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4.2 迫擊砲[1]주로 연대급 또는 대대급 지원화기로 사용되며 간혹 중대급 지원화기로 사용되기도 하는 박격포로, 120mm 박격포와 더불어 중(重)박격포로 분류된다. 106mm 혹은 107mm로 불리는 경우가 있지만 정확한 구경은 106.7mm 이다.
한국군에서는 보병 연대급 지원화기, 혹은 기계화 대대급 지원화기로 사용 중이다. 심지어 기계화보병사단의 기갑수색대대에서는 중대급의 박격포반에서도 4.2인치를 운용한다. 105mm 차륜형 자주포가 보병 연대급 지원화기로, 120mm 자주박격포가 기계화 보병 대대급 지원화기로 선택됨에 따라 대체 화기의 배치 이후 전망은 불투명하다.[2]
박격포는 보통 보병이 직접 운반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4.2인치는 흉악한 무게와 크기를 자랑하기 때문에 보병이 직접 운반하기는 어렵다. 105mm의 구경을 사실상 그대로 박격포에 옮긴거나 마찬가지라 무거울 수밖에 없다. 때문에 기계화보병이라면 K200 장갑차를 베이스로 개조한 K242 장갑차로 운용하거나 K532 전술차량에 탑재해 운용하며 보병의 경우 K-311 또는 K-511 중형차량에 포를 싣고 운용하는 경우가 많다. K242 장갑차나 K532 전술차량은 차상 방열 및 사격이 가능하지만 중형차량을 사용하는 부대는 차량에 싣고 사격진지 최대한 가깝게 가서 포진지까지 직접 도수운반으로 옮긴다.
원래부터 120mm 박격포를 주력으로 사용했던 소련도 2차대전 무렵에 산악부대에 지급할 용도로 120mm M1938 박격포의 축소판으로서 107mm 구경의 107mm M1938 박격포를 개발해 사용했고 일부가 독일군에 노획되어 사용되기도 했다고 한다. 베트남 전쟁에서도 사용되었고 1차 리비아 내전에서 사용되었다.
2. 종류
2.1. ML 4.2인치 박격포
1942년부터 사용된 영국군의 4.2인치 박격포로 호주, 뉴질랜드와 같은 영연방군도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서 사용했다.2.2. M2 4.2인치 박격포
2.2.1. 둘러보기
냉전기의 자위대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자위대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7.62mm 소총 M1, 7.62mm M1 기병총 | |||||
자동소총 | 64식 소총, 89식 소총 | |||||
기관단총 |
|
|||||
권총 |
남부 권총,
|
|||||
조명총 | 53식 신호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
||||
대전차화기 | 64식 대전차유도탄, 79식 대전차유도탄, 87식 대전차유도탄, 로켓 발사통 M9, 89mm 로켓 발사통 M20, 84mm 무반동포 | |||||
화염방사기 | 휴대용 방사기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
박격포 | M2 60mm 박격포, 64식 81mm 박격포, M2 107mm 박격포 | |||||
유탄 | Mk2, Mk3A2, AN-M14/TH3 소이 수류탄, M31 총류탄 | |||||
냉병기 | 총검 | M1 총검, 64식 총검, 89식 다용도 총검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자위대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 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무반동포 | M18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 ||||
화염방사기 | M2, LFP 54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 ||||
유탄 | F1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AS-36, M1903,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L1A1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A1, XM177, G3 | ||||
기관단총 | MAT-49, M1A1, M3A1 | ||||
산탄총 | M37 | ||||
권총 | M1911A1, M10, M1917, Mk.22, L9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FM 24/29,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로켓 | M72, M202 | ||||
무반동총 | M20, M40, M67 | ||||
박격포 | 브랑 M27/31, M19, M29, M2, M30 | ||||
유탄 | 수류탄 | Mk.2, M61, M67 | |||
연막탄 | M18, M34 | ||||
지뢰 | M18A1, M1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현대의 라오 인민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라오 인민군 (1949~) ກອງທັບປະຊາຊົນລາວ |
||||
권총 | TT-33, PM | ||||
소총 | 돌격소총 | 9A-91, AK-47, QBZ-95, 56식, 81식, AMD-65, 핀다드 SS1/2, 갈릴 ACE | |||
지정사수소총 | SVD | ||||
<colbgcolor=#ce1126> 기관단총 | JS 9mm | ||||
기관총 | RPD | ||||
맨패즈 | 9K32 | ||||
박격포 | M1938, M1943, M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라오스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화포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 연합군 | 미국 | 영국 | 소련 | 프랑스 |
추축군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이탈리아 왕국 | ||
냉전 | 소련 | ||
현대전 | 미국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2.2.2. 제원
포열 전장: 1.22 m전체 중량: 151 kg
포열: 48 kg
포다리: 24 kg
포판: 79 kg
유효 사거리: 515 m~
최대 사거리: 4 023 m
2차대전 때 미군이 개발, 2차대전과 한국전쟁에서 활약했다.
원래 연막탄과 화학탄을 운용하기 위한 M1 화학탄 박격포의 후신으로 개발되었다. 1차 대전 이후 화학무기 규제 풍조 때문에 작열탄(소이탄)을 쓰는 방향으로 돌아서서 M1 기반으로 개발한 것이 M2
포다리가 양각대가 아니라 단각대 형태였다.[3] 그리고 박격포에서는 비교적 드문 편인 강선식 포신, 탄 역시 일반적 박격포탄의 안정핀이 없는 일반 총탄이나 포탄 형태에 가깝다.[4] 강선식은 연사 속도가 좀 느려지고, 강선의 두께만큼 포가 과열에 약해지는 단점이 있으나 탄도가 바람(특히 측풍)의 영향을 덜 받는다. 조준경을 포구 근처에 끼워서 조준하기 때문에 쏘기 전에 반드시 분리 했던 점 또한 M2의 특징이자 단점 중 하나.
3분할해서 도수 운반 가능은 하지만, 보다시피 무게가 장난이 아니다. 특히 포판은 2인이 앞뒤에서 들고 운반하게 손잡이까지 달려 있었다.국내 전투지원중대 4.2인치 박격포 분대에서는 행군 때는 도수운반 하지 않지만 진지나 산으로 올라갈 때에는 이등병 막내가 포열을 어깨에 메고 그다음 서열 두명이 포판을 들고 그다음 서열 한명이 포다리를 들고 이동하였으며 특히 막내들은 도수운반시 거의 초죽음이었다.
사격 시 반동과 후폭풍이 어마어마 하므로 땅을 어느정도 파서 포판을 묻은 후 그것도 모자라 모래포대를 덕지덕지 쌓아 고정하고나서 사격을 실시 하였다.
여기에 사용한 M3 고폭탄은 무게 11.11 kg에 TNT가 3.64 kg 충전된다. 고각으로 떨어지는 박격포의 특성 덕분에, 105mm 견인곡사포와 155mm 견인곡사포 중간 정도의 출중한 위력을 발휘했다. M2 백린탄(11.57 kg)과 더불어, M1 4.2인치 박격포의 후예 답게 머스타드 가스를 충전한 M2 화학탄(13 kg)도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되지는 않았다.
미군에서는 1951년부터 신형 M30으로 교체되기 시작한다.
2.3. M30
냉전기의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튀르키예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E30A17>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Gew88/05, 마우저 M1938, Kar98k,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2 카빈, G1, G3A3, G3A4, HK33, M16A1, M16A2, CAR-15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A1, MP5 | ||||
산탄총 | M1912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FN 미니미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M60 | ||||
중기관총 | MG08,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HK79, M203, Mk.19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2, M19, M29, M30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M26, M67 | |||
화학탄 | M14, M18 | ||||
지뢰 | M14, M16, M18A1, M1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브루투스 작전 당시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브루투스 작전 2506여단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903A1, M1903A4 | |||
M1 Garand, M1941, M1 Carbine, M1A1 Carbine | |||||
M1918A2, M2 Carbine | |||||
기관단총 | M1A1, M3A1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41, M1919A4, M1919A6, M2HB | |||
대전차화기 | M9A1, M18, M20 | ||||
화염방사기 | M2 | ||||
박격포 | M2, M29, M30 | ||||
수류탄 | Mk.2 | ||||
냉병기 | 총검 | OSS Stilett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 당시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해외전쟁 포르투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1886/89, 마우저-베르게이루, m/937, m/1917, m/931, m/942, m/946, P14, M1917 | ||
자동소총 | AR-10 m/961, G3 m/961, G3 m/963, m/962 | ||||
기관단총 | m/942, m/943, Z-45, m/948, 비뉴롱 m/961, 스털링 m/961, 우지 m/961, MPL | ||||
권총 | m/878, m/886, M10, S&W 보디가드, m/943, m/96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930, m/940, m930-41, m/938, m/943, m/963, m/968 | ||
다목적기관총 | m/944 보르지히, m/944, m/952, m/962, FN MAG | ||||
중기관총 | 브레다 m/938, m/955 | ||||
로켓발사기 | m/952, m/955, M53 | ||||
무반동총 | m/952, M20, M40 | ||||
박격포 | m/937, m/951, 브랑 m/952, , M2 m/952, FBP m/68, L65/60 | ||||
폭발물 | 수류탄 | m/963 | |||
지뢰 | M14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포르투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AS-36, M1903,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L1A1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A1, XM177, G3 | ||||
기관단총 | MAT-49, M1A1, M3A1 | ||||
산탄총 | M37 | ||||
권총 | M1911A1, M10, M1917, Mk.22, L9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FM 24/29,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로켓 | M72, M202 | ||||
무반동총 | M20, M40, M67 | ||||
박격포 | 브랑 M27/31, M19, M29, M2, M30 | ||||
유탄 | 수류탄 | Mk.2, M61, M67 | |||
연막탄 | M18, M34 | ||||
지뢰 | M18A1, M1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현대 이집트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현대의 이집트군 보병장비 | ||||
<colbgcolor=#ffffff,#191919> 개인화기 | <colbgcolor=#ffffff,#191919> 소총 | <colbgcolor=#ffffff,#191919> 돌격소총 | AK-47, M4 카빈, M16A2, M16A1, 마아디, AR70/90, CAR-15, SG552, SIG516, CZ-805/807, 베레타 ARX-160 | ||
저격소총 | SVD, PSG1, AWM, M40A3, SSG 3000, M82 | ||||
기관단총 | MP5, UMP, MP7 | ||||
권총 | TT-33, 헬완, 헬완 920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FN 미니미, FN MAG, RPK, RPD, PK/PKM/PKMS, M60E4 | ||
중기관총 | SG-43, DShK, NSV, KPV, M2HB, M134 미니건, GAU-19 | ||||
유탄발사기 | 마아디 GL, M79, Mk.19 고속유탄기관총 | ||||
대전차화기 | 휴대형 | M72 LAW, M47 드래곤, RPG-7 | |||
설치형 | MILAN 2, BGM-71D TOW II, 3M6, 3M11, 9K11, 9M113, 9K115, HJ-8, 아케론 MP | ||||
무반동총 | M40 무반동포, SPG-9, B-10, B-11 | ||||
박격포 | M-43, 2B11 Sani, 헬완 UK-2, M240 박격포, M224, M30, M252 | ||||
맨패즈 | Sakr Eye, 이글라, 스팅어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집트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CD116> 현대의 콜롬비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FCD116>
소총 |
<colbgcolor=#FCD116> 돌격소총 | 갈릴, 갈릴 ACE, TAR-21, M16A2, M4A1 | ||
지정사수소총 | 갈라츠, M110 | ||||
저격소총 | M24, M82, M95, MSR | ||||
기관단총 | UZI, MP5 | ||||
권총 | M1911A1, M9, 제리코 941, 코르도바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네게브, M249, K3 경기관총, M60, FN MAG, M134,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MGL Mk.1, Mk.19 | ||||
대전차화기 | M72, APILAS, AT4, 스파이크-MR/LR/ER, BGM-71, RPG-22 | ||||
박격포 | M4, M30, MO-120 RT | ||||
맨패즈 | FIM-92, 미스트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콜롬비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373a3c><colbgcolor=#CE1126> 현대의 파라과이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colbgcolor=#0038A8> 돌격소총 | FN FAL, CQ-A 카빈*, M16A1*, T65K2, M4A1 | |||
저격소총 | M24 SWS, M107A1 | ||||
기관단총 | MP5, UZI, KRISS Vector^ | ||||
권총 | 브라우닝 HP35, 베레타 92, PT92, VP70Z | ||||
지원화기 |
기관총 | 네게브, FN MAG, HK21E, M1919A4, M2 브라우닝, Vz.26 brno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40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72 LAW, M18 무반동포, M20 | ||||
박격포 | 브랑 Mle 27/31, M30, M120 BMS | ||||
예비용 화기 | G3 | ||||
*: 소수만 채용되어 운용중 ^:경찰특공대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라과이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현대 도미니카 공화국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도미니카 공화국군 Fuerzas Armadas de la República Dominicana |
||||
권총 | 하이파워, BDM, PT92, 제리코 941 | ||||
산탄총 | USAS-12, SPAS-15, 모스버그 500 | ||||
기관단총 | 스콜피온 EVO 3, MP5, P90, UZI | ||||
<colbgcolor=#ce1126> 소총 | <colbgcolor=#ce1126> 자동소총 | G3, M4, M16A1, 갈릴, 갈라츠 | |||
기관총 | 경기관총 | M60, M249, MAG, 미니미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 ||||
박격포 | M1, M2, M29, M30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도미니카 공화국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볼리비아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word-break: keep-all" |
볼리비아군 (1945~현재) Fuerzas Armadas de Bolivia |
|||
''' 개 '''
인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갈릴 AR | M16A1 | M16A2 | AUG A1 | SG542 | FN FAL | 56식S | 56-2식 | SG510-4S | G3(A3/A4)S | |
'''[[지정사수소총| 지정사수 소총 ]]'''
|
갈릴 SR | SVD | NDM-86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SSG 69 P1 | |||
기관단총 | 우지 · 미니우지 | FMK-3 | MAT-49 | |||
산탄총 | M870 | M11-87 | |||
권총 | 브라우닝 GP-35 | 타우러스 PT-111 | 베레타 92F | TT-33 | M1911A1 | |||
<colbgcolor=#F4E400> ''' 지 '''
원 화 기 |
<colbgcolor=#F4E400> '''[[기관총| 기관총 ]]'''
|
<colbgcolor=#F4E400> '''[[기관총#s-5.3| 다목적 기관총 ]]'''
|
MAG 60-20 | M60D | MG710-3 | 56식 기관총 | M1919A4 | HK21S | |
'''[[기관총#s-5.1| 중기관총 ]]'''
|
M2HB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QLZ-87 | M203 | M79 | |||
'''[[대전차화기| 대전차 화기 ]]'''
|
'''[[무반동총| 무반동총 ]]'''
|
C90-CR | 65식 | 87식 | M67 | M40A1 | ||
로켓 | RPG-7V | M72A3 LAW | M20 슈퍼 바주카S | |||
미사일 | HJ-8A | |||
맨패즈 | HN-5 | |||
박격포 | M120 | M224 | M29A1 | M30 | |||
견인포 | M101A1 | M116 | 54식 | |||
'''[[특수부대| 특 ]]'''
수 전 화 기 |
'''[[소총| 소총 ]]'''
|
'''[[돌격소총| 돌격소총 ]]'''
|
M4A1 | SA80 | SG540-1 | |
'''[[저격소총| 저격소총 ]]'''
|
HS.50 | SSG 04 | AWP | 마우저 86SR | |||
권총 | 글록 17 | |||
유탄발사기 | 밀코 MGL | |||
의장용 화기 | vz. 24 | FN 24-30 | |||
※ 윗첨자S: 비축 화기 | ||||
※둘러보기 :
볼리비아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현대 튀니지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e70013>
튀니지군 (1956~현재) الجيش الوطني التونسي |
||||
개인화기 | <colbgcolor=#e70013> 권총 | HP-35, M1951 | |||
기관단총 | M12 | ||||
산탄총 | SPAS-15 | ||||
소총 | <colbgcolor=#e70013> 자동소총 | 56식, AKM, FAL | |||
저격소총 | SSG 69 | ||||
지원화기 | 기관총 | 다목적 기관총 | MAG, MG3, M60 | ||
경기관총 | 미니미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M1919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Mk.19, M203 | ||||
대전차화기 | LRAC F1, MILAN, M40, BGM-71, M2 | ||||
박격포 | M29, M30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AUG A1, AUG A2, AUG A3, M4 카빈, M16A1 | |||
저격소총 | M82 | ||||
기관단총 | MP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니지군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2.3.1. 제원
포열 전장: 1.52 m전체 중량: 302.4 kg
포열: 70.9 kg
걸침대: 76.6 kg
포판: 87.5 kg
포다리: 27 kg
돌림판: 철제 40.4 kg, 마그네슘제 26 kg
연사 속도: 최대 분당 18발로 1분간 사격, 이후 5분간은 분당 9발 사격, 장시간 지속사격시에는 대체적으로 분당 3발 권장
유효 사거리: 770 m~
최대 사거리: 6,840 m
M2의 후계 기종이다. 사거리와 살상능력을 늘리기 위해 개발됐는데, 그 대가로 302.4 kg이라는 무지막지한 중량이 되었다.
M2와 비슷하게 단각대 방식이지만, 단각대 아래 삽날과 돌림판을 연결하는 걸침대라는 게 추가돼 있어서 꽤 단단하게 지지한다. 또한 더 가벼운 박격포와는 달리 일단 포판을 깔았으면 포를 돌리기 힘들다보니, 포판 위에 돌림판이라는 회전용 부품을 추가해놨다. 이 또한 무게 잡아먹는 귀신. M30 역시 강선식(24조 우선)이다.
화력상 바로 아랫단계라고 할 수 있는 81mm 박격포와 중량 차이가 상당하다. 81mm 경우 보통 42kg 전후인 반면에 4.2인치 박격포가 300kg가 넘어버리는데(7배 이상) 이유는 사격 방식의 차이 때문이다. 활강식 박격포의 경우 포탄의 날개에 의해 중심을 잡으며 목표까지 비행(베드민턴 셔틀콕과 비슷한 원리)하는 반면, 강선식 박격포는 포탄의 회전력에 의해 중심을 잡고 목표까지 비행하는 원리다.[5] 포탄이 회전을 잘하면서 날기 위해선 결국 두껍고 무거워야 하며[6]이 무거운 포탄을 멀리 쏘기 위해선 장약이 많이 들어가야 하고 장약의 폭발력을 최대한 버텨야 하기 때문에 박격포의 덩치가 크고 단단해야 했으며 그 결과가 지금 보고 있는 박격포이다.
지상포로 쏘려면 포판을 땅에 박는데 시간과 힘이 굉장히 들어간다. 보통 약 15cm~ 20cm 이상 땅을 파고 포판을 집어넣어야 하는데 땅 좀 파봤다면 알겠지만 그게 쉽지 않다.[7]발사시 반동도 무지막지해서 땅 까서 포판 박고 모래자루 얹고 해서 쏴야 한다. 차상포로 사격해도 K532 전술차량의 경우에는 한발 사격할 때마다 차가 요동쳐 조준이 흐트러지기 쉽다.
포술 훈련을 실시할 때는 연병장 같은 평평한 땅에서 하게 되는데 보통 땅을 파서 방열을 실시하지 않아 포판의 스페이드 때문에 걸침대의 스페이드가 허공에 뜨게 되고, 따라서 포베개나 걸침목이라는 나무 구조물을 받치는 경우가 많다.[8] 이 나무 구조물도 은근히 무게가 있다. 4.2인치 고폭탄 박스가 허공에 뜬 스페이드 공간에 딱 맞아서 걸침대로 자주 사용된다.
참고로 포열을 손질할 때가 아주 죽음이다. 보통 4.2 인치 박격포와 대전차포를 운용하는 지원중대에서는 2인 1개조의 포닦기가 기본이나, 1인 포닦기는 아주 기본중에 기본이면서 가장 힘든 가혹행위 중의 하나다. 닦는 도중에 수입봉이 포구에 스치기라도 하면 그날은.[9]
여담이지만 혼자 차려포하는 사람들이 꼭 하나씩은 있다.포에 대한 이해와 근력만 있으면 어려운 건 아니지만 그게 보통 근력이어야지. 물론 요령 없이 근력도 없는 사람이 억지로 1인 차려포를 시도했다간 양 어깨 다 탈구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실제로 09년도 60사단 3사관 출신 소위가 차려포 훈련 중 병사간 불화로 자기 혼자 1인 차려포를 하다가 양어깨 탈구로 병원에 반년간 실려간 사례가 있다.[10]
2.3.2. 포탄 종류
HE(고폭탄) M329A1최소 사거리 : 920 m
최대 사거리 : 5,650 m
무게 : 12.3 kg
HE(고폭탄) M329A2
최소 사거리 : 770 m
최대 사거리 : 6,840 m
무게 : 10 kg
WP(백린연막탄) M328A1
최소 사거리 : 920 m
최대 사거리 : 5,650 m
ILLUM(조명탄) M335A2
최소 사거리 : 400 m
최대 사거리 : 5,490 m
반경 : 1,500m 조명
조명시간 : 90초
2.4. 107mm M1938 박격포
M1938 또는 107-PM-38이라 불리는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120mm M1938 박격포의 축소화 버전으로 개발되었다.2.5. KM30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K242A1 4.2인치 박격포 탑재 장갑차)
M30을 기반으로 1980년 국산화 개발했다.
2018년부터 K105A1 자주포가 양산 및 전력화가 되면서 연대급 화력지원 수단으로 사용 중인 4.2인치 박격포는 보병사단의 경우 K105A1 자주포로, 기계화보병사단의 경우 2019년부터 전력화되는 한화디펜스 120mm 자주박격포로 대체할 예정이다.
4.2인치 재고탄이 너무 많이 남은 데다[11] 120mm 자주박격포 체계가 대당 30억 원가량으로 너무 비싸서 전량 대체는 예산상 불가능하고 기계화부대의 4.2인치만 120mm 자주박격포로 대체되며 보병부대의 4.2인치 박격포는 K105A1 자주포에 연대급 화기 지위를 넘겨주고 대대급 지원화기로 내려간다. 현재 국군에 존속하고 있는 4.2인치 박격포의 물량은 # 1840문이며, 해병대 포함 13개 상비사단 예하 39개 여단, 117개 대대에 12문씩 배치되어 기존 보병대대 화기중대의 81mm 박격포를 각 보병중대 포반으로 내려보낼 것이다.
2.5.1. 포탄 종류
KM329A1HE(고폭탄)
무게: 13.29kg
전장: 655mm
충전물: TNT
추진장약: KM36A1
최대 사거리: 5650m
탄속: 299m/s
ILL(조명탄)
무게: 11.37kg
전장: 655mm
탄속 : 305m/s
800000촉광
3. 관련 문서
[1]
107mm.
[2]
보병 대대로 내린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4.2인치 체계는 진부화가 심해 신형 81mm 박격포와 비교해도 경쟁력이 떨어진다. 사거리는 81mm와 비슷하거나 약간 짧고, 인명 살상 반경도 거의 비슷하다. 작약량이 더 많으므로 건물 등 대물 파괴용이나 조명, 연막 지원용으론 더 좋지만 고작 그 용도로 쓰자고 4.2인치 포와 포탄의 중량을 감당하기엔 효용성이 떨어진다. 81mm는 포탄과 포를 알보병이 들어 나를 수 있는 한계선이지만 4.2인치부터는 차량이 반드시 필요한 만큼 두 체계의 중량 차이가 가져오는 차이는 하위 구경인 60mm와 81mm를 비교할 때보다 훨씬 크다. 기존에
대대급 지원화기로 쓰였던
81mm 박격포는 신형 81mm 박격포의 도입과 함께
중대급 지원화기로도 배치되는 것과는 경우가 다르다. 하지만 105mm 곡사포처럼 재고 포탄이 수백만 발 단위로 남아 있어 처리하도 쉽지 않다는 게 문제다. 으레 그랬듯 후방이나 동원 사단에 넘기면서 점진적 퇴역의 가능성이 언급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편제의 변화나 재고 포탄 처리 방법에 대해선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 일각에선 4.2인치 재고 포탄을 드론 등 무인기의 투하용및 자폭용 폭발물로 사용하자는 제안도 나온다. 다만 4.2인치 포탄이 들어본 사람은 알겠지만 그런 용도로 쓰기에는 제법 무거운 편이다.
[3]
밑바닥에 받침대가 있지만, 좀 흔들거리는 편
[4]
물론 탄 밑바닥에 추진 장약은 부착한다.
[5]
다만 강선에 의한 회전 때문에 편류현상이 발생한다.
[6]
쉽게 팽이와 연필 중 어느 쪽이 회전시키기 쉬운지 비교하면 이해하기 쉽다.
[7]
4.2인치 예비역은 곡괭이질과 삽질을 마스터한다. 5분 안에 방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포판의 직경과 공병삽의 길이가 일치하기 때문에 삽을 일회전시켜 원을 그린 후 2인(대개는 짬먹은 사수/부사수)가 곡괭이질을 하고 분대장이 삽질해서 1분 안에 직경 1m 깊이 15cm 이상의 구덩이를 파면 탄약수들이 포판을 옮겨오고 이어서 나무 헤머로 포판을 구덩이에 때려 박는다.(시간이 더 주어진 경우 삽으로 포판 아래에 흙을 집어넣어서 더 단단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대개 이 과정이 1분 30초 안에 끝난다. 쉽지 않다고 쓰여 있지만 일반인 기준에서 그런 것이지 지원중대 출신은 상병만 달아도 다 하는 거다. 왜냐하면 전포병 주무기는 포가 아니라 삽과 곡괭이이기 때문이다-전포병치고 포보다 더 많이 만진 게 삽과 곡괭이라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을 것이다. 3단 야전삽 즉 공병삽에 대한 방법만 나왔으나 2단 야전삽은 더욱 쉽다. 삽날을 직각으로 굽힌 뒤 콤퍼스로 원 만들듯 삽자루를 바닥에 대고 그으면 선명하게 선이 그어진다. 공병삽보다 무거운 기존 구형 2단 야전삽을 반납하지 않는 이유가 곡괭이에 해당하는 부분도 있기도 하지만 이와 같은 이유도 있다.
[8]
위 사진도 자세히 보면 걸침대의 스페이드를 받쳐둔 부분이 한계단 더 위로 올라와 있다.
[9]
병장 달고는 요령도 요령이고 근력이 엄청나져서 후임들 놀래키는 용도로 하곤했다.
[10]
사실, 해당 주특기를 해 본 사람들은 느끼겠지만, 4.2인치 박격포는 힘보다는 요령으로 드는 무기이다. 무게중심 잘 잡고 하면 1인 차려포는 별로 어렵지 않다.
[11]
미군이 120mm 박격포 도입을 하며 남는 4.2인치 박격포와 포탄 상당량을 국군에 공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