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의 J-7G |
|
파키스탄 공군의 F-7P[1] |
1. 개요
成都飞机工业集团 歼-7 / 殲-7Chengdu J-7 / F-7
NATO 코드명: Fishcan
소련으로부터 MiG-21의 라이센스를 받아 개량생산한 중국의 제트 전투기. 제작사는 청두 항공기 공업 그룹(成都飛機工業集団 Chengdu Aircraft Industries (Group) Corporation) J-7은 섬격(殲擊)-7형이라는 뜻이다.
2. 제원
J-7 제원 | |
길이 | 14.885 m |
높이 | 4.11 m |
날개 폭 | 8.32 m |
공허 중량 | 5,292 kg |
만재 중량 | 7,540 kg |
최대 이륙 중량 | 9,100 kg |
최대 속도 | 마하 2.0 |
순항 속도 | 970km/h |
실속 속도 | 210 km/h |
전투 행동 반경 | 850 km |
순항거리 | 2,200 km |
최고 고도 | 17,500 m |
기관포 | 30mm Type 30-1 기관포 2문, 각각 60발 |
하드 포인트 | 5개소[2] |
레이더 | FIAR Grifo-7 mk.II |
미사일 | PL-2, PL-5, PL-7, PL-8, PL-9 |
K-13 | |
마트라 R550 매직 AAM, AIM-9 | |
로켓 | 12연장 55mm 로켓포 포드 |
7연장 90 mm 로켓포 포드 | |
폭탄 | 50-500 kg 무유도 항공폭탄 |
3. 개발 배경
중국과 소련은 건국 직후부터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었다. 1950년대 초부터 중국은 소련과 거액의 계약을 맺고 전투기를 비롯한 각종 군함, 전차, 화포, 개인화기( AK-47, SKS)까지 많은 부문의 소련제 무기를 라이센스 생산하게 된다. 하지만 1959년말 마오쩌둥과 흐루쇼프의 정치적 결별인 중소결렬로 파국을 맞는다.중국은 MiG-19를 J-6으로 라이센스 생산하고 있었는데 1959년 이후로는 소련이 모든 기술진들을 철수하여 기술도입선이 막혀버린다. 그러다가 1962년 흐루쇼프는 갑자기 화해의 제스처[3]로 마오쩌둥에 편지를 보내서 자국의 최신예기 MiG-21의 라이센스 생산을 제안한다. 그리하여 1962년 3월 30일 모스크바에서 중소결렬 이후 처음으로 라이센스 협정이 맺어진다. 라이센스 협정은 선양시에 있는 선양 항공이 맡기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소련과의 관계가 나빠지면서 선양은 소련 공군의 폭격가능범위에 있었기 때문에 양산형 생산은 내륙의 청두시에 있는 청두 항공이 맡게 된다. 그래서 청두 J-7이다.
그리하여 중국은 MiG-21의 설계도 및 소련 파일럿이 직접 몰고 온 시제기, 샘플용 미조립 기체와 녹다운 생산 키트를 소련으로 부터 받게 되었다. 중국이 예상한대로 도면과 키트만 가지고 알 수 없는 기술적 난제는 수백가지였지만, 흐루쇼프의 화해 제스처에도 불구하고 중소관계는 점점 나빠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련 측은 제대로 이런 문제점을 알려주지 않았다. 특히 항공기 제어의 핵심인 유압장치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기술을 거의 전수하지 않았고, 여기에 MiG-21의 치명적인 단점이었던 무게중심 문제에 대해서도 제대로 된 설명을 하지 않아서 중국이 생산한 J-7의 프로토타입들은 대부분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하여 중국측은 이전 J-6 사업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소결렬 때문에 양산형을 만들기 위해 기술적 난제에 부닥쳤던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J-7사업에서도 소련의 기술진이 달랑 준 도면과 부품을 가지고 연구해가면서 독자적인 개량을 추진하게 된다.
그러니까 MiG-17을 라이센스한 J-5는 완전한 카피형이지만, J-6, J-7은 어느 정도 중국의 자체 기술이 들어간 기종이다. 소련측이 MiG-21의 여러 기술적 문제점에 대해 제대로 된 설명을 하지 않아서, 자체적인 개발을 통하여 완성하다보니 하나 하나 기술을 습득하면서 개발하였기에 시간이 오래 걸렸고 문화대혁명의 여파로 한동안 기술개발이 중단되기도 하였다. 그래서 기체형상은 초기형 MiG-21F13을 본떴기 때문에 일반적인 MIG-21에 비해 기수가 더 가늘고 조종석 뒤에서 수직미익까지 이어지는 도설 스파인도 더 가늘어보인다. 첫 비행은 1966년 1월17일에 성공하였고 1년 반간의 시험 비행을 거쳐 1967년 6월에 대량생산이 결정되었다. 소련과의 관계 악화로 여전히 MiG-19가 주력인 중국 공군은 마하 2급의 전투기가 절실히 필요하였기에 생산은 서둘러 추진되어 1967년 3월부터 일선부대에 배치되었고 미국의 U-2 정찰기 요격에 사용하기도 하였고 1967년 6월에 U-2를 격추하기도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시기에 등장한 J-7은 MiG-21F-13의 복사본으로 주로 중국 공군이 사용하였고 수출형 일부가 알바니아, 이집트, 탄자니아에 판매되었다.
개발을 통해 축척된 기술을 기반으로 1975년부터 J-7의 독자적인 개량형 개발을 실시하게 된다. 개량 부분은 엔진의 추력 향상, 사출좌석 개량, 신형 캐노피 채용, 연료 탱크 추가장착 등이 실시되었고 1978년 12월에 첫비행을 실시하였다. 1980년부터 생산한 이 기체는 J-7Ⅱ로 불리고 수출형은 F-7B이다.
중국은 지속적으로 개량을 실시하여 주익을 이중 델타익으로 개량한 J-7E, 서방제 장비 탑재한 F-7M(1979년 5월 개발 시작, 1984년 11월 개발 종료 후 1985년부터 수출시작), J-7의 주요 고객인 파키스탄군의 요구로 AIM-9 사이드와인더 장착과 미제 사출좌석을 장비한 F-7P, F-9MP형이 있다.
중국 공군의 내부 수요를 위해 F-7M에 적용된 기술을 활용하고 신형 대형 레이더를 장착하여 MiG-21MF급으로 성능을 끌어올린 전천후 요격기인 J-7Ⅲ을 개발하였다. 1984년에 첫 비행에 성공후 1985년부터 배치되었으며 현재 배치되어 있는 J-7L형은 IV형이라 불렸던 E형을 개량한 버전이고, G형은 E형의 후계형이다. E형에서 G형으로 직접적인 개량이 불가능해서 L형이 따로 개발된 것이다.
중국은 1980년대부터 해외 판매가 부진해지자 J-7의 후속기 개발로 슈퍼 F-7을 계획하게 되는데 그것이 FC-1으로 이어진다.
1980년대 초중반, 중국이 미국과 사이가 양호했을 시절, 미국 군수 업체들이 중국에 J-7의 레이더-엔진 업그레이드를 제안했으나, 이 업그레이드 비용이 새로 사는 비용보다 더 비싸서 (1984년 가격으로 200만 달러, 2010년대 시가로 600만달러 (약 70억) 정도 된다) 중국측은 포기했다고 하다. 결과적으로 이 전투기는 현재 시가로도 70억원 미만의 초저가였던 셈이다. (당시 미국이 구매한 F-16A/B가격이 1800만달러)
4. 기타 국가
- 인도-파키스탄 전쟁에서 파키스탄군의 J-7은 여러번 인도군의 원판 MiG-21과 맞붙었다. 중국은 파키스탄처럼 인도와 사이가 나쁜 인도 주변국(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에도 J-7을 뿌렸다. J-7은 중국에서 1990년대 말부터 퇴역하기 시작했지만, 이런 우방국 원조용으로 2013년까지 생산되었다.
- 북한도 소련과 중국에서 각각 공급받은 MiG-21과 J-7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 이란과 이라크는 모두 중국에서 구입한 J-7을 보유하고 있었고, 이를 이란-이라크 전쟁에 투입하였다. 이라크는 한때 J-7의 최대 보유 및 생산국이었으며 이라크에 판매하기 위해 복좌훈련기를 개조해 프랑스제 공대지무기를 장착할 수 있게 한 FT-7BI가 개발되어 수출되기도 했다. 이란은 아직도 보유하고 있으나, 이라크의 J-7은 걸프 전쟁 및 이라크 전쟁 와중에서 모두 파괴-퇴역했다.
- 이외에도 중국과 우호적인 여러 아프리카 국가(이집트, 수단, 나미비아, 모잠비크, 짐바브웨)에도 무상 또는 판매로 공급되었다.
5. 실전
- 1979년 우간다-탄자니아 전쟁에서 실전에 데뷔했다. 탄자니아군은 중국으로부터 원조받은 J-7B를 사용하여 우간다군을 폭격했고, 이 전쟁은 탄자니아군의 승리로 끝나서 이디 아민은 축출되었다.
6. 현황
1990년대 후반까지 주력기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2000년대부터 퇴역하기 시작했고, 2010년에 현역으로 남아있는 대수는 연습형까지 합해서 300여 대 정도이다. 현재 중국 공군의 주력은 J-7이 아니라 J-10과 Su-27의 중국 버전인 J-11이며, J-8은 2000년대에 잠깐 J-7과 J-10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었다.수출형은 F-7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었는데 중국의 외교 전략에 이용되어 제3세계의 나라들에 여러 대 수출되거나 원조되었다. 수출 대수는 약 1,700~1,800기.
F-7을 도입한 나라 중에 재미있는 곳이 이집트인데, 현재는 F-16에 M1 에이브람스, AH-64 아파치 같은 최신형 미제 무기를 운용하는 나라이지만 이스라엘과 수교하기 전에는 소련과 중국으로부터 막대한 군사원조를 받아 MiG-21과 F-7을 모두 운용했었다. 이집트는 F-7 이외에도 Il-28의 중국 버전인 H-5도 도입했었다.
파키스탄은 MiG-19의 중국 버전인 F-6을 도입해 운용해본 결과 꽤 만족하고 F-7도 도입했다. 파키스탄이 도입한 F-7P/PG의 경우에는 윈드실드 프레임을 없애 시야가 좋아지고 미제 사이드와인더 운용능력을 갖추고 있다. 파키스탄의 F-7은 2015년까지 운용하고 JF-17로 대체될 예정에 있었으나, 최후기형 중 하나인 PG형만 방공요격기 용으로 아직 사용되고 있다.
북한도 40여 대 보유하고 있지만 북한이 도입한 F-7은 파키스탄의 것처럼 현대적인 개량을 거친 것은 아니다. 많은 사람들이 북한의 MiG-21이 대부분 J-7이라고 생각하나 사실은 북한이 보유한 MiG-21 피쉬베드 계열 전투기 중 1/3에 불과하다. 한국과 중국이 수교한 후에는 중국이 전투기를 안 팔아서 1990년대 카자흐스탄에서 중고 MiG-21 30여 대를 대당 100만 달러의 헐값으로 구매했다.
미국 공군도 가상적기 용도로 1980년대에 몇대 수입해서 써먹었다. 이 전투기를 MiG-21 대역으로 사용한 것이다.
중국 내에서는 수가 많다보니 여러 가지 실험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J-8, J-10 등을 개발할 때 J-7을 이용해서 에어 인테이크나 항공전자장비를 달아서 실험해봤다고 한다.
1983년 8월 7일 중국 인민해방공군이 해군항공대와 공동으로 진행중이던 신형 공대공 미사일 테스트를 하던 테스트 파일럿 손천근(孫天勤)이 J-7을 몰고 랴오닝성의 대련 비행장에서 이륙 후 한국의 K-16 비행장에 착륙했다. 당시 대한뉴스 내용에 따르면 이날 휴전후 최초로 서울, 인천, 경기지역에 실제 공습경보가 발령되었다. 이후 손천근(쑨톈진)은 같은해 8월 20일 대만으로 망명했고 기체는 가상적기로 잠시 사용되다 전시품으로 퇴역했다.[4] MiG-21은 그 당시에도 이미 한세대 전의 전투기였으나 문화대혁명이 끝난지 몇년밖에 안된 상태에서 J-7은 중국 공군의 현역 최강 전투기였으며, 손천근은 J-7로 유일하게 망명한 사례이다. 중공 군용기가 한국으로 망명을 목적으로 한국에 불시착한 사건은 지금까지 총 여섯 번 있었는데, 한 번(1961)은 An-2였고, 세 번(1982, 1986, 1986)은 J-6, 한 번이 바로 여기서 언급한 손천근과 J-7, 그리고 나머지 한 번(1985)이 H-5였다.
중국 국내/해외를 통틀어 실제로 생산 및 배치된 J-7 중 가장 발전한 형태는 F-7BGI로 방글라데시에 수출된 형태이다. 기존 BG형은 J-7G의 다운그레이드형이지만 I(Improved)가 붙은 BGI형은 중국공군이 쓰는 J-7G보다 더 성능이 뛰어난 기체이다. 중국공군에게도 똑같은 개량형이 J7G2라는 이름으로 제안되었지만 J-10과 같은 더 좋은 기체들이 이미 개발된 2010년대였기에 채용되지는 않았다. BGI형은 생김새만 봐도 기존의 J-7이 맞나 싶을 정도로 날렵하게 생겼다.
방글라데시 공군의 F-7BGI
다만 이렇게 최종개량이 된 F-7BGI조차도 BVR 미사일을 장착할 수가 없다. 러시아의 MiG-21의 최종개량형인 MiG-21-93이나 Bison형이 R-77을 장착할 수 있다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는 파키스탄에서 사용하던 P형 및 PG형이나 이스라엘과 합작하여 개량한 미얀마와 루마니아의 개량형 계열도 마찬가지로 이스라엘과 프랑스의 기술원조를 받아 만든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만 장착 가능하다.
퇴역한 J-7의 일부는 J-6와 함께 무인기로 개조 되어 대만군의 방공망 소모를 위해 대만 방면으로 배치되었다.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현대 대한민국 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
大韓民國 國軍 |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
<colbgcolor=#407FBF> 회전익기 |
<colbgcolor=#407FBF> '''[[무장헬기| 경헬기 ]]'''
|
{ 미르온}■ | Bo 105CBS■ | 500MD 디펜더■ | OH-58B 카이오와■ | OH-23G 레이븐■■ | |
''' 다목적 헬기 '''
|
KUH-1 수리온■ | MUH-1 마린온■ | UH-60P 블랙 호크■■ | HH-60P | HH-32A | 벨 412 | UH-1(B/H) 휴이■■ | UH-19D 치카소■ | ||
수송헬기 | CH-47(D/NE/{F}) 치누크■ | HH-47D | ||
공격헬기 | AH-64E 아파치■ | AH-1(J/S) 코브라■ | { MAH}■ | ||
대잠헬기 | { MH-60R 시호크}■ | AW159 와일드캣■ | 슈퍼 링스 Mk.99(A/U)■ | SA.319B 알루에트 III■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F-51D 머스탱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5(A/B) 프리덤 파이터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KF-5(E/F) 제공호 | F-5(E/F) 타이거 II | F-4(D/E) 팬텀 II | ||
4(.5)세대 | { KF-21 보라매} | F-15K 슬램 이글 | KF-16(C/D) 블록 52 → KF-16U 파이팅 팰콘 | F-16(C/D) 블록 32 → 블록 52 PBU | FA-50 파이팅 이글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 프리덤 나이트 | ||
공격기 | KA-1 웅비 | A-37B 드래곤플라이 | AT-33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16(C/D) |
|
|
전자 | 팰콘 2000S 백두 2 | RC-800B 백두 | EC-47Q ELINT | ||
ISR | RC-800G 금강 | ||
해상초계기 | P-8K 포세이돈■ | P-3(C/CK) 오라이언■ | S-2E 트래커■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CN-235(-100M/-220M) |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 |
전술 | { C-390 밀레니엄} | C-130(H/H-30/J-30) 허큘리스 | MC-130K | C-54E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 ||
수상기 |
KN-1 해취호■ |
SX-1 서해호■ |
|
||
다목적기 | U-9(C/F) | O-2A | O-1(A/E/G)버드 도그 | U-6■■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737 피스 아이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KC-330 시그너스 | ||
전자전기 | {한국형 SOJ 전자전기} | ||
''' 연락기 '''
|
L-5 센티넬 | L-4 그래스호퍼 | SX-5 통해호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티로터■ |
RQ-103K■ | {
WB 워메이트}■클래스 1 - 소형 넵튠 V270■■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RQ-102K 참매■ |
RQ-101 송골매■ | 서쳐 II■ |
캠콥터 S-100■ | {
캠콥터 S-300}■ | KUS-7■ | 클래스 3 - MALE급 {
RQ-105K} |
헤론■클래스 3 - HALE급
RQ-4B 글로벌 호크
|
||
''' UCAV '''
|
클래스 3 - MALE급 {
MQ-105K}{ KUS-X} | {UCCR}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KT-1 웅비 | KT-100 | T-103 | T-41D 메스칼레로 | T-28A 트로젼 | T-6 텍산 | TF-51D | 부활호 | 새매호 | |
제트 | T-50 · TA-50 골든이글 | T-59 호크 | T-38 탈론L | T-37C 트윗 | T-33A 슈팅스타 | ||
헬기 | 벨 505■■ | ||
표적예인 | CARV-II 캐러밴■ | ||
가상적기 | MQM-107 | MiG-29 | L-2 | J-7 | MiG-19 | Il-28 | ||
VIP 탑승기 |
B747-8B5L | {
B737 MAX 8}L |
B737-3Z8 |
VCN-235 | HS.748 |
보잉 747-4B5L |
VC-118 |
VC-54 |
L-26 VH-60P | VH-92 | AS332 L2 | 벨 412SP | 벨 212 | UH-1(B/H /N) | UH-19D | H-13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공군 |
|||
}}}}}}}}} |
현대 파키스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1411c>
파키스탄군 (18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
|||
회전익기 | <colbgcolor=#01411c> 다목적 헬기 | SA316R, HH-43BR, H-19DR, H-13R, Mi-17, AW139, Z-9 | ||
전투기 | 프롭 | FB 60R, 템페스트 IIR, 스핏파이어 Mk.VIIIR | ||
1세대 | U-MiG-15R, F-86FR | |||
2세대 | F-6R, F-7PR, MiG-19SR, F-104A/BR | |||
3세대 | 미라주 III, 미라주 V, F-7PG | |||
4세대 / 4.5세대 | JF-17, F-16(A/B, C/D), J-10C | |||
5세대 | { FC-31} | |||
공격기 | A-5III/CR | |||
폭격기 | RB-57B/FR, H-5R, 핼리팩스R | |||
수송기 | 보잉 707, 에어버스 A310, 걸프스트림 IV, C-130B/E/H, 사브 2000, CN-235, Y-12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사브 2000 에리아이, ZDK-03 | ||
대잠초계기 | 아틀란틱R, P-3C, RAS 72, {시 술탄} | |||
공중급유기 | Il-78MP, { A310 MRTT} | |||
전자전기 | DA-20 | |||
무인기 | UAV | 샤파르, 팔코, CH-4A | ||
UCAV | 바이락타르 TB2, 샤파르 2, CH-4B, CAIG 윙룽 II, { 바이락타르 아큰즈} | |||
훈련기 | K-8(P), T-37B/C, MFI-17 무샤크, MFI-395 슈퍼 무샤크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방글라데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방글라데시군 (1971~현재) বাংলাদেশ সেনাবাহিনী | Bangladesh Armed Forces |
|||
<colbgcolor=#006A4E> 회전익기 |
<colbgcolor=#006A4E> '''[[무장헬기| 경헬기 ]]'''
|
AW109E■ | SA.316B 알루에트 IIID/R | ||
''' 다목적 헬기 '''
|
Mi-171Sh■■ | AS365 N3+ 도팽 II■ | AW139M | UH-1N 트윈 휴이 | Mi-8TR | AB 205A■■/D/R | WS-58 웨식스R | Mi-4R | |||
대잠헬기 | {대잠헬기 도입사업}■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40 세이버C/R | CL-13B Mk.6 세이버R | 선양 F-5R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선양 F-6R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청두 F-7(BG → BGI) 에어가드 | 청두 F-7MBR | MiG-21MFR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MiG-29(SE → BM/UB) | |||
공격기 | 난창 A-5CR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An-32A | L-410UVP-E20 터보레트 | C-295W■ | An-26R | ||
전술 | C-130J 슈퍼 허큘리스 | C-130B 허큘리스 | An-12R | C-47D/R | |||
다목적기 | 세스나 208B■ · A152 II■ | PA-31T 샤이엔■/R | DHC-3 오터D/R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RQ-12 와스프 AE}■ | 브라모르 C4EYE■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셀렉스 ES 팔코
|
|||
'''[[UCAV|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클래스 3 - MALE급
윙룽 II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Do 228NG■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G 120TP | G 115 | 난창 PT-6A | DA40■ | ||
제트 | Yak-130 | K-8W 카라코룸 | 청두 FT-7(BGI/BG/BB) | L-39ZA 알바트로스 | MiG-21UMR | T-37B 트윗R | CM.170R 마지스테르R | 선양 FT-6R | 선양 FT-5R | |||
헬기 | AW119Kx | 벨407GXi | 벨 206(L-1/L-4) 롱레인저■■ | |||
VIP 탑승기 | Mi-17-1V | 벨 212HP | An-24V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D: 공여받은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둘러보기 :
방글라데시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미얀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미얀마군| 미얀마군 (1945~현재) ]]'''
တပ်မတော် | Tatmadaw | Myanmar Armed Forces |
||
<colbgcolor=#FECB00> 회전익기 |
<colbgcolor=#FECB00> '''[[무장헬기| 경헬기 ]]'''
|
벨 206 | Mi-2 | SA.316 알루에트 III | 벨 47G | |
''' 다목적 헬기 '''
|
Mi-17 | Ka-28 | AS365 도팽 | W-3 소쿠우 | UH-1 | HH-34 허스키 | ||
공격헬기 | Mi-35P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스핏파이어 | 시파이어 | 시퓨리 FB.11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청두 F-7M | 선양 F-6 | ||
4(.5)세대 | { Su-30SME} | MiG-29(SE/SM/UB) | JF-17E 썬더 | ||
공격기 | 난창 A-5C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비치 B1900 | Y-12 | PC-6 포터 | C-47 스카이트레인 | |
전술 | Y-8 | ||
다목적기 | 세스나 180 | DHC-3 오터 | AS.10 옥스포드 | 오스터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BN-2 아일랜더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소형 스카이 02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캠콥터 S-100
|
||
'''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CH-3A클래스 3 - MALE급
CH-4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G 120TP | PC-9 | PC-7 | SF.260 | 프로보스트 Mk.53 | DHC-1 칩멍크 | 시퓨리 T.20 | DH.82 타이거 모스 | |
제트 | Yak-130 | K-8 | G-4 갈렙 | T-33A 슈팅스타 | 뱀파이어 T.55 | ||
헬기 | EC120 콜리브리 | ||
VIP 탑승기 | 포커 70 | ATR 72 | ATR 42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미얀마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이란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99cc99,#336633>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 (1979~현재)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
|||
회전익기 | <colbgcolor=#99cc99,#336633> 다목적 헬기 | 벨 206, UH-1H/벨 212/벨 412A, Mi-17, HESA 샤헤드 278 | ||
수송 헬기 | CH-47C, RH-53D | |||
공격 헬기 | { Mi-28}, AH-1J/IAIO 투판 II, HESA 샤헤드 285 | |||
전투기 | 2세대 | J-7N/MB | ||
3세대 | MiG-23MLR, 미라주 F1BQ/EQ, F-4D/E, F-5E/F, 아자라크쉬, 사에케, 코우사르 | |||
4세대 / 4.5세대 | F-14AM, MiG-29A, { Su-35S} | |||
전폭기 | Su-22M3/4 | |||
공격기 | Su-24MK, Su-25K | |||
수송기 | Il-76, 팔콘 20, 팔콘 50, PC-6, C-130E/H, 보잉 707-368C/3J9C, 747-100(F)/200F | |||
대잠초계기 | P-3F, IrAn-140 | |||
무인기 | UAV | 샤헤드-136, Qods 모하예르 | ||
UCAV | 샤헤드-129, 샤헤드-191 | |||
훈련기 | { Yak-130}, EMB 312 투카노, F.3, 도르나, 파라스투, TB-21, PC-7, MFI-17 무쉬샤크, 야신M, F-5BM, FT-7M, Su-25UBK, MiG-29UB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M: 개조/개량 항공기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스리랑카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be29> 회전익기 | <colbgcolor=#ffbe29> 다목적 헬기 | Mi-17, 벨 206, 벨 212, 벨 412EP | |
공격 헬기 | Mi-24/35 | |||
전투기 | 2세대 | F-7BS/GS | ||
3세대 | 크피르 C10 | |||
대잠초계기 | Y-12, An-32, C-130K | |||
훈련기 | CJ-6, FT-7, K-8, 세스나 150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리랑카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알바니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알바니아군| 알바니아 공화국군 (1945~현재) ]]'''
Forcat e Armatosura të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
||
<colbgcolor=#FF0000> 회전익기 |
<colbgcolor=#FF0000> '''[[무장헬기| 경헬기 ]]'''
|
EC145M | Bo 105E-4 | AB 206C-1 제트레인저 II | AS350 B 에큐워이 | SA.316B 알루에트 III | Mi-1 | |
''' 다목적 헬기 '''
|
UH-60(A/M) 블랙 호크 | AS532 AL 쿠거 | AB 205A-1 | Mi-8T | Mi-4A | Z-5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기| 프롭 ]]'''
|
Yak-9(P/V)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MiG-17 | MiG-15bis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청두 F-7A | 선양 F-6C | MiG-19(S/PM) | ||
폭격기 | Il-28 · H-5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Y-5 | Il-14(P/M/T) | |
다목적기 | Po-2 | ||
'''[[무인기| 무인기 ]]'''
|
'''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난창 PT-6 | Yak-18(A) | Yak-11 | |
제트 | 선양 FT-6 | 선양 FT-5 | 선양 FT-2 | MiG-15UTI | ||
VIP 탑승기 | ACJ319-115X | AW109C | 벨 222UT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알바니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나이지리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
<colbgcolor=#008751> 회전익기 |
<colbgcolor=#008751> '''[[무장헬기| 경헬기 ]]'''
|
{ MD 530F 카유스 워리어+} | AW109E■■ · AW109M | Bo 105DR | SA.318 알루에트 IIR | |||
''' 다목적 헬기 '''
|
Mi-171(E/Sh) · Mi-17 | AS332M1 슈퍼 퓨마 | 벨 412EP | AW139■ | SA.330H 퓨마R | WS-55 훨윈드R | ||||
공격헬기 | { AH-1Z 바이퍼} | T129B ATAK | Mi-24(V/P) · Mi-35(P/M) | ||||
대잠헬기 | 링스 Mk.89■/R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MiG-17FR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청두 F-7NI | MiG-21(MF/bis)R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JF-17(A/B) 썬더 블록 2 | ||||
공격기 | { M-346FA 마스터} | 알파 제트 A | A-29B 슈퍼 투카노 | 재규어 (SN/BN)R | ||||
폭격기 | Il-28R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세스나 525B CJ3 | DA42 트윈스타 | |||
ISR | {DA62 MPP} | ||||
전자 | {비치 B360 SIGINT} | 비치 B350i SIGINT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 C-295W} | Do 128-6 스카이서번트 | G.222 | 포커 F27-400M 트룹십R | |||
전술 | C-130H(-30) 허큘리스 | C-47 스카이트레인R | ||||
다목적기 | Do 228(-201/-212) | Do 27A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ATR 42-500MP 서베이어 | 포커 F27-200MARR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MAV
DJI 팬텀-4■ |
리모아이-002B■클래스 1 - 소형 에어로존데 Mk 4.7■ | PD-1■ | 송가르 VTOL■ | 테크에버 AR3■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ADS 에어로스타 | AR-500B■
|
||||
'''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 | CH-3A클래스 3 - MALE급
윙룽 II |
CH-4B | 얍혼 플래시 20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MFI-395 슈퍼 무샤크 | RV-6A 에어 비틀 | 불도그 T.1R | 피아지오 P.149DR | |||
제트 | 청두 FT-7NI | 알파 제트 E | L-39ZA 알바트로스 | L-29 델핀R | MB-339ANR | 제트 프로보스트 T.51R | MiG-21UMR | MiG-15UTIR | ||||
헬기 | EC135T2+ | Mi-34S | 휴즈 269AR | ||||
VIP 탑승기 | B737-7N6 BBJ | 걸프스트림 G-V · G550 | 비치 B4000 | 다쏘 팰컨 7X | AW101 Model 641 | AW189 | AW139 | B727-2N6/AdvR | BAe 125-800BR | 다쏘 팰컨 900R | 걸프스트림 IIR | 세스나 550 사이테이션 II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나이지리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현대 나미비아 방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
나미비아 방위군 Namibian Defence Force |
||||
회전익기 | 다목적 헬기 | Mi-17, SA 315B 라마, 체타크, Z-9 | |||
공격헬기 | Mi-24 | ||||
<colbgcolor=#009543> 전투기 | 2세대 | F-7NM | |||
수송기 | Y-12, An-26 | ||||
훈련기 | K-8, FT-7NM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나미비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짐바브웨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짐바브웨군 (1980~현재) Air Force of Zimbabwe |
||||
회전익기 | 다목적 헬기 | 알루에트 III, Mi-172, AS332, 벨 412 | |||
공격헬기 | Mi-35 | ||||
전투기 | 1세대 | 뱀파이어 FB.9/T.11R | |||
2세대 | 헌터 FGA.9R, F-7II/IIN/BZ | ||||
3세대 | MiG-23ML | ||||
수송기 | DC-7CF, C-47R, BN-2A, C-212 | ||||
훈련기 | K-8, SF.260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짐바브웨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탄자니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탄자니아 인민방위군 (1964~현재) Jeshi la Ulinzi la Wananchi wa Tanzania |
||||
회전익기 | 다목적 헬기 | 벨 206R, 벨 412, H125M, H155, H215M, H225M | |||
전투기 | 2세대 | J-5R, J-7A/TN, F-6 | |||
3세대 | MiG-21MFR | ||||
<colbgcolor=#00a3dd> 수송기 | Y-8, Y-12, An-28, 세스나 402 | ||||
훈련기 | MiG-21UR, FT-6, FT-7, K-8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탄자니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아시아의 제트전투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92> 1940년대
|
<colbgcolor=#EEE,#333>
일본 제국 |
<colbgcolor=#fefefe,#191919> |
1950년대
|
중국 |
J-2 파곳 | J-5 프레스코 | |
인도 |
HF-24 마루트 | ||
1960년대
|
중국 |
J-6 파머 | J-7 피쉬캔 | |
1970년대
|
일본 |
미쓰비시 F-1 | |
중국 |
|
||
이스라엘 |
내셔 | 크피르 | ||
1980년대
|
중국 |
J-8 핀백 | |
|
이스라엘 |
|
||
1990년대
|
대만 |
F-CK-1 징궈 | |
중국 |
JH-7 플라운더 | J-11 플랭커-L | ||
이란 |
아자라크쉬 | ||
이스라엘 |
|
||
2000년대
|
일본 |
F-2 "바이퍼 제로" | |
중국 |
J-10 파이어버드 | JL-9 샨잉 | ||
이란 |
사에케 | |
||
중국- 파키스탄 |
JF-17 썬더 / FC-1 샤오룽 | ||
2010년대
|
대한민국 |
FA-50 파이팅이글 | |
중국 |
J-15 플랭커-X2 | J-16 플랭커-G | J-20 페이긴 | FC-31 궈잉 | ||
인도 |
LCA 테자스 Mk.1(A) | ||
이란 |
|
||
2020년대
|
대한민국 |
KF-21 보라매 | |
중국 |
J-35 | ||
인도 |
MWF 테자스 Mk.2 |
TEDBF | |
||
2030년대
|
일본 |
F-3 | |
GCAP | |||
대만 |
|
||
인도 |
AMCA | ||
※ |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J-7계열기 중에서 1980년대 나온 최신형이다. 초기형은
MiG-21과 똑같은 단순 델타익이지만 J-7E부터 이중 델타익으로 변경되어서 그림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주익에 각이 져 있다.
[2]
4개소는 날개 하부, 1개소는 동체하부, 최대 무장량 2,000kg, 각각 최대 500kg
[3]
당시 소련이
쿠바 위기 직전의 상황이었기 때문에 미국에 맞서기 위해서는 중국의 지지가 필수적이었다.
[4]
손천근(1937년생)은
문화대혁명 당시 아버지가 강제수용소에 끌려갔다가 그곳에서 자살하였는데, 후에 복권은 되었으나, 중공체제에 대해 불만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테스트 파일럿을 했을 정도로 비행실력이 뛰어났고, 원래 조종사가 탈추하면 추격해 격추하는 임무를 맡고 있었다고 한다. 망명전 대륙에 처자식(18세와 13세) 자녀를 두고 있었으나,
대만에서 거액의 보상금을 받고 재혼(...)까지 하고, 대령까지 올랐고 퇴역 이후
캐나다에 이민을 갔다가 2008년 다시 대만으로 돌아왔다가
2017년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