民 백성 민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氏,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ミン
|
||||||
일본어 훈독
|
たみ
|
||||||
-
|
|||||||
표준 중국어
|
mí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民의 획순
[clearfix]
1. 개요
民은 '백성 민'이라는 한자로, ' 백성', ' 사람', '나기' 등을 뜻한다.훈은 '백성'이지만 백성도 한자어이며 풀이하자면 '다스림을 받는 사람' 정도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백성 |
음 | 민 | |
중국어 | 표준어 | mín |
광동어 | man4 | |
객가어 | mìn | |
민북어 | měng | |
민동어 | mìng | |
민남어 | bîn | |
오어 | min (T3) | |
일본어 | 음독 | ミン |
훈독 | たみ | |
베트남어 | dân |
백성이 무릎을 꿇고 앉아있는걸로 보이는 요즘 모습과는 다르게 유래가 상당히 잔인하다. 갑골문에선 目(눈 목)과 十(끊을 절)[1]이 살짝 겹쳐진 자다. 그림으로 보면 이해가 쉬운데, 사람의 눈을 형구로 찌르는 모습을 본뜬 한자로서 노예를 의미한다. 고대 상나라 때 전쟁 등에 진 노예를 저항력을 반감시키고 노동력을 유지하도록 한쪽 눈을 실명시킨 데에서 유래했다. 또는 당시 심심하면 자행되던 인신공양을 할 때 눈을 멀게 하고 인신공양을 했는데, 그걸 나타낸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 뒤 시대가 흘러 동주시대, 그리고 춘추시대에는 인(人)과 민(民)이 구분되었다. 인은 사(士), 대부(大夫) 이상의 신분을 가진 일종의 귀족 계급이며, 민(民)은 그 이하의 피지배 계층이었다. 그 뒷 시대에는 인(人)은 보편적인 인간을 나타내게 되고, 민은 인(人)의 범주 내에서 피지배 계층을 가리키게 된다. 많은 부분 이미지가 상승했음에도 '민'에는 아직까지 수동적 존재라는 의미가 강하게 들어있는 편이다.
일본쪽 웹에서는 일반적인 ~ 현민, 도민이라는 용법에서 파생된것으로 보이는, 특정 비디오 게임이나 애니메이션, 판권물의 팬/유저라는 의미로도 쓰인다. (ex. ブルアカ民, APEX民 )
3. 용례
3.1. 단어
- 공민 (公民)
- 교민 ( 僑民)
- 구민 (區民)
- 국민 (國民)
- 국민건강보험 (國民健康保險)
- 국민소득 (國民所得)
- 국민대학교 (國民大學校)
- 국민연금 (國民年金)
- 국민연금공단 (國民年金公團)
- 국민은행 (國民銀行)
- 국민일보 (國民日報)
- 국민의회 (國民議會)
- 국민적 (國民的)
- 국민정서 (國民情緖)
- 국민정서법 (國民情緖法)
- 국민총생산 (國民總生産)
- 국민투표 (國民投票)
- 국민학교 (國民學校)
- 국민학생 (國民學生)
- 군민 (郡民)
- 난민 (亂民/難民)
- 농민 (農民)
- 대한민국 (大韓民國)
- 도민 (道民/島民/都民)
- 문민 (文民)
- 민가 (民家)
- 민간 (民間)
- 민국 (民國)
- 민권 (民權)
- 민담 (民譚)
- 민도 (民度)
- 민박 (民泊)
- 민방위 (民防衛)
- 민법 (民法)
- 민병 (民兵)
- 민생 (民生)
- 민생당 (民生黨)
- 민사 (民事)
- 민사소송법 (民事訴訟法)
- 민속(民俗)
- 민수기 (民數記)
- 민심 (民心)
- 민어 (民魚)
- 민영 (民營)
- 민영화 (民營化)
- 민요 (民擾/民窯/民謠/民饒)
- 민용 (民用)
- 민원 (民怨/民願)
- 민의 (民意)
- 민자 (民資)
- 민정 (民情/民政)
- 민족 (民族)
- 민주 (民主)
- 민주공화국 (民主共和國)
- 민주노총 (民主勞總)
- 민주당 (民主黨)
- 민주적 (民主的)
- 민주정의당 (民主正義黨)
- 민주주의 (民主主義)
- 민주주의 지수 (民主主義指數)
- 민주화 (民主化)
- 민주화 운동 (民主化 運動)
- 민중 (民衆)
- 민초(民 草)
- 민통선 (民統線)
- 민폐(民 弊)
- 민화 (民畵/民話)
- 민회 (民會)
- 반민특위 (反民特委)
- 빈민 (貧民)
- 상민 (商民/常民)
- 서민 (庶民)
- 선민 (選民)
- 시민 (市民)
- 식민 (植民)
- 식민지 (植民地)
- 신민 (新民/臣民)
- 황국신민 (皇國臣民)
- 어민 (漁民)
- 영세민( 零 細民)
- 애민 (愛民)
- 우민 (愚民)
- 일민 (一民/逸民)
- 일민주의 (一民主義)
- 원어민 (原語民)
- 원어민 강사 (原語民講師)
- 원주민 (原住民)
- 유목민 (遊牧民)
- 이민 (吏民/移民/里民)
- 이재민 (罹災民)
- 인민 (人民)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
- 조선인민공화국 (朝鮮人民共和國)
- 중화인민공화국 (中華人民公和國)
- 자유민주주의 (自由民主主義)
- 주민 (主民/住民)
- 천민 (天民/賤民)
- 평민 (平民)
- 한민 (漢民/韓民)
- 한민족 (漢民族/韓民族)
- 훈민정음 (訓民正音)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김명민( 金 明民)
- 김민우( 金民 宇): 1995년생
- 김응민( 金 應民)
- 김희민( 金 希民)
- 나재민( 羅 渽民)
- 모창민( 牟 昌民)
- 장동민( 張 東民)
- 정민시( 鄭民 始)
- 한다 타미오( 半 田 民 生)
3.4. 창작물
3.5. 중국어
- 民 [mín]
- 명) 국민
- 예) 公民 [gōngmín]: 공민
- 명) 민족, 종족
- 예) 民族 [mínzú]: 민족
- 명) (직업 등의) 종사자
- 예) 农民 [nóngmín]: 농민
- 명) 인민, 대중[2]
- 예) 人民 [rénmín]: 인민
- 명) 일반인, 민간인
- 예) 平民 [píngmín]: 평민, 민간인
3.6. 기타
4. 유의자
- 氓(백성 맹)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艮(괘 이름 간)
[1]
갑골문에서
十은 열 십이 아니라
자를 절이었다. 열 십은 갑골문에서는 丨모양으로 썼다. 이후 열 십 자가 十, Φ 모양이 되자 혼동을 피하기 위해 十자는 七자로 변형되고, 이후 자르다는 뜻에서 일곱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자를 절 자에 七자가 들어가는 이유가 그것이다. 七자가 일곱을 나타내는 자가 되었으므로
刀자를 합쳐 원래의 뜻을 나타내 주는 것.
[2]
북한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인민과 국민을 동일한 단어처럼 사용하나, 실제로는 다른 단어이다. 국민은 nation, 즉 특정 국가에 속한 사람을 뜻하는 단어이고 인민은 people, 즉 사람 그 자체를 뜻하는 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