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7 21:25:49

한글

hangul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언어에 대한 내용은 한국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워드프로세서에 대한 내용은 한컴오피스 한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이 문자의 과거이름에 대한 내용은 훈민정음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관련 문서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키릴 문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가나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 한국의 역사( 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 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수도권 · 충청 (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 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 견종) · 파충류 · 어류( 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 고유종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국회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정부 (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 헌법 · 10차 개헌( 내각제 담론)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중진국 함정 · 선진국 담론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 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 한국인 · 외국계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 문제점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JUSCANZ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 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 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 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 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 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 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 한국어 (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98, '07, '18)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
<colcolor=#121212>
한글
파일:한글.svg
{{{#121212 주시경체로 쓴 '한글'과 '조선글'.
<colbgcolor=#ededed> 유형 자질 알파벳
표기 언어 한국어
보조 표기 언어 가리어
찌아찌아어[1]
치뗌보어
콰라아에어
대만어 (대끼깐분)
월어 (읟의인맍)
공용 문자
지정국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북한|]][[틀:국기|]][[틀:국기|]]
창제 파일:조선 어기.svg 조선
완성 1443년 12월 ( 세종 25년, 음력)
반포 1446년 9월 초 (세종 28년, 음력)
창제자 세종 이도 [創]
기념일 10월 9일 ( 한글날, 대한민국[3]·미국 캘리포니아[4])
1월 15일 (조선글날, 북한)
9월 2일 (조선어언어문자의 날, 중국)
언어별 명칭
한국어 한글 표기 한글( 표준어·국제 표준)
조선글( 문화어)
한자 표기 韓㐎
朝鮮㐎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Hangeul
Joseongeul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Han'gŭl
Chosŏn'gŭl
영어 Hangul[5]( [ˈhɑːnɡuːl] HAHN-gool)
Korean alphabet
중국어
(간체)
韩国文字, 韩字, 韩文
朝鲜文字, 谚文[中]
중국어
(정체)
韓國文字, 韓字, 韓文
朝鮮文字, 諺文[中]
일본어 ハングル
러시아어 Хангы́ль
чосонгыль
корёгы́ль
문자 코드
ISO 15924 Hang (286); Jamo (284)
유니코드
유니코드 범위 U+1100 – U+11FF (한글 자모)
U+3130 – U+318F (한글 호환 자모)
U+A960 – U+A97F (한글 자모 확장-A)
U+AC00 – U+D7AF (한글 음절)
U+D7B0 – U+D7FF (한글 자모 확장-B)

1. 개요2. 명칭3. 역사4. 자모
4.1. 자음4.2. 모음4.3. 한글 자모 목록
5. 현대의 한글
5.1. 비한국어 지역에서의 이용5.2. 예술적 이용5.3. 모아쓰기와 풀어쓰기
6. 중세 및 근대의 한글 문헌7. 문제점과 논쟁8. 외국인이 본 한글9. 한글의 로마자 표기와 외국어 표기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한글은 (현대 이전이 아닌) 현대 한국어[8] 또는 한국어족[9] 언어의 표기에 쓰이는 문자로, 남한 북한공용 문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현대 기준 기본자음 14자와 기본모음 10자로 구성된 총 24자의 음소문자이며, 자음과 자음, 모음과 모음끼리 합쳐서 새로운 자형을 만들 수 있다. 사용할 때는 모아쓰기를 하여 한 글자가 1음절을 나타내는 음절문자적 특성을 지니기도 한다. 자질 문자로 분류되기도 한다. 또한 전 세계의 문자들을 통틀어 이집트 상형문자 한자( 갑골문) 그 어느쪽에도 기반을 두지 않고 완전히 독자적으로 창제된 몇 안 되는 문자 가운데 한 종류다.

조선 제4대 국왕 세종과 왕자들이 직접 창제[創]하고 1443년에 완성하였으며, 1446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으로 동명의 서적과 함께 반포했다.

2. 명칭

오늘날에는 '한글'이라는 명칭이 매우 널리 쓰이지만 '한글'이라는 명칭은 20세기에 등장한 것으로 그 역사가 한글 전체의 역사에 비하면 짧은 편이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반포했을 당시에는 배우고 익히기 어려운 한자와 구별하여, 주로 백성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글이라는 뜻에서 언문(諺文)이라고도 불렸다. 흔히 언문에 대해 '한글을 낮춰 부르는 말'이라는 오해가 있으나, 사실 '언문'이라는 명칭을 처음 사용한 것은 창제자인 세종대왕 본인이었기 때문에 당초에는 비하적 의미가 없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한글을 낮춰 부르는 명칭은 언문이 아니라 ‘암글’(암클)이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한글/역사 문서로.

구한말에는 '나라의 글'이란 뜻으로 '국문(國文)'이라 불렀으며 지금도 종종 국문이라 칭해진다. 그러다 일제강점기를 전후하여 '한글'이라는 이름이 등장했고, 이것이 오늘날 한글을 가리키는 표준 명칭이 되었다. '한글'이라는 이름의 유래와 작명자에 대하여서는 꽤 다양한 견해가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견해는 '한글'이라는 이름을 주시경이 처음 작명했으며 문헌에 처음 사용한 것은 그가 1912년 경에 저술한 《소리갈》( 음성학)이라는 것이다. 당대인의 증언 가운데에는 임규가 1936년에 쓴 '주시경론'에서 주시경을 한글의 작명자로 회고한 예가 있다. 주시경은 1911년에 '국어'라는 말 대신에 '배달말'이라는 말을 쓴 적이 있었는데, 아무래도 ' 배달'이라는 단어가 생소할 수 있어 '한말', '한글'이라는 표현으로 바꾼 듯하다. ( 고영근 2003: 140)(고영근(2003), '한글'의 作名父는 누구일까, 새국어생활 2003년 봄.)
원문: 이 소리갈은 이 한글로 말하엿으나 이 까닭을 닐우어 어느 글이든지 보면 그 소리의 엇더함을 다 알리라.
해석: 이 소리갈은 한글로 적었는데, 이 까닭을 이르자면 어느 글이든지 보면 그 소리가 어떠한지 다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시경, 소리갈

다른 설로는 박승빈의 증언에 따라 최남선이 융희 말년 즉 1910년에 朝鮮光文會에서 열린 한 회의에서 작명했다는 견해가 있다.
최남선씨 경영 光文會 내에서 주시경씨가 조선어를 연구하던 당시에 주씨는 한자 전폐론자로서 또 조선문을 존숭하고자 하는 감정으로 「언문」의 명칭을 버리고자 하여 그 대용어를 고색(考索)하는 중에 최씨로부터 「한글」이라고 명명하여 주씨도 이에 찬동하여 이후로 사용된 말이라.
박승빈,〈한글맞춤법통일안비판〉(1936), 고영근(2003: 195)에서 재인용

최남선이 처음 '한글'이라는 이름을 지었고 주시경도 이에 찬동했다는 이야기이지만, 남아 있는 다른 회의록이 없고 박승빈의 증언뿐이어서 주시경설의 지지자들은 이를 신뢰하지 않는다. 같은 시기에 나온 동시대인의 증언인 임규의 회고와도 상반되기 때문이다.
주시경설의 지지자들은 또 문헌에서 최남선이 '한글'을 처음 사용한 것이 1913년의〈아이들보이〉지(誌)의 「한글풀이」란이라는 점을 들어 최남선의 '한글' 사용이 주시경보다 선행하였다고 보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서는 두 가지 반론이 가능하다. 첫째는 '한글' 명칭이 (명명자가 누구이든간에) 1910년 조선광문회에서 합의된 사항이라면 그 이후에 누가 먼저 문헌에서 사용하였든 한글 명명자의 타이틀을 가져가는 것과 무관하다는 점. 둘째는 《소리갈》이 1910~1914년 무렵으로 편찬 시기가 상고되고 있을 뿐 정확히 1912년에 집필되었다고 확인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임홍빈 2007:23)

1980-90년대에는 민족대표 33인의 한 명인 이종일이 한글의 명명자라는 설도 있었으나 이 설 자체가 사료에 대한 오독에 기인한 것이고 더군다나 유일한 근거 사료인 묵암비망록(옥파비망록)이 위서로 판명되면서 완전히 사장되었다.


'한글'의 의미에 대해서 세간에서는 '크다, 많다'를 의미하는 고어 '하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많이 퍼져있다 Lee & Ramsey 2000: 13(The Korean Language.). 이는 박승빈의 증언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융희 말년 조선 광문회에서 조선어 정리에 대하여 여러 가지 계획을 세울 때에 조선문자를 조선어로 부르자면 무엇이라고 함이 적당할까 하는 문제가 생겨 마침내 세계 문자 중의 가장 거룩한 왕자란 뜻으로 ‘한글’이라 부르자는 말이 가장 유력하니 ‘한’은 大를 의미함과 함께 韓을 표시하는 말임에 말미암은 것입니다.
박승빈,〈조선상식문답〉(1946), 고영근(2003: 195)에서 재인용
그러나 〈보중친목회보〉(1910. 6)에서 ‘國語’를 ‘한나라말’, ‘國文’을 ‘한나라글’로 바꾼 것을 보면 '한글'은 '한나라글'의 준말에서 왔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즉, '한글'의 '한'이란 '위대한'이라기보다는 '한국(韓國)'에 대응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영근 2003: 139). 또, 언어를 지칭하는 표현으로 '한말'이라는 표현도 쓰였다는 점은 '한글'의 '한'이 '위대하다'일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근래에 잡지나 신문에 흔히 쓰는 것과 같이 ‘한글’이라 함은 조선 총독부 편찬의 〈朝鮮語辭典〉에도 쓰인 바 韓文을 조선말로 그냥 읽어 ‘한글’이라 한 것이요 韓文이라고 그냥 음대로 정음으로 쓰면 지나글 漢文과 음이 혼동될 혐의도 있어 이것도 피한 것이다.
권덕규, 조선어강좌(1933), 안병희(1985)[11]에서 재인용, 고영근(2003: 143)에서 재재인용.
권덕규의 회고 역시 '韓'을 '한'으로 적었다는 가설에 설득력을 보충한다.

이러한 사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는지 아니면 '한글'과 '대한제국'의 '한'이 단순히 동일해서 의식했던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북한에서는 자국을 지칭하는 표현으로 '(韓)'을 쓰지 않기 때문에 '한글'이라는 명칭도 '조선글'로 바꿔서 쓰고 있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글/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자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글/자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글 자모의 용법에는 한국어를 표기하는 것과 한국어의 발음을 표기하는 것이 있으므로, 이하의 내용을 읽을 때는 이 두 가지 용법을 확실히 구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국화'라는 단어를 표기하는 데 'ㄱ', 'ㅜ', 'ㄱ', 'ㅎ', 'ㅘ'라는 자모를 사용하는 것은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서이고, '국화'의 발음을 [구콰]로 표기하는 데 'ㄱ', 'ㅜ', 'ㅋ', 'ㅘ'를 사용하는 것은 한국어의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아래 또한 자모의 발음은 각각의 자모가 한국어의 음소 중에 어떤 것을 표기할 때 사용하는지 설명하는 데에 그치며, 구체적인 음가는 한국어 문서로. 또한 일부 항목에서는 이음과 음소의 개념을 혼동하고 있으니 유의 요망.

각 기본자모의 명칭은 훈몽자회에서 기인했다. 훈몽자회 문서의 언문 자모 문단으로.

4.1. 자음

한글 기본 자음 쓰기 영상
현용하는 현대 한글의 기본 자음과 자모는 다음과 같이 14자이다.

<colbgcolor=#f5f5f5,#2d2f34> 문자 이름 대응 음소 음운 변동
남한 북한
기역 기윽 /k/ /ㄱ/, /ㅋ/[A], /ㄲ/[B], /ㅇ/[C]
니은 /n/ /ㄴ/, /ㄹ/[15]
디귿 디읃 /t/ /ㄷ/, /ㅌ/[A], /ㄸ/[B], /ㄴ/[C], /ㅈ/[D], /ㅊ/[20]
리을 /l/ /ㄹ/, /ㄴ/[21]
미음 /m/ /ㅁ/
비읍 /p/ /ㅂ/, /ㅍ/[A], /ㅃ/[B], /ㅁ/[C]
시옷 시읏 /s/ /ㅅ/, /ㅆ/[B], /ㄷ/[G], /ㄴ/[H]
이응 무음[E], /ŋ/[F] /ㅇ/, /ㄴ/[30]
지읒 /t͡ɕ/ /ㅈ/, /ㅊ/[A], /ㅉ/[B], /ㄷ/[G], /ㄴ/[H]
치읓 /t͡ɕʰ/ /ㅊ/, /ㄷ/[G], /ㄴ/[H]
키읔 /kʰ/ /ㅋ/, /ㄱ/[G], /ㅇ/[H]
티읕 /tʰ/ /ㅌ/, /ㄷ/[G], /ㄴ/[H], /ㅊ/[D]
피읖 /pʰ/ /ㅍ/, /ㅂ/[G], /ㅁ/[H]
히읗 /h/ /ㅎ/, /ㄷ/[G], /ㄴ/[H]
자음 이름이 연음될 때 'ㅋ'은 /ㄱ/, 'ㅍ'은 /ㅂ/, /ㄷ/로 끝나는 자음은 /ㅅ/로 소리가 바뀐다.

이외에 현대 한국어에 사용되지 않는 3개의 기본 자음이 있으며, 각각의 명칭은 비공식적인 것이다.
<colbgcolor=#f5f5f5,#2d2f34> 문자 이름 소리
반시옷 /z/[추정]
옛이응 /ŋ/
여린히읗 /ʔ/[47]

된소리는 기본 자음 자모를 겹쳐 써서 표현하며, 현재 사용하는 것은 다음의 5자다.
<colbgcolor=#f5f5f5,#2d2f34> 문자 이름 소리
남한 북한
쌍기역 된기윽 /k͈/
쌍디귿 된디읃 /t͈/
쌍비읍 된비읍 /p͈/
쌍시옷 된시읏 /s͈/
쌍지읒 된지읒 /t͡ɕ͈/

겹받침을 표현할 때는 서로 다른 기본 자음 자모를 나란히 쓴다.

4.2. 모음

한글 모음 쓰기 영상
현용하는 한글의 기본 모음 자모는 다음의 10자이다.

<colbgcolor=#f5f5f5,#2d2f34> 문자 이름 소리 음운 변동
/ɐ/ /ㅏ/
/jɐ/ /ㅑ/
/ʌ̩/ /ㅓ/
/jʌ̩/ /ㅕ/, /ㅓ/
/o/ /ㅗ/
/jo/ /ㅛ/, /ㅗ/
/u/ /ㅜ/
/ju/ /ㅠ/
/ɯ/ /ㅡ/
/i/ /ㅣ/

이하의 모음 자모는 기본 모음 자모를 합쳐서 만든 것으로, 총 21자이다.
<colbgcolor=#f5f5f5,#2d2f34> 문자 이름 소리 음운 변동
/ɛ/ /ㅐ/
/jɛ/ /ㅒ/, /ㅐ/
/e/ /ㅔ/
/je/ /ㅖ/, /ㅔ/
/wɐ/ /ㅘ/
/wɛ/ /ㅙ/
/ø/ /ㅚ/, /ㅞ/[48]
/wʌ̩/ /ㅝ/
/we/ /ㅞ/
/y/[49] /ㅟ/
/ɯj/~/ɰi/ /ㅢ/, /ㅣ/, /ㅔ/

과거에는 [50]라는 모음 자모도 있었으며, ㆍ와 ㅣ가 결합한 이중모음 자 ㆎ도 자주 쓰였다.

입 안에서 각 발음이 되는 위치에 대해서는 모음사각도 문서로.

4.3. 한글 자모 목록

현재 사전이나 컴퓨터 한글 코드에서 한글 자모는 다음 순으로 배열한다. 한글 맞춤법 제4항 붙임 2와 그 해설에 따른 것이다.

한글 기본 자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5%;"
{{{#!folding [ 현대 한글 ]
{{{#!wiki style="margin:-6px -1px -10px"
<colbgcolor=#eee,#000> 기본 자모
자음(14개) · · · · · · · · · · · · ·
모음(10개) · · · · · · · · ·
기타 자모
자음 겹자음(5개) · · · ·
겹받침(11개) · · · · · · · · · ·
겹모음(11개) · · · · · · · · · ·
}}}}}}}}}
[ 옛한글 ]
||<tablewidth=100%><-3><width=1000> · 개별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옛한글/자모 문서 참고
· 일부 자모는 옛한글 글꼴이 필요함
||
기본 자모 · · ·
중국어 표기용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ᄼ · ᄾ · ᅎ · ᅐ · ᅔ · ᅕ)
기타 한글 초성 채움 문자
겹자모

각자
병서
· · 훈민정음의 치두음과 정치음(ᄽ · ᄿ · ᅏ · ᅑ) · · ·
합용
병서
ㅂ계 합용병서(ㅲ · ㅳ · ㅄ · ㅶ · ㅷ)
ㅅ계 합용병서(ㅺ · ㅼ · ㅽ · ㅾ)
ㅄ계 합용병서(ㅴ · ㅵ · ᄤ · ᄥ · ᄦ · ꥲ)
연서 · 훈민정음의 순경음(ㆄ · ㅸ · ㅹ · ㅱ)
중성 · · · · · (ᆖ) · (ᆢ) ·
종성 · ·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000><table bordercolor=#555> 유니코드 한글 자모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2em"
{{{#!folding [ 호환용 한글 자모 ]
{{{#!wiki style="margin:-5px 0 -5px"
<colbgcolor=#eee,#222>
U+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구분
313
-
314
315
316
HF
317
318
-
}}}}}}}}}
[ 첫가끝 한글 자모 ]
||<table bgcolor=#fff,#000><colbgcolor=#eee,#222><rowbgcolor=#eee,#222>
U+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구분 ||
110
초성
111
112
113
114
115
HCF
116
HJF 중성
117
118
119
11A
중성 종성
11B
종성
11C
11D
11E
11F
A96
초성
A97
- - -
D7B
중성
D7C
- - - - 중성 종성
D7D
종성
D7E
D7F
- - - -

}}}
일부 자모는 옛한글용 글꼴이 필요 /
██
유니코드 5.2에서 추가 /
██
ㅇ → ㆁ 합용 병서로 변경
HCF는 초성 채움 문자, HJF는 중성 채움 문자로, 초성이나 중성이 없는 문자를 쓸 때 사용

5. 현대의 한글

5.1. 비한국어 지역에서의 이용

동남술라웨시의 부톤섬 찌아찌아족의 언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한글보급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 때 중단된 것이 아니냐는 얘기도 있었고, 바하사 찌아찌아 1권의 잘못된 내용, 2권의 저작권 문제 등 논란이 있지만 계속 진행 중인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찌아찌아어 문서로.

한류 및 한국으로의 취업으로 인한 한국어의 위상이 21세기 들어 이전 대비 높아져서 전문적으로 TOPIK을 준비하거나 취미로 한국어를 배우려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 현대 한국어의 문자체계인 한글을 음독할 수 있으면 한국어 공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본 쓰시마 섬에서 전해지는 아비루 문자 일본어 오십음도 체계를 바탕으로 한글을 변형하여 일본어를 표기하도록 만들어졌다.

5.2. 예술적 이용

파일:external/sports.chosun.com/4av23009_1.jpg 파일:external/c.hani.co.kr/0b85d78c5b63f98815cb48c1428f0bb1.jpg 파일:external/image.named.com/956add17a5e4f4f8525a3f618c9266e7_gNNPPJdenkFfOxSJlw2h5x4YO.jpg
문자적인 쓰임 말고도 디자이너들이 예술적인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며, 대표적인 예가 디자이너 이상봉이다. 한때 화제가 된 브리트니 스피어스의 '호남 향우회' 드레스나 외국인 남자가 당당하게 입고 있던 '새마을' 셔츠는 그렇게 만들어진 것이다.
파일:external/image.chosun.com/2009061900912_1.jpg 파일:external/www.segye.com/20101007003383_0.jpg
중동 시장에서도 꽤 돌아다니는 듯하다. #57초부터 아마 헌옷 기부 운동으로 전달된 옷으로 보인다.

베이퍼웨이브에서도 일본어 가나 문자 다음으로 자주 차용되는 문자다. 이에 맞먹거나 좀 앞서는 건 한자 정도다.

림프 닌자 - 깨졌어
해외 데모씬 비디오 그룹 가운데 하나인 '림프 닌자'에서 제작한 데모중 하나다. 이외에도 '림프 닌자'라고 한글로 검색하면 여러 비디오가 나오는데 2010년대부터 한글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룹 정보를 보면 네덜란드에 기반한 그룹으로, 한국인 멤버가 전혀 없는데도(추정) 한글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어색한 부분이 몇몇 있지만 번역기의 어색함보다는 일반적인 인간 어학학습의 차이에서 오는 어색함에 가깝다. 특히 몇몇 한글이 사용되기 시작한 비디오는 베이퍼웨이브가 유행하기 전부터 있던것이라 베이퍼웨이브 유행에 편승한것과 전혀 관련이 없다.

5.3. 모아쓰기와 풀어쓰기

한국어 문체 문법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7cefa,#01558a> 존댓말
(높임)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 하소서체)
예사높임
하오체
두루높임
해요체
낮춤말
(낮춤)
아주낮춤
해라체
예사낮춤
하게체
두루낮춤
해체
( 반말)
구어체 음성적 잉여표현 반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문어체 간결체 만연체 강건체 우유체 건조체 화려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국문법 맞춤법
모아쓰기 / 풀어쓰기 띄어쓰기 가로쓰기/ 세로쓰기
국한문혼용체 국한문병용체 한영혼용체 병기 ( 한자 병기)
개조식 발음대로 적기 읍니다 압존법
일반 문체 / 방언 문체
}}}}}}}}} ||

창제된 이래로 한글의 주요 특징으로 자리 잡은 것이 '모아쓰기'다. 모아쓰기에서 벗어나고자 한 시도가 ' 풀어쓰기'다.

한글은 낱자를 바로 일렬로 배열하는 것이 아니라 초성(자음)-중성(모음)-종성(자음)으로 된 음절 단위로 블록을 만들어 모아 쓰도록 하고 있다. 모아쓰기는 대체로 한국어의 음절 개념과 1:1로 대응되는 표기 방식으로 받아들여 진다. 모아쓰기로 인해 한글은 음소 문자인 동시에 음절 문자적 요소를 가지게 된다.

모아쓰기는 한국어 음절을 표기하는 방법인 동시에 한국어의 음절 단위를 '자음-모음' 또는 '자음-모음-자음'의 형태로 강제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자음과 모음이 언제나 같이 발생한다는 규칙 때문에 이러한 규칙을 벗어난 성절 자음의 표기는 어렵다.
비슷한 이유로 외래어의 경우 모음이 추가되어 음절이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spring'의 경우, 모음 'i'를 중심으로 앞에는 세 자음 'spr', 뒤에는 한 자음 'ng'이 붙은 형태이므로 한글로 엄밀히 옮기면 1음절 'ㅅㅍ링'이 될 것이나, 한국어에는 어두 자음군이 없으므로 'ㅅ'과 'ㅍ'에 'ㅡ' 모음을 첨가하여 결과적으로 '스프링'이라는 3음절이 된다. 'English' 역시 Eng·lish'의 2음절이나, 끝 자음 'sh'는 한국어에 음운으로서 별도로 존재하는 게 아니라 'ㅅ' 뒤에 'ㅣ'나 반모음 'y[j\]'가 붙었을 때만 유도되므로 'lish'이라는 1음절이 '리시'라는 2음절로 표기된다. 이 외에도 'hour'는 영어에서는 하나의 음절로 취급하지만 한글로는 '아워' 혹은 '아우어'로 2~3음절로 나누어 표기한다.

모아쓰기는 외국인들이 한글을 배울 때 어려움을 느끼는 한 요소다. 자모를 배우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자모를 모아쓰고 이것을 음절로서 발음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글의 기본을 익혔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모아쓰기는 완성된 글자 하나의 조합의 수를 크게 증가시켜 컴퓨터의 완성형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 제약이 많았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조합형이 만들어져 한동안 널리 쓰이기도 했다. 결과적으로는 다시 완성형으로 수렴하였으며 현재 유니코드에서 현대 한글 자모들의 조합 11,172자를 전부 지원하고 있다. 옛한글 자모까지 포함한 경우 1,638,750자가 필요한데 이는 현 유니코드에 포함될 수 없기에 옛한글 자모를 쓰려면 여전히 조합형을 필요로 한다.[51] 자세한 것은 유니코드 문서로.

모아쓰기의 장점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주로 가독성에서의 이점을 든다. 단어의 형태가 눈에 빨리 들어온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형태소를 보존할 수 있다는 점을 들기도 한다. 다만 초성 ㅇ을 안 쓰는 풀어쓰기 안이 쓰는 안보다 많아서 일반적으로는 모아쓰기의 장점으로 이야기되지만 엄밀히 말해 풀어쓰기가 꼭 형태소 보존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풀어쓰기 주창자들은 또 이 부분을 단점으로 잘 보지 않고 오히려 맞춤법을 간결하게 고칠 수 있는 장점으로 여겨서 초성 ㅇ을 빼버리는 걸 선호한다. 이처럼 서로 상반된 모아쓰기와 풀어쓰기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풀어쓰기 문서로.

6. 중세 및 근대의 한글 문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글/옛 문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문제점과 논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글/문제점 및 논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외국인이 본 한글

다른 주류 문자들에 비하면 알파벳들의 획이 극도로 간소화 되어 있는 모더니즘의 경향성을 띄고 있고, 죄다 반듯반듯이 각지어 있고 단순한 형태기 때문에 베르베르어 이누이트어처럼 처음 접하는 외국인들에겐 기하학 서적에나 나올 법한 일련의 도형들로 보이는 듯하다. 가령 'ㅇ'과 'ㅁ'은 사각형이고 'ㅣ'나 'ㅡ'는 직선인데, 비슷하게 'O'나 'I'를 갖고 있는 로마자나 키릴문자가 단순히 나열하고 마는 것과는 달리 초중종성에서 서로 끝없이 조합되는 데다가 'ㄹ'과 'ㅍ', 'ㅔ' 등 모든 알파벳들이 단순하고 각져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서울이나 부산 같은 대도시에서 한글 간판들이 네온사인 빛을 내뿜으며 마천루가 늘어선 야경에 섞여 있는 모습을 보노라면 상당히 사이버펑크스럽게 느껴진다고. 그 덕에 사이버펑크 창작물에선 오래전부터 해당 장르의 본산지인 미국의 로마자와 일본의 가나 및 한자 다음으로 단골 오브제로 채용되어 사이버펑크 특유의 미장센을 구성하는 일원으로 애용되고 있다. 〈 토탈 리콜 리메이크〉, 〈 총몽〉,〈 스텔라리스〉, 〈 공각기동대 SAC 2045〉, 〈 블레이드 러너 2049〉등이 대표적이다. #1 #2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들은 (한글을 모르는) 친구들에게 동그라미, 네모 같은 도형이 진짜 글자냐며 신기하다는 얘기를 종종 듣는 것 같다. 비정상회담 16회에서도 패널들이 이 얘기를 한 바 있다.

외국인 눈에 보이는 한글의 느낌을 우리도 간단하게 체감할 수 있다. 한글이 나와있는 이미지나 화면을 좌우 반전하거나 상하 반전시켜 보는 것. 만약 당신이 이 글을 모바일로 보고 있다면 폰 화면을 거꾸로 놓으면 된다.[52] 이렇게 보면, 우리 눈에도 한글이 전부 네모, 동그라미 천지인 이미지로 느껴질 것이다. 다만 반전시키면서 원래의 비례나 균형감 등 심미적인 요소들은 상당 부분 훼손되므로 대략적인 느낌만 상상하도록 하자.

파일:애국가 상하좌우 변경.jpg

애국가 상하반전 버전. 대강 이러한 느낌인 것이다.

일본 애니메이션 장송의 프리렌에 나오는 마법진에서 한글이 적혀서 화제가 되었는데, 사실은 클립 스튜디오에서 한글처럼만 보이는 브러쉬인 '한글인척' 브러쉬를 쓴 것이었다. 작가인 일본인에게도 각지고 원과 네모가 있는 한글이 마법진에 장식용으로 적합하다 느껴졌는지 디자인적으로 채용한 것으로 보인다.

9. 한글의 로마자 표기와 외국어 표기

한국어 명사 '한글'의 로마자 표기는 2000년에 개정된 문화관광부식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면 hangeul이지만, 그 이전부터 쓰이던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han'gŭl이고, 부호를 생략한 hangul이라는 표기가 국내는 물론 해외 학계(특히 영어권)에서도 2000년 이전부터 훨씬 널리 쓰이고 있었다. 이와 비슷한 경우로 kimchi, chaebol 등이 있다. Chaebol은 한국어 ' 재벌'에서 유래한 단어로,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른 chaebŏl을 거쳐 chaebol이 되었다.

사실 단순히 우리끼리 쓰는 표기라면 몰라도 이미 영어 같은 타국 언어에 'hangul'이라는 표기가 자리잡은 한 우리가 맘대로 바꾸는 것도 쉽지 않고, 바꿀 필요도 적은 것이 현실이다. 즉, 한국에서 '한글'이라는 단어를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으로 적으면 'hangeul'이지만, 영어에서 '한글'이라는 단어를 나타내는 '영어 단어'는 'hangul'이라는 거다.

같은 주장을 하는 다른 관점으로는 한글 홍보 차원에서라도 그냥 바꾸려 시도하지 말고 두는 게 나을 거란 의견도 있다. 삼성(Samsung), 현대(Hyundai), 기아(Kia)[53]등의 대기업들이 자사 사명의 영문 표기가 현재 로마자 표기법에 맞지 않음을 알면서도 브랜드 가치의 연속성을 고려해 기존 표기를 그대로 사용 중인 것을 생각하면 쉽다.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북한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24FA2><colcolor=white>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 국화 · 국수 · 국조 · 국견 · 국주
역사 역사 전반
지리 관서 · 관북 · 해서 · 관동
인문환경 한민족 ( 북한인) · 문화어 · 행정구역 ( 주소체계) · 교통
인물 · 가계도 · 김일성 · 김정일 · 김정은
사상·이념 이념 전반 · 최고존엄 · 백두산절세위인 · 백두혈통 ( 가계도) · 주체사상 ( 사회주의 대가정론) · 배움의 천리길 · 수령결사옹위정신 · 피포위 의식 · 대조선적대시정책 · 령토완정 · 자력갱생 · 강성대국 · 지상락원 · 우리식 인권
정치·안보 정치 전반 · 조선로동당 · 국무위원회 · 최고인민회의 · 따뜻한 환영의 음악
외교 전반 · 남북관계 ( 아프리카 외교전) · 남북러관계 · 남북통일 · 대북제재 · 비전향 장기수 · 적대적 두 국가론 ( 괴뢰한국)
조선인민군 ( 육군 / 해군 / 공군 / 전략군) · 군복 · 열악한 현실 ( 빈곤함 / 수송능력) · 징병제 · 핵개발 · 미사일 개발 · 열병식 · 대남 도발 ( 원인) · 대남공작기관 ( 남파공작원) · 땅굴
사법·규범 사법 전반 · 중앙검찰소 · 중앙재판소 · 사회안전성 · 국가보위성 · 보위국
교시 · 당의 유일적령도체계확립의 10대원칙 · 조선로동당규약 · 사회주의헌법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1980년대의 대규모 정책 실패 · 2023년 · 2024년) · 북한 원 · 북한의 국채 · 지하자원 · 산업 · 돈주 · 장마당 · 북한산 상품 · 주체농법 · 비날론 · 8.3 인민소비품 · 조선우편 · IT ( 휴대전화 / 게임 / 이동통신 / 광명망) · 아파트 · 차량
사회 사회 전반 · 우상화 ( 우상화 교과서 / 태양상 / 초상휘장 / 김일성김정일동상 / 1호 사진) · 조선대백과사전 · 조선중앙년감 · 공민증 · 맹원증 · 조선로동당당원증 · 계급 ( 기본 군중 / 복잡한 군중 / 적대계급잔여분자) · 조선소년단 · 궐기대회 · 생활총화 · 훈장 · 인권 · 려행증 · 주체의학 · 금당 2호 · 꽃제비 · 정치범수용소 ( 형성 / 실상)
문화 문화 전반 · 문화 검열 · 요리 · 기호식품 · 노래 · 창작물 ( 콘텐츠 목록 / 북한 영화) · 스포츠 ( 축구 대표팀) · 관광 ( 개성 / 금강산) · 북한의 한국 묘사 · 북한 유튜브 채널 · 북한의 한류 · 소해금
기타 주체년호 · 공휴일 · 한반도의 지도자 목록 · 납북 · 월북 · 탈북 ( 과정과 사례 / 북한이탈주민) · 대북송금 · 대북전단 · 북한의 국가장 · 북한 관련 뉴스
북한 관련 둘러보기 틀 }}}}}}}}}

분절 문자의 계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이집트 상형 문자 신관문자 민중문자 메로이트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우가리트 문자
페니키아 문자 고대 히브리 문자 사마리아 문자
아람 문자 카로슈티 문자
브라흐미 문자 바티프롤루 문자 칸나다 문자
텔루구 문자
팔라바 문자
참 문자
그란타 문자 싱할라 문자
말라얄람 문자
타밀 문자
크메르 문자 태국 문자
라오 문자
카위 문자 발리 문자
순다 문자
자바 문자
바이바이인 문자
버마 문자
굽타 문자 실담 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캐나다 원주민 문자
모디 문자
구자라트 문자
난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가우디 문자 동부 나가리 문자
오리야 문자
네팔 문자 란자나 문자 소욤보
티베트 문자 파스파 문자
타나 문자
시리아 문자 나바테아 문자 아랍 문자 타나 문자
페르시아 문자
자위 문자
응코 문자
소그드 문자 돌궐 문자 로바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팔라비 문자 아베스타 문자
히브리 문자
팔미라 문자
만다야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 로마자 체로키 문자
오세이지 문자
프레이저 문자
데저렛 문자
홋착 문자
룬 문자
오검 문자
콥트 문자
고트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 아부르 문자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티피나그 문자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남아랍 문자 그으즈 문자
고대 북아랍 문자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한자문화권의 문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지역 현재 사용되는 문자 사라진 문자
대한민국 한글 구결 · 옛한글
한자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한글 전 한국어 표기
대만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홍콩 · 마카오
중국 대륙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 내몽골) · 고장자( 광시) · 신장자( 광시) · 티베트 문자( 티베트) · 위구르 문자( 위구르) · 동파 문자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싱가포르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502 간체자
일본 신자체 만요가나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헨타이가나
베트남 쯔꾸옥응으 쯔놈 }}}}}}}}}

[1] 공용 문서에서는 라틴 문자(로마자) 표기가 보편적이며, 한글을 교육용·보조 문자로 채택하였다. [創] 조선왕조실록의 최만리의 상소문 부분에서 동궁(문종)의 창제 참여를 세종이 직접 인정하고 있다. 한글/역사 문서로. [3] 국경일이자 법정 공휴일이다. [4] 주 차원의 기념일. 2019년 9월 9일 캘리포니아주의회에서 기념일 제정안이 통과되었다. [5] 대외적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표기. 상기된 매큔-라이샤워 표기 'Han'gŭl'에서, 음절 구분을 위한 어퍼스트로피( ' ) 및 /ㅡ/를 /ㅜ/와 구별하기 위한 반달표(˘)를 생략한 표기이다. [中] /yànwén/(언문). 한국에서는 조선시대 이후로는 사용되지 않는 예스러운 명칭이나, 중국어 화자들은 아직도 한글을 가리켜 이렇게 칭하는 경우도 있다. [中] [8] 비교언어학 고립어(Language Isolate)로 볼 경우. [9] 제주어까지 포함시켜 비교언어학상 한국어족(Koreanic languages)으로 분류할 경우. [創] [11] 「방송교재 ‘조선어강좌’에 대하여」, 국어연구 13권 2호(1985). [A] 격음화(거센소리되기) [B] 경음화(된소리되기), 사잇소리 현상 [C] 비음화 [15] 유음화 [A] [B] [C] [D] 구개음화 [20] 구개음화와 격음화 [21] 비음 받침 뒤에서 [A] [B] [C] [B] [G] 음절의 끝소리 규칙 [H] 음절의 끝소리 규칙과 비음화 [E] 초성에서 [F] 종성에서 [30] 사잇소리 첨가 [A] [B] [G] [H] [G] [H] [G] [H] [G] [H] [D] [G] [H] [G] [H] [추정] [47] ㄱ,ㄷ,ㅂ,ㅅ,ㅈ 앞에 여린히읗이 있다면 ㄱ,ㄷ,ㅂ,ㅅ,ㅈ가 된소리가 된다. 중세 국어 시기 관형사형 전성 어미 '-(ᄋᆞ/으)' 등에 쓰여 뒤에 이어지는 체언의 첫 예사소리를 된소리로 만들었다. e.g. 호ᇙ배[홀빼\]('ㅐ'는 하향 이중모음 [aj\]이다.) [48] 허용발음 [49] 허용발음: /ɥi/~/wi/ [50] 일명 아래아라고 하는데, 지금도 아래아의 정확한 음가는 불명이다. 다만 영어의 pluck을 발음할 때의 u 음가인 /ʌ/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도 제주어를 표기하기 위해 쓰이지만, 표준어 사용 지역에서 쓰인 아래아가 아니라 지역어 사용 지방에서 쓰이면서 구전된 발음이라 표준 아래아 발음은 정확히 모른다. [51] 이론적으로 유니코드는 32비트를 사용하므로 42억여 글자를 표현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하위 호환성을 위해 1,114,112자만이 사용 가능하다. [52] 단, 화면 자동 회전 기능은 꺼야 한다. [53] '기아'의 경우, 실제 발음인 [ki.a\]과 MR식 표기를 고려했을 때, 오히려 Kia가 현행 표기인 Gia보다 낫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