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ss Rifle Ross Mark I/II/III 로스 소총 |
|||
|
|||
캐나다군 제식, Mk III 모델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볼트액션
소총 저격 소총 |
||
원산지 | 캐나다 | ||
{{{#!folding 【펼치기 · 접기】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05년~ 1945년 | ||
개발 | 찰스 로스 경 | ||
개발년도 | 1903년 | ||
생산 | Ross Rifle Company | ||
생산년도 | 1903년~ 1918년 | ||
생산수 | 420,000정 | ||
사용국 |
캐나다 영국 룩셈부르크 라트비아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
기종 | |||
형식/파생형 |
Mk I (1903) Mk II (1905) Mk II .280 (1907) Mk III (1910) Mk IIIB (1914) 휴오트 자동소총 (1916) |
||
제원 | |||
탄약 | .303 브리티쉬 | ||
급탄 | 5발 내장식 탄창 | ||
작동방식 |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 | ||
총열길이 |
711 mm (MKI, MKII) 774 mm (MKIII) |
||
전장 | 1,230mm | ||
중량 | 3.9kg | ||
발사속도 | 20RPM | }}} |
[clearfix]
1. 개요
|
Forgotten Weapons의 Mk.I 리뷰 영상 |
|
Forgotten Weapons의 Mk.II 리뷰 영상 |
|
Forgotten Weapons의 Mk.III 리뷰 영상 |
사격 영상
로스 소총은 캐나다에서 개발된 볼트액션 소총이다.
2. 역사
로스 소총의 역사는 제2차 보어 전쟁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리-엔필드 소총을 영국에게서 충분히 공여받지 못한 캐나다는 리-엔필드의 면허생산을 영국에게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스코틀랜드의 발명가였던 찰스 로스의 소총이 새로운 제식소총 위원회의 관심을 받게 된다.로스 소총의 작동방식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만리허 M1895와 같은 스트레이트-풀 볼트액션 방식이었고 그로 인하여 쉬운 조작과 우수한 속사 능력이 주목을 받았다. 또한 원래 수렵용 라이플로 개발된 물건이었으므로 높은 정확도를 가진 우수한 소총이었다. 이에 1903년 Mk.III 모델이 캐나다군의 제식 소총으로 채용된다.
하지만 1차 대전이 터지며 본격적인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로스 소총이 태생적으로 민수용이었기 때문에 관리가 자주 필요한 연약한 물건이었던 것이다. 폐쇄기의 핀 부분과 볼트 부분은 매우 민감하여 작은 모래 알갱이라도 들어가면 걸리기 일쑤였고, 또한 낮은 내구도로 인하여 심심하면 작동불량을 일으켰다. 게다가 지나치게 섬세한 탓에 고품질 탄약이 아니면 작동불량을 일으키기 일쑤였다.[1] 사수들은 1차 대전의 진창 속에서 자신의 탄약에 티끌 하나도 묻지 않도록 관리해야 했으며, 탄약도 세심하게 골라야 했고, 로스 소총의 총검은 급조품이다 보니[2] 총에 고정이 잘 되지 않아 백병전을 제대로 치를 수가 없었다.
|
Forgotten Weapons의 로스 소총의 조립 불량으로 인한 파손 현상을 다룬 영상. 13분 32초부터 로스 소총이 파손되는 장면이 나온다. |
더욱 심각한 부분은 볼트 고정 부분이 제대로 조립되지 않고 파손된 상태로 조립되는 경우였다. 로스 소총은 이 부분이 매우 연약하여 분해 조립 시 파괴되기 일쑤였는데, 그럼에도 작동은 정상적으로 되는지라 모르고 사용한 사수들의 얼굴에 볼트가 그대로 날아들어 코가 부러지거나 얼굴이 함몰되는 큰 부상 혹은 얼굴에 타박상을 입히기도 했다. 그래서 1차대전 캐나다군은 자신의 제식소총을 버리고 영국군의 시체를 뒤지는 등 리-엔필드 소총을 매의 눈으로 찾았다고 한다.
문제가 커지자 캐나다군은 이 로스 소총을 몇 차례 개량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점은 거의 개선되지 않았고, 결국 1차 대전 중 현지 조달 방식으로 다수의 리-엔필드를 사용하게 된다.[3]
|
|
워너 & 스웨시사의 2.5배율 머스킷 망원조준경이 장착된 저격용 모델. | |
|
|
Forgotten Weapons의 워너 & 스웨시 사의 5.2배율 머스킷
망원조준경을 장착한 저격용 Mk.III(좌) 윈체스터 사의 5배율 A5 망원조준경을 장착한 저격용 Mk.III(우) 리뷰 영상 |
로스 소총은 이러한 악재들에도 불구하고 명중률이 상당히 높았던 것으로 유명한데, 1차 대전 중 캐나다군이 버린 상당수의 로스 소총이 각종 저격연대로 흘러 들어가 미제 스코프인 워너&스웨시사의 5.2배율 머스킷 망원조준경, 윈체스터 사의 5배율 A5 망원조준경을 장착해 저격소총으로 빛을 발하게 된다. 실제로 세간에 알려진 것보다 많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며, 이 로스 소총들은 각 저격수의 야전 개량을 거친 물건들이었다.[4] 저격 임무는 진창에서 백병전을 벌일 일도 없거니와, 평소에도 정밀한 사격을 위해서 탄약을 깨끗하게 최상급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었고, 저격수들 대다수가 자신의 소총의 구조나 문제에 대해 빠삭했기 때문에 정비상의 문제로 작동 불량이 되는 경우도 없었다. 따라서 저격임무의 특성상 로스 소총이 가진 단점들이 대부분 상쇄되었기 때문에 높은 정확도를 가진 로스 소총을 애용하게 된 것이었다. 실제로 상당수의 캐나다군 저격수들이 망원조준경이 부착된 로스 소총을 이용해 100명 이상의 독일 제국군 사살 전과를 올렸으며, 유명한 캐나다군 저격수인 프랜시스 페가마가보우[5] 또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 소총을 사용하였다. 500미터 이상의 거리에서 매우 정확한 사격과 집탄성을 만들 수 있어 일부 영국군 저격수들도 자신의 SMLE를 버리고 로스 소총을 가져갔을 정도였다.[6] 하지만 역시나 내구도가 발목을 잡았는지 2차대전 중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다만 어떻게 건너갔는지는 불명이나[7]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 민병대에 지급되는 사진이 있기는 하다. 전후 소련에서 남아있던 모든 로스 소총을 7.62×54mm R을 쓰도록 개조해 스포츠용 소총으로 쓰기도 했다.
3. 기타
대량으로 남은 로스 소총의 재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관총으로 개량한 휴오트 자동소총도 존재한다.4. 대중매체
- 베르됭(게임)에서 캐나다군 분대의 장비로 등장한다.
- Hearts of Iron IV에서 1918년형 캐나다와 리투아니아 보병장비로 등장한다.
- 인리스티드에서 연합군 저티어 소총으로 등장한다.
5.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LM Mk.II, SMLE No. III, No. 4 Mk.I, Ross Mk.III, M1917 Enfield | ||
반자동소총 | M1 Carbine | ||||
레버액션 소총 | Winchester M1894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III, Mk.V, M50 Reising | ||||
산탄총 | M1897, M37 | ||||
권총 |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M1911A1, S&W Victory Model, S&W Triple Lock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Mk.III Mk.IV, Bren Mk.III Mk.IV, Browning M1918, M1941 Johnson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M9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SB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36M,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스페인 내전기의 공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스페인 내전 스페인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마우저 M1893, 베테를리 M1870/87,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6, 르벨 M1886, 베르티에 M1907/15,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Gew88, M1891/30, Vz.24, Wz.29, 로스 Mk.III, 리-엔필드, M1917 엔필드, 30년식 소총, 35년식 소총, 38식 소총 | ||
레버액션 소총 | M92 "엘 티그레", 윈체스터 M1895 | ||||
기관단총 | MP28, EMP35, 라보라 M1938, KP/-31, PPD-38 | ||||
권총 |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08,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900, C96, M1895, 캄포 히로 | ||||
기관총 | M1895, PM M1910/30, 호치키스 M1914, 호치키스 M1922, 쇼샤, 루이스 경기관총, KE7, Wz.30, M1918 브라우닝, 맥심-토카레프, DP-28, DT-2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룩셈부르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룩셈부르크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a1de> 개인화기 | <colbgcolor=#00a1de> 볼트액션 소총 | M/96, Gew98, Kar98k, 리-엔필드, P14, 로스 소총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M1A1 톰슨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a1de> 경기관총 |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9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M1 바주카, PIAT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룩셈부르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라트비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라트비아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77353D> 개인화기 | <colbgcolor=#77353D> 볼트액션 소총 | Vz.24, 로스 소총, 리-엔필드, M1891/30 | |||
기관단총 | M23 | ||||
권총 | 나강 M1895, 루거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발트3국의 운용무기체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1]
이에 반해 리-엔필드의 경우 전시 대량생산형 저품질 탄약에도 별다른 무리없이 작동했다.
[2]
민수용 총기 바탕이니 당연히 착검대도 없던 걸 군용 제식소총으로 개조하다 보니 착검대를 급하게 만들어 붙인 것이었다.
[3]
사실 1916년에는 일단 문제(저품질 탄약을 쓸때 생기는 격발 불량은 군용소총치고는 너무 과하게 정밀한 약실규격과 생산 당시 검사의 미비가 문제, 약한 노리쇠는 철강의 품질과 열처리 개선으로 해결, 노리쇠 멈치의 변형은 더 두꺼운 부품 사용으로 해결)를 해결해서 정상적인 군용소총으로서의 신뢰성을 확보했지만 누구도 이걸 믿지 않았다고 한다. 당연하지만 이전에 전과가 너무나 화려하다보니까 언제, 어떤 문제가 또 튀어나올지 모른다고 그 어떤 캐나다군 병사(저격병 제외)들도 로스 소총을 쓰려하지 않고 신뢰성이 입증된 리-엔필드를 쓰려했다. 그러다가 아무도 쓰고 싶어하지 않는 로스 소총은 저격용을 제외하고는 일선에서 퇴역해 버렸고.
[4]
대부분
프리플로팅 배럴 효과를 보기 위하여 총몸에서 총구와 가까운 부분을 제거했다. 1차대전 사진에서 총열만 길쭉하게 보이는 영국군 저격수 혹은 캐나다군 저격수가 사용하고 있는 소총은 십중팔구 저격용으로 개조한 로스 소총이다. 이 조치는
리-엔필드 저격형에도 적용되기도 했다.
[5]
캐나다계 원주민 출신이며, 공식 사살 기록만 378명에 달하여 1차 대전 최고의 저격수로 꼽히는 인물이다.
[6]
영국군 내에서는 SMLE의 명중률이 신통치 않다고 생각한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등장한 총이
P14 소총이다.
[7]
적백내전 당시 무기가 필요한 적군에서 여러 나라 총을 마구잡이로 사들였는데, 그 과정에서 입수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