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19:46:42

전진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회부장관 (1948~1955)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전진한
제2대
이윤영
제3대
허정
제4대
최창순
제5대
박술음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건부장관 (1948~1955)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구영숙
제2대
오한영
제3대
최재유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건사회부장관 (1955~1993)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초대
최재유
제2대
정준모
제3대
손창환
제4대
김성진
제5대
신현돈
<nopad> 장면 내각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제6대
나용균
제7대
김판술
제8대
장덕승
제9대
정희섭
제10대
박주병
<nopad> 박정희 정부
제11대
오원선
제12대
정희섭
제13대
김태동
제14대
이경호
제15대
고재필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16대
신현확
제17대
홍성철
제18대
진의종
제19대
천명기
제20대
김정례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21대
이해원
제22대
권이혁
제23대
문태준
제24대
김종인
제25대
김정수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제26대
안필준
제27대
박양실
제28대
송정숙
제29대
서상목
보건복지부장관 (1993~2008)
<nopad> 문민정부
제29대
서상목
제30대
이성호
제31대
김양배
제32대
이성호
제33대
손학규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제34대
최광
제35대
주양자
제36대
김모임
제37대
차흥봉
제38대
최선정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제39대
김원길
제40대
이태복
제41대
김성호
제42대
김화중
제43대
김근태
<nopad> 참여정부
제44대
유시민
제45대
변재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보건복지가족부장관 (2008~2010)
<nopad> 이명박 정부
제46대
김성이
제47대
전재희
보건복지부장관 (2010~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47대
전재희
제48대
진수희
제49대
임채민
제50대
진영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제51대
문형표
제52대
정진엽
제53대
박능후
제54대
권덕철
<nopad> 윤석열 정부
제55대
조규홍
}}}}}}}}}
역임한 직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한국노총 로고.png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대한노동총연맹 위원장
초대
홍윤옥
제2대
조시원
제3대
홍윤옥
대한노동총연맹 위원장 (조선방직대책위원회파) 대한노동총연맹 최고위원 (정화위원회파)
제4대
전진한
제1기
이진수 · 조광섭 · 주종필 · 조용기 · 박중정
제2기
이진수 · 송원도 · 조경규
대한노동총연맹 중앙위원
제1기
정대천 · 김주홍 · 김두한 · 이준수
대한노동총연맹 중앙위원 전국노동조합협의회 의장
제2기
하광춘 · 성주갑 · 김기옥 · 이주기 · 김용학
초대
김말룡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의장
초대
김말룡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
초대
이규철 (철도)
제2대
김광수 (섬유)
제3대
이춘희 (부두)
제4대
이찬혁 (철도)
제5대
최용수 (전력)
제6대
배상호 (운수)
제7대
정동호 (화학)
제8대
김영태 (섬유)
제9대
정한주 (부두)
제10대
김규벽 (광산)
제11대
김동인 (항운)
제12대
박종근 (섬유)
제13대
송수일 (섬유)
제14대
박인상 (금속)
제15대
이남순 (금융)
제16대
이용득 (금융)
제17대
장석춘 (금속)
제18대
이용득 (금융)
제19대
문진국 (택시)
제20대
김동만 (금융)
제21대
김주영 (전력)
제22대
김동명 (화학)
}}}}}}}}}

파일:한국사회당1960글자.png 대표
초대
전진한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갑 )
제3-4대
윤보선
제5대
윤보선[사퇴] | 전진한[보궐]
제6대
전진한[3]
파일:국회휘장(6대-7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제5대
윤보선 - 전진한[종로갑]
한근조[종로을]
제6대
전진한
제7대 유진오 }}}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대한민국 초대 사회부장관
전진한
錢鎭漢 | Jeon Jin-han
파일:20210709_153907.jpg
출생 1901년 11월 5일
경상북도 함창군 함창면 오사리[6]
(現 경상북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 214번지)[7]
사망 1972년 4월 22일 (향년 70세)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자택
묘소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
본관 문경 전씨[8]
우촌(牛村)
재임기간 초대 사회부장관
1948년 8월 3일 ~ 1948년 12월 2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fff> 부모 아버지 전석기, 어머니 박성악
배우자 최숙철[9]
형제 전준한, 남동생 2명
자녀 장녀 전금주[10], 장남 전창원[11], 차녀 전인주[12]
3녀 전영희[13], 4녀 전방자[14]차남 전명원
친인척 사위 정재철, 사위 이규태
외손자 정문헌
학력 와세다대학 정경학부 ( 경제학 / 학사)
종교 불교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1, 2, 3, 5(민), 6
약력 초대 사회부장관
제헌 국회의원 (경북 상주군 을)
제2대 국회의원 (경남 부산시 무)
제3대 국회의원 (경남 부산시 을)
제5대 민의원의원 (서울 종로구 갑)
제6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
}}}}}}}}}
1. 개요2. 생애
2.1. 초기 생애와 제헌 국회의원 활동2.2. 이후의 정치생활
3. 사상4. 매체5. 선거 이력6. 소속 정당7. 참고 문서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노동운동가, 정치인.

대한민국 초대 내각의 사회부장관이었으며 대한노총 위원장, 제헌국회 및 2대, 3대, 5대, 6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친인척으로 협동조합운동사가 주도한 첫번째 협동조합을 함창에서 창립한 목촌 전준한(가형), 정치인 정재철(사위), 언론인 이규태(사위). 섬유예술가 정경연(외손녀). 정치인 정문헌(외손자) 등이 있다.

2. 생애

2.1. 초기 생애와 제헌 국회의원 활동

1901년 11월 5일 경상북도 함창군 함창면 오사리(현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의 빈농가에서 아버지 전석기(錢晳起, 1879. 1. 28 ~ 1955. 7. 22)[15]와 어머니 상주 박씨(尙州 朴氏) 박성악(朴城岳, 1880. 11. 21 ~ ?) 사이에서 4형제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조부 전약우(錢若雨, 1827. 8. 21 ~ 1891. 7. 17)[16]는 1888년 4월 29일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종2품)에 임명되었던 무관이었다.

소년기에는 여관 심부름꾼으로 일하다가 1917년 경기도 경성부로 올라와 고학하였고, 이후 안동군 일직면 망호리로 이주해 잠시 살다가 1920년 4월 기미육영회(己未育英會)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으로 건너가게 되었다. 이후 와세다제1고등학원[17]을 거쳐 1922년 일본 와세다대학 정경학부 경제과에 입학했다.

1926년 도쿄에서 재일유학생단체 협동조합운동사를 조직해 협동조합운동, 대중운동을 전개하였다. 1928년 와세다 대학을 졸업한 후 귀국해 협동조합운동을 비롯해 항일독립운동, 노동운동을 전개하다 신의주형무소에 투옥되어 2년간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1933년부터 독실한 불자(佛子)로서 강원도 금강산, 오대산 등지에 10여 년간 은거하며 참선을 하다가 광복을 맞이했다. 광복 이후 정치가로 활동했지만 죽을 때까지 참선을 멈추지는 않았다. 후일 “ 정치는 부업이고, 참선이 본업이었다”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1945년 8.15 광복 이후 처음에는 조선건국준비위원회에 관여하다가 한국민주당 발기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이승만의 단독정부 수립론을 지지하면서도 노동운동을 하였다.

1948년 5월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노동총연맹[18] 후보로 경상북도 상주군 을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제헌국회에서 활동하면서 제헌 헌법 노동3권과 노동자의 이익균점권 등 노동 관련 조항들을 명시하는데 기여했다.[19][20] 당시 회의록에는 보통 다른 의원들은 5분 정도 발언하는데[21], 전진한 의원은 이익균점권 조항 명시를 주장하는데 약 20분 동안 발언해 신익희 부의장이 약간 짜증을 내는 모습이 기록되어 있다.[22] 그의 노동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관심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1948년 8월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초대 사회부 장관에 임명되었다. 한편 이 시기 노동자, 농민이 주축이 되는 혁신정당을 만들고자 하는 생각에 다른 대한노총 위원들과 함께 대한노농당 창당에 참여하나, 당내 이견으로 인해 한국노농당으로 이적한다. 그러나 1949년 중반기 즈음에 탈당해 원내자유당의 전신이 되는 신정동지회에 입당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얼마 후 다시 무소속으로 나오는 걸 보면 이 역시 얼마 안가 탈당하고 대한노총 소속으로 정치활동을 이어간 듯하다. 1949년 국제자유노동조합연맹(ICFTU)[23]의 창립과 이후의 국제노동운동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2.2. 이후의 정치생활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노동총연맹 후보로 경상남도 부산시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1951년 원내자유당이 창당되면서 자유당 소속이 되었다. 자유당에서는 이승만의 지지를 받아 족청계가 결성한 원외자유당과의 합당을 주장하는 삼우장파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출처 즉 이때까지만 해도 전진한은 친이승만 성향이었다.

그러다 부산의 조선방직 불하 문제를 두고 이승만 대통령이 자신의 측근인 강일매에게 회사를 불하해 주어 사실상 자신의 정치자금 조달 기구로 사용하자 조선방직 노동자들이 이에 분노해 대규모 쟁의를 벌였는데(조선방직 쟁의 사건), 이 사건의 처리를 두고 이승만과 대립한 것을 계기로 1952년 중반 자유당에서 탈당했고, 대한노총 위원장 직위도 대한노총 내 친 이승만파의 공세 속에 반강제로 사퇴했다. 이후 대한노총은 철저히 이승만 정권의 어용 노조가 된다. 1952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재보궐선거에서 대한노동총연맹 후보로 경상남도 부산시 무 지역구로 출마하여 부산 조선방직 노동자들의 압도적인 지지 속에 당선되었다. 이후 노농당 창당을 준비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1953년 12월에 발표한 노농당의 창립선언문을 보면 이승만 대통령의 노선을 절대 지지한다고 표명하는 등, 이때까지만 해도 친이승만 성향을 견지한 듯하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상남도 부산시 을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이 족청계를 숙청하고 자유당을 장악하는데 성공하자 완전히 이승만과 결별, 반이승만 성향으로 돌아선다. 1955년 이후 이승만 대통령의 독재 반대하는 운동을 하였다. 1955년 노농당[24]을 결성한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노농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윤명운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 한국사회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동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당 유성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25] 같은 해 윤보선의 대통령 출마로 치러진 서울특별시 종로구 갑 지역구 재보궐선거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3년 민정당 창당에 참여하고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5년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반대하였다.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국독립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5위로 낙선하였다.[26] 같은 해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 한국독립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유진오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2년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동2가 186-35번지 자택에서 후두암으로 별세했다.

3. 사상

전진한의 자유협동주의는 1955년에 이승만과 결별하고 노농당을 창당한 뒤, 『자유협동주의』라는 책을 출간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이는 개인의 자유를 바탕으로 각자가 창의적으로 제 소질과 재능을 발휘하는 사회, 노동과 자본이 조화를 이루는 사회, 사람들 간의 상호 연대와 자립, 자치, 협동이 이루어지는 사회를 추구하는 사상이다. 전진한은 “음악에 있어서 악사가 각자 법열 속에서 자유로이 자신의 악기의 성능과 자기의 개성을 발휘하여 전체와 협동함으로써 하나의 심포니를 형성하는 것”으로 비유했다. 그는 협동조합운동을 전개하며 독자적인 자유협동주의 사상 체계를 발전시켜나갔고, “협동이 없는 자유는 방종과 탐욕으로 흐르며, 자유가 없는 협동 전체주의 파시즘으로 귀결된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이러한 사상은 협동조합주의에 기반한 것이며 독일의 사회적 시장 경제나 프랑스의 사회 연대주의와도 닮아 있다. 전진한은 계급 협력 노선에 기초해 노동자들을 옹호하는 정치인이었던 것이다. 그는 노농당 강령으로 경제민주화의 본래 의미인 경제적 민주주의도 주장하기도 했으며 공산주의 반대하고 자본가의 사회 지배 또한 우려했다.

일각에선 전진한의 사상은 고전적인 생디칼리즘에 기반하고 있다고 보지만, 코포라티즘에 가깝다고 인식하는 게 옳을 것이다. 계급 투쟁과 노동조합의 산업 관리를 주장하는 생디칼리즘은 계급 협력을 주장하는 전진한의 자유협동주의의 정반대편에 있는 사상이다.

4. 매체

제1공화국(드라마), 제3공화국(드라마)에서는 배우 김상순이 연기하였다.

4.1. 야인시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전진한(야인시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북 상주군 을[27]
[[대한노동총연맹|
대한노동총연맹
]]
31,518 (75.44%) 당선 (1위) 초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부산시 갑[28] 9,062 (20.91%) 낙선 (3위)
1952 제3대 부통령 선거 대한민국 302,471 (4.24%) 낙선 (6위)
1952년 재보궐선거 경남 부산시 무[29] - 당선 (1위) 재선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경남 부산시 을[30]

[[무소속(정치)|
무소속
]]
31,278 (38.00%) 3선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영등포구 갑[31]
[[노농당|
노농당
]]
6,379 (15.52%) 낙선 (3위)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성동구 갑[32]
[[한국사회당(1960년)|]]
13,774 (25.50%) 낙선 (2위)
1960년 재보궐선거 서울 종로구 갑[33]

[[무소속(정치)|
무소속
]]
11,326 (49.53%) 당선 (1위) 4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종로구[34]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36,123 (50.20%) 5선
1967 제6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232,179 (2.09%) 낙선 (5위)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종로구 갑[35] 2,347 (2.93%) 낙선 (3위)
역대 선거 공보, 벽보 [3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전진한 5대.jpg
파일:전진한 6대 대선.jpg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7[37]) 제6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파일:전진한 7대.jpg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38]) }}}}}}}}}
역대 후보 이력
[ 펼치기 · 접기 ]
----
파일:대한민국 투표 도장 문양(흰색 테두리).svg 제6대 대통령 선거 후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5BA6,#FFC224> 기호 정당 이름 비고
1 정의당 이세진
2 한국독립당 전진한
3 신민당 윤보선
4 대중당 서민호 사퇴
5 민중당 김준연
6 민주공화당 박정희 당선
7 통한당 오재영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

6.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신간회|
신간회
]]
1927 - 1928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28 - 1945 탈당
정계 입문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건국준비위원회
]]
1945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45 탈당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1945 - 1946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46 탈당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1946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46 신당 창당을 위한 탈당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1946 - 1948 창당

[[대한노동총연맹|
대한노동총연맹
]]
1948 - 1952 당명 변경

대한노농당
1948 창당[39]
한국노농당 1948 - 1949 당내 이견으로 인한 재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49 탈당


신정동지회
1949 입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49 - 1951 탈당


[[자유당(1951년)|]]
1951 - 1952 입당[40]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52~1955 조선방직 쟁의사건의 여파로 탈당. 무소속구락부에 가입

[[노농당|
노농당
]]
1955 - 1959 창당

[[민족주의민주사회당|
민족주의민주사회당
]]
1959 - 1960 당명 변경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0 자진 정당 해산

[[한국사회당(1960년)|]]
1960 창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0 탈당

[[한국사회당(1960년)|]]
1960 - 1961 복당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1 - 1963 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


[[민정당|
파일:민정당 글자.svg
]]
1963 - 1965 창당


[[민중당(1965년)|
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
1965 - 1967 합당[41]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67 합당[42]


[[무소속(정치)|
무소속
]]
1967 탈당


1967 - 1970 입당
정계 은퇴


[[신민당(1967년)|
파일:신민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70 - 1972 합당[43]
사망

7. 참고 문서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bgcolor=#fff,#1f2024>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4>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254170; border-right: 10px solid #25417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직위 명단
외무부장관 <colbgcolor=#fff,#1f2024><colcolor=#254170> 장택상 임병직 변영태 조정환 허 정
내무부장관 윤치영 신성모 김효석 백성욱 조병옥 이순용 장석윤 이범석 김태선 진헌식 황호현 백한성 김형근 이익흥 장경근 이근직 민병기 김일환 최인규 홍진기 이호
재무부장관 김도연 최순주 백두진 박희현 이중재 김현철 인태식 김현철 송인상 윤호병
법무부장관 이 인 권승렬 이우익 김준연 조진만 서상환 조용순 이 호 홍진기 권승렬
국방부장관 이범석 신성모 이기붕 신태영 손원일 김용우 김정렬 이종찬
문교부장관 안호상 백낙준 김법린 이선근 최규남 최재유 이병도
부흥부장관 유완창 김현철 송인상 신현확 전예용
농림부장관 조봉암 이종현 윤영선 공진항 임문환 함인섭 신중목 정재설(서리) 양성봉 윤건중 최규옥 임철호 정낙훈 정운갑 정재설 이근직 이해익
상공부장관 임영신 윤보선 김 훈 이교선 이재형 안동혁 박희현 강성태 김일환 구용서 김영찬 전택보 오정수
사회부장관 / 보건부장관 보건사회부장관 전진한 이윤영 허 정 최창순 박술음 / 구영숙 오한영 최재유
최재유 정준모 손창환 김성진
교통부장관 민희식 허 정 김석관 윤성순 이종림 문봉제 최인규 김일환 석상옥
체신부장관 윤석구 장기영 이순용 조주영 강인택 이 광 이응준 곽의영 오정수 최용덕 }}}}}}
}}}}}}}}}


파일:옛 경상북도 도기.svg 경상북도 제헌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대구 갑 달성 군위
최윤동 서상일 백남채 김우식 박준
의성 갑 안동 을 청송
정우일 권병노 김익기 임영신 김봉조
영양 영덕 영일 갑 영일 을 경주 갑
조헌영 오택열 박순석 김익노 김철
경주 을 영천 갑 영천 을 경산 청도
이석 정도영 이범교 박해정 박종환
고령 성주 칠곡 김천 갑 김천 을
김상덕 이호석 장병만 권태희 이병관
선산 상주 갑 상주 을 문경 예천
육홍균 한암회 전진한 조병한 박상영
영주 봉화 울릉
최석홍 공석 서이환
* 안동 을 정현모 사퇴 (1948.10.18.)
* 봉화 배중혁 자격상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부산 갑 부산 정 부산 무
김지태 장건상 공석 정기원 전진한
마산 의령 함안
권태욱 유덕천 하만복 이시목 공석
창녕 밀양 갑 밀양 을 양산 울산 갑
공석 최성웅 김형덕 서장주 오위영
울산 을 동래 김해 갑 김해 을 창원 갑
김택천 김범부 최원호 이종수 김병진
창원 을 통영 갑 통영 을 고성 사천
김봉재 서상호 이채오 김정실 정헌주
남해 하동 산청 함양 거창
조주영 공석 이병홍 박정규 신중목
합천 갑 합천 을
노기용 김명수
* 부산 무 최원봉 사망 (1950.11.10.)
* 함안 양우정 사퇴 (1954.4.3.)
* 부산 병 김칠성 납북
* 창녕 신용훈 납북
* 하동 이상경 납북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부산 갑 부산 정 부산 무
김지태 전진한 정기원 김동욱 이영언
마산 의령 함안
김종신 서인홍 황남팔 이영희 조경규
창녕 밀양 갑 밀양 을 양산 울산 갑
하을춘 김형덕 조만종 지영진 김수선
울산 을 동래 김해 갑 김해 을 창원 갑
정해영 김법린 박재홍 이종수 김성삼
창원 을 통영 갑 통영 을 고성 사천
이용범 최천 김영삼 최갑환 정갑주
남해 하동 산청 함양 거창
윤병호 강봉욱 안준기
전임자: 이병홍
김영상 신도성
합천 갑 합천 을
유봉순 최창섭
}}}
}}}}}}

파일:구 서울특별시 휘장(백색).svg 서울특별시 제5대 민의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전진한 한근조 주요한 정일형 장면
용산 을 성동 갑 성동 을 동대문 을
김원만 유성권 홍용준 민관식 이영준
성북 서대문 갑 영등포 갑
서범석 김도연 김산 신상초 윤명운
영등포 을
김석원
* 종로 갑 윤보선 사퇴 (1960.8.12.)
* 마포 김상돈 사퇴 (1960.12.3.)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a495><tablebgcolor=#00a495>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00a495><tablebgcolor=#00a49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이훈구 전진한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808080><tablebgcolor=#80808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곽상훈 곽태진 권중돈 권태욱 김광준
김범부 김병진 김봉재 김봉조 김수학
김용우 김우성 김의준 김익기 김인태
김정기 김정두 김정식 김제능 김종열
김준태 김준희 김태희 김택술 김택천
김헌식 민영복 박순천 박승하 박양재
박영래 박제환 박철웅 박충식 박팔봉
방만수 배상연 백남식 변진갑 서민호
서범석 서상덕 서상호 서이환 서장주
송방용 신광균 안상한 엄병학 엄상섭
여영복 여운홍 연병호 오위영 오의관
유덕천 유승준 윤길중 윤영선 윤재근
이교승 이도영 이동환 이범승 이병홍
이상철 이석기 이시목 이용설 이재형
이종순 이채오 이협우 임용순 임흥순
장택상 전진한 정일형 정재완 정헌주
조대연 조봉암 최성웅 최원수 하만복
한필수 홍길선 홍익표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dff00><tablebgcolor=#fdff00>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dff00><tablebgcolor=#fdff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두한 전진한 }}}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0080><tablebgcolor=#ff0080>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0080><tablebgcolor=#ff008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김성숙 전진한 }}}
}}}}}}


[사퇴] 대통령 선거 출마로 인한 사퇴 [보궐] 윤보선의 대통령 선거 출마 이후 실시된 재보궐 선거에서 당선 [3] 종로구 을과 합구 [종로갑] [종로을] [6] 관련기사 [7] 제5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선거공보물 [8] 21세 한(漢) 항렬. 전국에 3,018명밖에 안되는 희성이다. 배우 전인화가 전진한의 종씨이다. [9] 1909. 2. 29 ~ 1968. 12 02. 전주 최씨이다. [10] 錢金周. 1930. 3. 22 ~ 2001. 정재철 전 정무제1장관의 부인이다. [11] 錢昌源. 1932. 5. 7 ~ 2021. 10. 27. 동국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12] 錢仁周. 1935. 10. 17 ~ . [13] 錢永禧. 1937. 11. 18 ~ . [14] 錢芳子. 1944. 10. 10 ~ . 이규태 조선일보 주필의 부인이다. [15] 초명 전경준(錢京俊). [16] 아명은 전중종(錢仲宗). [17] 와세다대학의 예과 [18] 조직은 훗날 한국노총이 된다. [19] 이 중 이익균점권은 헌법에 명시되지만 노동자 경영참여권은 치열한 토론 끝에 명시되지 못했다. [20] 참고로 이익균점권은 제헌 헌법 제18조 제2항에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사기업(私企業)에 있어서는 근로자는 법률의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익의 분배에 균점할 권리가 있다”라는 조항으로 명시되었으나 5.16 군사정변 이후 삭제된다. [21] 이는 회의를 신속하게 진행하여 헌법을 빨리 통과시키기 위함이었다. [22] 다만 신익희 의장은 전진한 의원의 발언이 시작하기 전 분명 10분내로 발언을 하라고 했는데 전진한 의원이 20분을 해버려서 짜증이 날만도 하다. [23] International Confederation of Free Trade Unions. [24] 노동당이 아니다. [25] 선거공보물 [26] 선거벽보. [27] 제28선거구 [28] 제1선거구 [29] 제5선거구 [30] 제2선거구 [31] 제15선거구 [32] 제7선거구 [33] 제1선거구 [34] 제1지역구 [35] 제1지역구 [36] 제헌 국회 시절 벽보부터 6대 국회까지의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 [37] 성동구 갑 [38] 종로구 [39] 대한노총 최고위원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대한노농당 창당에 참여했다. [40] 대한노동총연맹 위원장직을 유지한 상태에서 삼우장파 소속으로 원내자유당에 입당했다. [41] 민주당과 신설 합당. [42] 신한당과 신설 합당. [43] 신민당에 흡수 합당. [44] 전진한의 손자 전동건 MBC기자, 손녀 전동현 박사가 참여했으며 서울대노동법연구회가 출판했다. [45] 한성대학교 근현대사 교수인 조규태가 집필했다. [46] 전진한의 장남 전창원 동국대명예교수가 출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