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의 주요 언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중국티베트어족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크라다이어족 | 서파푸아어족 | 크리올어 | |||
미얀마어 | 라후어 | 베트남어 | 크메르어 | 태국어 | 라오어 | 트르나테어 | 차바카노어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
말레이-인도네시아어 | 필리핀어 | 테툼어 | 자바어 | 순다어 | 세부아노어 | 발리어 | 아체어 | |
관련 문자 | ||||||||
라오 문자 · 라틴 문자 · 버마 문자 · 쯔꾸옥응으 · 크메르 문자 · 태국 문자 · 타이탐 문자 · 타이비엣 문자 · 자위 문자 · 자바 문자 · 순다 문자 · 발리 문자 · 바이바이인 문자 · 쯔놈 |
한자문화권의 문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지역 | 현재 사용되는 문자 | 사라진 문자 | |
대한민국 | 한글 | 구결 · 옛한글 | ||
한자 |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
대만 |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 |||
홍콩 · 마카오 | ||||
중국 대륙 |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 내몽골) · 고장자( 광시) · 신장자( 광시) · 티베트 문자( 티베트) · 위구르 문자( 위구르) · 동파 문자 |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
싱가포르 |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 502 간체자 | ||
일본 | 신자체 | 만요가나 |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
베트남 | 쯔꾸옥응으 | 쯔놈 | }}}}}}}}} |
1. 개요
字 喃[1] / chữ Nôm베트남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진 베트남의 고유한 표어 문자.
2. 역사
최초로 등장했다고 여겨지는 시기는 13세기 무렵이다. 《대월사기전서》에 따르면 1282년 응우옌투옌( 阮 詮, 완전)이라는 관리가 강에 등장한 악어를 쫓아내기 위해 글을 지어 강에 던지자 악어가 저절로 물러간 일이 있는데 응우옌투옌이라는 사람은 평소에 국어로 부( 賦)와 시( 詩)를 많이 지어 쯔놈 확산의 시초가 되었다고 한다. 응우옌투옌이 강에 던진 글 역시 쯔놈으로 쓴 것인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베트남 학계에서는 쯔놈 문학의 효시를 응우옌투옌으로 보고 있다.쯔놈과 원래의 한자를 뒤섞은 문체는 베트남 옛 왕조의 문서에서도 사용되었으나, 자체와 표기는 거의 통일이 되지 않아 여러 종류가 있다. 쯔놈은 떠이선 농민 봉기 이후 베트남의 과거시험이 중단되는 등 혼란기 속에서 지배층이 한문을 열심히 배워 익힐 이유가 사라짐에 따라 점점 사용자를 넓혀 갔다.
이후 정국이 안정되면서, 명명제는 쯔놈의 사용 확대를 옳지 않게 여겨 다시 고전 한문 문체를 강제하고, 초서체가 아닌 강희자전에 나온 자형과 서체로 글을 쓰라는 베트남판 문체반정을 시도했으나 별 호응을 얻지 못했다.
쯔놈은 20세기까지 사용되었고 떠이선 왕조 때 공식 문자로 지정되기도 했다. 그러나 베트남이 서구 열강의 영향을 받은 후에 베트남어를 라틴 문자로 표기하는 법인 쯔꾸옥응으가 만들어지고 프랑스 식민 치하에서 쯔꾸옥응으가 보급되면서 너무 글자 수가 많고 어렵던 쯔놈은 급속히 사장되었다.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고[2] 쯔놈과 한자를 교과과정에서 아예 안 가르치는 것은 아니지만 비중이 별로 크지 않아 그저 고전문학이나 역사를 배울 때 곁다리로 배우는 수준이다.
현대 베트남에서도 국문학과나 역사학과로 진학하거나 서예가 등 전통문화 관련 종사자들은 쯔놈을 외우고 다니기는 하며 멋내기용으로 쯔놈을 쓰는 경우도 있기는 하다. 다만 중국에 사는 킨족들은 프랑스의 지배를 받지는 않았기 때문에 아직도 쯔놈을 한자와 혼용하면서 쓰기는 쓴다.
프랑스 식민 지배 이전 시대를 다룬 베트남 사극을 보면 쯔놈이 등장한다. 대부분의 시청자는 쯔놈을 대번에 이해하기 어려워서 해당 장면에는 쯔꾸옥응으로 자막이 달린다.
3. 기원
엄밀히 말해 베트남만의 독자 문자는 아니고 한자의 확장형에 가깝다. 회의, 형성, 가차 등 한자의 기본 구성 원리를 그대로 사용하여 베트남어 고유의 단어를 표기하는 글자를 새로 만든 것이다. 몇몇 글자는 기존의 한자를 그대로 들여와 쓰기도 하였다. 한국과 일본에도 제각각 고유 한자가 있고 중국 역시 지역마다 지역 방언을 옮겨쓰기 위한 지역의 고유 한자가 있는데 이것의 스케일이 더 커진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이웃나라 캄보디아와 라오스는 고유의 표음문자를 지니고 있고( 크메르 문자, 라오 문자 참조) 한때 대립했다가 베트남에 합병된 참파에서도 인도 문자를 변형시켜서 고유문자를 만들었기 때문에( 참 문자 참조) 베트남에서도 쯔놈말고도 충분히 다른 표음문자를 만들 수 있었겠지만 따로 표음문자를 만들어 쓰지는 않았다.
4. 관련 용어
쯔놈과 관련된 용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쯔한(Chữ Hán; 𡨸漢), 한뜨(Hán Tự;
漢
字), 쯔뇨(Chữ Nho; 𡨸儒)
중국에서 건너온 일반적인 한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
반응온(Văn ngôn; 文言), 꼬반(Cổ văn; 古文)
한자를 이용해 표기되는 고전 중국어식 문어체인 한문을 가리킨다. -
한놈(Hán Nôm;
漢
喃)
한자와 쯔놈을 사용하여 베트남어로 된 문장을 표기한 것이다. -
뜨한비엣(Từ Hán-Việt;
詞
漢
越)
베트남어에서 사용되는 베트남식 한자어 어휘를 말한다.
현대 한국에서 "한자"와 "한문"이 자주 혼동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현대 베트남에서도 한자나 쯔놈을 Văn ngôn이라고 잘못 부르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 문서에서는 주로 쯔놈과 베트남어의 한놈 표기에 대해서 다룬다.
5. 특징
고전 문헌에서는 주로 한자(한뜨)와 병행하여 베트남어 고유의 낱말을 나타내는데 쓰였다. 시나 운문으로 된 문학작품 가운데는 쯔놈만으로 이루어진 것도 있다.쯔놈 중에는 베트남 고유어가 아닌 것도 있다. 베트남어에서 각 한자의 발음이 여러 개로 분화된 단어가 많이 있는데, 그 중에 특정 발음임을 나타내기 위해 다른 한자를 덧붙여서 구분을 해주기도 한다.
- 예를 들어, 베트남어에서는 ' 字'라는 글자의 음이 여러 개로 분화되었는데, 그 중에 쯔(chữ) 발음으로 읽는 경우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발음이 비슷한 宁[3]를 덧붙인 형성자 𡨸를 만들어서 만들었다.[4] 이런 글자들은 베트남어의 한자 발음들 중 하나를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만들어졌으므로 고유어를 표기하기 위한 용도가 아니다.
기존 한자를 그대로 가져다 쯔놈으로 쓴 경우도 있다. 한국어에서 '곶'이라는 고유어 음을 표현하기 위해 串(꿸 관)을 그대로 가져다 '곶'이라고 읽는 예가 있는데, 쯔놈 중에서도 이런 경우가 있다. 후술할 예시와 같이 길이의 단위인 sào를 표현하기 위해 음이 비슷한 高(cao)를 그대로 가져다 쓴 것이 그 예이다.
6. 쯔놈의 예
쯔놈 | IDC 표기 | 소리값 | 뜻 | 원리 |
𡗶 | ⿱天上 | trời | 하늘 | 天+上으로 만들어진 회의자 |
𠀧 | ⿺巴三 | ba | 셋 | 巴(소리)+三(뜻)으로 만들어진 형성자 |
𧘇 | ấy | 그것, 그것들 | 소리가 비슷한 衣에서 윗부분을 없앰. | |
爫 | làm | 하다 | 뜻이 같은 爲에서 아랫부분을 없앰. | |
高 | sào | 길이의 단위 | 소리가 비슷한 高(cao)에서 가차. | |
𠀗𠀖 | khệnh khạng | 천천히 | 소리가 비슷한 共에서 아랫부분을 하나씩 없앰. | |
𤳆 | ⿰男來 | lai | 틔기 | 소리가 같은 來를 붙임. |
昆 | con | 아이 | 음차 | |
丐 | gái | 계집 | 음차 | |
䗂 | hổ | 코브라 | 음차 |
베트남어의 기본적인 인사말인 'xin chào các bạn'을 한놈으로 표기하면 ' 吀 嘲 各 伴'이 된다. 여기서 쯔놈에 해당하는 부분은 吀 嘲이다. 各 伴은 한자어로, 베트남어에서는 '여러분(each of you)'을 뜻하는 인칭대명사이며, '각각의 짝'이 아니다. 베트남어에서 伴에 해당하는 형태소는 2인칭 대명사로 뜻이 변했다.
나무위키 표어의 베트남어 역본을 한놈으로 표기하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Namuwiki、𣘃見識𦓡各伴𣎏體發展。[5]
Namuwiki, cây kiến thức mà các bạn có thể phát triển.
나무위키, 모두가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지식의 나무
Namuwiki, cây kiến thức mà các bạn có thể phát triển.
나무위키, 모두가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지식의 나무
현대 베트남의 경제 개방정책인 도이머이(Đổi mới)(쇄신)는 쯔놈으로 쓰면 𣌒𡤓(⿰易對ㆍ⿱始買, 유니코드: U+23312ㆍU+21913)가 된다.
쯔꾸옥응으 | 한놈 | 한국어 번역 |
Giải phóng miền Nam, chúng ta cùng quyết tiến bước. Diệt Đế quốc Mỹ, phá tan bè lũ bán nước. Ôi xương tan máu rơi, lòng hận thù ngất trời. Sông núi bao nhiêu năm cắt rời. Đây Cửu Long hùng tráng. Đây Trường Sơn vinh quang. Thúc giục đoàn ta xung phong đi giết thù. Vai sát vai chung một bóng cờ. Vùng lên! Nhân dân miền Nam anh hùng! Vùng lên! Xông pha vượt qua bão bùng. Thề cứu lấy nước nhà! Thề hy sinh đến cùng! Cầm gươm, ôm súng, xông tới! Vận nước đã đến rồi. Bình minh chiếu khắp nơi. Nguyện xây non nước sáng tươi muôn đời. |
解放沔南、眾喒共決進𨀈。 滅帝國美、破散佊僂𧸝渃。 喂𩩫散泖淶、𢚸恨讎䇄𡗶。 瀧𡶀包饒𢆥拮淶。 低九龍雄壯、低長山榮光。 促逐團喒衝鋒𠫾𢷄讎。 𦢳殺𦢳終𠬠俸旂。 𤀘𨖲!人民沔南英雄! 𤀘𨖲!衝葩𣾼過雹𤑫。 誓救𥙩渃茹!誓犧牲𦥃共! 擒鎌、揞銃、衝細! 運渃㐌𦥃耒。平明照泣坭。 愿𡏦𡽫渃創鮮𨷈𠁀。 |
남부를 해방하기 위해
우리는 전진하기로 했네 미 제국주의자들을 전멸시키고 매국노들을 파멸시키기 위해, 아 뼈가 부러졌고 피가 흐르고 증오는 솟아오르네 우리나라는 너무 오래 갈라져 있었네 여기, 신성한 메콩 강이, 여기, 영광스런 쯔엉썬 산맥이 우리에게 적을 죽이라 촉구하고 있네 같은 깃발 아래 어깨를 맞대고 일어나라! 남부의 용감한 자들이여! 일어나라! 이 폭풍을 뚫고 나가자! 우린 조국을 구하리라! 최후까지 희생하리라! 총을 들고, 칼을 쥐고, 앞으로 가자! 기회가 다가오네, 태양이 온 세상을 비추네. 우리는 영원히 빛나는 조국을 일구리라! |
위는 "Giải phóng miền Nam(解放沔南; "남부 해방")"이라는 노래의 가사를 한놈으로 표기한 것이다.[6] 중간중간마다 뭔가 한중일에서 흔히 볼 수 없었던 생소한 글자[7]가 보인다면 그게 바로 쯔놈이다. 나머지는 그냥 한자. 다만 이 곡은 현대에 만들어진 것이기에 원 가사는 쯔꾸옥응으로 쓰여있다.
월남 유학생이 쓴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 석사논문에 서산당의 난에 죽은 완가소([ruby(阮,ruby=Nguyễn)][ruby(嘉,ruby=Gia)][ruby(韶,ruby=Thiều)])가 지은 「궁원음곡(宮怨吟曲)」을 실어서 쯔놈으로 쓴 옛 문학이 어떤지 볼 수 있다. #
7. 전산화
쯔놈의 전산화는 생각보다 오래되었는데, 1993년에 베트남 정부에서 표준안을 발표하고 1994년부터 유니코드에 쯔놈이 들어가기 시작하였다. 쯔놈 숫자가 많은 관계로 한번에 추가되지 않았고 조금씩 추가되어 2017년 기준 유니코드에는 쯔놈이 약 12,000자가 수록되었다. 다만 가나(문자)처럼 한자와 별개로 취급되어 별개의 유니코드 영역에 수록되는게 아니라, 한자의 일부로 취급되어 쯔놈이 한자 영역 중간중간에 뒤섞여서 수록되는 중이다. 때문에 어떤 글자가 쯔놈이고 어떤게 아닌지는 일일히 검색해야 알 수 있는 상황이다. 금석문자경에는 약 9,000자가 수록되었다.베트남에서 오늘날 쯔놈을 비롯한 한자가 거의 쓰이지 않다보니 드물기는 하지만, 쯔놈을 컴퓨터 키보드로 입력하고자 한다면 중국/일본에서 한어병음/ 가나를 입력하고, IME를 통해 한자로 변환하듯이 베트남에서도 쯔꾸옥응으( 로마자)로 죽 적으면 IME의 도움을 받아 쯔놈 등의 한자로 변환한다.
다만 한놈 표기가 한국에서의 한자의 위상보다도 마이너한 관계로, 이러한 변환 기능이 OS 내장 IME에 탑재되어 있지는 않고, 서드파티 IME를 사용해야 한다.
온라인 입력기도 있는데, 이는 다음 문단을 참고할 것.
8. 외부 링크
- 이 사이트에서 다양한 쯔놈 문자와 뜻을 볼 수 있다. 영문 사이트이니 유의할 것.
- 온라인 쯔놈 입력기: 위 사이트 내에 있는 입력기. 쯔꾸옥응으를 입력하면 거기에 해당되는 한자와 쯔놈으로 변환할 수 있다.
- 또다른 쯔놈 사이트
- 비나위키 - 한놈(漢喃) 표기를 사용하는 베트남어 위키. 베트남한놈부활위원회(委班復生漢喃越南; Ủy Ban Phục Sinh Hán-Nôm Việt Nam)에서 운영한다.[8]
- 쯔놈 사전(Tự Điển Chữ Nôm Trích Dẫn)
- 한자 사전(Từ điển Hán Nôm)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f00><colbgcolor=#da251d> 상징 |
국가 ·
금성홍기 · |
역사 | 역사 전반 · 응오 왕조 · 리 왕조 · 쩐 왕조 · 후 레 왕조 · 떠이선 왕조 · 응우옌 왕조 · 남베트남 | |
정치 |
정치 전반 ·
베트남 공산당 · |
|
외교 | 외교 전반 · ASEAN · TPP · IPEF · 남중국해 분쟁 | |
경제 | 경제 전반 · 도이머이 · ASEAN-5 · 넥스트 일레븐 | |
교통 | 철도 환경 | |
국방 |
베트남 인민군 · |
|
문화 | 관광 정보 · 베트남 요리( 퍼, 고이꾸온) · 베트남 영화 · 베트남어 · 쯔꾸옥응으 · 단 보우 · 떠릉 · 단 짜인 · 한자( 쯔놈, 베트남식 한자어) | |
인물 | 호찌민 · 응오딘지엠 · 쩐흥다오 | |
지리 | 인도차이나 반도 · 통킹 만 | |
사법·치안 | 베트남 공안부 | |
사회 | 베트남 마피아 | |
민족 | 베트남인 · 베트남계 미국인 · 베트남계 프랑스인 · 재러 베트남인 |
[1]
첫 번째 글자는 字,
𫳘(⿰
字
宁), 𪧚(⿰
字
守),
𡨸(⿰
宁
字),
茡,
芓,
𫿰(⿰
字
文),
𡦂(⿰
字
字),
佇,
宁 등으로 쓸 수 있고 두 번째 글자는
喃 또는
諵으로 쓸 수 있다.
[2]
북베트남에서 1950년에 쯔놈 과목이 폐지되었다. 남베트남에서는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쯔놈을 배우도록 했지만 당대 남베트남의 교육수준에서는 어차피 대다수는 쯔놈을 곁다리로 배우기는 마찬가지였다. 불교 승려나 일부 지식인은 쯔놈을 구사할 수 있었고 외세에 대한 저항을 목적으로 일부러 쯔놈으로 문집을 쓰거나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틱꽝득이 있다.
[3]
쌓을 저.
貯·
儲의 본 글자. 참고로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원래 용법을 무시하고
寧의 간화자로 쓰고 있음.
[4]
이 글자는 '쯔놈'의 '쯔'를 표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글자 字·𡨸·𡦂 중 하나이다.
[5]
잘 표시되지 않는 글자는 𣘃[⿰木荄\], 𦓡[⿸麻而\], 𣎏[⿰固有\] 꼴이다.
[6]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Mặt trận Dân tộc Giải phóng miền Nam Việt Nam; 𩈘陣民族解放沔南越南. 흔히들 베트콩이라고 부르는 그 곳)에서 작사. 그래서 가사가
미국 제국주의(Đế quốc Mỹ; 帝國美)를 까부수자는 내용이다. 1969-1976년까지
남베트남 공화국의 국가로 사용되었다.
[7]
주로 기기에 따라서는 깨진 문자로 보이는 문자
[8]
한동안 자체 도메인이 없어서 동아시아 클럽 랭킹(
http://www.soccer-cjkv.com)이라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EAFF)과
아세안 축구 연맹(AFF) 회원국의 축구 클럽들의 순위를 다루는 웹사이트의 도메인 아래에 들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