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14 22:17:16

김학묵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파일:정부상징.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보건복지부 제1차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회부차관 (1948~1955)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오종식
제2대
최창순
제3대
김용택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건사회부차관 (1955~1994)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정진욱
제2대
신효선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제3대
김학묵
제3대(정무)
박찬현
제3대(사무)
김학묵
제4대(정무)
최영근
제4대(사무)
이병학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박정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제4대
이병학
제5대
한국진
제6대
강봉수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제7대
손정선
제8대
김도창
제9대
홍종관
제10대
박승함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11대
나도헌
제12대
김병수
제13대
이헌기
제14대
최수일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15대
이두호
제16대
윤성태
제17대
박청부
제18대
최수병
제19대
주경식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건복지부차관 (1994~2008)
<nopad> 문민정부
제19대
주경식
제20대
이기호
제21대
전계휴
제22대
김용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국민의 정부
제23대
최선정
제24대
이종윤
제25대
장석준
제26대
이경호
제27대
신언항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참여정부
제28대
강윤구
제29대
송재성
제30대
변재진
제31대
문창진
보건복지가족부차관 (2008~2010)
<nopad> 이명박 정부
제32대
이봉화
제33대
유영학
보건복지부차관 (2010~2020)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33대
유영학
제34대
최원영
제35대
손건익
제36대
이영찬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37대
장옥주
제38대
방문규
제39대
권덕철
제40대
김강립
보건복지부 제1차관 (2020~현재)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0대
김강립
제41대
양성일
제42대
조규홍
제43대
이기일
보건복지부장관 · 보건복지부 제2차관
}}}}}}}}} ||


金學默
파일:external/mason.gmu.edu/Hakmook.jpg
1916년 4월 24일 ~ 2001년 5월 15일

1. 개요2. 생애3. 일화4. 가족관계

1. 개요

우리나라에 사회복지란 개념을 첫 도입한 사회복지학자이자 보건사회부차관을 역임한 전직 정무직공무원. 한국뇌성마비복지회, 중앙장애인복지위원회,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 등 장애인단체 일을 맡아 오랫동안 헌신적으로 일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때부터 운영되었던 선감학원의 설립과 운영에 관여한 것이 아니냐는 의문도 존재한다. 일제강점기부터 공무원을 하던 도중 선감학원 업무를 다루던 경기도청 사회과에서 과장으로 재직한 기록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2. 생애

1916년 4월 24일 충북 음성군 감곡면 상평리에서 김상범(金相範)[1]의 맏아들로 태어났다.

휘문고보를 다니고, 1938년 3월 보성전문학교 법과(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의 전신)를 졸업했다. 이후 일제강점기 경기도 사회과장으로 공직에 들어갔다.

해방 이후 유엔장학생으로 선발돼 영국 런던문화원과 런던 대학교에서 영국 사회보장 제도를 연구했다.[2] 유학 중 경기도 근무시 그를 눈여겨 본 이승만이 직접 전화를 걸어 "이 사람아, 빨리 나와 배운 것 좀 써먹게" 하고 독촉하자 51년 1.4 후퇴 때 귀국했다.

1954년 7월 고등고시에 합격하였다. 그 후 미국에 다시 유학하여 1957년 5월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사회사업 석사).

1958년 1월 서울특별시장 비서관이 되었고, 1959년 6월 지역사회개발중앙위원회 간사장이 되었다.

1960년 4.19 직후 보전 선배 허정 국무총리가 수반으로 있던 과도내각에서 보건사회부차관을 지냈다. 이때 세계 각국에서 구호물자를 조달해 배분하는 중책을 맡았다.

1960년 10월에는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이 되었다. 그때부터 무려 12년 동안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으로 일하였고, 서울 시내 여러 대학교에서 사회사업행정을 강의하였다.

1961년 5월에는 브라질에서 열린 국제지역사회개발회의에 한국대표로 참가했다. 그러다가 5.16을 맞이했지만, 박정희 정권 때도 계속해서 대한적십자사에서 일하였다.

1965년에는 '사회사업개론'이라는 책을 저술하였는데, 이 책은 이 분야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나온 책이었다.

1969년 셋째 아들 재덕이 신경이 썩어들어가는 베체트병을 앓기 시작해 홍익대 미대 재학 중 시각장애인이 됐다. 재덕은 8년간 투병 끝에 1977년 스물여덟살의 나이로 끝내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3]

1971년 남북적십자회담 때는 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으로 회담을 진두지휘했다. 1972년 10월 대한적십자사 부총재를 끝으로 공직에서 물러난 뒤에는, 여생을 뇌성마비 장애인들에게 바쳤다.

1973년 10월에는 한국사회복지협의회장을 지냈고, 1974년 9월에는 국제사회복지협의회(ICSW) 집행위원을 역임했고, 1978년 3월부터 2001년 5월까지 20년이 넘는 동안 한국뇌성마비복지회 회장을 맡았다. 그 외에도 1973~1981년까지 삼부토건에 몸담으며 부사장, 의료보험조합 대표 등을 지냈다.

1981년에는 의료보험조합연합회 회장이 되었고, 1990년 8월에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이사를 맡았으며, 1991년 9월부터 중앙장애인복지위원회위원장, 1992년 3월부터 장애인복지단체협의회장을 맡아 2001년까지 계속 연임하였다.

1986년 9월, 제1회 국제사회복지공로상을 받았는데, 이 상은 세계 각국의 추천을 받아 ICSW가 5년에 한번 씩 민간 사회복지 세계적 유공자에 주는 상이다.

2020년 8월 15일 그것이 알고싶다 방송분에서 일제강점기 관료출신으로써 과거 선감학원 관련 추진사업에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그 또한 방관자 중 한 사람이 아니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다. 한국 사회복지사업의 1세대로서 사회복지업계에서 고평가를 받고 있었으나, 선감학원 사건의 핵심 인물로 지목되어 사후에 논란의 여지가 생기게 되었다.

3. 일화

이런 무식한 놈, 어떻게 상복을 입은 이방원 아버지 시신이 놓인 병풍 쪽으로 엉덩이를 향하고 절을 올리느냐?
역사 드라마 PD라면 제대로 공부를 하라며 지적한 것이다. 김재형은 아버지가 자신의 드라마를 시청해주셨을 뿐 아니라 딴따라가 되었다고 상대도 해주지 않던 자신에게 전화로나마 꾸짖어준 것이 너무나도 기분이 좋아 그 이야기를 한 동안 만나는 사람마다 들려주었다는 후문.

4. 가족관계

동생 김주묵(周默)은 조선일보 정치부장, 제4대 국회의원, 경향신문 상무를 지냈다. 큰아들은 재형(在衡)은 '용의 눈물', '여인천하' 등을 연출한 유명한 연출가이며 둘째 아들 재휘(在徽)는 한라건설, 충청일보 사장을 역임했다. 넷째 아들 재연(在衍)도 인기 프로그램 ' TV는 사랑을 싣고' ' 체험 삶의 현장' 등을 연출한 PD다.
큰 손자는 창만(昶萬)으로 중국 뉴스포털 봉황망 한국 지사장이며 드라마, 영화 제작자, 연출가이다.


[1] 일제강점기 민중계몽단체 '자강회'의 발기인이었으며, 위암 장지연(張志淵)선생이 창간한 황성신문의 주필과 편집국장을 지낸 인물이다. [2] 영국은 라운트리 방식을 고안한 시봄 라운트리의 고국으로, 이미 복지에 관한 연구와 실천이 진행 중인 선진국이었다. [3] 이 사연은 KBS에서 '소망' 이란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