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2 19:05:10

음성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724598>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제천시 CI.svg
[[충청북도청/북부출장소|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제천시
파일:청주시 CI.svg
[[충청북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청주시
파일:충주시 CI.svg
충주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파일:괴산군 CI.svg
괴산군
파일:단양군 CI.svg
단양군
파일:보은군 CI.svg
보은군
파일:영동군 CI.svg
영동군
파일:옥천군 CI.svg
[[충청북도청/남부출장소|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724598 21%, #00aebb 21%, #00aebb); font-size: 1em"
]] 옥천군
파일:음성군 CI.svg
음성군
파일:증평군 CI.svg
증평군
파일:진천군 CI.svg
진천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4ea2><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4ea2>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99c>
군청
음성읍
금왕읍
감곡면 대소면 맹동면 삼성면
{{{#!wiki style="margin: -16px -11px" 생극면 소이면 원남면 }}}
}}}}}}}}} ||
충청북도 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음성군 CI.svg
음성군
陰城郡
Eumseong County
}}}
<colbgcolor=#004ea2><colcolor=#fff> 군청 소재지 음성읍 중앙로 173 (읍내리)
광역자치단체 충청북도
하위 행정구역 2 7
면적 520.12㎢
인구 90,377명[1]
인구밀도 173.76명/㎢[2]
군수
조병옥 (재선)
군의회
5석[3]

3석[4]
도의원
1석[5]

1석[6]
국회의원
임호선
상징 군조 개나리
군목 은행나무
군조 까치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파일:external/cfs11.blog.daum.net/48295e8e41bcd&filename=%EC%9D%8C%EC%84%B1%EA%B5%B0(%EC%B2%AD%EC%82%AC%EC%A0%84%EA%B2%BD).jpg
음성군청 전경
파일:음성군 뉴 거돌이.png
파일:음성군 고추미.svg
음성군 마스코트[7]

1. 개요2. 역사3. 인구4. 교통5. 경제
5.1. 금융
6. 관광
6.1. 특산물
7. 생활문화
7.1. 교육7.2. 문화행사7.3. 언어7.4. 꽃동네7.5. 대중문화 속의 음성
8. 정치9. 군사10. 하위 행정구역
10.1. 인근 자치단체와의 행정구역 개편
11. 출신 인물

1. 개요

충청북도. 동쪽으로는 충주시, 남쪽으로는 괴산군, 증평군과 접하며, 남서쪽으로는 진천군, 서쪽으로는 경기도 안성시가 있고,북쪽으는 이천시, 여주시와 접하는 충청북도의 북서쪽 끝에 위치한 지역이다.

내륙 지방이라 기후가 추운 편이고, 예로부터 설성(雪城)이라 불릴 정도로 눈도 은근히 많이 온다.

음성군 삼성면 최북단인 대사리에서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까지의 거리가 약 70km이다. 교통여건에 따라 50분에서 1시간 30분 정도가 걸리는 거리로, 충청북도에서는 수도권과 제일 가까운 지역이다. 그 때문에 진천군과 함께 공장들이 꽤 많은 지역이다. 때문에 집계되지 않는 외국인 노동자 비율이 상당히 높아 실질적으로는 인구가 10만을 넘을 것으로 보고있다.

2. 역사

음성현

역사적으로 '음성(陰城)'의 영역은 현 음성읍, 원남면 일대만 해당되었고, 나머지 읍면들은 모두 충주의 영역이었다. 다만, 소이면을 제외한 서부 6개 읍면은 '외서', '외서촌' 등의 이름으로 불렸으며, 오리지널 음성 또한 고려시대에는 충주의 속현으로 있었듯 외서 지역도 원래부터 완전히 충주인 것은 아니고 속현이나 향•부곡•소에 해당하였다가 음성과 달리 독립된 고을이 되지 못하고 충주 임내로 편입된 지역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음성군의 역사를 살펴보자면, 삼한(三韓) 시대에는 마한의 50여 국 가운데 지침국에 속했다. 삼국시대 초기에는 백제(百濟)의 영역이었으며, 고구려 장수왕에게 정복된 뒤에는 잉홀현(仍忽縣)으로 불렸다. 후에 금물노군에 소속되었다. 553년(진흥왕 14년)에는 신라(新羅)의 영토가 되어 음성현으로 이름을 바꾸고 흑양군에 소속되었다. 661~680년(신라 문무왕) 서원소경(현대의 청주)의 잉홀현이 되었고, 757년(경덕왕 16년)에 흑양군(현대 진천군) 소속 음성현으로 개칭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년)에는 중원도 진천군 음성현이, 1356년(공민왕 5년)에는 양광도 충주부 음성현이 되었다. 1598년(조선 선조 31) 폐현되었다가 1618년(광해군 18년) 음성현으로 복현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한때 폐현되었다가 1618년(광해군 10년) 부활하였으나 음성읍과 원남면을 관할하는 작은 현이었다. 1662년(현종 3) 괴산군에 병합 폐현되었다가 1663년(현종 4년) 복현되었고, 1895년(고종 32년) 현감제도를 폐지하고 음성군이라 칭하였다.

1906년 충주군으로부터 현재의 금왕면, 생극면, 대소면, 맹동면, 삼성면, 감곡면 등 6개 면을 편입하였다. 그리고 1914년 충주군으로부터 소이면을 편입하여 현재와 같은 영역이 확정되었다.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원래의 역사적인 음성의 영역보다 훨씬 넓어진 것.

1956년 7월 음성면이 음성읍으로, 1973년 금왕면이 금왕읍으로 승격되었다.

3. 인구

파일:음성군 CI.svg
음성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5,108명
1970년 110,654명
1973년 7월 1일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 → 음성군 소이면 편입
중원군 신니면 광월리 일부 → 음성군 음성읍 편입
1975년 111,171명
1980년 96,342명
1985년 83,411명
1990년 74,700명
1995년 78,258명
2000년 84,433명
2005년 88,623명
2010년 91,093명
2015년 96,396명
2020년 93,153명
2024년 8월 90,37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금왕읍 19,044명
음성읍 16,337명
대소면 15,211명
맹동면 13,107명
감곡면 9,778명
삼성면 6,502명
생극면 4,456명
원남면 3,007명
소이면 2,777명
2024년 7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

2014년 외국인 포함 인구 10만 명을 돌파했으나, 이후 다시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2030년에 인구 15만 명을 목표로 시 승격을 추진한다고는 하지만, 지금으로서는 요원해보인다.

이웃한 진천군과 공동으로 충북혁신도시를 유치했음에도 혁신도시 주거지가 진천군에 집중되어 있고 인구 증가세도 2023년 들어서는 주춤한 상태라 큰 효과는 보지 못하고 있다.

2024년 현재 진천군과 비슷한 인구 규모를 갖고 있다.

===# 읍면별 인구 #===
파일:음성군 CI.svg 음성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2,435명
1970년 20,531명
1973년 7월 1일 중원군 신니면 광월리 일부 →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편입
1975년 21,992명
1980년 20,793명
1985년 18,844명
1990년 17,213명
1995년 17,654명
2000년 18,221명
2005년 19,057명
2010년 18,574명
2015년 18,439명
2020년 16,951명
2024년 7월 16,33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음성군 CI.svg 금왕읍 인구 추이[8]
(1966년~현재)
1966년 21,742명
1970년 19,900명
1973년 7월 1일 음성군 금왕면 + 생극면 도신리 일부(정생리) → 금왕읍 승격
1975년 19,265명
1980년 15,857명
1985년 13,941명
1990년 12,230명
1995년 14,130명
2000년 18,030명
2005년 20,105명
2010년 21,561명
2015년 21,621명
2020년 19,922명
2024년 7월 19,04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파일:음성군 CI.svg 소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653명
1970년 9,185명
1973년 7월 1일 괴산군 불정면 문등리 → 음성군 소이면 편입
1975년 9,326명
1980년 7,380명
1985년 6,218명
1990년 4,881명
1995년 6,444명
2000년 4,495명
2005년 3,729명
2010년 3,383명
2015년 3,111명
2020년 2,906명
2024년 7월 2,77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음성군 CI.svg 원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281명
1970년 10,253명
1975년 10,143명
1980년 8,224명
1985년 6,456명
1990년 4,827명
1995년 3,971명
2000년 3,591명
2005년 3,335명
2010년 3,226명
2015년 3,082명
2020년 3,062명
2024년 7월 3,00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음성군 CI.svg 맹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585명
1970년 6,477명
1975년 6,626명
1980년 5,614명
1985년 4,759명
1990년 5,109명
1995년 4,819명
2000년 4,731명
2005년 4,836명
2010년 4,912명
2015년 9,949명
2020년 13,094명
2024년 7월 13,10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음성군 CI.svg 대소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824명
1970년 10,395명
1975년 10,332명
1980년 8,939명
1985년 7,452명
1990년 6,963명
1995년 8,398명
2000년 12,085명
2005년 13,726명
2010년 16,259명
2015년 16,394명
2020년 15,714명
2024년 7월 15,2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음성군 CI.svg 삼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011명
1970년 11,450명
1975년 11,800명
1980년 10,102명
1985년 8,248명
1990년 6,960명
1995년 7,317명
2000년 7,479명
2005년 7,550명
2010년 7,632명
2015년 7,984명
2020년 6,933명
2024년 7월 6,50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음성군 CI.svg 생극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609명
1970년 9,382명
1973년 7월 1일 음성군 금왕면 + 생극면 도신리 일부(정생리) → 금왕읍 승격
1975년 8,910명
1980년 8,069명
1985년 7,217명
1990년 6,551명
1995년 5,922명
2000년 6,142명
2005년 5,613명
2010년 4,866명
2015년 4,821명
2020년 4,526명
2024년 7월 4,45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음성군 CI.svg 감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952명
1970년 13,081명
1975년 12,766명
1980년 11,364명
1985년 10,276명
1990년 9,966명
1995년 9,603명
2000년 9,659명
2005년 10,669명
2010년 10,680명
2015년 10,995명
2020년 10,045명
2024년 7월 9,77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성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제

농공단지나 산업단지가 각 읍면들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은 조성돼있는 곳이기도 하다. 수도권과 인접해 있으면서도 수도권 규제를 받지 않아 수도권 외곽 지역처럼 공장들이 산재해 있는 편이며, 그렇기 때문에 인구가 조금씩이라도 늘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인근 지역인 진천, 청주에서도 비슷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대도시에 해당하는 청주시도 도시가 거대해지는 만큼 공장규제도 심해졌기 때문에 그 영향을 받은 점도 있다. 또한 대대로 군수 당선인들이 산업단지 유치에 적극적 이었던 점도 한 몫한다. 현재  오뚜기 CJ푸드빌 한화솔루션이 입주해 있다. 한편 공장이 늘어나는 만큼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도 꾸준하며, 2023년 기준 외국인 인구 비율이 15% 이상으로 전국에서 1위다.

청주나 충주 등에서 출퇴근하는 사람도 간혹 있으나, 일반적으론 기숙사 생활을 하거나 금왕읍, 대소면, 충북혁신도시에 지어지는 아파트에 거주한다. 특히 대소면의 경우 원룸이나 아파트가 많이 지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금왕읍내, 충북혁신도시 외곽 지역에는 원룸단지가 있어 이런 원룸에 살면서 출퇴근하는 사람도 있다. 일부는 충북혁신도시의 오피스텔[9]에서 출퇴근하는 경우도 있다.

안산시 단원구에 이어 전국에서 외국인 인구 비율이 두번째로 높았다. 각 면/읍마다 최소 하나씩 농공단지가 있고, 중소기업들이 많다 보니 중~후진국 출신 외국인들을 많이 고용하기 때문. 2015년 9월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외국인 인구비율이 10%를 넘어선 7개 자치단체 중 하나이다. 2023년 기준 외국인 비율이 15% 이상으로 올라 전국에서 외국인 비율이 가장 높아졌다.

맹동면은 인접한 진천군 덕산읍과 함께 충북혁신도시로 개발 중이다.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소비자원, 한국고용정보원, 국가기술표준원 등의 공공기관들이 음성군에 입주했다.

3대 대형마트는 없으나, 대형 슈퍼마켓은 곳곳에 많이 자리잡고 있다, 농협 하나로마트 역시 있으며 특히 음성읍과 금왕읍에서는 이마트, 홈플러스 같은 여타 대형할인점과 비슷한 위치다.

5.1. 금융

음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음성우체국 (11)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4)
시중은행
신한은행 (2) 하나은행 (1)
국민은행 (1) 우리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맹동농협 (2) 음성농협 (5) 음성축산농협 (2) 금왕농협 (4)
석문농협 (2) 생극농협 (1) 감곡농협 (2) 삼성농협 (2)
대소농협 (3) 충북원예농협 (2) 충북인삼농협 (2)
새마을금고
대동새마을금고 (3) 상왕새마을금고 (2) 비석새마을금고 (2) 음성새마을금고 (1)
한마음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금왕신용협동조합 (3) 매괴신용협동조합 (1) 삼성대소신용협동조합 (2) 무극신용협동조합 (1)
세모신용협동조합 (1) 음성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음성군산림조합 (1)

6. 관광

실질적으로 관광할 거리는 크게 부족하다. 가장 큰 문제는 관광지가 너무 따로 논다. 한곳 잡고 한두 시간 보다가 나오면 제일 가까운 가볼 만한 곳이 차로 30분이다. 또한 전시 위주의 관광지가 대부분이다.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의 생가터, 이름을 딴 공원 등 여러 곳을 개발했지만 말 그대로 생가, 공원 그 뿐이라 관광지라 부르기 민망한 수준이다. 그나마 감곡면의 매괴성당이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에 수록되기도 했고, 풍경도 멋지니 가볼만 하고, 대소면의 대풍지방산업단지에 위치한 한독의약박물관 또한 보물을 6점 보유한 박물관이라 방문해볼 가치가 있다.

생극면에 음성큰바위얼굴조각공원이라는 곳이 있는데, 입장료가 무려 6천원으로 매우 비싸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가볼만 하다. 국내외의 온갖 유명인사들과 위인들의 얼굴을 조각한 거대한 석상들로 가득한데, 인물사전에서나 볼법한 유명세 없는 희귀한 인물들도 조각되었고 마이클 잭슨같은 연예인도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여기서 제대로 닮은 꼴인 석상은 하나도 없다는 것도 포인트.

휴양림으로 조성된 곳이 두 곳 있다. 금왕읍의 백야자연휴양림과 생극면의 수레의산자연휴양림. 백야자연 휴양림은 저수지변 길을 따라 쭉 들어간 곳에 위치했는데, 가는길의 가로수나 저수지풍경이 나름 절경이다. 가족들과 하룻밤 놀고 오기 좋을듯.

6.1. 특산물

특산물로는 고추 등이 있다. 청송군· 영양군 청양고추에 비해 인지도는 낮지만 음성고추가 이 지역 최대 특산물로 생산량이 전국 1위이며 양지바른 고추밭에서 재배하여 고추열매를 출하한다. 음성군 군내에만 다수 고추밭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주민 일부가 고추농사를 하는 편이다. 감곡면에서는 복숭아를 많이 재배하지만[13](아파트 7일장에 가면 늘상있는 햇사레 감곡 복숭아가 그것), 역시 고추가 가장 유명한 편이다. 맹동면에서 재배하는 수박 또한 명성이 있다. 그 외에 인삼, 포도, 참외 등이 있다.

축산업도 발달한 편이라 충청북도 내에서는 음성 한우의 인지도가 꽤 있으며, 대소면에 전국 최대 규모의 축산물 유통단지도 있다.

7. 생활문화

7.1. 교육

파일:음성군 CI_White.svg 충청북도 음성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감곡초등학교 남신초등학교 대소초등학교 동성초등학교
맹동초등학교 무극초등학교 부윤초등학교 삼성초등학교
생극초등학교 소이초등학교 수봉초등학교 쌍봉초등학교
오갑초등학교 오선초등학교 용천초등학교 원남초등학교
원당초등학교 청룡초등학교 평곡초등학교 하당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음성군 CI_White.svg 충청북도 음성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감곡중학교 대소중학교 동성중학교 매괴여자중학교 무극중학교
삼성중학교 생극중학교 음성여자중학교 음성중학교 한일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음성군 CI_White.svg 충청북도 음성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대금고등학교 동성고등학교 매괴고등학교 음성고등학교 충북반도체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군 내 고등학교는 마이스터고등학교로는 충북반도체고등학교가 있고, 인문계고등학교는 음성고등학교, 매괴고등학교, 대금고등학교[14], 동성고등학교[15]가 있다.

대학은 4년제 사립대학교인 극동대학교, 청주대학교와 전문대학인 강동대학교가 감곡면에 있다.[16] 개혁신학교도 있었지만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감리교신학대학교 제2캠퍼스가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에 세워질뻔 했지만 감신대생들의 극심한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전 유엔사무총장 반기문의 고향이기도 하다. 실제 음성의 한 고등학교에 방문하기도 했다고. 사실 음성에서 한 공부 한다는 학생들은 청주권으로 빠지는 경우가 꽤나 많다. 물론 최근에는 지역균형선발제등 농어촌전형으로 대학진학을 노리고, 또한 경쟁이 심한 도시 학교보다 경쟁이 훨씬 덜한 고향 학교에서 내신 편하게 따겠다라는 생각으로 우등생들이 음성 내 학교로 진학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러나 일단 반기문이 고등학교 가던 시절에는 충주고등학교 역시 충북에서 탑을 달리는 고등학교였기 때문에,[17] 흔히 말하는 유학을 간 것.

이외에 장애아들을 위한 특수학교 꽃동네학교도 있다.

7.2. 문화행사

농민 문학가인 이무영의 고향이며, 음성읍내의 설성공원에는 그의 문학비가 세워져 있다. 또한 1994년부터 문학비 앞에서 그를 추모하는 무영제가 개최되었으며, 2000년 부터는 충북의 지방언론사인 동양일보의 주최로 무영문학상이 무영제 행사장에서 시상된다. 이처럼 농민문학의 틀을 넓힌 인물로 많은 사람이 공감하며 그를 추모했는데... 2002년 친일 문학인 42명 명단에 포함됨을 시작으로 2008년에는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오르고 2009년에는 친일 반민족 행위 704인 명단에 이름이 들어가는 등의 그의 친일 행적이 드러났다. 결국 2011년 9월 음성군민들의 노력으로 '친일파 이무영 기념사업 폐지를 위한 음성군대책위원회' 가 결성되고 기자회견을 여는 등 무영제 폐지 여론이 거세지자, 그해 10월 음성군이 무영제에 대한 예산지원을 중단하는 등 실질적으로 무영제는 폐지되었다. 문학비도 사라지고 그의 이름을 딴 길인 무영로도 이름이 바뀌었다. 다만 무영문학상은 계속 시상되며 장소를 바꿔서 원래 문학제 행사장에서 200m도 안떨어진 곳에서 시상된다. 친일과 문학적 평가는 별개라는 생각으로 계속 시상하는 듯.

음성읍 예술로에 위치한 음성문화예술회관 조지 윈스턴, 구라모토 유키, 조수미 등 어처구니 없을 정도로 엄청난 캐스팅과 눈을 믿을 수 없는 저렴한 가격의 공연을 실현해내는 것으로 유명해지고 있다. (2017년 구라모토 유키 연말 공연이 20,000원...) 저렴한 가격탓인지 수도권, 경기권이나 청주, 충주에서도 많이 보러온다.

7.3. 언어

충주 방언권과 거의 동일하거나 사투리가 거의 없는 편으로 경기 방언과 상당히 유사한 편이다. 다만, 라고 대답하는 것과 약간의 억양을 가지고 말을 한다. 또 이제를 인저 또는 인제라고 쓴다. 백마령을 넘어가면 증평, 청주 일대에서 쓰이는 사투리를 쓴다.

7.4. 꽃동네

음성 꽃동네라는 거대한 복지시설의 본원이 위치해 있고, 인근에는 특수학교인 꽃동네학교가 있다. 무극에서 불편한 몸을 이끌고 동네 사람들에게 밥을 얻어다 다리 밑에 사는 걸인들을 돕던 최귀동 할아버지를 보고 감동한 당시 무극성당 신부 오웅진이 차린 복지시설로 알려져 있다. 노숙자, 장애인, 노인 등을 수용하며 2014년 방한 당시 프란치스코 교황도 이곳을 방문했다. 하지만 음성군에 있는 땅을 차명으로 마구 사들여 땅 장사를 한다는 등의 비리의혹으로 지역에서 인식이 그리 좋지만은 않다.

통계를 내보면 꼭 음성꽃동네가 위치한 맹동면의 사망률이 가장 높게 나오는데, 이는 꽃동네 측에서 꽃동네 재소자들을 전부 맹동면으로 주민등록을 해놔서 벌어진 일로 일종의 통계의 함정이다.

7.5. 대중문화 속의 음성

8.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성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군사

제37보병사단 예하 대대가 하나 있으며 육군미사일사령부 본부가 있었다. 또한 특수전사령부의 직할부대와 특수작전항공단이 위치해있다. 때문에 간혹 특전복을 입은 군인들이 보이기도 하고, 헬기소리도 자주 들을 수 있다.

THAAD 배치가 한창 공론화될 당시 평택 혹은 충북 모 지역에 배치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거 때문에 군수 삭발했던데 충청지방의 지역언론 충청리뷰에 따르면 7년 전 국군의 미사일 관련 시설이 음성에 있음을 확인했으며 고로 "충북의 모처"는 음성을 의미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다만, 해당 기사에서는 부지의 협소함으로 인한 한계를 동시에 제시하며 넓은 부지와 공군기지가 있는 충주를 후보로 예측하기도 했다. 이러한 추측이 음성군내에 알려지면서 음성군청 앞에는 사드배치를 반대한다는 각 지역단체들의 수많은 현수막이 걸렸다. 한편 이런 움직임으로 기업과 주민의 다툼같은 지역이슈는 희석되기도 하였다. 이후 사드가 성주군에 배치된다고 확정되자 현수막은 싹 사라졌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성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 인근 자치단체와의 행정구역 개편

충북혁신도시 진천군 함께 조성하다보니 진천군과의 통폐합 논의는 혁신도시 조성 때부터 있어왔다.

일각에서는 여기서 더 나아가 중부3군( 진천군, 음성군, 증평군)을 통합하여 시 승격을 추진하고 충북 내 청주시에 이어 충주시를 제치고 제2도시로 나아가자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충북혁신도시 조성 때부터 말이 나왔던 진천군과의 통합도 아직 진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실제로 이루어질지는 미지수다.

11. 출신 인물


[1] 2024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2] 2024년 8월 기준. [3] 음성군 가선거구 (음성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박흥식, 안해성
음성군 나선거구 (금왕읍, 생극면, 감곡면): 유창원
음성군 다선거구 (대소면, 삼성면): 김영호
음성군 비례대표: 송춘홍
[4] 음성군 가선거구 (음성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서효석
음성군 나선거구 (금왕읍, 생극면, 감곡면): 조천희
음성군 다선거구 (대소면, 삼성면): 최용락
[5] 음성군 제2선거구 (금왕읍, 대소면, 삼성면, 생극면, 감곡면): 노금식 (초선) [6] 음성군 제1선거구 (음성읍, 소이면, 원남면, 맹동면): 이상정 (재선) [7] 음성군 마스코트 거돌이 & 고추미. 거돌이는 음성군 전통 민속놀이인 거북놀이에서 따온 캐릭터라고 한다. 고추미는 음성의 주력 농산물인 음성청결고추(...)를 형상화한 캐릭터. [8] 1966년 조사에 금왕읍으로 승격이 되어있으나 이는 오류로, 실제로는 1973년 7월 1일에 읍으로 승격함. [9] 2023년 2월 기준 충북혁신도시에는 오피스텔이 총 4개(킹스밀오피스텔 1차, 킹스밀오피스텔 2차, 행복퍼스트빌, 밀라움 오피스텔) 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3] 윗동네 이천시 장호원읍과 마찬가지이다. [14] 개교 당시에는 대소금왕고등학교였는데, 왕소금 or 염전 고등학교로 오해를 자주 받았기 때문에 2018년에 현재 이름으로 바꿨다. [15] 충북혁신도시에 위치해 있다. [16] 두 대학의 설립자는 동일인물이다. [17] 충청북도지사, 청주시장을 청주고등학교 출신이 해먹는 지금은 이해가 안 갈수도 있겠지만, 적어도 20세기에는 충주고등학교가 청주고와 맞먹는 파워를 지녔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