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07:37:55

대한민국 국군/파병부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의 명칭별 부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보병부대 수색 부대 특공부대 공수부대 기동부대
특수부대 정찰부대 GOP부대 경비부대 파병부대
포병부대 기갑· 기보부대 공병부대 통신부대 정보부대
군수부대 수송부대 정비부대 탄약부대 화생방부대
방공부대 항공부대 의무부대 방첩부대 군사경찰부대
근무지원부대 행정부대 기행부대 군악부대 산악부대
신병교육부대 예비군부대 훈련부대 군사학교 독립대대
독립중대 보충중대 예비대
}}}}}}}}} ||

1. 개요2. 현재 부대3. 과거 부대
3.1. 주월한국군사령부3.2.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자이툰부대3.3. 필리핀 재해복구단 아라우부대3.4. 아이티 재건지원단 단비부대3.5. 아프간 재건지원단 오쉬노부대3.6. 서사하라 국군의료지원단3.7. 걸프전 국군의료지원단, 공군수송단3.8. 제189중건설공병대대(상록수부대, 소말리아)/제101야전공병대(앙골라)3.9. 제522평화유지단 상록수 부대( 동티모르)3.10. 제924의료지원단 동의부대/제100건설공병대 다산부대
4. 관련 문서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의 파병부대를 서술한 문서.

이하에 언급되는 '여단'은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특전사의 여단들을 말한다.[1] 베트남 전쟁 당시의 자료를 찾는다면 이 문서로.

2. 현재 부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현재 파병부대
파일:레바논 평화 유지단.svg 파일:20221213_084533.png 파일:external/res.heraldm.com/20130107000653_1.jpg 파일:청해부대 휘장.svg
레바논 평화 유지단
(동명부대)
UAE 군사훈련 협력단
(아크부대)
남수단 재건지원단
(한빛부대)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
(청해부대)
※ 둘러보기 : 참모본부 | 작전사령부 | 사관학교 | 교육사령부 | 군수사령부 | 근무지원단 | 국군병원 | 형사사법기관 | 정보부대
해체된 파병부대 }}}}}}}}}

2.1. 레바논 평화 유지단 동명부대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07091406183220002400-001.jpg 파일:external/www.korea.kr/119be9f0b75407e5d4d159cdc42d4e64.jpg

동명부대는 한국군 파병부대 중 최장수 파병부대로 레바논 남부지역의 평화 유지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민사작전을 통해 현지인에게 "신이 내린 선물", "레바논 국민의 친구이자 형제"라는 찬사를 받으며, 현재도 계속 작전활동 중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바논 평화 유지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UAE 군사훈련 협력단 아크부대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41003090854_2.jpg
UAE특수전 부대 교육훈련 지원 및 유사시 재외 한국인 보호임무를 수행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UAE 군사훈련협력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남수단 재건지원단 한빛부대

파일:external/img.sbs.co.kr/200712915_700.jpg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131223164946.jpg

2011년 7월 26일 반기문 유엔사무총장의 파병 요청에 따라 2012년 9월 27일 국회 본회의에서 '국군부대의 국제연합 남수단 임무단 파견 동의안'이 최종 통과됨으로써 2013년 1월 7일 정식 창설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남수단 재건지원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 청해부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말리아 해역 호송전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과거 부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주월한국군사령부 마크.png 파일:이라크 평화·재건사단.jpg 파일:필리핀 재해복구단기.png 파일:아이티 재건지원단 마크.png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8552.jpg
주월한국군사령부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자이툰부대)
필리핀 재해복구단
(아라우부대)
아이티 재건지원단
(단비부대)
아프간 재건지원단
(오쉬노부대)
※ 둘러보기: 해체·해편된 각급 국군 부대
파병부대
}}}}}}}}} ||

3.1. 주월한국군사령부

파일:주월한국군사령부 마크.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트남 전쟁/한국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자이툰부대

파일:external/i.jjang0u.com/140363499824920.jpg [2]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7445557522_fec1af0eb1_z.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라크 평화·재건 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 필리핀 재해복구단 아라우부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필리핀 재해복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아이티 재건지원단 단비부대

파일:external/file.agora.media.daum.net/pcp_download.php?fhandle=OFloYkFAZmlsZS5hZ29yYS5tZWRpYS5kYXVtLm5ldDovSzE2Mi8zLzMyOC5KUEc=&filename=%EB%AF%BC%EA%B0%80_~1.jpg 파일:아이티 재건지원단 부대기.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이티 재건지원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아프간 재건지원단 오쉬노부대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40116123712_4.jpg
※6진 이후 PRT 임무 해제/차리카 기지 철수 → 바그람 기지 경계지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프간 재건지원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서사하라 국군의료지원단


소말리아 상록수 부대 파병 이후의 두번째 파병이다. 의료지원단이 파병되어서 다국적군 임무 수행을 했다. 또한 한국군이 90년대 파병한 부대 중 가장 오래동안 파병활동(12년)을 한 부대이다.

3.7. 걸프전 국군의료지원단, 공군수송단

파일:external/36ce4878784d63ad07a7565ec0b11981f4bb345422871ca8a02b3b1bb773e037.jpg

베트남전 이후 최초 파병은 바로 91년 걸프전때이다. 베트남전 이후 다국적군으로 최초 참여를 했으며 당시에 걸프전을 지원하는 형태에서 의료지원단이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의료지원을 했고 아랍 에미리트 연합에서 공군수송지원을 맡았다. 즉 걸프전에 한국군도 참전했다.[3]

3.8. 제189중건설공병대대(상록수부대, 소말리아)/제101야전공병대(앙골라)

파일:external/www.bluetoday.net/3834_6530_238.jpg

흔히 상록수 부대 하면 99년 동티모르 파병을 이야기하지만 상록수 부대의 최초 파병이자 한국이 유엔 평화유지군 활동에 최초로 참여한 것은 93년 소말리아 파병과 95년 앙골라 파병이다. 소말리아는 제2차 유엔 소말리아 임무(UNSOM II)였으며, 앙골라는 제3차 유엔 앙골라 검증 임무(UNAVEM III)에 따라 파병이 되었다.

여담으로 연예인 신정환이 앙골라 파병 참전자 출신이다.

3.9. 제522평화유지단 상록수 부대( 동티모르)

파일:external/bemil.chosun.com/20090624024048_1.jpg
파일:육군제522평화유지단 부대기.jpg

1999년, 동티모르 위기가 발생해 1999년 9월 UN에서 파병결의안 채택 후, UN 사무총장과 호주 정부로부터 병력 파견 요청을 받은 후, 1999년 동티모르 로스팔로스 지역에 파병하였다.

상록수부대는 UN의 임무수행 지원 및 인도적 구호 활동을 지원하며, 순찰, 검문, 경계 등을 통해 무장세력간의 접촉을 차단하고, 살인, 방화, 약탈 등 현지 무장세력의 범죄행위를 저지하여 난민 호송 및 특정 인원과 지역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2003년 3월 6일 동티모르 오에쿠시(Oecusse)주 에카트 강에서 상록수부대원 5명이 도강훈련 중 급류에 휩쓸려 4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했다. 사망자는 민병조 소령, 박진규 소령, 백종훈 상병, 최희 상병이며 실종자는 운전병이었던 김정중 상병으로, 시신은 지금껏 찾지 못했다. 이들은 전원 순직 처리 되어 1계급 특진됐으며, 당시 노무현 대통령은 순직 유가족들을 청와대에 초대하여 오찬을 베풀며 위로를 보냈다.

여담으로 연예인 강성범, 하정우가 동티모르 파병 출신이다.

3.10. 제924의료지원단 동의부대/제100건설공병대 다산부대

파일:제100건설공병대.jpg

2001년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아프가니스탄의 의료 및 토목 재건 지원을 위해 동맹국의 파병을 요청하였으며, 이에 2002년 2월 의료지원부대인 제924의료지원단 ' 동의부대'가 아프가니스탄 바그람 미 공군 기지에 파견되었으며, 1년 후에 2003년 2월 공병부대인 제100건설공병대 ' 다산부대'가 추가로 파병되어 임무를 실시하였다.

임무 기간 동안 2007년 2월 27일, 바그람 공군기지 탈레반이 가한 자살 폭탄 테러에서 다산부대 소속 통역병 윤장호 병장(전사 후 1계급 특진하여 하사 계급 추서)이 전사하였다.

4. 관련 문서


[1] 참고로 베트남전 이후부터는 사상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특전사 위주로 투입되고 있다.(워너비 검은베레/양욱 저, 2014) [2] 본 사진은 서희부대 사진임 [3] 걸프전 문서에도 나와 있지만 베트남전 이후 미국이 참전한 가장 굵직한 전쟁이 바로 걸프전이었고, 아프간전이나 이라크전에도 파병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한국은 미국이 주도한 대규모 전쟁에 거의 예외없이 참여했다고 볼 수 있다. 영미권 국가를 제외하면 상당히 드문 케이스 [4] 현지 시간 2003년 1월 27일 오전 9:50경, 부대 지원과장 이모 소령(37·육사 45기)이 통신장교였던 김모 대위(33·육사 49기)를 K-5 권총으로 사살하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