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03:00:54

광주시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광주광역시에 대한 내용은 광주광역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한자 표기가 중복되는 중국 광둥성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광저우시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2px -0px" <tablebordercolor=#004097><tablewidth=260><tablebgcolor=#004097>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북부청사|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aa5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월읍 도척면 퇴촌면 남종면 남한산성면
곤지암읍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dd0027> 경안동 경안동 역동
광남1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목동 삼동 장지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중대동 직동 }}} 태전동 }}}
광남2동
송정동
시청
송정동
쌍령동 쌍령동
탄벌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탄벌동 목현동 회덕동 }}}
능평동 능평동
신현동 신현동
오포1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고산동 문형동 추자동 }}}
오포2동 매산동 양벌동 }}}}}}}}}
경기도 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廣州市
Gwangju City
}}}
<colbgcolor=#00aa51><colcolor=#fff> 시청 소재지 행정타운로 50 (송정동)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하위 행정구역 2 4 10
면적 430.99㎢
인구 397,269명[1]
인구 밀도 921.75명/㎢[2]
시장
방세환 (초선)
시의회
6석[3]

5석[4]
도의원
3석[5]

1석[6]
국회의원
<colbgcolor=#00aa51><colcolor=#fff>
소병훈 (3선)

안태준 (초선)
상징 시화 개나리
시목 은행나무
시조 제비
지역번호 03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
4.1. 인구
5. 교통6. 경제
6.1. 산업6.2. 상권6.3. 금융
7. 관광8. 생활문화
8.1. 생활권8.2. 교육8.3. 의료기관8.4. 방송
9. 정치
9.1. 경기도 광주시장
10. 군사11. 하위 행정구역12. 여담
12.1. 광주광역시와의 차이점
13. 대중문화 속의 광주14. 관련 인물15. 관련 문서16.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1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경기도 동남부에 위치한 . 북서로는 하남시, 북으로는 팔당호를 끼고 남양주시[7], 남동으로는 이천시, 남으로는 용인시 그리고 동으로는 양평군 여주시, 서로는 성남시와 접한다.

2. 상징

광주시의 CI
파일:광주시 CI.svg
현재 사용 중인 광주시의 CI이다.[8]
광주시의 슬로건
파일:광주시 슬로건.svg
현재 사용 중인 광주시의 슬로건이다.
광주시의 시정비전
파일:민선 8기 광주시 시정비전.jpg
현재 사용 중인 광주시의 시정비전이다.
광주시의 도시브랜드
파일:광주시 BI.svg
현재 사용 중인 광주시의 도시브랜드다.
광주시의 마스코트 및 관광캐릭터
파일:광주시 캐릭터.svg 파일:광주시 관광캐릭터.png
<rowcolor=#fff> 캐릭터 그리니와 크리니 관광캐릭터 깡두리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지리

남한산 동남쪽, 경안천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주요 시가지로는 전통적인 중심지인 경안동, 광주 동부의 중심지 곤지암, 용인시 성남시가 접한 오포 등이 있다. 또한 경안동과는 조금 거리가 있지만 태전지구 개발로 떠오르고 있는 태전동도 있다.

옆동네인 이천시와 비교했을 때 산이 상당히 많고 지형도 험준한 편으로, 교통이 그다지 좋지 못한 편이며 관내 지역간 이동도 어렵다. 각 지역의 주요 간선 도로를 따라 시가지가 발달해서 해당 도로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 게다가 시 차원에서 체계적인 도시 계획이 미흡한 실정이라 출퇴근 시간대에는 경충대로 등 주요 도로가 전쟁터를 방불케할 정도로 차가 많이 막힌다. 시 동부의 경우 곤지암-초월-쌍령동으로 이어지는 경충대로에, 그리고 신현동의 경우 분당구와 이어지는 태재로에 도로 교통을 완전히 의존하는 형국이다.

서울특별시 성남시, 하남시와 가까워 지리적 이점이 우수한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경안천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이 대부분이라 개발속도가 경기도의 다른 시에 비해 매우 더딘 편이다. 그래서 대규모 택지개발을 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한다. 실제로 광주시는 팔당댐 등의 존재로 인해 경기도 지자체에서도 가장 심각한 수준의 규제를 받고 있는 지역 중 하나로, 중첩규제로 인해 도시개발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9] 기사 이 때문에 각종 중첩 규제에 걸려 이를 피하기 위한 난개발의 결과로 빌라만 우후죽순 생겨나 시 전체 호수의 40%가 빌라라는 유례없는 특징을 지닌 시가 되었다. 지금도 송정지구와 태전지구 등 택지지구가 개발 중이고 경기광주역세권 개발 등 경강선 연선에 있는 역들의 역세권 사업들도 추진되고 있지만 광주시와 도내 타 지자체인 광명시 김포시 등에 비하면 개발 속도가 매우 더딘 편이다.

과거에 비해 서울, 성남, 하남 등에 상당한 양의 땅을 내줬음에도 면적이 제법 넓다(약 430㎢). 수도권 전철 경강선에서 삼동 ~ 곤지암까지 각 5분 거리로 4정거장이 세워질 정도. 해당 전철의 표정 속도(70km/h)를 생각해보면, 그동안 주파하는 거리도 상당할 것이라고 볼 수 있다(구간 거리 14.8km).

4.1. 인구

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3,217명
1970년 140,647명
1971년 9월 13일 광주군 돌마면, 낙생면, 대왕면 및 중부면 일부[10] → 경기도 성남출장소 승격
1973년 7월 1일 경기도 성남출장소 → 성남시 승격 및 분리
1975년 95,483명
1980년 106,720명
1985년 151,826명
1989년 1월 1일 동부읍과 서부면, 중부면 상산곡리 → 하남시 승격 분리
1990년 76,586명
1995년 92,815명
2000년 139,339명
2001년 3월 21일 경기도 광주군광주시 승격
2005년 214,498명
2010년 249,789명
2015년 312,579명
2020년 382,054명
2024년 10월 397,26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0만 명
1966-2005: 통계청 인구총조사, 2008-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읍면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월읍 50,520명
탄벌동 40,837명
신현동 36,581명
오포2동 33,639명
광남2동 33,608명
광남1동 32,682명
경안동 29,070명
능평동 23,252명
곤지암읍 22,330명
오포1동 21,396명
송정동 21,252명
쌍령동 17,862명
퇴촌면 15,768명
도척면 9,353명
남한산성면 2,326명
남종면 1,450명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2만 명
}}}}}}}}} ||
성남과 하남을 분리시켰음에도 2000년대 들어 폭풍과 같이 인구가 증가하면서 40만 명을 바라보고 있다. 앞으로 대규모 택지개발은 예정되어 있지 않지만 소규모 개발이 지속되면 인구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였으나, 2023년 3월부터는 저출산 고령화와 성남시와 하남시로의 인구유출로 인구가 소폭 줄고 있다. 그러나 2024년이 되면서 다시 소폭 증가하고 있다.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제

6.1. 산업

난개발의 대명사. 외곽 동 지역, 모현읍, 초월읍, 곤지암읍까지 구석구석에 중소기업 공장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다. 거기다 폭등한 부동산 가격에 수도권 서울 인근 성남,분당 등에서 밀려나온 사람들을 위한 주거지까지 조성되면서 공장+빌라 콤보로 난개발이 진행되었다.[11]

또 특산물은 아니지만 석재공장이 매우 많다. 약 200곳이 있는데, 전국 석재공장 중 절반이 모여 있다.

농업의 경우에는 산지가 많은 지역 특성상 주로 밭농사 위주이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농작물을 공급하는 근교농업이 이루어진다. 전체적인 농업 인구는 많지 않은 편. 주로 재배되는 작물은 미곡이지만, 무엇보다 대표적인 농특산물은 토마토. 육질이 단단하고 당도가 높아 광주시의 대표적 농특산물로 꼽히며, 퇴촌면의 정지리·도수리·관음리를 비롯하여 초월읍의 서하리, 남종면의 귀여리·금사리를 주산지로 한다. 2017년 토마토 재배 면적은 95ha로 경기도 전체 토마토 재배 면적의 약 25%를 차지하며, 경기도 전체 토마토 생산량의 약 20%를 차지한다. 미곡과 토마토 외에는 상추 고추, 도 주요 특산물로 꼽힌다.

또한 한국문화진흥 주식회사와 한국고용노동교육원이 광주시에 소재하는 공공기관이다.

6.2. 상권

생활 편의시설은 광주시와 비슷한 인구 규모를 지닌 광명시 김포시에 비하면 부족하지만 그래도 지금은 어느 정도 갖춘 편이다. 옛날에는 성남시 하남시에 비하면 편의시설이 조금 부족하여 옆 동네인 성남시 용인시, 이천시, 서울특별시 심지어는 저 멀리 수원시까지 나가서 해결해야 할 정도였다고 한다.[12] 원래 광주시의 중심 상권은 역동에 위치한 광주지구축협 본점(속칭 광주축협)이었다. 지금은 2009년 생긴 경안동의 터미널 이마트와 맞은편 경안시장이 중심 상권이다. 오포읍, 동 지역(경안동, 광남동, 송정동, 탄벌동)은 성남/용인 상권, 곤지암과 초월읍 일부는 이천 상권으로 묶인다. 태전지구가 개발되면서 태전지구가 새로운 상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경안동 입점 프랜차이즈로는 배스킨라빈스, 롯데리아, 맘스터치, 프랭크버거, 버거킹, 써브웨이,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탐앤탐스, 이디야커피, 빽다방, 메가커피, 더벤티, 쥬씨, 스무디킹, 설빙, 공차, 왕가탕후루, 명랑핫도그, 와플대학, 타코비, 봉구스밥버거, 한솥, 엽기떡볶이, 삼첩분식, 두찜, 롤링파스타, 니뽕내뽕, 탕화쿵푸, 춘리마라탕, ABC마트, 다이소, 아트박스 등이 있다. 다만 맥도날드는 경안동이 아닌 쌍령동에 있다.

영화관은 CGV 경기광주, 경기광주터미널의 롯데시네마가 있다.

38만 인구 규모에 비하면 기업형 대형마트는 조금 부족한 상태다. 현재 대형마트 중에서는 이마트 경기광주점만 있고 홈플러스를 가려면 퇴촌면, 남한산성면, 남종면 주민들은 하남이나 강동으로 가야하고, 이외 주민들은 성남으로 가야한다. 홈플러스는 근처에 있어 망정이지, 롯데마트를 가려면 퇴촌면, 남한산성면, 남종면 주민들은 남양주나 양평 멀게는 서울 광진구로 가야하고, 곤지암읍, 도척면 주민들은 이천으로 가야하며 이외 주민들은 판교로 가야한다.

아울렛은 모다아울렛 곤지암점이 있다.

6.3. 금융

{{{#fff [[광주시|{{{#fff 광주시}}}]]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국가기관
경기광주우체국 (7)[14]
제1금융권[괄호]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4)
특수은행
NH농협은행 (2)[16]
시중은행
신한은행 (1) 우리은행 (2)
하나은행 (1) 국민은행 (4)
{{{#fff [[제2금융권|{{{#fff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곤지암농협 (3) 광주농협 (6)[18]
광주지구축산농협 (3) 도척농협 (2)
오포농협 (6) 중부농협 (1)[19]
초월농협 (3) 퇴촌농협 (2)
<colbgcolor=#1d1e23> 새마을금고
광주새마을금고 (5)[20] 남한산성새마을금고 (2)
신용협동조합
경기광주신용협동조합 (3) 선린신용협동조합 (2)[21]
산림조합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본점 1곳)
광주광역시의 존재로 인해 광주시에 소재한 시중은행 지점들의 경우 광주보다 경기광주경안이라는 지점명을 쓴다.

7. 관광

일단 대표적인 관광지는 경기도 광주시 도자박물관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도 등재된 남한산성이 있지만 관광지라기보다는 워킹코스에 가깝다. 도척면의 곤지암리조트 화담숲은 유명하다.[22] 또한 조선시대 궁궐에서 쓰던 도자기를 굽던 관요(官窯, 사옹원)들이 많았다. 하상교통이 발달하여 질 좋은 흙과 땔감이 모이는 곳이기도 했고, 원체 광주- 이천- 여주의 흙이 도자기를 빚어 굽기에도 적합했기 때문이다. 남종면에 있는 분원리는 조선왕조의 마지막 관요가 있던 곳이었고, 도척면에도 역시 관요가 있었다. 광주 관내에 '도(陶)'자가 붙은 곳은 십중팔구 관요가 소재했던 곳이다. 곤지암읍 경기도자박물관이나 광주 조선백자 요지 등이 있으니 이 곳을 여행하면 꼭 둘러보길 바란다. 이 외에도 퇴촌면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거주하는 나눔의집이 위치하고 있으며,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도 함께 운영 중이다.

음식으로는 곤지암 소머리국밥이 유명하다. 이천과 수원이 가까워서 질 좋은 쌀과 고기가 있었기 때문에 발달했다고 한다. 그리고 팔당호 수계(두물머리)의 퇴촌면에서 생산하는 토마토도 전국적인 네임드가 있다고 한다. 토마토 막걸리, 선비해장국도 지역민의 사랑을 받는다.

한때 엽기적인 관광 코스로 곤지암 남양정신병원이 유명했으나 토지가 개발용으로 매각되면서 철거되었다. 지역 주민들의 거센 항의와는 무관하다. 사실 여기는 방문이 허용되지 않은 사유지에 헛소문이 이상하게 돌면서 공포 애호가들이 오밤중에 무단침입을 하고 주변 마을에 온갖 민폐를 끼치는 등 패악질이 상당히 심해서 관광지라고 볼 수도 없다.

8. 생활문화

8.1. 생활권

주로 행정 사무를 제외하고는 경안동이나 성남시 지역이 주 생활권이고, 하남시, 용인시, 이천시 서울특별시 강동구, 송파구, 강남구까지 오고 간다. 이 지역들과의 대중교통의 교류도 빈번하다. 특히 서남쪽의 신현동, 능평동은 경안동 시내보다는 분당 시내가 더 가까운 편이다.[23] 북쪽의 퇴촌면, 남한산성면 하남시, 서울특별시가 주 생활권이다.

8.2. 교육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경기도 광주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경안초등학교 고산하늘초등학교 곤지암초등학교 광남초등학교 광주광명초등학교
광주도평초등학교 광주매곡초등학교 광주송정초등학교 광주초등학교 광주푸른초등학교
광지원초등학교 남한산초등학교 능평초등학교 도곡초등학교 도궁초등학교
도수초등학교 도척초등학교 만선초등학교 번천초등학교 벌원초등학교
분원초등학교 삼리초등학교 선동초등학교 신현초등학교 쌍동초등학교
쌍령초등학교 양벌초등학교 역동초등학교 오포초등학교 초월초등학교
탄벌초등학교 태성초등학교 태전초등학교 한아람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경기도 광주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안중학교 경화여자중학교 곤지암중학교 광수중학교
광일중학교 광주광남중학교 광주중학교 매양중학교
신현중학교 초월중학교 탄벌중학교 태전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경기도 광주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경화여자고등학교 경화여자EB고등학교 곤지암고등학교 광남고등학교
광주고등학교 광주중앙고등학교1 초월고등학교 태전고등학교
윗첨자1. 일반계와 특성화가 합쳐진 종합 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사립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서울장신대학교
전문대학 파일:동원대학교 UI.svg 동원대학교 }}}}}}}}}


인구에 비해 중•고등학교 수가 굉장히 적어서 일부 지역(퇴촌[24], 곤지암, 오포 일부)에 거주하는 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옆 동네 하남시, 이천시, 성남시로 많이 진학하고 있다.

중학교의 경우 2023년 태전중[25] 개교 직전까지 인근 광남중 학급이 1개 학년에 32명씩 16학급에 이르기도 했다. 광남중을 제외하더라도 탄벌중 역시 15학급이며, 광주 대부분의 중학교가 12~13학급 등 1개 학년에 10학급 이상, 전교생 1,000명 이상의 과밀, 과대 학교인 상황이다.

문형/능평/신현동은 고등학교가 단 1개도 없어 신현 및 능평쪽 거주자들은 성남쪽으로 학교를 다니는 실정이며, 문형쪽 거주자들은 어찌어찌 경안동이나, 태전동으로 학교를 다니긴하지만 통학이 굉장히 불편하다.

신현동기준 제일 가까운 고등학교는 성남 분당대진고 및 양영디지털고 두개가 존재한다.

4년제 대학은 서울장신대학교가 있다 전문대 동원대학교 대학원대학 계약신학대학원대학교가 있다.

광주시 내 고등학교의 경우 과밀현상이 심각해서 고등학교를 3개 더 신설해야 과밀현상을 해소시킬 수 있다. 그나마 오포고등학교가 2026년에 태전 고산지구 내에서 개교할 예정.
광주시 내 신설 필요 고등학교
고등학교 권역 적정 규모 실제 규모 비고
고산고 고산 39(3) 30(3) [26]
광주시 내 신설 필요 고등학교
고등학교 권역 적정 규모 실제 규모 비고
양벌고 양벌 36(3)
신현고 신현 48(4)

8.3. 의료기관

성남시가 가까워서 그런지 종합병원은 참조은병원(23개 진료과 밎 256병상) 하나 뿐이다.[27] 그러나 여기를 벗어나면 성남시와 용인시를 제외하고 인근 도시인 하남, 이천, 여주, 양평 등지에는 종합병원이 없어서 인근 지역 중소병원에서 수용할 수 없는 환자들이 몰려오거나 중간 경유 의료기관으로 오기 때문에 상당히 북적이는 편이다.

더 큰 병원에 가야 할 경우 주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으로 가고 있으나, 분당서울대학교병원도 포화 상태라서 그런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 수용할 수 없는 환자들이 이 곳으로 다시 넘어오는 경우도 많다.

이외 SRC재활병원이 있다.

8.4. 방송

의정부시처럼 분지 지형에 계곡 지형까지 뒤섞여 대표적인 난시청 지역으로 꼽힌다. 인접한 용문산 중계소조차 광주시에 널려있는 많은 야산으로 인해 시 전체를 온전히 커버하지 못한다. 덕분에 KBS가 일찌감치 칠사산에, MBC가 서울장신대 근처 야산에 난시청 보조용 중계소를 개설했으며 경기도 지자체 중에서는 KBS 소출력 중계소를 가장 많이 두고 있다.

그나마 회절성이 좋은 VHF를 사용하는 라디오는 상대적으로 사정이 양호하지만[28] 일부 읍면동[29]의 경우 일반 라디오로는 송신소가 어느 쪽이든 잘 잡히지 않는 경우가 있다. 관내 마트에서도 오디오 매대에 광주시의 난시청을 강조하는 문구를 붙여 넣을 정도. 이럴 때는 카오디오나 DSP 수신기를 사용하면 비교적 양호하게 잡을 수 있다.

지역 독점 케이블TV 사업자는 딜라이브 경기동부케이블TV이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경기도 광주시장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경기도 광주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2대
박종진
제3대
김용규
제4-6대
조억동
제7대
신동헌
제8대
방세환
파일:경기광주_시정구호(민선8기).jpg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군사

매산동에 대한민국의 특전사 훈련과 각종 특수훈련을 담당하는 특수전학교가 위치해 있다. 최근부터 특전사 부사관후보생 공수교육 때 공개강하와 면회를 하기때문에 팔도에서 면회객들이 수시로 몰려든다. 때문에 오포읍에서 갓 하사 계급장을 단 특전사 대원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어린이날 등 특수한 공휴일에는 기구를 태워주는 등의 행사를 하기도 한다.

제55보병사단의 관할지역으로 관련된 예하부대들과 제1101공병단이 주둔하고 있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img_0102010300_map.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여담

2023년 기준 경기도 광주시와 인구, 면적, 인구밀도가 모두 비슷한 해외 도시로는 캐나다 런던 등이 있다.

조선 초기 명문가로 유명했던 광주 이씨[30]의 본이기도 하다. 호남 광주를 본으로 하는 가문은 광산 이씨.

이곳의 한자명인 넓을 광자와 고을 주자를 우리말로 뜻풀이하여 옮기면 너른고을이나 너븐골, 너른골로 부를 수 있다. 자주 쓰이지는 않지만, 너른골 자연휴양림[31], 너른고을 미술제 등의 용례를 찾아볼 수 있다.

12.1. 광주광역시와의 차이점

광주광역시와 한글 표기가 같아서 사람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 기초자치단체 이상 규모의 지자체에서 중복 이름이 있는 것은 고성(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경상남도 고성군)과 함께 유이한 사례다.[32] 다만 각 지자체의 규모나 인지도 때문에 고성보다는 광주가 대표적인 중복 지명으로 더 유명한 편. 한자 표기는 달라서 광주시는 넓을 광(), 광주광역시는 빛 광()을 사용하며, 발음도 광주시의 '광'은 장음, 광주광역시의 '광'은 단음이다. 다만 현대 한국에서 한자 표기가 메인으로 쓰이는 일이 거의 없고, 한국어의 장단 구분도 갈수록 사라지고 있어서 큰 의미는 없다.

2001년까지는 경기도 광주가 군이었기 때문에 광주'시'라고 하면 광주광역시를 말하는 것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었지만, 광주군이 시로 승격되면서 이제 단순히 '광주시'라고 하면 광주광역시로 오해할 소지가 생겼다. 그래서 현재는 광역시인 광주광역시의 규모가 더 크고 인지도 역시 비교할 수 없는 점을 고려해 그냥 '광주'라고만 하면 대부분 광주광역시를 일컫고, 광주시경기도 광주, 혹은 더 줄여 경기광주라고 구분지어 부르는 경향이 크다.[33] 은행 지점, 이마트, 고속도로 요금소 등 전국규모 사업체 지점도 '경기광주'라는 이름이 붙은 형태가 존재하며, 철도역도 광주광역시에 있는 역이 광주역, 광주시에 있는 역은 경기광주역이다.[34]

반대로 광주광역시가 직할시 승격 이전 전남에 속해있던 때 접했던 장년~노년층, 이들의 영향을 받은 중년층 일부는 광주광역시를 아직도 전남 광주, 전라도 광주라고 부르기도 한다.[35] 그 외에도 광주시 본토를 비롯해 인근 수도권 지역( 성남, 하남, 용인, 이천, 여주, 양평 등)에서는 광주광역시보다 경기도 광주시와 교류할 일이 더 많으므로 '광주'라고 하면 이쪽을 의미하는 편이다.[36] 지역 축협 경기도 광주시 역동에 소재 지부가 광주지구축협이고, 광주광역시에 있는 것은 광주광역시축협이다.

다른 구분 방식으로는 순우리말을 활용해 광주시는 '너븐골'이나 '너른골', 광주광역시는 '빛고을'이라 구분하기도 한다. 다만 광주광역시가 '빛고을'이라는 명칭을 비교적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과 달리, 광주시의 '너른골' 용례는 그렇게 많이 쓰이지는 않는 편. 비슷하게 한자의 의미 차이를 이용해 광주시를 '넓은 광주'라고 칭하기도 하는데, 과거 광주군 시절에는 광주군이 훨씬 넓었으나 수 차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지금은 광주광역시가 더 넓어서 그닥 들어맞는 구분법은 아니게 됐다.[37] 아니면 광주시의 중심지 이름을 따 경안(京安)[38]이라고 부르는 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여기 나오듯 주변 시와 '한성시'라는 이름으로 급하게 통합하려다 무산됐는데, 여기가 통일신라 시절 한주의 중심이던 것과 관련된 듯하다. 광주시/역사에 나오듯 '한주(漢州)'라는 명칭이 광주시의 어원이니 일리가 있다. 아무튼 둘다 시가 개칭한다면 쓰일 가능성이 제일 크다.

우리나라는 아니나 광주광역시와 결연중인 중국 광저우(广州)와고도 한국어 한자 독음이 같은데, 한자 표기까지 고려하면 광주시와 광저우시가 완전히 표기가 같다.

OBS 광주광역시에서 일어난 인화학교 사건을 보도하면서 경기도 광주시의 로고를 삽입하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하였다. #[39]

13. 대중문화 속의 광주

14. 관련 인물

분류:광주시 출신 인물 참조.

15. 관련 문서

16.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광주목

1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97455, #c3d89d 23%, #c3d89d 77%, #697455)"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3d89d><tablebgcolor=#c3d89d> 파일:허균 수결.svg 허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3d89d><colcolor=#000> 소속 <colbgcolor=#fff,#1f2023> 허씨 5문장 · 북인 · 선무원종공신 · 이달의 문화인물
가족 아버지 허엽 · 이복 형 허성 · 동복 형 허봉 · 동복 누나 허난설헌
이복 누나의 남편 우성전 · 동복 누나 허난설헌의 남편 김성립 · 조카 김희윤
매형 김성립의 이종사촌 신흠 · 딸 소훈 허씨의 남편 폐세자 이지
관련 인물 스승 ( 이달 · 사명당 · 류성룡)
제자 ( 서양갑 · 이식 · 기준격)
친구 ( 강변칠우 · 이매창 · 박엽 · 류몽인)
존경하는 인물 ( 정도전 · 이순신)
본이 되는 인물 ( 방회 · 이지)
작품 내 등장인물 ( 이달 · 홍길동)
주군 ( 선조 · 광해군)
관련 장소 허균 일가의 생가와 외갓집 강릉 · 허균의 친가 한양 건천동
허균 일가의 묘소 용인시 · 허난설헌의 묘소 광주시
친구 강변칠우의 거주지 여주시 · 이매창과 교류한 장소 부안군
관련 사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 계축옥사
작품 홍길동전 · 도문대작 · 그 외 작품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노비 · 특징 · 생애 · 창작물
평가 평가 · 사상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background: #FFF; border-radius: 4px"
파일:허균 수결.svg }}}

}}}}}}}}} ||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2] 2024년 10월 기준 [3] 광주시 가선거구 (퇴촌면, 남종면, 남한산성면, 송정동, 탄벌동): 주임록, 허경행
광주시 나선거구 (경안동, 쌍령동, 광남1동, 광남2동): 노영준
광주시 다선거구 (오포읍): 최서윤
광주시 라선거구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이주훈
광주시 비례대표: 조예란
[4] 광주시 나선거구 (경안동, 쌍령동, 광남1동, 광남2동): 오현주, 이은채
광주시 다선거구 (오포읍): 황소제
광주시 라선거구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박상영
광주시 비례대표: 왕정훈
[5] 광주시 제1선거구 (퇴촌면, 남종면, 남한산성면, 송정동, 탄벌동): 유영두 (초선)
광주시 제3선거구 (오포읍): 오창준 (초선)
광주시 제4선거구 (초월읍, 곤지암읍, 도척면): 유형진 (초선)
[6] 광주시 제2선거구 (경안동, 쌍령동, 광남1동, 광남2동): 임창휘 (초선) [7] 다만 남양주로 가는 육로는 현재 없어 남양주로 가려면 하남시나 양평군을 경유해야 한다. 그나마 가까운 다리인 관리교는 팔당댐과 이어져 있어 일반인 출입 금지라 사실상 하남시를 통해서 갈려면 팔당대교를 통해 가야 한다. [8] 광주군 시절이던 1999년부터 사용하고 있다. [9] 경기도 내에서 이 정도로 규제가 심한 곳은 남양주시 조안면이나 양평군 양서면 정도가 있는데, 모두 팔당댐과 접해있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10] 단대리·상대원리·탄리·수진리·복정리·창곡리 [11] 2022년 8월 수도권 홍수 사태로 인해 목현동 지역에서 인명피해가 발생하였다. [12] 경강선이 개통하기 이전까지는 웬만한 광주시민들이 죄다 인접지역으로 이동하려는 모습이 많이 보였다. 이로 인해 해당 지역을 오고가는 버스들의 수요도 덩달아 높았다는 것은 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4] 우편취급국 2곳 제외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6] 출장소 1곳 포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8] 여담이지만 '경기'광주가 아닌 그냥 광주라고 되어 있다. 광주광역시에 동명의 조합이 있는 것은 덤. [19] 면 이름이 남한산성면으로 바뀐 이후로도 계속 '중부'농협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20] 여담이지만 '경기'광주가 아닌 그냥 광주라고 되어 있다. [21] 지점만 2곳이다. 본점은 경기도 하남시에 있다. [22] 지역주민할인이 원래는 도척면 도웅리와 궁평리 주민들에게만 적용되었지만, 2020년대부터 혜택이 광주시 주민 전체로 확대되었다. [23] 주로 백화점, 마트, 병원, 외식, 문화 생활 등을 분당에서 지낸다. 대중교통 이용시 서현역에서 지하철로 환승한다. 신현동 초입에서 서현역까지 대중교통으로 20분이 소요된다. [24] 양평군으로도 가는 경우가 있고, 극히 드물지만, 구리시, 남양주시로도 가는 경우가 있다. [25] 2023년 3월 개교했지만, 건물 완공이 안 되어 임시로 고산하늘초에서 수업중 [26] 실제 가칭은 오포고등학교이다. 다만 고산고등학교로 개교할 가능성이 높기에 고산고등학교로 표시. [27] 지역응급의료센터 역할 수행 [28] 웬만한 서울 지역 방송은 거의 잡힌다. [29] 특히 경안동 [30] 이순재가 광주 이씨이다. [31] 2023년 완공 예정. [32] 헌법상 영토인 북한 지역까지 합치면 순천( 전라남도 순천시, 평안남도 순천시도 포함된다. [33] 비슷하게 서울특별시 용산구 대구광역시 달서구 용산동의 관계에서도 '용산'이라고만 하면 대체로 서울 용산구 일대를 뜻한다. 그래서 각종 업체가 대구 용산에 지점을 내면 그냥 '용산점'이 아니라 '대구용산점'으로 흔히 쓰곤 한다. [34] 물론 철도역의 경우 광주역 경기광주역보다 94년이나 일찍 개업한 점도 고려해야 한다. 애초에 지금의 광주시 관내는 한동안 철도 음영지역이었으니. [35] 광주광역시 거주자 중에도 수도권 출신으로 광주에 사는 사람들 또는 수도권쪽 업체와 업무를 보는 경우 소통할 때 말이 길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전라도 광주"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36] 일례로 광주시에 있는 광주종합터미널에도 광주광역시행 버스 행선지명이 광주(전남)으로 되어 있다. 이는 경기도 광주를 연고로 성장한 버스업체 KD 운송그룹의 영향으로, 광주 전남이었던 시절의 표기를 바꾸지 않고 관행적으로 남겨둔 것으로 보인다. [37] 지금의 서울 강남, 송파(잠실 제외), 강동, 하남, 성남까지 옛 광주군 영역이었다. 서울에 편입된 땅과 분리 승격된 성남, 하남을 포함한 광주시의 면적은 약 770㎢으로 현재의 서울보다 넓어 이름값하는 고장이었다. 더 옛날로 거슬러가면 고려 시대에는 현 경기도, 충청도 지역의 이름이 ' 양광도'였는데, 양광도의 '광'이 바로 이 광주다. ('양'은 양주) [38] 삼한시절에 존재했던 회안국(淮安國)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1917년 당시 광주군청이 경안면으로 옮겨온 이후 중심지로 발전했고, 현재도 경안동은 광주시의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다. [39] OBS가 경기·인천 지역 민영방송사다. [40] 출생지가 경기도 광주시이지만, 본격적으로 자란 곳은 경기도 고양시다. [41] 곤지암에 거주한다. [42] 다만 지역기반은 안성시에서 다졌다. [43] 1박 2일 첫 방송날 공개됐다. [44] 자택이 오포읍에 있다. [45] 당시 광주군 낙생면 출생이다. 현재 행정구역상으로는 성남시 분당구. 현 성남시 분당구 백현동에 과거 이완용의 생가가 있었다(현재는 소실). [46] 당시 광주군 낙생면 출생이다. 현재 행정구역상으로는 성남시 분당구 판교신도시. [47] 광주중학교에 재학하다가 중3때 제주도로 갔다. [48] 남양주시 조안면 마현(마재) 출신이나 광주시 출신 인물에 기재된 이유는 남양주시 조안면 지역이 구한말까지 원래 광주부 관할(당시 명칭은 초부면)이었다. [49] 광주광남중학교를 졸업하였다. [50] 광남초등학교, 탄벌중학교, 광주고등학교 출신이며 광주고 재학 중 성지고등학교로 전학갔다. [51] KD 운송그룹 회장이다. 경기여객(지금의 경기고속) 평사원 출신. 그래서 아웃광주 노선이 많은건가?! [52] 광주에서 태어났지만 부천, 인천, 춘천, 고창 등 자주 이사를 다녔다.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