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05:36:03

대청해전

대청해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1369a3, #000 40%, #000 60%, #e63a1a)"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냉전 탈냉전
주요 사건
발생시점 순, 세부 진행사항은 각 문서 참조
2008~ 2017 남오세티야 전쟁 · 대침체 · 북한의 2차 핵실험 · 대청해전 · 천안함 피격 사건 · 센카쿠 열도 중국 어선 충돌 사건 · 연평도 포격전 · 시리아 내전 · 2012년 가자 전쟁 · NSA 기밀자료 폭로사건 · 북한의 3차 핵실험 · 유로마이단 혁명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 2014년 크림 위기 · 돈바스 전쟁 · 2014년 가자 전쟁 ·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 북한의 4차 핵실험 · 북한의 5차 핵실험 · 북한의 6차 핵실험
2018 세르게이 스크리팔 암살 미수 사건 · 미국-중국 무역 전쟁( 화웨이 규제명령) · 아르테미스 계획
2019 중국발 펜타닐 미국 유포 · 2019년 베네수엘라 정치 위기 ·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홍콩 보안법 논란 ·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 · 영국 정부의 대응)
2020 바그다드 국제공항 공습 · 라이언에어 4978편 벨라루스 강제착륙 사건 ·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 알렉세이 나발니 독살 미수 사태 · 2020년 벨라루스 시위 · 호주-중국 무역 분쟁
2021 미얀마 내전 · 2021년 가자 전쟁 · 2021년 벨라루스-유럽 연합 국경 위기
2022 2022년 카자흐스탄 시위 · USS 칼 빈슨함 F-35C 추락 사고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2022년 세르비아-코소보 분쟁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2022년 이란 시위 · 2022년 중국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 · 2022년 중국의 국외 불법 경찰조직 운영 발각( 국내 사례) ·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3 중국 정찰풍선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 · 2023년 북한 천리마-1 발사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 2023년 수단 내전 · 2023년 니제르 위기 · 2023년 북러정상회담 ·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2024년 예멘 공습 · 진실의 약속 작전 · 헤즈볼라 전쟁)
2024 서방권의 로비투 회랑 건설 수주 · 한국-쿠바 수교 · 알렉세이 나발니 사망 사건 · 2024년 북한 대남 오물 풍선 살포 사건 · 2024년 북러정상회담 · 정보사령부 군무원 군사기밀 유출 사건 · 2024년 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 2024년 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다마스쿠스 함락) ·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2025 트럼프 행정부의 영토확장 계획
국제 기구
·
제1세계 EU · Quad · 파이브 아이즈 · AUKUS · CANZUK · CHIP4 · IPEF · MSMT · TIAR · GUAM
제2세계 독립국가연합(СНГ|CIS) · 집단안보조약기구(ОДКБ|CSTO) · 유라시아경제연합(ЕАС|EAEU)
군사 대결 구도
NATO군 vs 러시아군 · Quad vs 중국군 · 한국군 vs 북한군 · 사우디군 vs 이란군 · 예멘군 vs 후티 반군 · 이스라엘군 vs 팔레스타인군 · 세르비아군 vs 코소보군 · 조지아군 vs 압하지야군 & 남오세티야군 · 몰도바군 vs 트란스니스트리아군
관련 틀
틀:2020년대 이스라엘-시아파 갈등 · 틀: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틀:2020년대 사헬 쿠데타 · 틀: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NLL 관련 사건사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191919><colcolor=#000,#fff> 2000년대 이전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2000년대 연평해전 1차 / 2차 · 대청해전
2010년대 천안함 피격 사건 · 연평도 포격전
2020년대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전쟁·전투 교전국
<colbgcolor=#405486,#000031>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포천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지리산 공비 토벌전
1951 ~ 195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남로당 깃발.png 조선인민유격대
일본 해상보안청의 평화선 침범 사건
1952 ~ 1965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해상보안청의 독도 무단침범 및 점령시도 사건
1953 ~ 1956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독도 대첩
1954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21 사태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베트남 전쟁
1965 ~ 1973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기.svg 베트콩
3.7 완전작전
197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헤자즈 왕국 국기.svg 이라크
5.22 완전작전
199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 ~ 2007
파일:탈레반 기(1996~2021).svg 탈레반 정권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이라크 전쟁
2003 ~ 2011
파일:이라크 국기(1991-2004).svg 파일:바트당 당기.svg 이라크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및 저항 세력
항구적 자유 작전
2009 ~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아덴만 여명 작전
2011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해적기.svg 소말리아 해적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대IS 군사 개입
2015 ~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L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


파일:북한 국장.svg 북한의 대내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ed1c27> 서부전선 교전
194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인근 교전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개성 송악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포천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옹진-은파산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양양 돌입 사건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춘천 682고지 전투
194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6.25 전쟁
1950 ~ 195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미국 파일:UN기.svg 유엔군
진주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한반도 비무장지대 분쟁
1966 ~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베트남 전쟁
1967 ~ 1969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남베트남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196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1 사태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EC-121 격추 사건
1969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제4차 중동전쟁
197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대한민국 해경 경비정 제863호 침몰 사건
197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앙골라 내전
1975 ~ 1980년대
파일: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당기.svg 앙골라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파일:앙골라 민족해방전선 당기.svg FNLA 파일: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기.svg FLEC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3.23 완전작전
198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우간다 내전
1980 ~ 1986
파일:우간다 국기.svg 민족저항군
판문점 총격사건
198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부여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여수 반잠수정 격침사건
199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제1연평해전
199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일본 순시선 괴선박 격침 사건
2001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제2연평해전
200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대홍단호 사건
2007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Edward_England.svg.png 소말리아 해적
대청해전
200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연평도 포격전
20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시리아 내전
2011 ~ 2024
파일:시리아 국기.svg 자유 시리아군 파일:지하드 깃발.svg 알카에다 파일: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 국기.svg ISIS
연천 대북전단 발원지 격파사격
20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서부전선 포격 사건
201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0년 5월 GP 총격 사건
20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북한 무인기 영공 침범 사건
202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2024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

서해교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999년 2002년 2009년
제1연평해전 제2연평해전 대청해전 }}}}}}}}}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E40001><tablebgcolor=#E40001> 파일:김정일 투명.svg 김정일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ccccc,#333333> 일생 일생 · 사망
관련인물 가계도 · 김일성 · 김정숙 · 김정은 · 고용희 · 김정남 · 김정철 · 김여정 · 후지모토 겐지
외교 남북정상회담 ( 2000 · 2007) · 북일정상회담
사건사고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최은희·신상옥 납치사건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 고난의 행군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 이한영 암살 사건 · 심화조 사건 · 송림사건 · 북한 조선무역은행 강도사건 · 제1연평해전 · 제2연평해전 · 북한의 1차 핵실험 · 대포동 2호 발사 사건 · 금강산 관광객 피살 사건 · 평양 10만호 건설사업 · 북한의 2차 핵실험 · 대청해전 · 2009년 북한의 화폐개혁 · 천안함 피격 사건 · 연평도 포격전
창설단체 기쁨조 · 왕재산경음악단
우상화 김정일장군의 노래 · 장군님 축지법 쓰신다 · 당신이 없으면 조국도 없다 · 김정일화 · 김정일훈장 · 정일봉 · 광명성절
기타 선군정치 · 호칭 및 별명 · 대중매체 · 여담 · 성격 · 태양호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파일:조선로동당_로고.svg 주체사상
}}}}}}}}} ||

대청해전
Battle of Daecheong
발생 일시
2009년 11월 10일
발생 위치
대한민국 북방한계선 부근
교전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지휘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33 편대장 소령 연제영[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36 편대장 소령 고승범[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참수리 325[4] 정장 대위 김상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참수리 328 정장 대위 김성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참수리 336 정장 대위 강동완[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참수리 338 정장 대위 김상욱
파일:북한 국기.svg 불명
전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급 초계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급 호위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참수리급 고속정 4척
파일:북한 국기.svg 상하이-I급 경비정 1척
피해 규모
인명피해 없음
고속정 외부격벽 15발 피탄
8명 전사(추정)
3명 부상(추정)
경비정 반파
결과
대한민국 해군의 완승

1. 개요2. 교전 내용3. 교전 이후4. 여담

[clearfix]

1. 개요

2009년 11월 10일 한반도 서해 북방한계선( NLL) 이남 대청도 인근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 북한 해군 고속정 간에 벌어진 3번째 서해교전.

과거에는 일부 언론을 통해 제3연평해전 등의 명칭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대한민국 국군 합동참모본부에 의해 대청해전으로 명명되었다. 대청해전은 연평도 인근에서 일어난 교전이 아니기 때문에 제3연평해전이라는 표현은 부적합한 명칭이라고 볼 수 있다.

2. 교전 내용

북한 경비정이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것을 대한민국 해군이 수차례 경고통신을 보냈으나 이를 무시하고 경고 사격을 하겠다는 경고마저 수차례 무시하자 교전수칙에 따라 경고 사격을 한 아군 고속정을 향해 오전 10시 27분에 조준 사격을 가하며 들어와 교전이 벌어졌다.

다행히 대한민국 해군 측 사상자는 없으며 북한 측 경비정에서는 8명 사망 3명 부상의 피해가 있다는 정보가 국방부에 들어왔다고 한다. 북한 측 경비정은 반파된 채 북한으로 돌아갔다. 이날 북한 해군 전사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2010년 10월 16일자 로동신문이 대청해전에서 전사한 해병[6] 김주혁의 출신 중학교인 평양 축전중학교를 10월 15일자로 김주혁중학교로 개칭했다고 보도함에 따라 공인되었다.

3. 교전 이후

2002년 제2연평해전이 벌어진 지 약 7년 만에 벌어진 교전으로서 북한이 이러한 도발을 또다시 자행한 이유에 대해서는 추측만 난무할 뿐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래도 그 중에서 가장 힘을 얻은 추측은 북미 대화를 앞두고 북한이 기선제압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우발성 충돌이라는 설도 있으나 5회에 걸친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넘어온 것으로 보아 가능성은 거의 없다.

북한은 남조선 선공임을 주장하면서 음모론을 전개했지만 대남 도발사에서 알 수 있듯 이는 사실이 아니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4년에 바뀐 교전수칙에 따라서 제2연평해전 때와는 달리 대응이 빨라져 대한민국 측의 경고 사격이 먼저 있었고 이후에 북한의 조준사격으로 교전이 벌어졌다.

한국군 측의 선제 경고사격에 대한 대체적인 여론은 이번에 한국 측의 사상자가 생기지 않았기 때문에 다행이라는 분위기였으나 한겨레에서는 선제 경고사격을 북측에선 조준사격으로 오인할 수 있는 것이라며 우리의 과잉 대응 문제를 제기하는 기사[7]를 올려 비난받았다.

북한 함선이 85mm 함포 50발을 쏴서 15발을 맞혔다는 오보가 있었는데 사실은 14.5mm 중 기관총이다. 85mm 50발을 쏘려면 한참 걸리고 15발이나 맞았으면 고속정이 멀쩡할 리가 없다. 상식적으로도 수동 사격의 명중률을 고려하면 기관총으로 한 수천 발 쏴야 15발 맞힐까 말까지, 85mm 함포로는 택도 없다. 그나마 북한 해군이 훈련을 제대로 했을지조차 의문이다. 1년에 1인당 자동소총 탄약 소모량이 평균 2발 둔전병(...)[8] 들이 대포는 쏴 봤을 거 같은가? 사통장치에 연동된 자동 화기도 해상에선 명중률이 그리 높지 않은데 수동 사격이야 뭐... 그리고 맞힌 것도 배에 피해를 그리 주지 못했으니 의미 없다.

그리고 대한민국 해군에 대해서도 언론이 비슷하게 깠다. 4천 발 쏴서 겨우 그거냐고. 대소 구경 다 합쳐서 그 정도였던 모양인데, 20mm 이하 구경은 아무리 많이 쏴도 격침은 힘들다.

이후에도 서해상에는 북한 군함들과 남한 군함들이 대치하며 15일에는 북한이 실크웜 기반의 대함 미사일 레이더를 가동시켜 아군 구축함이 긴급 회항하는 일이 벌어지는 등 상당히 긴박하게 돌아갔다. 아무튼 손도 못 쓰고 진 게 분하긴 분했던 모양이다.

이 전투에서 파열탄이 일부 사용되었다고 한다. 쉽게 말해서 일종의 수류탄이나 유탄과 비슷한 무기로, 판옥선처럼 타고 있으면 북한의 고속정 갑판에 정렬한 해병들은 그저 밥이다. 그래서인지 이후 갑판의 화기 마운트에 장갑과 덮개를 붙이고 로켓과 중소형 보병용 대전차 미사일을 추가한 함정이 늘었다. 제1, 2연평해전 때도 구 소련제 중소형 고속정들의 특유의 수동조작식 함포로 인하여 함미 부근 주갑판에 해병들의 외부 정렬이 잦은 북한 해군에겐 우박 수준인 파열탄에 피해를 봤다 대청해전 때 3차적으로 더 피해를 봤으니 그럴 만도 하다. 본격적으로 해상저격여단 병력을 옮겨 태워가는 추세인 모양인 듯하다.

참고로 국제법에서 금지하는 비인도적 무기의 골자는 맞은 사람이 어떻게 인수 분해되는가가 아니라[9] 무기가 조준한 것 이외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는가에 의해 정해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눈에 보이지 않아 많은 민간인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지뢰라든가, 오랫동안 잔류하거나 넓은 지역에 퍼지면서 제3자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전쟁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화생방 무기, 그리고 수많은 자탄으로 인해 불발탄 문제가 심각한[10] 클러스터탄 등이 있다. 결론은 이 경우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교전 뒤 긴박한 분위기에도 큰 일은 벌어지지 않았고 대청해전까지 3번 있었던 서해 NLL 경비정 해상도발은 북한이 전부 패배해 버려 정면대결로는 더 이상 승산과 실익이 없다고 생각해서인지[11]것보다 그걸 이제서야 깨닫다니... 북한은 2020년까지 다시는 수상함을 이용한 해상도발을 시도하지 않고 있지만 2010년 3월 26일 오후 9시 30분쯤 백령도 대청도 사이에서 포항급 초계함 PCC-772 천안함 북한 잠수정의 어뢰공격으로 침몰하는 사건[12]이 발생했으며 2010년 막바지에는 연평도에 직접 포격을 가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4. 여담

북한에서 확인한 전사자 김주혁(1991.11.27 ~ 2009.11.10)은 당시 입대 6개월이 된 18살의 어린 나이였으며 전사 후 공화국영웅 칭호를 추서받았으며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에 안장되었다. 김주혁의 어머니 박류순은 이후 북한에서 선전강사로 일하고 있다.


[1] 대청해전 유공자들이 국방부에서 열린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포상을 받은 후 김태영 국방부 장관(뒤쪽 가운데) 등 군 간부들에게 경례하고 있다. [2] 학군 39기. 해군기초군사교육단 부단장을 마지막으로 대령 예편. 제1연평해전 때는 대위였고 참수리 357 정장이었다. [3] 현재 준장으로 인방사령관이다. [4] 1차 연평해전에서 북측과 교전하여 전과를 올린 그 고속정이다. 북한 해군 입장에선 우리 해군이 자신들의 684를 바라보는 심정과 비슷한 함정이다. [5] 현재 중령. [6] 북한 해군은 수병을 이렇게 부른다. [7] 참고로 제1연평해전 때 이러면서 국민의 정부를 깠던 만화를 관련지 한겨레 21에서 그리기도 했다. [8] 다만 1인당 교탄 소모량이 2발에 불과하다는 말은 낭설에 가깝다. [9] 맞은 사람이 박살 난다고(...) 해서 비인도적 무기로 간주된다면 중기관총과 같은 대구경 총기나 각종 화포, 폭발물들은 모두 비인도적 무기가 된다. 쓸 수 있는 건 소총이나 기관단총 정도밖에 안될 것이다. [10] 한마디로 한 10년 지난 뒤에 민간인 거주지가 되면 굴러다니던 돌멩이가 폭발한다는 소리다. [11] 제1연평해전과 대청해전은 북한군이 완전히 대패했고 제2연평해전은 대한민국 국군이 비교적 큰 피해를 입긴 했지만 이것도 북한 측이 더 큰 피해를 입은데다 결국 도발을 저지해냈으니 결국 북한 측이 패배한 셈이다. [12] 일각에서는 천안함 피격 사건이 대청해전에 대한 보복이라는 추정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