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4 04:25:50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항공병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242b3d>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 항공기
전투기 복엽기 <colbgcolor=#fefefe,#191919> 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 볼튼 폴 디파이언트,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LF/HF, 호커 허리케인,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슈퍼마린 스파잇풀
함재기 글로스터 시글래디에이터, 페어리 풀머,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호커 시허리케인, 슈퍼마린 시파이어 F, 슈퍼마린 시팽, 호커 시퓨리 FBA, 드 해빌랜드 시호넷 F/NFA
쌍발기 브리스톨 보파이터, 웨스트랜드 훨윈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FB/NF, 드 해빌랜드 호넷A
제트기 글로스터 미티어,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A, 슈퍼마린 어태커A
뇌격기 페어리 소드피시, 페어리 알바코어, 페어리 바라쿠다,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브리스톨 뷰포트
폭격기 경폭격기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B, 페어리 배틀, 브리스톨 블렌헤임
中폭격기 빅커스 웰링턴, 암스트롱-위트워스 휘틀리, 핸들리 페이지 햄든,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A
重폭격기 숄트 스털링,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아브로 랭커스터, 아브로 링컨
급강하폭격기, 공격기 블랙번 스쿠아, 페어리 바라쿠다, 브리스톨 브리건드A, 웨스트랜드 와이번A
수송기 빅커스 발레타
정찰기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R/PR, 슈퍼마린 시파이어 FR,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PR, 드 해빌랜드 호넷 FR/PRA
렌드리스 항공기 전투기 벨 에어라코브라, 커티스 키티호크, 리퍼블릭 썬더볼트, 노스 아메리칸 머스탱, 브루스터 버팔로(B-339E), 그루먼 마틀렛, 그루먼 가넷(헬캣), 보우트 콜세어, 록히드 라이트닝
뇌격기, 공격기 제너럴 모터스 어벤저, 브루스터 버뮤다, V-156 체사피크, 더글라스 하복, 벌티 벤전스
폭격기 록히드 허드슨, 록히드 벤추라, 마틴 볼티모어, 컨설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B, 보잉 포트리스, 노스 아메리칸 미첼, 마틴 머로더, 보잉 워싱턴A, 마틴 메릴랜드
회전익기 시코르스키 호버플라이
수상기 슈퍼마린 왈루스, 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컨솔리데이티드 코로나도, 숄트 선더랜드
시제기 빅커스 베놈, 글로스터 E.28/39, 에어스피드 플리트 쉐도워, 호커 토네이도, 블랙번 파이어크레스트
노획 기체 메서슈미트 Bf 109, 포케불프 Fw 200, 포케불프 Fw 190, 포케불프 Ta 152, 하인켈 He 219, 하인켈 He 70, BV 184, BV 185, BV 187, 하인켈 177, 슈토르히 Fi 156, 융커스 188 A-2, A-3, 아라도 232 B-0, MXY-7 오카A, C-012A, 도르니에 335A, 융커스 352A, 메서슈미트 Me 410 A-3A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영국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A: 전후 도입/노획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 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 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 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 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Handley-page-halifax-mk-viii-bomber-01.png
핼리팩스 초기형
파일:external/www.airpowerworld.info/handley-page-halifax-biii.jpg
핼리팩스 후기형. 동체 상부에 있는 터렛이 보인다

Handley Page Halifax

1. 개요2. 제원3. 개발 및 특징4. 활동5. 기타

1. 개요

숄트 스털링 이후 나온 영국의 중(重)폭격기.

원래는 벌처(Vulture) 엔진을 사용하는 쌍발 폭격기로 계획되었으나 벌처 엔진의 성능에 문제가 생기자 대신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 4개[1]를 장착하기로 했다. 이 서류상 스펙이 마음에 든 영국 공군이 미리 100대를 주문하면서 핼리팩스가 개발되었다. 종전 후에도 생산되었고 다양한 회사의 공장에서 만들어져서 최대 생산량을 자랑할 때는 거의 1시간당 1대 수준으로 나왔다고 한다.[2]

영국이 스털링으로 중폭격기라는 개념을 잡았다면 핼리팩스는 중폭격기 설계의 기본이 되었고, 이는 아브로 랭커스터로 이어진다. 1941년에 실전 투입되었으며 거의 미국의 B-17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며 독일에게 불벼락을 선사해줬다.[3]

2. 제원

(핼리팩스 Mk.III)
승무원: 7명
전장: 21.82m
전폭: 31.75m
전고: 4.55m
익면적: 110.6 m^2
전투중량: 24,675kg
최고 속력: 454km/h (고도 4,115m에서)
항속거리: 3,000km
최대 상승 고도: 7,315m
무장: 전방에 빅커스 K 기관총 1정, 동체 상부 터렛과 후방 터렛에 7.7mm 브라우닝 기관총 4정
폭장량: 최대 13,000 파운드
출력원: 브리스톡 허큘레스 XVI 공랭식 14기통 엔진 4기(1,615 마력)

3. 개발 및 특징

파일:external/www.aircraftaces.com/halifax.jpg

핼리팩스는 1939년에 첫 프로토타입이 등장했으며 1940년에 두번째 프로토타입을 제작해서 풍동시험과 시험비행을 했다. 이후 사내에서 H.P. 57이라고 명명된 기체가 1941년에 핼리팩스 Mk.I으로 생산된다. 하지만 Mk.I은 비행중에 엔진 2개가 멈추거나 급기동시에 기체가 요동치며 불안정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원인은 꼬리날개의 설계 문제였고 이를 개량한 것이 H.P.59이며 핼리팩스 Mk.II로 생산된다.. Mk.II는 Mk.I때와 다르게 전방에 있던 터렛을 제거하는 대신 동체 상부에 디파이언트 전투기 같은 터렛을 장착했다. 또한 엔진이 출력이 증가된 멀린 엔진으로 교체되었다. 핸들리 페이지사가 핼리팩스의 생산성을 개선해서 나온 설계안이 H.P.61이며 곧 핼리팩스 Mk.III로 명명되어 생산된다. Mk.III는 핼리팩스중에서 가장 많이 만들어진 기종으로 엔진을 공랭식 엔진인 브리스톨 허큘레스로 교체하고 프로펠러를 드 해빌랜드사의 것으로 바꿨다. 그 외에도 장거리 비행을 위해 만든 H.P.63이 있었으며 이는 핼리팩스 Mk.V로 불린다. Mk.V는 다시 멀린 엔진을 장착했다. 또한 폭탄창을 개량해서 수송용으로 사용한 모델은 H.P.70로 채택된 이후 핸들리 페이지 홀튼(Halton)이라고 불린다. 핼리팩스는 폭격기, 수송기, 초계기 버전으로 생산되었으며, 각각 핼리팩스 B, C, GR로 부른다.(예시: 핼리팩스 B.III[4])

파일:external/www.raf.mod.uk/halifaxc81024.jpg

핸들리 페이지 홀튼.

핼리팩스의 폭탄창은 과도하게 세분화된 스털링보다는 덜하지만 폭탄창이 여전히 나누어져있다. 그렇기 때문에 주폭탄창에는 스털링처럼 1000 lb 폭탄 9발까지 탑재 가능했다. 재미있게도 핼리팩스는 주익 내측에 250lb 폭탄 정도 크기의 폭탄을 실을 수 있는 소형 폭탄창이 있다( Il-2의 폭탄창을 생각하면 좋다.). 소이탄과 같은 소형 폭탄을 주익 폭탄창에 싣고, 동체에 위치한 주폭탄창에 큰 폭탄을 탑재하는 식으로 운용되었다. 어쨌든 핼리팩스는 4000 lb 폭탄 '쿠키'를 탑재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서서히 아브로 랭커스터에게 자리를 빼았기게 된다.

무장은 7.7mm 브라우닝 기관총이 주로 사용되었다. H.P.58이라고 20mm 기관포를 장착해보는 안이 있었지만 성공적이지 못했다. 동체 상부 터렛은 생산모델에 따라 2연장이기도 하고 4연장이기도 하다. 영국 폭격기의 고질적은 문제이기도 하지만 폭격기 하단에는 어떠한 무장이 존재하지 않았고 이는 기체 하방으로 접근하는 적을 저지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핼리팩스는 총 6,176대가 생산되었다. 1,589대만 핸들리 페이지 사에서 생산되었고 잉글리시 일렉트릭(English Electric), 페어리(Fairey), 런던 항공기 제작소(London Aircraft Production Group), 루터스 세큐리티즈(Rootes Securities) 사에서 각각 2,145대, 662대, 710대, 1,070대가 생산되었다. 가장 많이 핼리팩스를 생산한 회사는 잉글리시 일렉트릭 사였고, 이렇게 항공기를 생산한 경험을 통해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를 만들게 되는 초석을 닦았다.

4. 활동

핼리팩스는 1941년 3월에 첫 실전 투입이 되었고 르 아브르 폭격으로 시작해서 주로 야간에 독일에 대한 공습을 했다. 4발 중폭격기인 핼리팩스는 빠르게 블렌헤임이나 웰링턴, 햄든과 같은 쌍발 중형 폭격기를 대체해나갔다. 브레스트 항구를 폭격해서 샤른호르스트를 놀래키기도 했지만 당시 수평폭격의 명중률은 좋지 못했고 이는 곧 상부에서 중폭격기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아브로 랭커스터가 개발되던 때 영국 공군 폭격기 사령관인 아서 해리스는 핼리팩스가 랭커스터에 비해 폭탄창이 조금 작아 4,000파운드 '쿠키'를 탑재하지 못한다는 점을 불만스러워했다. 하지만 핼리팩스는 폭탄창이 세분화되어 큰 폭탄을 아예 싣지 못하는 스털링 폭격기에 비하면 폭탄창이 넓었기 때문에 종전 때까지 랭커스터와 함께 야간 공습으로 독일에 열심히 폭탄을 투하했다. 1943년에 시칠리아에 상륙할 때 지상군을 지원하러 가기도 했으며 노르망디 상륙 작전 때도 벌떼같이 와서 독일군 머리 위에 폭탄의 비를 뿌리기도 했다. 또한 노르웨이에서 잘 쉬고 있는 티르피츠에게 폭탄을 투하하러 갔지만 연막 때문에 실패하기도 했다. 핼리팩스는 2차 대전 동안 82,733번의 작전에 동원되어서 224,207톤의 폭탄을 투하했고 시기에 2,407대가 격추되어 가장 높은 격추율에 시달리며 승무원들은 높은 사망율을 기록했다.

전쟁이 끝나고 쓸모가 없어진 핼리팩스는 민수용으로 돌려져 영국의 주요 여객기로 활용되었고 프랑스 인도, 이집트, 파키스탄 등의 국가에서는 여전히 군용으로 운용했다. 최후의 핼리팩스가 1961년에 파키스탄에서 퇴역하면서 폭격기로써의 수명은 끝이 난다.
"그들의 모든 작전은 매우 신중하고 능숙하게 계획되었습니다. 그들은 절망적인 저항과 끔찍한 위험에 직면하여 죽어갔지만, 또한 그들은 독일의 마지막 패배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폭격기 사령부의 지휘하에 있는 모든 계급의 폭격기 승무원들은 불길과도 같은 용감한 정신과 드높은 책임감을 보여주었습니다. 폭격기 사령부의 엄청난 업적은 오랫동안 임무 수행의 모범으로 기억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 윈스턴 처칠

5. 기타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워 썬더의 1.59 버전 발표와 함께 영국의 폭격기로 등장하였다. BR 대비 아주 높은 폭장량으로 그동안 울며 겨자먹기로 종이비행기 웰링턴으로 폭격해오던 영국 유저들에겐 가뭄의 단비와도 같은 존재. 다만 실제로도 그랬듯 방어무장이 그리 좋지는 못하다.

국산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 히어로즈 인 더 스카이 에서도 연합군 영국폭격기 20레벨 기체로 등장한다. 성능은 그럭저럭 쓸만하지만 워썬더와 마찬가지로 방어무장이 답이없어서(옆동네 독일트리에도 있는 하부기관총이 이녀석은 없다...) 미션앵벌이 용으로나 쓸만한 녀석이다. 피탄면적도 넓고 속도도 굼벵이니 폭장량 말곤 믿을게 못된다. 그래도 잉여스러운 20레벨대 초기 트리 폭격기 라인업 중에선 그나마 탈만한 물건이다.


[1] 영국 왕립공군은 철저한 대량 생산을 위해 스핏파이어, 허리케인, 모스키토 등등 뿐만 아니라 대형기에도 좋은 고출력 엔진이 없다면 일단 멀린을 우구장창 울궈먹을 작정이었다. [2] 벌처 엔진 때문에 실패한 비행기가 바로 아브로 맨체스터이다. 맨체스터에 대해서는 아브로 랭커스터 문서 참고. [3] 그렇지만 B-17하고 비교하면 핼리팩스가 상승고도와 방어무장이 좀 모자라다. [4] 핼리팩스 Mk.III의 폭격기 버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