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18:33:28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 선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종류 지난 선거 다음 선거
대통령 선거 제20대
2022년 3월 9일
제21대
2027년 3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선거 제22대
2024년 4월 10일
제23대
2028년 4월 12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전국동시지방선거 제8회
2022년 6월 1일
제9회
2026년 6월 3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재보궐선거 2024년 상반기
2024년 4월 10일
2024년 하반기
2024년 10월 16일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부통령 선거 제5대
1960년 3월 15일
폐지*
{{{#!folding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국민투표 제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
{{{#!folding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 1960년 6월 15일 제3차 개헌으로 부통령직 폐지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이후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능
}}}}}}}}}

1. 개요2. 규정
2.1. 준비 과정2.2. 선거구 선거관리2.3. 선거권과 피선거권
2.3.1. 선거권2.3.2. 피선거권
2.4. 선거일2.5. 후보자
2.5.1. 후보자 추천2.5.2. 후보자 등록2.5.3. 후보자 사퇴
2.6. 투표시간2.7. 당선인의 결정·공고·통지
2.7.1. 당선인의 결정·통지2.7.2. 당선인의 공고
2.8. 기탁금의 반환 등
3. 역사4. 통계
4.1. 결과4.2. 투표율4.3. 후보별 본선 출마 횟수4.4. 유력 후보별 전적4.5. 정당별 결과4.6. 역대 후보별 순위4.7. 역대 사퇴, 사망 등록무효 후보4.8. 역대 지역별 승리 후보4.9. 역대 후보 득표율 순위4.10. 역대 후보 득표수 순위
5. 여담
5.1. 대선 100% 적중지역: 금산군, 옥천군
5.1.1. 제주특별자치도 적중지역 탈락
5.2. 종교 관련5.3. 출생지 관련5.4. 성씨 관련5.5. 출생년도 및 세대
6. 둘러보기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헌법
제67조 ①대통령은 국민의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의하여 선출한다.
⑤대통령의 선거에 관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제68조 ①대통령의 임기가 만료되는 때에는 임기 만료 70일 내지 40일전에 후임자를 선거한다.
대통령이 궐위된 때 또는 대통령 당선인이 사망하거나 판결 기타의 사유로 그 자격을 상실한 때에는 60일 이내에 후임자를 선거한다.
대한민국에서 치뤄지는 대통령 선거 1948년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이후 정말 각양 각색의 선거제도를 시도해왔고 1987년 헌법 개정으로 지금은 확실한 직선제 대통령 선거를 시행한다. 약칭으로 '대선'이라고 불린다. 국정 전반을 총괄하는 사령탑을 뽑는 선거인만큼 대한민국에서 실시하는 선거들 중 가장 큰 정치 행사이며,[1] 선거에서 선출된 후보는 취임일 전까지 대통령 당선인의 신분으로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설치하고 내각을 구성한다.

2. 규정

2.1. 준비 과정

보통 취임하는 대통령이 5년 동안 임기를 갖고 활동하는데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고 퇴임하기 직전해부터 차기 대통령 선거 준비를 한다. 이때가 되면 각 정당에서는 자신의 당을 대표할 대통령 후보를 선출하기 위한 경선에 돌입한다. 경선에 당선되면 대통령 후보로서 등록하게 되고 대통령 선거는 대통령 퇴임일로부터 70일이 남은 시점에서 걸리는 첫 수요일에 실시하며 선거 준비 기간은 23일이다. 대통령에 당선되면 당선인이 되는데 이 당선인은 현직 대통령과 만나 정권을 인수인계하는 작업을 한다. 이 작업이 매우 중요한데 지난 정권에서의 잘한 점은 계승하고 미흡한 점은 보완하며 새로 의견을 제시해 정책 현안에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5월 9일에 현직 대통령은 퇴임하고 5월 10일에 차기 대통령이 취임한다.

12~18대 대통령까지는 2월 25일에 취임했으나, 18대 대통령인 박근혜가 탄핵되면서 궐위에 의한 선거가 5월 9일에 치러져 5월 10일로 바뀌었다.

2.2. 선거구 선거관리

대통령 선거의 선거구 선거 사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그 사무를 행할 선거관리위원회("선거구 선거관리위원회")이다( 공직선거법 제13조 제1항 제1호).

2.3. 선거권과 피선거권

2.3.1. 선거권

선거일 현재 18세 이상의 국민은 대통령의 선거권이 있다( 공직선거법 제15조 제1항, 제17조).[2]

다만, 선거일 현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은 선거권이 없다(같은 법 제18조 제1항).[3]

2.3.2. 피선거권

대한민국헌법 제67조
④대통령으로 선거될 수 있는 자는 국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고 선거일 현재 40세에 달하여야 한다.[6]
선거일 현재 5년 이상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40세 이상의 국민은 대통령의 피선거권이 있다( 공직선거법 제16조 제1항 전문).
이 경우 공무로 외국에 파견된 기간과 국내에 주소를 두고 일정기간 외국에 체류한 기간은 국내거주기간으로 본다(같은 항 후문).
다만, 선거일 현재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피선거권이 없다(같은 법 제19조).

2.4. 선거일

대통령의 임기 만료일 70일 전부터 첫 번째로 돌아오는 수요일 선거를 시행한다. 선거일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민속절 또는 공휴일인 때와 선거일 전날이나 그 다음날이 공휴일인 때에는 그 다음주의 수요일로 한다. 9차 개헌 이후 오랫동안 2나 7로 끝나는 해의 12월 16~22일 중의 한 날짜로 선거를 치르다가, 박근혜 탄핵으로 인해 선거일이 앞당겨지게 되었다. 19대 대선은 2017년 5월 9일에 실시하였으며, 20대 대선부터는 3월 3~9일에 실시한다. 후보 등록일 다음날부터 선거운동을 할 수 있고, 선거일 전날까지 총 23일 간 선거유세 기간이 있다. 대통령이 사망·사퇴·당선무효되는 경우 실시사유가 확정된 때부터 60일 이내에 실시하되, 선거일은 늦어도 선거일 50일 전까지 대통령 또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공고한다. 궐위대선은 요일 규정이 없다.

2.5. 후보자

2.5.1. 후보자 추천

여느 공직 선거와 마찬가지로, 정당의 당원은 소속 정당에서 공천을 받아야 하고, 무소속 후보자는 일정 수 이상의 선거권자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무소속 대선 후보자가 되려면, 5개 이상의 광역자치단체에서 각각 700~1,200명의(총 3,500~6,000명) 추천을 받아야 한다( 공직선거법 제48조 제2항 제1호).[9]

추천장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검인하여 교부하는 추천장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대통령의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에서는 후보자 등록 신청 개시일 전 30일, 대통령의 궐위로 인한 선거 등에서는 그 사유가 확정된 후 3일부터 교부하며(같은 항), 추천장에는 선거권자가 기명하고 날인(무인을 허용하지 아니한다)하거나 서명하여야 한다[10](같은 법 제49조 제3항).

2.5.2. 후보자 등록

후보자의 등록은 대통령 선거에서는 선거일 전 24일("후보자 등록 신청 개시일")부터 2일 간("후보자 등록 기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서면으로 신청하여야 한다( 공직선거법 제49조 제1항).

정당 추천 후보자의 등록은 대통령 선거에서는 그 추천 정당이 신청하되, 추천정당의 당인(黨印) 및 그 대표자의 직인이 날인된 추천서와 본인 승낙서를 등록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2항 전문).

무소속 후보자가 되고자 하는 자는 추천장을 등록 신청서에 첨부하여야 한다(같은 조 제3항).

대통령 선거 후보자 등록을 신청하는 자는 등록 신청 시에 3억원의 기탁금을 납부하여야 한다(같은 법 제56조 제1항 제1호).[11][12]

2.5.3. 후보자 사퇴

대선 후보자가 사퇴하고자 하는 때에는 자신이 직접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가서 서면으로 신고하되, 정당 추천 후보자가 사퇴하고자 하는 때에는 추천 정당의 사퇴 승인서를 첨부하여야 한다( 공직선거법 제54조).

2.6. 투표시간

2.7. 당선인의 결정·공고·통지

2.7.1. 당선인의 결정·통지

대한민국헌법 제67조
②제1항의 선거에 있어서 최고 득표자가 2인 이상인 때에는 국회의 재적의원 과반수가 출석한 공개회의에서 다수표를 얻은 자를 당선자로 한다.
③대통령 후보자가 1인일 때에는 그 득표수가 선거권자 총수의 3분의 1 이상이 아니면 대통령으로 당선될 수 없다.
대통령 선거에서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유효투표의 다수를 얻은 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하고, 이를 국회의장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다만, 후보자가 1인일 때에는 그 득표수가 선거권자 총수의 3분의 1 이상에 달해야 당선인으로 결정한다. ( 공직선거법 제187조 제1항)[13]

천재·지변 기타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개표를 모두 마치지 못하였다 하더라도 개표를 마치지 못한 지역의 투표가 선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염려가 없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우선 당선인을 결정할 수 있다(같은 조 제4항).

최고 득표자가 2인 이상일 때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통지에 의하여 국회는 재적의원 과반수가 출석한 공개 회의에서 다수 표를 얻은 자를 당선인으로 결정한다. (같은 조 제2항)[14]

2.7.2. 당선인의 공고

대통령 당선인이 결정된 때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국회에서 결선투표를 하여 당선인이 결정된 때에는 국회의장이) 이를 공고하고, 지체없이 당선인에게 당선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 공직선거법 제187조 제3항)

2.8. 기탁금의 반환 등

대통령 선거의 경우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금액을 선거일 후 30일 이내에 기탁자에게 반환한다. 이 경우 반환하지 아니하는 기탁금은 국가에 귀속한다( 공직선거법 제57조 제1항 제1호 가목, 나목). 다만, 여느 공직선거와 마찬가지로, 기탁금에서 부담하여야 할 비용은 기탁금을 반환하는 때에 공제한다(같은 조 제2항).

3. 역사

1945년 이래로 대통령 직접 선거로 뽑을지 간접 선거로 뽑을지 여러 변화가 있었다. 현재 시점에서 제6공화국 직선제를 채택하고 있다.
<rowcolor=#FFFFFF> 공화국 대수 방식 선거권자
제1공화국 1대 간선제 제헌 국회의원
2대 ~ 3.15 직선제 21세 이상의 국민
제2공화국 4대 간선제 제5대 국회의원
제3공화국 5대 ~ 7대 직선제 20세 이상의 국민
제4공화국 8대 ~ 11대 간선제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제5공화국 12대 대통령선거인
제6공화국 13대 ~ 16대 직선제 20세 이상의 국민
17대 ~ 19대 19세 이상의 국민
20대 ~ 현재 18세 이상의 국민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8
, 3.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8 ( 이전 역사)
문서의 r38 ( 이전 역사)

4. 통계

4.1. 결과

}}}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결과
}}} ||
역대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 선서
역대 대통령
1948 1952 1956 1960 1963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자유당
민주당
민주공화당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1967 1971 1972 1978 1979
민주공화당
무소속
박정희 최규하
1980 1981 1987 1992 1997
무소속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
민주자유당
새정치국민회의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2002 2007 2012 2017 2022
새천년민주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
대한민국 제1대 대통령 선거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이승만(李承晩) 180 1위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91.84% 당선
김구(金九) 13 2위

6.63% 낙선
안재홍(安在鴻) 2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2% 낙선
선거인 수 198 투표율
98.99%
투표 수 196
무효표 수 1
대한민국 제2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 1 조봉암(曺奉岩) 797,504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35% 낙선
2 이승만(李承晩) 5,238,769 1위


[[자유당(1951년)|]]
74.61% 당선
3 이시영(李始榮) 764,715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89% 낙선
4 신흥우(申興雨) 219,696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12% 낙선
선거인 수 8,259,428 투표율
88.09%
투표 수 7,275,883
무효표 수 255,199
대한민국 제3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조봉암(曺奉岩) 2,163,808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0.01% 낙선
2 신익희(申翼熙) 사망


3 이승만(李承晩) 5,046,437 1위


[[자유당(1951년)|]]
69.98% 당선
선거인 수 9,606,870 투표율
94.38%
투표 수 9,067,063
무효표 수 1,856,818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조병옥(趙炳玉) 사망


2 이승만(李承晩) 9,633,376 1위


[[자유당(1951년)|]]
100% 당선
선거인 수 11,196,490 투표율
97.01%
투표 수 10,862,272
무효표 수 1,228,896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선거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당락
윤보선(尹潽善) 208 1위


79.09% 당선
김창숙(金昌淑) 29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03% 낙선
백낙준(白樂濬) 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4% 낙선
변영태(卞榮泰) 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4% 낙선
김도연(金度演) 2 5위


0.76% 낙선
허정(許政) 2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76% 낙선
김병로(金炳魯) 1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38% 낙선
김시현(金始顯) 1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38% 낙선
나용균(羅容均) 1 7위


0.38% 낙선
박순천(朴順天) 1 7위


0.38% 낙선
유옥우(劉沃祐) 1 7위


0.38% 낙선
이철승(李哲承) 1 7위


0.38% 낙선
선거인 수 263 투표율
98.48%
투표 수 259
무효표 수 6
대한민국 제5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이석(張履奭) 198,837 5위

1.97% 낙선
2 송요찬(宋堯讚) 사퇴

<colcolor=#FFFFFF> 3 박정희(朴正熙) 4,702,640 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46.64% 당선
4 오재영(吳在泳) 408,664 3위

4.05% 낙선
5 윤보선(尹潽善) 4,546,614 2위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45.09% 낙선
6 허정(許政) 사퇴


[[국민의당(1963년)|]]
7 변영태(卞榮泰) 224,443 4위

2.22% 낙선
선거인 수 12,985,015 투표율
84.99%
투표 수 11,036,175
무효표 수 954,977
대한민국 제6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세진(李世鎭) 98,433 6위

[[정의당(1967년)|]]
0.89% 낙선
2 전진한(錢鎭漢) 232,179 5위


2.09% 낙선
3 윤보선(尹潽善) 4,526,541 2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93% 낙선
4 서민호(徐珉濠) 사퇴


5 김준연(金俊淵) 248,369 4위


[[민중당(1967년)|]]
2.24% 낙선
<colcolor=#FFFFFF> 6 박정희(朴正熙) 5,688,666 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51.44% 당선
7 오재영(吳在泳) 264,533 3위


2.39% 낙선
선거인 수 13,935,093 투표율
83.57%
투표 수 11,645,215
무효표 수 586,494
대한민국 제7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박정희(朴正熙) 6,342,828 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53.19% 당선
2 김대중(金大中) 5,395,900 2위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5.25% 낙선
3 박기출(朴己出) 43,753 4위


[[국민당(1971년)|
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
0.36% 낙선
4 성보경(成輔慶) 사퇴


[[민중당(1967년)|]]
5 이종윤(李宗潤) 17,823 5위

파일:자민당글자.png
0.14% 낙선
6 진복기(陳福基) 122,914 3위

[[정의당(1967년)|]]
1.03% 낙선
7 김철(金哲) 사퇴


선거인 수 15,552,236 투표율
79.85%
투표 수 12,417,824
무효표 수 494,606
대한민국 제8대 대통령 선거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당락
박정희(朴正熙) 2,357 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99.92% 당선
선거인 수 2,359 투표율
100%
투표 수 2,359
무효표 수 2
대한민국 제9대 대통령 선거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당락
박정희(朴正熙) 2,577 1위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99.85% 당선
선거인 수 2,581 투표율
99.88%
투표 수 2,578
무효표 수 1
대한민국 제10대 대통령 선거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당락
최규하(崔圭夏) 2,465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6.29% 당선
선거인 수 2,560 투표율
99.57%
투표 수 2,549
무효표 수 84
대한민국 제11대 대통령 선거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당락
전두환(全斗煥) 2,524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99.37% 당선
선거인 수 2,540 투표율
99.41%
투표 수 2,525
무효표 수 1
대한민국 제12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종철(金鍾哲) 85 3위


[[한국국민당(1981년)|]]
1.61% 낙선
2 김의택(金義澤) 26 4위


0.49% 낙선
3 유치송(柳致松) 404 2위


[[민주한국당|
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7.66% 낙선
4 전두환(全斗煥) 4,755 1위


90.11% 당선
선거인 수 5,277 투표율
99.89%
투표 수 5,271
무효표 수 1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노태우(盧泰愚) 8,282,738 1위


36.64% 당선
2 김영삼(金泳三) 6,337,581 2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03% 낙선
3 김대중(金大中) 6,113,375 3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27.04% 낙선
4 김종필(金鍾泌) 1,823,067 4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8.06% 낙선
5 홍숙자(洪淑子) 등록 무효


[[사회민주당(1985년)|
파일:사회민주당 1985년 로고.svg
]]
6 김선적(金善積) 사퇴

파일:일체민주당글자.png
7 신정일(申正一) 46,650 5위

파일:한통당글자.png
0.20% 낙선
8 백기완(白基琓)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선거인 수 25,873,624 투표율
89.15%
투표 수 23,066,419
무효표 수 463,008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김영삼(金泳三) 9,977,332 1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1.96% 당선
2 김대중(金大中) 8,041,284 2위


33.82% 낙선
3 정주영(鄭周永) 3,880,067 3위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16.31% 낙선
4 이종찬(李鍾贊) 사퇴


5 박찬종(朴燦鍾) 1,516,047 4위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
6.37% 낙선
6 이병호(李炳浩) 35,739 7위

파일:대한정의당글자.png
0.15% 낙선
7 김옥선(金玉仙) 86,292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36% 낙선
8 백기완(白基琓) 238,648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00% 낙선
선거인 수 29,422,658 투표율
81.89%
투표 수 24,095,170
무효표 수 319,761
대한민국 제15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이회창(李會昌) 9,935,718 2위

38.74% 낙선
2 김대중(金大中) 10,326,275 1위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40.27% 당선
3 이인제(李仁濟) 4,925,591 3위


[[국민신당(1997년)|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20% 낙선
4 권영길(權永吉) 306,026 4위


[[건설국민승리21|
파일:건설국민승리21 글자.svg
]]
1.19% 낙선
5 허경영(許京寧) 39,055 7위


[[민주공화당(1997년)|]]
0.15% 낙선
6 김한식(金漢植) 48,717 6위

파일:바른나라글자.png
0.18% 낙선
7 신정일(申正一) 61,056 5위

파일:통일한국당1995.png
0.23% 낙선
선거인 수 32,290,416 투표율
80.65%
투표 수 26,042,633
무효표 수 400,195
대한민국 제16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이회창(李會昌) 11,443,297 2위

46.58% 낙선
2 노무현(盧武鉉) 12,014,277 1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91% 당선
3 이한동(李漢東) 74,027 4위


0.30% 낙선
4 권영길(權永吉) 957,148 3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89% 낙선
5 김영규(金榮圭) 22,063 6위


0.08% 낙선
6 김길수(金吉水) 51,104 5위


[[국태민안호국당|]]
0.20% 낙선
7 장세동(張世東)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선거인 수 34,991,529 투표율
70.83%
투표 수 24,784,963
무효표 수 223,047
대한민국 제17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정동영(鄭東泳) 6,174,681 2위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6.14% 낙선
2 이명박(李明博) 11,492,389 1위


48.67% 당선
3 권영길(權永吉) 712,121 5위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01% 낙선
4 이인제(李仁濟) 160,708 6위


[[민주당(2007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0.68% 낙선
5 심대평(沈大平) 사퇴[17]


[[국민중심당|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
6 문국현(文國現) 1,375,498 4위


5.82% 낙선
7 정근모(鄭根謨) 15,380 9위


[[참주인연합|]]
0.06% 낙선
8 허경영(許京寧) 96,756 7위


[[민주공화당(1997년)|]]
0.40% 낙선
9 전관(全寬) 7,161 10위


0.03% 낙선
10 금민(琴民) 18,223 8위

0.07% 낙선
11 이수성(李壽成) 사퇴


12 이회창(李會昌) 3,559,96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5.07% 낙선
선거인 수 37,653,518 투표율
63.03%
투표 수 23,732,854
무효표 수 119,974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박근혜(朴槿惠) 15,773,128 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55% 당선
2 문재인(文在寅) 14,692,632 2위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8.02% 낙선
3 이정희(李正姬) 사퇴[18]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4 박종선(朴鐘善) 12,854 6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04% 낙선
5 김소연(金昭廷) 16,687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05% 낙선
6 강지원(姜智遠) 53,30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17% 낙선
7 김순자(金荀子) 46,017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15% 낙선
선거인 수 40,507,842 투표율
75.84%
투표 수 30,721,459
무효표 수 126,838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colcolor=#FFFFFF> 1 문재인(文在寅) 13,423,800 1위

41.08% 당선
2 홍준표(洪準杓) 7,852,849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4.03% 낙선
3 안철수(安哲秀) 6,998,342 3위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1.41% 낙선
4 유승민(劉承旼) 2,208,771 4위


[[바른정당|
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6.76% 낙선
5 심상정(沈相奵) 2,017,458 5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6.17% 낙선
6 조원진(趙源震) 42,949 6위


[[새누리당(2017년)|
파일:새누리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0.13% 낙선
7 오영국(吳永國) 6,040 13위


[[경제애국당|
파일:경제애국당 글자 흰색.png
]]
0.01% 낙선
8 장성민(張誠珉) 21,709 9위


[[국민대통합당(2017년)|
파일:국민대통합당_글자.png
]]
0.06% 낙선
9 이재오(李在五) 9,140 12위


[[늘푸른한국당|
파일:늘푸른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2% 낙선
10 김선동(金先東) 27,229 8위


[[민중연합당|
파일:민중연합당 글자.svg
]]
0.08% 낙선
11 남재준(南在俊) 사퇴[19]


12 이경희(李京熹) 11,355 11위


[[한국국민당(2015년)|
파일:한국국민당(2015년) 노랑 로고타입.svg
]]
0.03% 낙선
13 김정선(金正善) 사퇴


[[한반도미래연합|
파일:한미연_흰색.png
]]
14 윤홍식(尹泓植) 18,543 10위


[[홍익당|
파일:홍익당 글자 흰색.svg
]]
0.05% 낙선
15 김민찬(金旻澯) 33,990 7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0.10% 낙선
선거인 수 42,479,710 투표율
77.23%
투표 수 32,808,377
무효표 수 135,733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
<rowcolor=#373a3c,#dddddd>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rowcolor=#373a3c,#dddddd>정당 득표율 당락
1 이재명(李在明) 16,147,738 2위

47.83% 낙선
2 윤석열(尹錫悅) 16,394,815 1위


48.56% 당선
3 심상정(沈相奵) 803,358 3위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2.37% 낙선
4 안철수(安哲秀) 사퇴[20]


[[국민의당(2020년)|
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
5 오준호(吳準鎬) 18,105 7위


[[기본소득당|
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5% 낙선
6 허경영(許京寧) 281,481 4위


[[국가혁명당|
파일:국가혁명당 흰색 로고타입.svg
]]
0.83% 낙선
7 이백윤(李百允) 9,176 10위


0.02% 낙선
8 옥은호(玉恩鎬) 4,970[21] 12위


[[새누리당(2017년)|
파일:새누리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0.01% 낙선
9 김동연(金東兗) 사퇴[22]

10 김경재(金景梓) 8,317 11위


0.02% 낙선
11 조원진(趙源震) 25,972 6위


[[우리공화당(2020년)|
파일: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7% 낙선
12 김재연(金在姸) 37,366 5위


0.11% 낙선
13 이경희(李京熹) 11,708 9위


[[통일한국당|
파일:통일한국당(2021년) 흰색 로고타입.svg
]]
0.03% 낙선
14 김민찬(金旻澯) 17,305 8위


[[한류연합당|
파일:한류연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5%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44,197,692 투표율
77.08%
<rowcolor=#373a3c,#dddddd>투표 수 34,067,853
<rowcolor=#373a3c,#dddddd>무효표 수 307,542

4.2. 투표율

역대 대통령 선거 투표율 변동
제2대 대통령 선거 88.09% -
제3대 대통령 선거 94.38% 6.29%p▲
제5대 대통령 선거 84.99% 9.39%p▼
제6대 대통령 선거 83.57% 1.42%p▼
제7대 대통령 선거 79.85% 3.72%p▼
제13대 대통령 선거 89.15% 9.30%p▲
제14대 대통령 선거 81.89% 7.26%p▼
제15대 대통령 선거 80.65% 1.24%p▼
제16대 대통령 선거 70.83% 9.82%p▼
제17대 대통령 선거 63.03% 7.80%p▼
제18대 대통령 선거 75.84% 12.81%p▲
제19대 대통령 선거 77.23% 1.39%p▲
제20대 대통령 선거 77.08% 0.15%p▼

4.3. 후보별 본선 출마 횟수

이름 출마 횟수 출마 선거 비고
김대중 4 1971, 1987, 1992, 1997 제15대 대통령
이승만 3 1952, 1956, 1960 제1·2·3대 대통령
박정희 1963, 1967, 1971 제5·6·7·8·9대 대통령
이회창 1997, 2002, 2007
권영길 1997, 2002, 2007
허경영 1997, 2007, 2022
조봉암 2 1952, 1956
윤보선 1963, 1967 제4대 대통령
오재영 1963, 1967
김영삼 1987, 1992 제14대 대통령
백기완 1987, 1992
신정일 1987, 1997
이인제 1997, 2007
문재인 2012, 2017 제19대 대통령
안철수 2017, 2022
심상정 2017, 2022
조원진 2017, 2022
이경희 2017, 2022
김민찬 2017, 2022

4.4. 유력 후보별 전적

민주당계 정당 보수정당 제3후보[23]
2대 이시영 이승만 조봉암[24]


[[무소속(정치)|
무소속
]]


[[자유당(1951년)|]]


[[무소속(정치)|
무소속
]]
낙선 10.89% 당선 74.61% 낙선 11.35%
3대 신익희 이승만 조봉암[25]




[[자유당(1951년)|]]


[[무소속(정치)|
무소속
]]
사망 당선 69.98% 낙선 30.01%
5대 윤보선 박정희 -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낙선 45.09% 당선 46.64%
6대 윤보선 박정희 -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낙선 40.93% 당선 51.44%
7대 김대중 박정희 -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낙선 45.25% 당선 53.19%
13대 김영삼[26] 노태우 김대중[27]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낙선 28.03% 당선 36.64% 낙선 27.04%
14대 김대중 김영삼 정주영[28]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낙선 33.82% 당선 41.96% 낙선 16.31%
15대 김대중 이회창 이인제[29]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국민신당(1997년)|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당선 40.27% 낙선 38.74% 낙선 19.20%
16대 노무현 이회창 -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당선 48.91% 낙선 46.58%
17대 정동영 이명박 이회창[30]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무소속(정치)|
무소속
]]
낙선 26.14% 당선 48.67% 낙선 15.07%
18대 문재인 박근혜 -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낙선 48.02% 당선 51.55%
19대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31]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당선 41.08% 낙선 24.03% 낙선 21.41%
20대 이재명 윤석열 -



낙선 47.83% 당선 48.56%

4.5. 정당별 결과

보수정당
선거 후보 당적 득표율 결과
2대 이승만

[[자유당(1951년)|]]
74.61% 당선
3대 이승만

[[자유당(1951년)|]]
60.98% 당선
5대 박정희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46.64% 당선
6대 박정희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51.44% 당선
7대 박정희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53.19% 당선
13대 노태우

36.64% 당선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8.06% 낙선
14대 김영삼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41.96% 당선
정주영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16.31% 낙선
15대 이회창
38.74% 낙선
이인제

[[국민신당(1997년)|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20% 낙선
16대 이회창
46.58% 낙선
이한동

0.30% 낙선
17대 이명박

48.67% 당선
18대 박근혜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51.55% 당선
19대 홍준표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24.03% 낙선
유승민

[[바른정당|
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
6.76% 낙선
이재오

[[늘푸른한국당|
파일:늘푸른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2% 낙선
장성민

[[국민대통합당(2017년)|
파일:국민대통합당_글자.png
]]
0.08% 낙선
20대 윤석열

48.56% 당선
민주당계 정당
선거 후보 당적 득표율 결과
3대 신익희

- 사망
5대 윤보선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45.09% 낙선
송요찬
- 사퇴
허정

[[국민의당(1963년)|]]
- 사퇴
6대 윤보선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0.93% 낙선
7대 김대중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5.25% 낙선
박기출

[[국민당(1971년)|
파일:국민당(1971년) 흰색 로고타입.svg
]]
0.36% 낙선
13대 김영삼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8.03% 낙선
김대중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27.94% 낙선
14대 김대중

33.82% 낙선
15대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40.27% 당선
16대 노무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8.91% 당선
17대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파일:대통합민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26.14% 낙선
이인제

[[민주당(2007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0.68% 낙선
18대 문재인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48.02% 낙선
19대 문재인
41.08% 당선
안철수

[[국민의당(2016년)|
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
21.41% 낙선
20대 이재명
47.83% 낙선
진보정당
선거 후보 당적 득표율 결과
6대 서민호

- 사퇴
7대 김철

- 사퇴
13대 홍숙자

[[사회민주당(1985년)|
파일:사회민주당 1985년 로고.svg
]]
- 사퇴
15대 권영길

[[건설국민승리21|
파일:건설국민승리21 글자.svg
]]
1.19% 낙선
16대 권영길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89% 낙선
김영규

0.08% 낙선
17대 권영길

[[민주노동당|
파일:민주노동당 흰색 로고타입.svg
]]
3.01% 낙선
금민
0.07% 낙선
18대 이정희

[[통합진보당|
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
- 사퇴
19대 심상정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6.17% 낙선
김선동

[[민중연합당|
파일:민중연합당 글자.svg
]]
0.08% 낙선
20대 심상정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2.37% 낙선
김재연

0.11% 낙선
오준호

[[기본소득당|
파일:기본소득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5% 낙선
이백윤

0.02% 낙선
제3지대 정당
선거 후보 당적 득표율 결과
13대 김종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8.06% 낙선
14대 정주영

[[통일국민당|
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
16.31% 낙선
박찬종

[[신정치개혁당|
파일:신정치개혁당 글자.svg
]]
6.37% 낙선
15대 이인제

[[국민신당(1997년)|
파일:국민신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20% 낙선
17대 문국현

5.82% 낙선
이인제

[[민주당(2007년)|
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
0.68% 낙선
심대평

[[국민중심당|
파일:국민중심당 흰색 로고타입.svg
]]
- 사퇴
20대 이경희

[[통일한국당|
파일:통일한국당(2021년) 흰색 로고타입.svg
]]
0.03% 낙선
안철수

[[국민의당(2020년)|
파일:국민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
- 사퇴
김동연
- 사퇴
종교정당
선거 후보 당적 득표율 결과
13대 신정일
파일:한통당글자.png
0.20% 낙선
김선적
파일:일체민주당글자.png
- 사퇴
15대 신정일
파일:통일한국당1995.png
0.23% 낙선
김한식
파일:바른나라글자.png
0.18% 낙선
허경영

[[민주공화당(1997년)|]]
0.15% 낙선
16대 김길수

[[국태민안호국당|]]
0.20% 낙선
17대 허경영

[[민주공화당(1997년)|]]
0.40% 낙선
20대 허경영

[[국가혁명당|
파일:국가혁명당 흰색 로고타입.svg
]]
0.83% 낙선
극우정당
선거 후보 당적 득표율 결과
19대 조원진

[[새누리당(2017년)|
파일:새누리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0.13% 낙선
오영국

[[경제애국당|
파일:경제애국당 글자 흰색.png
]]
0.01% 낙선
남재준

- 사퇴
20대 조원진

[[우리공화당(2020년)|
파일:우리공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
0.07% 낙선
김경재

0.02% 낙선
옥은호

[[새누리당(2017년)|
파일:새누리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
0.01% 낙선
무소속
선거 후보 득표율 결과
2대 조봉암 11.35% 낙선
이시영 10.89% 낙선
신흥우 3.12% 낙선
3대 조봉암 30.01% 낙선
13대 백기완 - 사퇴
14대 백기완 0.99% 낙선
김옥선 0.36% 낙선
16대 장세동 - 사퇴
17대 이회창 15.07% 낙선
18대 강지원 0.17% 낙선
김순자 0.15% 낙선
김소연 0.05% 낙선
박종선 0.04% 낙선
19대 김민찬 0.10% 낙선

4.6. 역대 후보별 순위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8위 9위 10위 11위 12위 13위
2대 이승만 조봉암 이시영 신흥우
3대 이승만 조봉암
5대 박정희 윤보선 오재영 변영태 장이석
6대 박정희 윤보선 오재영 김준연 전진한 이세진
7대 박정희 김대중 진복기 박기출 이종윤
13대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 신정일
14대 김영삼 김대중 정주영 박찬종 백기완 김옥선 이병호
15대 김대중 이회창 이인제 권영길 신정일 김한식 허경영
16대 노무현 이회창 권영길 이한동 김길수 김영규
17대 이명박 정동영 이회창 문국현 권영길 이인제 허경영 금민 정근모 전관
18대 박근혜 문재인 강지원 김순자 김소연 박종선
19대 문재인 홍준표 안철수 유승민 심상정 조원진 김민찬 김선동 장성민 윤홍식 이경희 이재오 오영국
20대 윤석열 이재명 심상정 허경영 김재연 조원진 오준호 김민찬 이경희 이백윤 김경재 옥은호

4.7. 역대 사퇴, 사망 등록무효 후보

사퇴 사망 등록무효
2대
3대 신익희
4대 조병옥
5대 송요찬 허정
6대 서민호
7대 성보경 김철
13대 김선적 백기완 홍숙자
14대 이종찬
15대
16대 장세동
17대 심대평 이수성
18대 이정희
19대 남재준 김정선
20대 안철수 김동연

4.8. 역대 지역별 승리 후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2대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3대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이승만
5대 윤보선 박정희 윤보선 윤보선 윤보선 윤보선 박정희 박정희 박정희 박정희 박정희
6대 윤보선 박정희 윤보선 박정희 박정희 윤보선 윤보선 윤보선 박정희 박정희 박정희
7대 김대중 박정희 김대중 박정희 박정희 박정희 김대중 김대중 박정희 박정희 박정희
13대 김대중 김영삼 노태우 노태우 김대중 노태우 노태우 노태우 김종필 김대중 김대중 노태우 김영삼 노태우
14대 김대중 김영삼 김영삼 김영삼 김대중 김영삼 김영삼 김영삼 김영삼 김영삼 김대중 김대중 김영삼 김영삼 김영삼
15대 김대중 이회창 이회창 김대중 김대중 김대중 이회창 김대중 이회창 김대중 김대중 김대중 김대중 이회창 이회창 김대중
16대 노무현 이회창 이회창 노무현 노무현 노무현 이회창 노무현 이회창 노무현 노무현 노무현 노무현 이회창 이회창 노무현
17대 이명박 이명박 이명박 이명박 정동영 이명박 이명박 이명박 이명박 이명박 이명박 정동영 정동영 이명박 이명박 이명박
18대 문재인 박근혜 박근혜 박근혜 문재인 박근혜 박근혜 박근혜 박근혜 박근혜 박근혜 박근혜 문재인 문재인 박근혜 박근혜 박근혜
19대 문재인 문재인 홍준표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문재인 홍준표 홍준표 문재인
20대 윤석열 윤석열 윤석열 이재명 이재명 윤석열 윤석열 이재명 이재명 윤석열 윤석열 윤석열 이재명 이재명 윤석열 윤석열 이재명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4.9. 역대 후보 득표율 순위

선거 후보 득표율 순위
2대 이승만 74.61% 1
3대 이승만 69.98% 2
7대 박정희 53.19% 3
18대 박근혜 51.55% 4
6대 박정희 51.44% 5
16대 노무현 48.91% 6
17대 이명박 48.67% 7
20대 윤석열 48.56% 8
18대 문재인 48.02% 9
20대 이재명 47.83% 10
5대 박정희 46.64% 11
16대 이회창 46.58% 12
7대 김대중 45.25% 13
5대 윤보선 45.09% 14
14대 김영삼 41.96% 15
19대 문재인 41.08% 16
6대 윤보선 40.93% 17
15대 김대중 40.27% 18
15대 이회창 38.74% 19
13대 노태우 36.64% 20
14대 김대중 33.82% 21
3대 조봉암 30.01% 22
13대 김영삼 28.03% 23
13대 김대중 27.04% 24
17대 정동영 26.14% 25
19대 홍준표 24.03% 26
19대 안철수 21.41% 27
15대 이인제 19.20% 28
14대 정주영 16.31% 29
17대 이회창 15.07% 30
2대 조봉암 11.35% 31
2대 이시영 10.89% 32
13대 김종필 8.06% 33
19대 유승민 6.76% 34
14대 박찬종 6.37% 35
19대 심상정 6.17% 36
17대 문국현 5.82% 37
5대 오재영 4.05% 38
16대 권영길 3.89% 39
2대 신흥우 3.12% 40
17대 권영길 3.01% 41
6대 오재영 2.39% 42
20대 심상정 2.37% 43
6대 김준연 2.24% 44
5대 변영태 2.22% 45
6대 전진한 2.09% 46
5대 장이석 1.97% 47
15대 권영길 1.19% 48
7대 진복기 1.03% 49

4.10. 역대 후보 득표수 순위

선거 후보 득표수 순위
20대 윤석열 16,394,815 1
20대 이재명 16,147,738 2
18대 박근혜 15,773,128 3
18대 문재인 14,692,632 4
19대 문재인 13,423,800 5
16대 노무현 12,014,277 6
17대 이명박 11,492,389 7
16대 이회창 11,443,297 8
15대 김대중 10,326,275 9
14대 김영삼 9,977,332 10
15대 이회창 9,935,718 11
13대 노태우 8,282,738 12
14대 김대중 8,041,284 13
19대 홍준표 7,852,849 14
19대 안철수 6,998,342 15
7대 박정희 6,342,828 16
13대 김영삼 6,337,581 17
17대 정동영 6,174,681 18
13대 김대중 6,113,375 19
6대 박정희 5,688,666 20
7대 김대중 5,395,900 21
2대 이승만 5,238,769 22
3대 이승만 5,046,437 23
15대 이인제 4,925,591 24
5대 박정희 4,702,640 25
5대 윤보선 4,546,614 26
6대 윤보선 4,526,541 27
14대 정주영 3,880,067 28
17대 이회창 3,559,963 29
19대 유승민 2,208,771 30
3대 조봉암 2,163,808 31
19대 심상정 2,017,458 32
13대 김종필 1,823,067 33
14대 박찬종 1,516,047 34
17대 문국현 1,375,498 35
16대 권영길 957,148 36
20대 심상정 803,358 37
2대 조봉암 797,504 38
2대 이시영 764,715 39
17대 권영길 712,121 40
5대 오재영 408,664 41
15대 권영길 306,026 42
20대 허경영 281,481 43
6대 오재영 264,533 44
6대 김준연 248,369 45
14대 백기완 238,648 46
6대 전진한 232,179 47
5대 변영태 224,443 48
2대 신흥우 219,696 49
5대 장이석 198,837 50
17대 이인제 160,708 51
7대 진복기 122,914 52

5. 여담

공화당/보수정당[] 민주자유당, 신한국당, 한나라당, 새누리당, 자유한국당, 미래통합당, 국민의힘 등.(굵은 글씨는 여당으로 존재했던 당.) 거의 대부분이 굵은 글씨인데, 사실상 이 결과가 나온 이유는 보수정당이 김영삼 정부 말기에 한나라당으로 바꾸고 나서 김대중-노무현 때의 야당이였던 시절에 이름을 단 한번도 바꾼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유한국당은 형식상 여당으로서의 의미가 전혀 없었다. 또한 국민신당, 바른정당 등의 분당된 당도 이곳에 포함된다.] 민주당/민주당계 정당[36]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 민주당(2005년), 중도통합민주당, 대통합민주신당, 통합민주당(2008년), 민주당(2008년), 민주통합당, 민주당(2013년), 새정치민주연합, 더불어민주당 등.(굵은 글씨는 여당으로 존재했던 당.) 또한 새정치민주연합에서 분당된 국민의당(정확히는 중도)과 민주노동당, 통합진보당, 정의당 등의 진보정당도 이곳에 포함된다.]
미국 대한민국
1993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4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5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6년 빌 클린턴 김영삼
1997년 빌 클린턴(재선) 김영삼
1998년 빌 클린턴 김대중
1999년 빌 클린턴 김대중
2000년 빌 클린턴 김대중
2001년 조지 W. 부시 김대중
2002년 조지 W. 부시 김대중
2003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4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5년 조지 W. 부시(재선) 노무현
2006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7년 조지 W. 부시 노무현
2008년 조지 W. 부시 이명박
2009년 버락 오바마 이명박
2010년 버락 오바마 이명박
2011년 버락 오바마 이명박
2012년 버락 오바마 이명박
2013년 버락 오바마(재선) 박근혜
2014년 버락 오바마 박근혜
2015년 버락 오바마 박근혜
2016년 버락 오바마 박근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문재인[37]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문재인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문재인
2020년 도널드 트럼프 문재인
2021년 조 바이든 문재인
2022년 조 바이든 윤석열
2023년 조 바이든 윤석열
2024년 조 바이든 윤석열
위 표에 나온 바와 같이, 같은 계열의 정권이 집권하고 있었던 적은 1998년 2월 25일부터 2001년 1월 20일과, 2008년 2월 25일부터 2009년 1월 20일까지 당시 딱 모두 합쳐 4년 정도 뿐이었으나 2021년 1월 20일 조 바이든의 취임으로 1998년 2월 25일부터 2001년 1월 20일까지의 김대중 - 클린턴 이후 20년 만에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나란히 민주당계 정권이 수립되었다. 그리고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하여 민주당으로 정권이 교체된 뒤 딱 1년뒤 대한민국 에서 치뤄진 제20대 대통령 선거 또한 국민의힘 윤석열이 당선되어 승리함으로 역시 또 바로 전 미국 대선과는 반대의 결과가 다시 나옴에 따라 미국이 민주당 정권일때 대한민국은 반대로 보수 여당이 되었던 징크스가 반복되어 계속해서 이어지게 되었다. 도널드 트럼프가 재선에 실패하고 문재인도 5년만에 정권연장에 실패하면서 한 쪽에서 정권이 바뀌어 성향이 겹치면 다른 쪽에서 반대 성향으로 정권이 바뀌는 징크스가 여전히 이어진 것이다.

5.1. 대선 100% 적중지역: 금산군, 옥천군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 적중지역 결과
대수 당선인 금산군[43] 1위 옥천군 1위
2대 이승만
(74.61%)
이승만
(64.38%)
이승만
(79.47%)
3대 이승만
(69.98%)
이승만
(76.12%)
이승만
(85.67%)
5대 박정희
(46.64%)
박정희
(54.64%)
박정희
(52.74%)
6대 박정희
(51.44%)
박정희
(55.16%)
박정희
(53.08%)
7대 박정희
(53.19%)
박정희
(59.87%)
박정희
(61.39%)
13대 노태우
(36.64%)
노태우
(42.15%)
노태우
(53.07%)
14대 김영삼
(41.96%)
김영삼
(36.96%)
김영삼
(39.57%)
15대 김대중
(40.27%)
김대중
(47.13%)
김대중
(45.09%)
16대 노무현
(48.91%)
노무현
(60.87%)
노무현
(58.57%)
17대 이명박
(48.67%)
이명박
(31.91%)
이명박
(34.01%)
18대 박근혜
(51.55%)
박근혜
(61.05%)
박근혜
(64.49%)
19대 문재인
(41.08%)
문재인
(34.17%)
문재인
(33.94%)
20대 윤석열
(48.56%)
윤석열
(54.48%)
윤석열
(53.82%)
기초자치단체 기준으로 역대 대선 적중률 100%를 기록한 곳으로는 충청남도 금산군[44] 충청북도 옥천군이 있다.

이 중 금산군 대한민국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충청남도지사 선거 결과까지 100% 적중하는 신기를 보여주고 있다. 대선 13회, 지방선거 8회까지 총 21회 적중률 100%를 보여주는 곳이 바로 금산군이다.

반면, 옥천군 충청북도지사 선거에서 틀린 적이 많다.

5.1.1. 제주특별자치도 적중지역 탈락

제주특별자치도는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역대 대선 적중률 100%를 보여줬었다. 첫 번째 직접선거인 1952년 제2대 대선부터 2017년 제19대 대선까지 제주도에서 1위를 한 후보가 모두 당선되었다. 하지만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제주도에서 이재명 후보가 승리했지만 전국적으로는 윤석열 후보가 당선되며 70년 만에 깨졌고, 동시에 직선제 부활 이후로 35년 만에 100%의 기록이 깨졌다. 충청북도도 높은 적중률을 보이는데 1963년 제5대 대선 단 1번을 제외하고 역시 충북에서 1위를 한 후보가 모두 당선되었다. 이 두 곳만큼은 아니지만 인천광역시 경기도 또한 제6공화국 직선제 부활 이후로 1987년 13대 대선부터 2022년 20대 대선 이전까지 30년 동안 7회 연속으로 1위를 한 후보가 모두 당선되었다. 그와 함께 1992년 14대 대선부터 2022년 20대 대선까지 30년째 7회 연속으로 충청도에서 1위를 한 후보가 당선된 기록이 있다.[45]

5.2. 종교 관련

민주화 이후 제6공화국에서 열린 대선의 1~2위를 한 후보들의 종교를 보면, 보수정당 후보는 가톨릭 신자인 이회창 종교가 없는 박근혜를 제외하면 거의 다 개신교 신자이고( 김영삼, 이명박, 홍준표) 민주당계 정당 후보는 무종교인인 노무현을 제외하면 거의 다 천주교 신자( 김대중, 정동영, 문재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로 더 올라가면 보수정당의 개신교 신자는 이승만이 있고, 민주당계 정당의 천주교 신자는 비록 대통령이 아니라 내각제 총리이긴 하지만, 장면 총리가 있다.[46] 사실 최초의 민주당계 정당 대통령인 윤보선이 개신교 신자이긴 하나, 상징적 국가원수라 그런지 별로 주목받지는 않으며,[47] 민주당계 정당은 3당 합당과 6공화국 출범 이전에 열린 13대 대선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나선 김영삼이 마지막 개신교 신자 후보이고, 6공화국 출범 이후에는 개신교 후보를 일절 내지 못했다. 그러다가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장로회 신자[48] 후보인 이재명이 본선 후보로 진출하게 되었다. 반대로 보수정당에서는 무종교인 윤석열이 본선 후보로 진출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한국의 개신교에서 개신교 신앙을 이유로 지지를 드러낸 정치인은 전부 이승만, 이명박, 홍준표, 황교안 같은 보수 진영 소속 정치인들이었다. 전광훈 목사가 주장한 "교회는 원래 정치하는 집단" 발언이 나왔듯이 한국의 종교 중 세속정치에 대한 관심을 가장 많이 드러낸 종교집단은 개신교 우파 진영이었다. 해당 정치인들도 하나같이 강한 보수 성향을 가지고 있는 인물들이기 때문에 공식 석상에서 종교적인 색채를 많이 드러냈다.[49] 민주당계 정당에도 개신교 신자는 널렸다. 당장 문재인 정부의 국무총리인 이낙연, 정세균, 김부겸은 셋 다 개신교 신자다. 그러나 민주당계 정당 정치인은 종교적인 모습도 거의 없고 무엇보다도 좌파 진영이라는 이미지 때문에 이들의 개신교 신앙을 직접적으로 내세우는 모습은 없다.[50] 마찬가지로 김영삼 역시 개신교 신자이고, 이명박과 홍준표와 인연이 있지만, 종교적으로 구설수에 크게 오르지 않았고, 이로 인해 개신교 우파 진영에서 열렬히 추종하는 분위기는 보이지 않는다.[51]

사실 같은 종교를 믿어도 정치적으로 진보 성향이냐 보수 성향이냐에 따라 다른 모습이 나타난다. 이재명과 홍준표는 둘 다 교회에 출석하지 않은 지 오래되어 사실상 냉담자 상태지만, 이재명은 동성애자 인권에 대해 긍정적인데 홍준표는 동성애를 섭리에 어긋난다며 매우 싫어한다. 이런 모습은 외국도 마찬가지라,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정치인들이 크리스천이긴 하지만,[52] 동성애, 낙태, 마약 등 종교 문제로 터부시되는 이슈들에서 민주당의 진보 성향 정치인들은 정교 분리를 이유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공화당의 보수 성향 정치인들은 팻 로버트슨처럼 정교 분리를 부정하고 신정국가를 주장하는 수준이 아니어도 전통 수호를 명목으로 반대하는 편이다.

이 때문에 간혹 종교 성향과 정치 성향이 불일치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민주당계 정당에서는 국민의당 ~ 민주평화당 ~ 민생당으로 이어지는 전라도 기반 정당들이 더불어민주당보다 보수적인 편이며, 실제로 이 동네는 개신교 신자가 많은 편이다. 국민의당 이윤석 의원은 전광훈 목사가 창당한 기독자유당에 입당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얼마 안 가 탈당한다. 사실 기독자유당은 이승만 ~ 박정희식 반공독재를 찬미하는 성향이라 김대중을 존경하는 호남의 개신교도들과는 완전히 상극이고, 이 때문에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의 비례 득표율은 개신교 우세 지역인 호남보다 불교 우세 지역인 영남에서 높게 나왔다. 세속 정치의 방향성과 상관없이 종교적으로 보수적이라도, 한국의 개신교 중심 정치세력의 대부분은 세속정치의 우파 세력을 강하게 지지하기에 생긴 일.[53] 호남의 보수적인 개신교도여도 세속적으로 영남계 극우를 추종하는 집단은 어울리기 어려울 것이다.[54]

우습게도 개신교 우파 진영에서 매우 존경하는 군부 출신 대통령들인 박정희, 전두환, 노태우 불자라는 것이 아이러니라면 아이러니다(...).[55][56] 이것을 보면 개신교 우파들의 추종은 사실상 강한 우파 성향을 추종하는 것이라 봐도 무방하다. 아래에 서술하겠지만, 대통령 선거에서 이승만의 라이벌로 나온 김구 조봉암 역시 개신교 신자였으나,[57] 지도자의 신앙 운운하는 개신교 우파들은 거의 다 이승만을 지지한다.

하여튼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한국의 기독교 중 개신교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등 일부를 제외하면 기독교 우파가 우세하고, 천주교는 박홍 신부 서석구 변호사 등 일부를 제외하면 기독교 좌파가 우세한 편이다.

후보들을 종교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볼드체는 대통령 당선인. 본투표에 나서지 못한 후보는 ※표시. 초대와 4대는 정식으로 등록된 후보가 아니라 국회의 표를 받은 인사들이지만 같이 넣는다. 나무위키의 정보를 근거로 한다. 득표순으로 서술.

그 외 소수 종교로, 유교 김창숙(무소속/4대),[72] 최규하(무소속/10대), 대종교 안재홍(무소속/1대),[73] 김선적(일체민주당/13대)※,[74] 성공회[75] 김종철( 한국국민당/12대), 한얼교 신정일(한주의통일한국당 > 통일한국당/13대 15대),[76] 그리고 본인이 창시한 종교인 하늘궁(...)의 허경영( 민주공화당 > 경제공화당 > 국가혁명당/15대 17대 20대)이 있다.

5.3. 출생지 관련

후보들의 출생지를 보면 경상도, 즉 영남권이 상당히 우세한 편이다. 반면 수도권은 유명 후보들이 얼마 없는 편. 서울 출생 후보가 1~2위를 한 적은 없었는데 서울에서 태어난 윤석열이 국민의힘 최종 대선 후보가 되고 최종적으로 이재명을 누르고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초대와 4대는 정식으로 등록된 후보가 아니라 국회의 표를 받은 인사들이지만 같이 넣는다.

5.4. 성씨 관련

성씨 후보
() 20 김준연, 김대중, 김철, 김종철, 김의택, 김영삼, 김종필, 김선적, 김옥선, 김한식, 김영규, 김길수, 김소연, 김순자, 김선동, 김정선, 김민찬, 김동연, 김경재, 김재연
() 16 이승만, 이시영, 이세진, 이종윤, 이종찬, 이병호, 이회창, 이인제, 이한동, 이명박, 이수성, 이정희, 이재오, 이경희, 이재명, 이백윤
() 5 박정희, 박기출, 박찬종, 박근혜, 박종선
() 1 최규하
() 3 정주영, 정동영, 정근모
() 1 강지원
() 2 조병옥, 조원진
() 3 윤보선, 윤홍식, 윤석열
() 3 장이석, 장세동, 장성민
() 3 오재영, 오영국, 오준호
() 1 서민호
() 3 신흥우, 신익희, 신정일
() 1 권영길
() 1 안철수
() 1 송요찬
() 2 전두환, 전관
() 2 홍숙자, 홍준표
() 1 유치송
() 2 문국현, 문재인
() 1 조봉암
() 1 백기완
() 2 허정, 허경영
() 1 유승민
() 1 남재준
() 2 심대평, 심상정
() 2 노태우, 노무현
() 1 성보경
() 1 진복기
() 1 변영태
() 1 금민
() 1 옥은호
() 1 전진한

5.5. 출생년도 및 세대

현행 헌법에서의 대통령 피선거권 제한 나이는 만 40세이다.

초대와 4대는 정식으로 등록된 후보가 아니라 국회의 표를 받은 인사들이지만 같이 넣는다.

6. 둘러보기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 한국의 역사( 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 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수도권 · 충청 (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 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 · 조류 · 파충류 · 담수어류 · 양서류 · 견종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국회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행정부 (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 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비자 · 여권 · 애국 마케팅 ·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 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 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 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 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 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 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 한국어 (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98, '07, '18)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

7. 관련 문서


[1] 정치에 관심없는 사람들도 대통령 선거만큼은 관심을 갖고 투표를 하는 비율이 높고 대통령 선거 기간에는 정치 저관심층에서도 정치 얘기를 할 정도다. [2] 참고로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는 초일산입을 하기 때문에, 선거일+1일에 18세가 되는 사람들에게까지 선거권이 주어진다. 선거일의 초일을 산입하는 조건으로 선거일 현재라고 함은 선거일 자정(선거일+1일 0시)까지 포함되므로, 선거일+1일 0시에 태어난 것으로 간주되는 선거일+1일에 태어난 사람도 출생시각에 관계없이 선거권이 주어진다. 사람의 생일을 계산할 때에도 초일을 산입하기 때문이다. [3] 이 선거권 결격사유는 여타 공직선거에서도 같다. [4] 따라서 피성년후견인도 선거권이 없다. 여호와의 증인 신도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투표만 안 할 뿐이지만. [5] 정확하게는, 형법(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 의하여 가중처벌되는 경우 포함) 제129조(수뢰, 사전수뢰) 내지 제132조(알선수뢰)· 특정범죄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3조(알선수재)에 규정된 죄 [6] 이 조항 때문에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의 피선거권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었지만 2017년 1월에 불출마 선언을 하면서 유야무야 정리가 됐다. [7] 따라서, 선거일을 기준으로 집행유예 기간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는 선거권만 인정되며 피선거권은 박탈된다. [8] 정당의 명칭 또는 후보자(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을 포함한다)의 성명을 나타내거나 그 명칭·성명을 유추할 수 있는 내용으로 투표참여를 권유하는 행위를 하게 하고 그 대가로 금품, 그 밖에 이익의 제공 또는 그 제공의 의사표시를 하거나 그 제공을 약속한 자. [9] 과거에는 "각각 500~1,000명의 서명(총 2,500~5,000명)"이었다(구 공직선거법(2012. 1. 17. 법률 제112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48조 제2항 제1호). [10] 단기(單記) 또는 연기(連記)로 하며 간인(間印)을 요하지 아니한다 [11] 종전에는 5억원이었다. [12] 후보자가 장애인인 경우에는 50%. [13] 1인 후보 득표수가 3분의 1에 미달할 경우, 대선이 대통령 임기만료 약 2달 전에 치러지기 때문에, 임기만료 40일 전까지 후임자를 뽑기 위해 다시 대선을 치르든가, 임기 만료 후 대통령 궐위로 인한 선거로 넘어가는 수밖에 없다. [14] 이는 2인 이상의 후보가 같은 수의 유효표를 획득하는 경우를 뜻한다. [15] 후보자가 장애인인 경우에는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10 이상을 득표한 경우. [16] 후보자가 장애인인 경우에는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5 이상 100분의 10 미만을 득표한 경우. [17] 무소속 이회창 후보 지지. [18]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지지. [19]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지지. [20]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단일화. [21] 대한민국 제6공화국 이후 대선 역대 최저 득표. [22]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단일화. [23] 2위 혹은 15% 이상 득표(선거비 전액보전의 기준)한 후보만 기재. [24] 진보 성향 후보. [25] 진보 성향 후보. [26] 민주당계· 보수정당 후보. [27] 민주당계 정당 후보. [28] 제3지대· 보수정당 후보. [29] 보수 성향 후보. [30] 보수 성향 후보. [31] 제3지대· 민주당계 정당 후보. [32] 선거 기간 동안 2명이 사퇴해서 최종적으로는 13명이었다. [33] 당시 평창군에서 기록한 전국 1, 2위 간 표차는 불과 12표로 이 기록은 아직도 유지되고 있다. 전국 1,3위 간 표차 최소 기록은 14대 대선 김영삼 정주영 경기도 이천군 2표차. 당시 김대중은 이천군에서는 3위였다. [34] 미국 대통령 쪽의 취임이 빠른데, 미국 대통령은 1월 20일에 취임을 하고 한국 대통령은 2월 25일에 취임을 하다가 문재인부터 5월 10일에 취임한다. [] [36] 민주당(1991년), [37] 5월 10일(정확히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당선자로 선포한 시각)부터 [38] 단 마잉주는 중국 대륙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였다. [39] 브라운은 2007년에 총리직에 올랐으므로 블레어가 총리였을 때는 김대중~노무현 재임 기간과 매우 비슷하다. [40] 그러나 우리나라의 레임덕 때문에 큰 의미는 없었다. [41] 당시 보수당의 테레사 메이와 보리스 존슨이 총리. [42] 이후 리즈 트러스가 총리에 오르고 50일만에 사임하면서 리시 수낙으로 바뀌었으며, 트러스와 수낙 역시 보수당 소속이다. [43] 3대 대선까지만 해도 전라북도에 속한 지역이다. 5대 대선은 1962년 12월에 금산군이 충청남도에 편입된 이후이다. [44] 3대 대선까지는 전라북도에 속한 지역이다. 그래서 금산군이 1962년 12월에 충청남도로 편입된 이후 5대 대선부터 현재까지 유지되었다. [45] 특히 대전광역시는 1989년 1월 1일 직할시로 출범 이후였던 1992년 14대 대선부터 1위를 한 후보가 모두 당선되어 사실상 광역시에서 유일하게 대선 100% 적중지역으로 포함되었다. 하지만 세종특별자치시는 2012년 7월 1일부로 출범 10년 만에 2022년 20대 대선에서 1위를 한 이재명 후보가 결국 낙선되어 적중이 빗나갔다. [46] 위에 서술한 김대중과 이회창을 천주교에 입교시킨 인물이기도 하다. 얄궃게도 둘은 15대 대선에서 양당 후보로 경쟁한다. [47] 제2공화국 당시 대한민국의 정치 체제는 대통령제가 아니라 의원내각제였기 때문이다. [48] 과거 분당우리교회 집사로 알려졌으나, 사실이 아니라고 밝혀졌다. 다만 최근에는 교회에 출석하지 않고 있다고 하며, 교회 측에서는 제적되었다고도 한다. [49] 이승만은 제헌 국회 개원 시 기도를 올리기도 했고, 성탄절 공휴일로 지정하기도 했으며, 그의 반공주의 성향은 당시 한국 개신교에게 큰 지주가 되었다. 대표적인 예가 서북청년회. 이명박은 조용기 목사와 우호적으로 지냈고, 서울특별시장 재직 당시 서울을 하나님께 바친다(!)는 발언도 하였다. 또한 홍준표와 황교안은 동성애를 강하게 반대하는 모습을 보였고 불교 행사에서도 정성을 들이지 않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50] 다만 예외적으로 김진표는 차별금지법이나 종교인 과세를 반대하는 등 그나마 종교적으로 보수 성향이었다. 사실, 이낙연도 20대 대선 후보 경선 당시 차별금지법을 크게 긍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긴 했다. [51] 단, 김영삼은 조용기 목사가 14대 대선 당시 지지를 표한 적이 있다. [52] 건국 초기에는 이신론자들이 많은 편이었지만, 비기독교적인 것과는 별개로 신의 존재를 자주 강조하곤 했다. [53] 기독자유당은 창당 초기에는 기독교 포퓰리즘 같은 이미지였지만, 문재인 정부 들어 문재인 퇴진 운동을 벌이며 불교 승려도 데려오는 등 세속 정치의 극우 성향을 강하게 드러냈고, 결국 당명을 국민혁명당으로 바꾸고 당명에서 '기독'이라는 단어도 없애버리면서 종교정당보다는 오히려 지도자가 종교인인 세속적 극우정당에 가까워졌다. [54] 김경재는 김대중을 존경하는 호남 출신의 개신교도였으나 친박으로 갈아타면서 기독자유당에 입당하게 된다. [55] 박정희는 불자인 아내 육영수의 영향으로 불교와 교류를 많이 하긴 했으나, 본인은 종교가 없다고 자주 밝힌 적으로 봐서는 실질적으로는 무종교에 가까웠으며, 전두환은 대통령 재임 시절 천주교 신자였으나 신앙심이 깊지 않아 냉담자로 알려졌고 퇴임 후 불교로 개종한다. 다만 전두환은 아들 전재국 목사가 되어서 개신교에 가까워지긴 했다. 하지만 개종 소식도 없이 2021년 사망했고, 장례식도 불교식으로 거행되어서 사실상 불교라고 보는 게 옳을 듯 하다. 노태우는 말년 종교가 확실하지 않다. 2006년에 천주교 세례를 받아 천주교식 장례를 치렀지만, 2012년에 개신교 세례를 받았다는 기사도 나와서... [56] 여담으로, 제6공화국 이후 대선에 출마한 불교 신자들은 16대 대선에서 불심으로 대동단결(...)로 유명한 불교정당 호국당의 김길수 후보, 19대 대선에서 온건보수 정당인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가 있다. 또 위에서 서술했듯 경상도는 불교 우세 지역인데, 군부 대통령 세 사람 모두 영남 출신이다. 유승민도 영남 출신. [57] 조봉암은 어린 시절 잠두교회에서 세례를 받은 적이 있다. [58] 1988년 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교정당인 기독성민당 후보로 나서기도 했다. [59] 아예 기독교 우파 성향 종교정당의 목사다. [60] 개신교 신자였다가 개종. [61] 다만 신앙심은 거의 없었고, 퇴임 후 불교로 개종한다. [62] 나중에 개신교 우파 정당인 국민혁명당에 입당한다. [63] 천주교 입교 후 출마하였으나 사퇴. [64] 공식적으로 무종교라고 주장했으나, 사실상 불교 행보를 보였다. [65] 장례식이 천주교식으로 치러지긴 했지만, 정확한 말년 종교는 불확실하다. [66] 아예 불교 정당의 승려다. 슬로건부터가 '불심으로 대동단결'이니... [67] 6공화국 최초로 불교 후보가 1~2위인 경우다. [68] 종교는 무신앙이되 여러 종교에 해박했다고 한다. 계룡산에서 도를 닦았다고 주장했으나 나중에 부정했다. [69] 임종 직전에 개신교를 받아들인다. [70] 아예 무신론자다. 13대 대선에 출마했다가 사퇴한 적도 있다. [71] 나중에 천주교에 입교하게 된다. [72] 아예 성균관대학교 초대 총장이다. [73] 유교였다가 개신교였다가 대종교로 개종. [74] 대종교의 종교 지도자다. 다만 사퇴를 표했다. [75] 성공회는 개신교의 교파 중 하나이나, 독자적인 특징이 있기에 따로 분류. [76] 한얼교의 창시자다. [77] 다만 성장은 부모의 고향인 진주시에서 했다. [78] 부모는 함경도 출신이고, 본인은 부산에서 학교를 다녔다. [79] 다만 성장은 부산에서 했다. [80] 출생 당시에는 경상남도 소속이었다. [81] 민주당계 정당 후보 최초의 대경권 태생 후보다.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경기도 성남으로 이사했다. [82] 출생 당시에는 달성군이었다. [83] 아버지인 박정희의 부임지를 따라 여기저기 옮겨다니며 성장했다. 유년기~청년기에 서울에 정착해서 산 모양인지 사투리가 거의 묻어나오지 않는다. [84] 군산시의원 경력이 있고 본적이 전주시로 되어있다. 본적과 출생지가 반드시 일치하는건 아니다. 하지만 최소 전라북도 출신으로 볼 수 있다. [85] 출생 당시에는 경기도 양천현. [86] 아버지의 고향은 충남이며 충청권을 지역기반으로 삼고 있다. [87] 출생 당시에는 경기도 강화군. [88] 분단 이후 북한 지역이 되었다. [89] 다만 성장한 곳은 경상북도 영양군이다. [90] 이북5도위원회 기준의 행정구역이다. 통천 출신의 정주영도 실향민으로 볼 수 있다. [91] 다만 성장은 서울에서 했다. [92] 다만 아버지가 충남 예산군 출신이라 사실상 충청권 정치인의 대접을 받았다. [93] 광복 이후 서울에서 성장했다. [94] 광복 후 아버지의 고향인 경남 산청군에서 성장했다. [95] 광복 이후 아버지의 고향인 포항시에서 성장했다. [96] 출마 당시 상당히 고령이어서 이듬해인 1953년에 사망했다. [97] 마지막 19세기 출생 후보다. [98] 당시 기준으로는 50대라는 젊은 나이었다. [99] 당시 기준으로 상당히 나이가 많은 편이었다. [100] 4대 대선은 출마선언 없이 국회에서 추대하는 것이었지만, 개표 당시만 해도 만 38세의 상당히 젊은 나이였다. [101] 7대 대선, 넒게 보면 박정희 시대 당시 후보들 중 가장 나이가 어려서 40대 기수론이 슬로건이었다. [102] 호적상 생일은 12월 4일. [103] 본인은 1950년 1월 1일생이라고 주장한다. [104] 호적상 생일은 1954년 12월 5일. [105] 호적상 생일은 1964년 12월 22일이다. 원래 생일로 알려진 1963년 12월 6일도 정확하지 않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