인천/제물포R, 원산급R, 군산/천수급R
유조함 YO
AO
AOR
구룡R
천지·부전/부천R, 백연/화천R, 청평R
소양·진양R
예인함 ATA 인왕R, 용문R, 도봉R
전투근무지원정 전투정 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경비정(YUB/HP), 항만수송정(YF), {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근무지원정 숙영지원정(QB)R, 냉동정(RCM)R,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기타 단정, 주정 고속단정(RIB),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유인기 심해구조잠수정(DSRV)
무인기 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 무인잠수정(UUV)}, { 무인수상정(USV)} { 무인전력지휘통제함}
타기관 함정 육군, 국과연 육군경비정, 교량 가설 단정, 선진·R, 지심, 미래, 청해
※ 윗첨자R: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윗첨자: 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취역·퇴역 함정 일람 |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大韓民國 國軍 |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colbgcolor=#407FBF> 회전익기 <colbgcolor=#407FBF> '''[[무장헬기|
경헬기
]]'''
{ 미르온} | Bo 105CBS | 500MD 디펜더 | OH-58B 카이오와 | OH-23G 레이븐
'''
다목적 헬기
'''
KUH-1 수리온 | MUH-1 마린온 | UH-60P 블랙 호크 | HH-60P | HH-32A | 벨 412 | UH-1(B/H) 휴이 | UH-19D 치카소
수송헬기 CH-47(D/NE/{F}) 치누크 | HH-47D
공격헬기 AH-64E 아파치 | AH-1(J/S) 코브라 | { MAH}
대잠헬기 { MH-60R 시호크} | AW159 와일드캣 | 슈퍼 링스 Mk.99(A/U) | SA.319B 알루에트 III
'''[[전투기|
전투기
]]'''
프롭 F-51D 머스탱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2세대 전투기|
2세대
]]'''
F-5(A/B) 프리덤 파이터
'''[[3세대 전투기|
3세대
]]'''
KF-5(E/F) 제공호 | F-5(E/F) 타이거 II | F-4(D/E) 팬텀 II
4(.5)세대 { KF-21 보라매} | F-15K 슬램 이글 | KF-16(C/D) 블록 52 → KF-16U 파이팅 팰콘 | F-16(C/D) 블록 32 → 블록 52 PBU | FA-50 파이팅 이글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프리덤 나이트
공격기 KA-1 웅비 | A-37B 드래곤플라이 | AT-33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16(C/D) | RA-50 | RF-5A | RF-4C | RF-86F
전자 팰콘 2000S 백두 2 | RC-800B 백두 | EC-47Q ELINT
ISR RC-800G 금강
해상초계기 P-8K 포세이돈 | P-3(C/CK) 오라이언 | S-2E 트래커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N-235(-100M/-220M) |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전술 { C-390 밀레니엄} | C-130(H/H-30/J-30) 허큘리스 | MC-130K | C-54E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수상기 KN-1 해취호 | SX-1 서해호 | SX-2 | SX-3 제해호
다목적기 U-9(C/F) | O-2A | O-1(A/E/G)버드 도그 | U-6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737 피스 아이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330 시그너스
전자전기 {한국형 SOJ 전자전기}
'''
연락기
'''
L-5 센티넬 | L-4 그래스호퍼 | SX-5 통해호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티로터 | RQ-103K | { WB 워메이트}
클래스 1 - 소형
넵튠 V270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RQ-102K 참매 | RQ-101 송골매 | 헤론 | 서쳐 II | 캠콥터 S-100 | { 캠콥터 S-300} | KUS-7 | 솔개
클래스 3 - MALE급
{ RQ-105K} | 헤론
클래스 3 - HALE급
RQ-4B 글로벌 호크
'''
UCAV
'''
클래스 3 - MALE급
{ MQ-105K}
{ KUS-X} | {UCCR}
'''[[훈련기|
훈련기
]]'''
프롭 KT-1 웅비 | KT-100 | T-103 | T-41D 메스칼레로 | T-28A 트로젼 | T-6 텍산 | TF-51D | 부활호 | 새매호
제트 T-50 · TA-50 골든이글 | T-59 호크 | T-38 탈론L | T-37C 트윗 | T-33A 슈팅스타
헬기 벨 505
표적예인 CARV-II 캐러밴
가상적기 MQM-107 | MiG-29 | L-2 | J-7 | MiG-19 | Il-28
VIP 탑승기 B747-8B5L | { B737 MAX 8}L | B737-3Z8 | VCN-235 | HS.748 | 보잉 747-4B5L | VC-118 | VC-54 | L-26
VH-60P | VH-92 | AS332 L2 | 벨 412SP | 벨 212 | UH-1(B/H /N) | UH-19D | H-13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대한민국 국방부 심벌.svg 대한민국 국군군사기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용산기지■USFK 계룡대 자운대 상무대
진해기지■USFK 부산기지■USFK 포항기지 제주기지
수원기지■USFK 오산기지■USFK 평택기지■USFK 대구기지■USFK
주한미군과 공동주둔: ■ USFK }}}}}}}}}

파일:대한민국 국군기.svg 대한민국 국군 축제
파일:대한민국 국군기.svg 국군의 날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지상군 페스티벌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진해 군항제 파일:대한민국 해군 마크.svg MADEX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해병대 문화축제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ADEX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경기항공전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오산 에어파워데이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스페이스 챌린지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사천에어쇼
※ 공군 - 경기항공전: 2018년 이후로 미개최

파일:대한민국 국군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국방개혁안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국방개혁 2020 국방개혁 307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4~2030)
국방개혁 2.0 국방혁신 4.0

[1] 각 군 작전사령관을 통해 군령권을 행사한다. [2] 군정권은 각군참모총장이 가지고 있으며 해병대의 군정권은 해병대사령관이 일부 가지고 있다. [직무대리] [4] 정원은 50만 명 [5] 사관후보생, 전시근로소집, 전환/대체 복무 인원 등 포함. [6] 2022년 국방백서 [7] 정원 기준 [8] 해병대 전력 포함 [9] 해병대 전력 포함 [10] 해병대 전력 포함 [11] 2022년 국방백서 [12] 정원 기준, 해병대 29,000여 명 포함. [13] 2022년 국방백서 [14] 정원 기준 [15] 즉, 선제적인 침략 행위는 하지 않으며 자국이 선제 공격을 받으면 정당한 명분이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자위권 차원의 공격은 가능하다는 뜻이다. 다만 대한민국 헌법 제3조에서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 및 부속도서로 한다고 명시됐기 때문에 북한 지역에 대한 공격은 침략이 아닌 수복으로 본다. 물론 그렇다고 해도 아무 명분도 없이 북한을 상대로 선제 공격을 하면서 전면전을 하는 것은 당연히 불가능하다. [16] 영어로는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줄여서 로마자 약자로 'ROKAF'라고 쓰지만 이는 대한민국 공군(Republic of Korea Air Force)의 두문자이기도 하므로, 실질적으로는 ROK Armed Forces 또는 South Korean armed forces로 부른다. [17] 단순히 ' 군대'(軍隊)라 줄여 부르기도 하지만 이는 회화적으로 대한민국의 병역의무를 뜻하는 경우가 더 많다. [18] 그러나, 2016년 남아 신생아 수가 마지막으로 20만명 이상이었고 그 이후인 2017년부터 남아 신생아 수가 계속 준 결과 2020년생, 2021년생 남아 신생아 수가 약 13만명에 불과하기에 아무리 늦어도 대략 2030년대 중반 안에 군대의 감축이 불가피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따라서 가장 큰 병력이 감축될 육군을 필두로 자동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19] 남북으로 분단된 한반도의 정세와 막강한 군사력을 갖춘 러시아, 중국, 일본 등의 이웃 나라들이 있다는 특성 때문에 국가 방위를 위한 엄중(嚴重)한 책임을 지고 있다. [20] 자위대는 모든 신분을 합쳐 연간 입대인원이 10,000명에서 20,000명 사이. [21] 95,000명 수준이었다. [22] 중위 역시 소위처럼 무엇으로 임관했느냐로 호봉이 달라진다. [23] 소위에게 뭔 호봉이 있느냐 할 수 있는데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소위는 4년의 대학생활을 2년으로 환산해서 3호봉, 육군3사관학교를 졸업한 소위는 2년의 대학생활을 1년으로 환산해서 2호봉이 된다. 다만 학군 ROTC의 경우는 소위로 임관한 직후에는 1호봉이었다가 6개월 후 2호봉이 된다. 왜냐하면 ROTC는 사관학교와는 달리 방학에만 1개월씩 훈련받기 때문에 0.5호봉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학사장교 및 나머지 출신은 기본 1호봉이다(다만, 군 재입대자는 100%(즉, 병장출신이면 3호봉부터, 4년복무 하사 출신이면 5호봉부터 시작) 호봉이 인정되고,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의 경력이 있는 사람은 추가 일정비율로 인정해준다). [24] 입영훈련 시 [25] 학사장교 후보생이나 단기간부사관 후보생, 전문사관 후보생은 여기에 해당된다. [26] 사관학교 중퇴자. 혹은 병장 or 상병일 때 간첩을 잡든가 하는 무공을 세우고 특진한 하사. 이 경우 전역 하사 계급으로 추가복무 없이 원래 전역 일자에 전역한다. 전역 이후 예비군훈련 관련 사항 역시 부사관 예비역이 아니라 병 예비역과 동일하게 편성된다. [27] 자위대에서 준위는 1970년에 생겼다. [28] 원사가 없었다. 1989년에 일등상사 설치. 1993년에 원사로 개칭. [29] 단, 상사 18호봉을 기준으로 이보다 월급이 적으면 상사 18호봉 월급의 36배 [30] 단, 중사 1호봉의 월급보다 적은 경우, 중사 1호봉의 12배 [31] 중화민국군. [32] 프랑스군은 39살 6개월이며 호주군은 외국인까지 영주권 줘가며 불러올 정도로 인력난이 극심해 50세까지 늘리기까지 했다. [33] 중사에서 상사로 최대 11년이면 진급이 약속되고 중사의 정년이 48세, 대위의 정년이 45세로 늘 경우엔 장기복무자들은 웬만해선 다들 근속 20년을 채우게 된다. [34] 핵무기를 실제로 만들지만 않았을 뿐, 핵무기 제조에 필요한 기술과 설비는 전부 갖추고 있는 국가들을 묶어서 '준보유국'이라고 부른다. 대한민국과 일본은 유사시 6개월 이내에 핵무기를 생산 및 사용할 수 있는 준보유국으로 분류된다. [35] 참전 공백기 이후 특수전 대원들 자체의 평균적인 CA/Psyop 능력은 문제점으로 지적되나, 정훈장교가 따로 배정되는 것은 물론이오 정보기관의 서포트 능력도 대단하기에 이와 별개로 작전 자체는 굉장히 체계적으로 진행되기로 유명하다. 채명신 장군의 설득과 웨스트모어랜드의 동의가 있었긴 하지만 베트남 전쟁에서도 대한민국 국군은 독립적으로 민사작전을 진행한 바 있다. 다른 파병국가들은 주월미민사작전사령부의 지휘를 받았다. [36] ISIS에게 살해당한 요르단 공군 F-16 파일럿 무아트 알 카사스베 중위가 바로 이 위탁교육생 출신이었다. [37] 북한을 상대로 하는 자주국방은 이미 오래 전에 실현됐다. 현재 대한민국 정부가 북한을 어려워하는 이유는 자국 영토의 피해 없이 전쟁을 이길 수 없다는 사실 때문이지, 북한을 이길 수 있냐 없냐 때문이 아니다. [38] 영국, 프랑스, 독일을 위시한 과거 유럽의 군사대국들은 군사력을 키울 능력이 없어서가 아니라, 제2차 세계 대전을 겪었고 또 냉전 시기에 나토군을 구성하면서 대규모 군축을 함께 진행했기에 국가 규모에 비해서 군대가 작은 것이다. [39] 한 술 더 떠서 20년 뒤면 병력이 33만명으로 감소한다고 한다. 물론 기사에 나오듯이 정치권에서 군복무를 도로 늘릴 수도 있겠지만 남성들의 반발을 고려해 난색을 표하고 있으며, 여성 징병의 경우 여성들의 표를 의식해 시행하지 않고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40] 게다가 병사 월급 대폭 인상 공약 실행으로 인해 하반기 입대를 기피하는 현상이 벌어져 20만 명이 입대해야 하는데 고작 186,201명 만 입대했다. 특히 2022년 4분기의 입영률이 고작 62.80%에 불과했다고 한다. # 2023년에도 동일한 현상이 다시 벌어졌다. # [41] 50만도 이미 2022년에 깨졌단 자료가 나왔다. # [42] 정확한 산출은 불가능하다. 연말에 나가는 8년차가 있지만 매일 누군가는 전역한다. 따라서 점차적으로 상승해서 확 떨어지는 형태다. 2022년 국방백서 138페이지에 적힌 '2022년 기준 예비군의 규모는 273만여 명이며, 이 중에서 여성예비군과 특전 예비군 6,000여 명이 지원예비군에 편성되어 있다.'라는 문장이 그 근거다. [43] = 상비군 48만+예비병력 310만(예비군 273만+전환, 대체복무인원/사관후보생/전시근로소집 등 37만). 출처 2022년 국방백서 일반부록 4 남북 군사력 현황. 전시 최대 가용 인원에 민방위는 불포함. 민방위까지 포함된 개념으로 보면 그 수는 약 720만 명(2018년 12월 기준 민방위 인원 362만 명). 그러나 민방위는 전시에도 민간인 신분으로, 전시 동원령이 내려지면 입영절차를 거치는 전시근로소집 등과는 성격이 다르다. 민방위기본법 18조 3항에 의거, 전시에 만 50세까지 연한이 상승할 수 있는 것은 민방위 기한으로 징집 연한이 아니다. 병역법 72조 1항에 의거, 병역의 의무는 만 40세까지 있어 민방위도 재징집될 수 있으나, 그런 상황은 현역 및 예비 병력 모두 궤멸된 상황에서나 일어날 일이므로 가능성이 극도로 낮다. [44] K-2 흑표 1차 양산분 100대는 2014년 모두 실전배치 완료. 이후 2차도 106대가 양산 완료됐으며, K-1A1 전차도 전량 K-1A2로 개량이 완료됐다. 이후 3~4차 생산분으로 260대가 추가 배치될 예정이며, 기존에 사용하던 3세대 전차 K-1 전차와 K-1E1 전차가 전량 3.5세대의 성능을 갖춘 K-1E2로 개량될 예정으로 총 K-1 전차 계열 1,027대와 K-2 전차 260대를 합쳐 1,287대가 추가된다. [45] K-1 전차, K-1E1 전차의 경우 1,027대 전량 3.5세대 특성을 갖춘 K-1E2로 개량할 예정이다. 1990년대 말부터 불곰사업으로 1, 2차에 나눠서 도입한 35대의 T-80U의 경우 2020년대 중후반 퇴역할 것으로 추정된다. [46] 연구용으로 도입한 장비는 제외했다. 연구용으로 T-62의 이스라엘의 T-62 개량형 Tiran-6을 도입하기도 했으며 서방식 분류 기준으로 2.5세대 수준인 T-72M1(T-72A 다운그레이드)을 도입하기도 했다. 게다가 전차는 아니지만 ZSU-23-4 쉴카 자주대공포, 170mm 곡산 자주포 등을 연구용으로 도입했다. 사실 불곰사업으로 도입하여 3세대 전차와 보병전투차에 전력으로 포함된 T-80U BMP-3도 처음에는 적성화기 연구용으로 도입했다가 이후 제3기갑여단에 배치된 것이다. 다만 불곰사업으로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보병전투차가 아닌 차륜형 보병수송장갑차로 알려진 BTR-80A는 연구용으로 사용되다가 퇴역된 것으로 추정된다. [47] M48 패튼 계열. 2020년대 초반 퇴역 예정. [48] 해병 포함. 6.25 전쟁 직전에도 미국은 한반도 지형에서 전차는 크게 효용성이 없을 것이라고 봤고, 한국전쟁의 T-34 쇼크를 겪고 난 지금도 군사학적으로 이런 관점은 여전히 유효하다. [49] 해병 포함. K-200, KM900, K806/808 장갑차, KAAV. [50] K-21, BMP-3. [51] 해병 포함. K-151. [52] KH179 155mm 견인곡사포, M101 105mm 곡사포. [53] KM-181 60mm 박격포 KM-187 81mm 박격포, 4.2인치(107mm) 박격포. [54] K-9(A1), K-55(A1), K105HT. [55] 해병 포함. [56] 해병 포함. M270 MLRS, 구룡, 천무. [57] 흔히 탄두 보유 수량이라고 오해하지만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발사대이다. [58] 세종대왕급 구축함3척에다가 정조대왕급 구축함1척이 진수됐고 2척을 추가로 건조할 예정. [59] KDDX [60] 충무공이순신급. [61] 광개토대왕급, 2030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 [62] 충남급 6척, ADD측에 따르면 이지스 시스템에 준하는 전투체계와 4면 고정식 능동형 위상배열 레이더와 같은 하드웨어가 내장되고, 1함대, 2함대, 3함대와 같은 연안함대의 실질적인 기함으로써 L-SAM 기반의 장거리 대공 유도탄을 운용하고, 함대에 방공우산을 씌워주면서 제한적인 BMD 능력까지 보유한 함선이다. 초도함은 2024년에 진수식 예정. FFX Batch-IV 6척, 국회 국방위 회의록 자료를 보면 2030년 이전까지 해역함대의 FFX 척수를 26척까지 늘리겠다고 명시되어 있다. Batch-1, 2, 3이 20척 건조되기 때문에 Batch-4의 건조 척수는 6척이다. [63] 인천급 6척, 대구급 8척. [64] 울산급, 2030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 [65] 포항급, 2030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 [66] 초계함이나 고속정은 대규모 함대전에서 유효한 전력이 아니다. 이것들은 특수부대를 막을 때 한정적으로 유효하다. [67] 윤영하급 [68] PKX-B, 초기형과 후기형 각각 16 + 18척 예정. # [69] 참수리급, 2030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 [70] 한국형 경항모 추가예정. [71] 마라도함 추가. [72] 소양급 군수지원함. [73] 천지급 군수지원함. [74] LST-2. [75] 고준봉급 LST (전차상륙함). [76] 남포함, 원산함. [77] 무레나급, LSF-2. 무레나급 퇴역으로 최종 8척 예정. [78] 2023년 9월 21일 조선일보 기사에 따르면 국책 연구 기관의 한 전문가는 ' 원자력 잠수함 1척이 재래식 잠수함 5척의 역할을 해낼 수 있다'고 말했다. # [79] 도산안창호급. [80] 손원일급, 수상 배수량 1,700 톤 (9척). [81] 장보고급, 수상 배수량 1,180 톤 (9척). [82] F-35는 2018~2021년까지 40대를 도입 완료했으며, 여기에 20기 추가도입 옵션이 존재한다. 추가도입 옵션에 관련해서는 기사에 의하면 우선적으로 20기를 구매하는 것을 착수했다. 일단은 2018년 3월에 F-35A 1호기가 출고 완료. 기사 이후 2018년 말 기준으로는 6대가 양산이 됐으며 기종전환 훈련을 마치고 순차적으로 국내로 도입하여 2019년에는 10기가 도입됐다. # 만약에 T-X 사업으로 T-50A가 미국에 판매될 경우 그 수익의 일부로 F-35를 구매할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100여 기 이상 추가배치될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한국 시간 기준 2018년 9월 28일에 T-X 사업의 결과가 발표가 됐는데 T-50A가 보잉과 사브사의 컨소시엄에 가격경쟁에 밀려 탈락했다. # 그 결과 F-35의 경우 현재 도입 중인 40대 + 추가 도입 예정분 20대 정도로 끝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 2020년 10월 기준으로 24대 도입. 공군형인 F35A 60대를 도입하고 경항모 CVX를 운용할 해병대용인 수직이착륙기 F-35B가 추가적으로 20대 정도 더 들어와 최종적으로 80대가 도입될 것으로 보인다. F-35B는 평소에 공군이 굴리다가 경항모가 항공작전을 수행할 때마다 차출하여 해군에 파견하는 식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영국군의 방식과 같은 것이다. [83] 4.5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4.5세대 분류법 (2) [84] KF-21은 120기 배치 예정이며 블럭1~2는 4.5세대 기종이나 블럭3부터는 5세대 전투기 특성을 갖게 된다. [85] 4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86] F-16 PBU(1980년대 도입한 F-16C/D Block 30/32을 개량한 34기), KF-16(1980년대 말 KFP 사업으로 직도입을 거쳐서 나중에는 면허생산한 F-16C/D Block 50/52 140대 중에서 7대 추락으로 보유 중인 133기), F-15K( 1~2차 FX 사업으로 직도입한 61기 중 2기 추락으로 59기), FA-50(60기). KF-16의 경우 2017년부터 133기 전량 순차적으로 2021년쯤 완료되는 걸 목표로 F-16V 사양으로 개량되고 있으며, KF-16 개량 사업 종료 이후 2022년부터 F-15K 59기도 F-15 Advanced Eagle 사양으로 개량될 예정이다. 도합 192기의 전투기(KF-16, F-15K)가 4.5세대 전투기 특성을 갖추게 된다. 즉 2020년대 중반에는 94기의 전투기(F-16PBU, FA-50)만 4세대로 남게 된다. [87] 3세대 전투기 분류법 참고. [88] F-4E 팬텀II 2024년 퇴역 예정, F-5E/F 계열(면허생산형 제공호 포함) 2030년 퇴역 예정. [89] E-737 4기. 2016년 기사에 의하면 2기를 추가도입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다만 E-737이라고 확정이 된 것이 아니라서 다른 기체가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90] KC-X 사업을 통해 에어버스 사의 A330 MRTT 기종이 선정되어 2018년에 1대 도입됐고, 19년에 3대, 총 4대 도입됐다. [91] 대한민국 국군이 도입한 글로벌호크 무인 정찰기는 2018년과 2019년에는 SIGINT가 없는 정찰기로만 운용하다가 2020년에 국내 기술로 개발하여 SIGINT가 장착됐다. [92] 공군 내부자료에 따르면 대략 430대 정도를 대한민국 공군의 전투기 적정 보유 수량으로 판단한다. # [93] 해군 포함 [육/해/공군] 총합. [95] (2000년~2014년)대한민국의 명목 GDP, 경제성장률 흐름 [96]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 군비자료 [97] 통계청 [98]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 [99] http://www.mnd.go.kr/mbshome/mbs/mnd/subview.jsp?id=mnd_010201020000 [100] List of countries by past and projected military expenditure (current US$) [101] 북키프로스,북예멘,대만과 같이 아예 한쪽이 미승인국인 경우도 있으니, 유일한 분단국가로 보긴 어렵다.게다가 키프로스는 같은 민족이 분단이 된 것도 아니다. [102] 일반군이나 징병군의 문제는 일본도 알 사람은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징병군은 장구류 외에 군사적인 밀덕뽕 요소로는 큰 관심이 없어보인다. 다만 코스프레어나 군생활 자체를 궁금해하는 사람들에겐 가장 잘 알려진 군생활요소가 대한민국 징병제이므로 대한민국 국군 코스프레 중엔 밀리터리 코스프레 외에 한국인이라면 웃음이 나올법한 온갖 코스프레가 등장한다. [103] 일본 매체에서는 총기류와 그것을 다루는 자들을 항상 강함을 강조하기 위해 등장시킨다 할 정도로 총기류의 환상이 강하다. [104] 좀비 사태 직전에 북한군이 지하 시설로 대거 이동하는 바람에, 대부분의 정부 요인들은 남침이 시작된다고 믿고 있었다. 때문에 남한 내 모든 병력이 휴전선에 집중되어 버렸고, 정작 좀비들이 목포 대구와 같은 후방 도시에 퍼지자 군대 투입이 늦어졌다. 나중에 드러난 사실로는 북한은 남한보다 먼저 좀비를 접하고는, 잔존한 전 국민을 지하 도시로 대피시킨 것 뿐이었다. [105] 인민해방군은 해체, 러시아군은 1차 대전 시절로 퇴화되었고, 미군은 정부가 버린 생존자들이 군벌화되는 바람에 자국 내전에 대거 소모되었으며, 영국군 자위대는 냉병기 들고 설치는 중세 무장 집단(...)이 되어버렸다. [106] 물론 작중에서 언급되는 바로는 한국 정부도 한반도 내 일본 난민들에게 한국식 이름을 강요하는 등, 일제강점기의 보복도 충실하게 했다. [107]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서열이 되는 문화이다. [108] 병영부조리를 다룬 영화. [109] 이 역시 대우가 좋지못하다. [110] 후속작에선 좀비들에게 패배하고, 존자들이 등장한다. [111] 특전사 제707특수임무단의 일부분을 모티브로 한 부대가 등장한다. [112] 독립된 프로그램은 아니고 유머 1번지에 소속된 코너 중 하나이다. [113] 다만 시즌 1과 데드퀸 초반부에 한해서만 우리가 아는 그 국군이라 할 수 있고, 정부가 전멸한 것이 암시되는 이후부터는 공익을 추구하며 정부의 기능을 이어받은 군벌에 가깝다. 자세한 것은 대한민국 국군(하이브)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