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9-19 21:17:48

집운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구성3. 기타4. 외부 링크

1. 개요

集韻
정도(丁度) 등이 북송 인종에게 명을 받아, 경우 4년(1037)에 편찬하기 시작하여 원보 2년(1039) 완성한 운서이다. 평성 4권, 상성 2권, 거성2권, 입성 2권의 총 10권으로 구성된다. 당시 광운(廣韻)의 축약판으로 쓰이던 운략(韻略)과는 달리 절운계 운서처럼 206운 체계로 돌아갔다. 그러나 기존 절운계 운서가 광운에 이르기까지 사실상 절운의 증보판에 불과했던 것과 달리[1] 송나라 당대의 현실음을 반영하여 일부 글자가 이동했고[2] , 독용(獨用)[3]과 통운 관계를 수록하고[4], 절운계 운서와는 반절[5]이 다르거나 소운의 배치에 변경된 곳이 있으며[6], 다양한 이체자와 이독을 실었기 때문에 수-초 당 시기의 조기 중고음과 만기 중고음을 비교 연구하는 데에 중요하다. 수록된 글자는 이체자를 포함하여 모두 5만 3525자이다.

2. 구성

※주의: 본 문서의 표기는 흠정사고전서회요 경부 집운(欽定四庫全書薈要 經部 集韻)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본에 따라 한자 표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7] 출전을 표기할 때는 이하 사고전서본으로 표기합니다.

[ 펼치기 · 접기 ] 집운 목차(원서기준) 일람
  • 集韻卷一 平聲一 (집운 권1 평성1)
    • 東第一 都籠切 獨用 (동(東) 제1 도롱절[tuŋ][8] 독용한다)
    • 冬第二 都宗切 與鍾通 (동(冬) 제2 도종절[tuoŋ] 종(鍾)운과 서로 통한다)
    • 鍾第三 諸容切 (종(鍾) 제3 조용절[tɕɨwoŋ])
    • 江第四 古雙切 獨用 (강(江) 제4 고쌍절[kɔŋ] 독용한다)
    • 支第五 章移切 與脂之通 (지(支) 제5 장이절[tɕie] 지(脂)운·지(之)운과 서로 통한다)
    • 脂第六 蒸夷切 (지(脂) 제6 증이절[tɕi])
    • 之第七 眞而切 (지(之) 제7 진이절[tɕɨ(ə)][9] )
    • 微第八 無非切 獨用 (미(微) 제8 무비절[miuəi] 독용한다.)
    • 魚第九 牛居切 獨用 (어(魚) 제9 우거절[ŋɨo] 독용한다.)
  • 集韻卷二 平聲二 (집운 권2 평성2)
    • 虞第十 元俱切 與模通 (우(虞) 제10 원구절[ŋiu] 모(模)운과 서로 통한다)
    • 模第十一 蒙晡切 (모(模)제11 몽포절[mu])
    • 齊第十二 前西切 獨用 (제(齊) 제12 전서절[dzʱiei] 독용한다)
    • 佳第十三 居膎切 與皆通 (가(佳) 제13 거해절[kai] 개(皆)운과 서로 통한다)
    • 皆第十四 居諧切 (개(皆) 제14 거해절[kɐi])
    • 灰第十五 呼回切 與咍通 (회(灰) 제15 호회절[xuɒi] 해(咍)운과 서로 통한다)
    • 咍第十六 呼來切 (해(咍) 제16 호래절[xɒi])
    • 眞第十七 之人切 與諄臻通 ( 진(眞) 제17 지인절(tɕɨĕn) 순(諄)운·진(臻)운과 서로 통한다)
    • 諄第十八 朱倫切 (준(諄) 제18 주륜절[tɕɨuĕn])
    • 臻第十九 緇詵切 (진(臻) 제19 치신절[ʈʂɨen])
    • 文第二十 無分切 與欣通 (문(文) 제20 무분절[mɨuən] 흔(欣)운과 서로 통한다)
    • 欣第二十一 許斤切 (흔(欣) 제21 허근절[xɨən])
    • 元第二十二 愚袁切 與魂痕通 (원(元) 제22 우원절[ŋɨwɐn] 혼(魂)운·흔(痕)과 서로 통한다)
    • 魂第二十三 胡昆切 (혼(魂) 제23 호곤절[ɣuən])
    • 痕第二十四 胡恩切 (흔(痕) 제24 호은절[ɣən])
    • 寒第二十五 河干切 與桓通 (한(寒) 제25 하간절[ɣɑn] 환(桓)운과 서로 통한다)
    • 桓第二十六 胡官切 (환(桓) 제26 호관절[ɣuɑn])
    • 刪第二十七 師姦切 與山通 (산(刪) 제27 사간절[ʂan] 산(山)운과 서로 통한다.)
    • 山第二十八 師間切 (산(山)제28 사간절[ʂæn])
  • 集韻卷三 平聲三 (집운 권3 평성3)
    • 先第一 蕭前切 與㒨通 (선(先) 제1 소전절[sien] 선(㒨)운과 서로 통한다.)
    • 㒨第二 相然切 (선(㒨) 제2 상연절[sɨɛn])
    • 蕭第三 先彫切 與宵通 (소(蕭) 제3 선조절[sieu] 소(宵)운과 서로 통한다)
    • 宵第四 思邀切 (소(宵) 제4 사교절[sɨɛu])
    • 爻第五 何交切 獨用 (효(爻) 제5 하교절[ɣau] 독용한다)
    • 𩫞第六 乎刀切 獨用 (호(𩫞) 제6 호도절[ɣɑu] 독용한다)
    • 歌第七 居何切 與戈通 (가(歌) 제7 거하절[kɑ] 과(戈)운과 서로 통한다)
    • 戈第八 古禾切 (과(戈) 제8 고화절[kuɑ])
    • 麻第九 謨加切 獨用 (마(麻) 제9 모가절[ma] 독용한다)
    • 陽第十 余章切 與唐通 (양(陽) 제10 여장절[jɨaŋ] 당(唐)운과 서로 통한다.)
    • 唐第十一 徒郎切 (당(唐) 제11 도랑절[dʱɑŋ])
  • 集韻卷四 平聲四 (집운 권4 평성4)
    • 庚第十二 居行切 與耕清通 (경(庚) 제12 거행절[kɐŋ] 경(耕)운·청(清)운과 서로 통한다.)
    • 耕第十三 古莖切 (경(耕) 제13 고경절[kæŋ])
    • 清第十四 親盈切 (청(清) 제14 친영절[tsʰɨɛŋ])
    • 青第十五 倉經切 獨用 (청(青) 제15 창경절[tsʰieŋ]) 독용한다)
    • 蒸第十六 諸仍切 與登通 (증(烝) 제16 제잉절[tɕɨəŋ] 등(登)운과 서로 통한다)
    • 登第十七 都騰切 (등(登) 제17 도등절[təŋ])
    • 尤第十八 于求切 與侯幽通 우(尤) 제18 우구절[ɣɨəu] 후(侯)운·유(幽)운과 서로 통한다)
    • 侯第十九 胡溝切 후(侯) 제19 호구절[ɣəu])
    • 幽第二十 於虯切 유(幽) 제20 어규절[ʔieu])
    • 侵第二十一 千尋切 獨用 (침(侵) 제21 천심절[tsʰɨəm] 독용한다)
    • 覃第二十二 徒南切 與談通 (담(覃) 제22 도남절[dʱɒm] 담(談)운과 서로 통한다)
    • 談第二十三 徒甘切 (담(談) 제23 도감절[dʱɑm])
    • 鹽第二十四 余廉切 與沾嚴通 (염(鹽) 제24 여렴절[jɨɛm] 첨(沾)운·엄(嚴)운과 서로 통한다)
    • 沾第二十五 他兼切 (첨(沾) 제25 타겸절[tʰiem])
    • 嚴第二十六 魚杴切 (엄(嚴) 제26 어험절[ŋɨɐm])
    • 咸第二十七 胡讒切 與銜凡通 (함(咸) 제27 호참절[ɣɐm] 함(銜)운·범(凡)운과 서로 통한다)
    • 銜第二十八 乎監切 (함(銜) 제28 호감절[ɣam])
    • 凡第二十九 符咸切[10] (범(凡) 제29 부함절[bʱɐm][11])
  • 集韻卷五 上聲上 (집운 권5 상성 상)
    • 董第一 覩動切 獨用 (동(董) 제1 도동절[tuŋ] 독용한다)
    • 腫第二 主勇切 獨用 (종(腫) 제2 주용절[tɕɨwoŋ] 독용한다)
    • 講第三 古項切 獨用 (강(講) 제3 고항절[kɔŋ] 독용한다)
    • 紙第四 掌氏切 與旨止通 (지(紙) 제4 장씨절[tɕie] 지(旨)운·지(止)운과 통한다.)
    • 旨第五 軫視切 (지(旨) 제5 진시절[tɕi])
    • 止第六 渚市切 (지(止) 제6 저시절[tɕɨ(ə)])
    • 尾第七 武斐切 獨用 (미(尾) 제7 무비절[miuəi] 독용한다)
    • 語第八 偶舉切 獨用 (어(語) 제8 우거절[ŋɨo] 독용한다.)
    • 噳第九 五矩切 與姥通 (우(噳) 제9 오구절[ŋiu] 모(姥)운과 더불어 쓰인다)
    • 姥第十 滿補切 (모(姥) 제10 만보절[mu])
    • 薺第十一 在禮切 獨用 (제(薺) 제11 제례절[dzʱiei] 독용한다)
    • 蟹第十二 下買切 與駭通 (해(蟹) 제12 하매절[ɣai] 해(駭)운과 서로 통한다)
    • 駭第十三 下楷切 (해(駭) 제13 하해절[ɣɐi])
    • 賄第十四 虎猥切 與海通 (회(賄) 제14 호외절[xuɒi] 해(海)운과 서로 통한다)
    • 海第十五 許亥切 (해(海) 제15 허해절[xɒi])
    • 軫第十六 止忍切 與準通 (진(軫) 제16 지인절[tɕɨĕn] 준(準)운과 서로 통한다)
    • 準第十七 主尹刀 (준(準) 제17 주윤절[tɕɨuĕn])
    • 吻第十八 武粉切 與隱通 (문(吻) 제18 무분절[mɨuən] 은(隱)운과 서로 통한다)
    • 隱第十九 倚謹切 (은(隱) 제19 의근절[ʔɨən])
    • 阮第二十 五逺切 與混很通 완(阮)운 오원절[ŋɨwɐn] 혼(混)운·한(很)운과 서로 통한다)
    • 混第二十一 戶袞切
    • 很第二十二 下懇切
    • 旱第二十三 下罕切 與緩通
    • 緩第二十四 戶管切
    • 潸第二十五 數版切 與産通
    • 産第二十六 所簡切
  • 集韻卷六 上聲下 (집운 권6 상성 하)
    • 銑第二十七 穌典切 與𤣗通
    • 𤣗第二十八 息淺切
    • 筱第二十九 先了切 與小通
    • 小第三十 思兆切
    • 巧第三十一 苦絞切 獨用
    • 皓第三十二 下老切 獨用
    • 哿第三十三 賈我切 與果通
    • 果第三十四 古火切
    • 馬第三十五 毋下切 獨用
    • 養第三十六 以兩切 與蕩通
    • 蕩第三十七 待朗切
    • 梗第三十八 古杏切 與耿靜通
    • 耿第三十九 古幸切
    • 靜第四十 疾郢切
    • 迥第四十一 戶茗切 獨用
    • 抍第四十二 蒸之上聲 與等通
    • 等第四十三 得肯切
    • 有第四十四 云九切[12] 與厚黝通
    • 𠪋第四十五 很口切
    • 黝第四十六 於糾切
    • 𡪢第四十七 七稔切 獨用
    • 感第四十八 古禫切 與𠭖通
    • 𠭖第四十九 古覽切
    • 琰第五十 以冉切 與忝儼通
    • 忝第五十一 他點切
    • 儼第五十二 魚檢切
    • 豏第五十三 下斬切 與檻范通
    • 檻第五十四 戶點切
    • 范第五十五 父錽切
  • 集韻卷七 去聲上 (집운 권7 거성 상)
    • 送第一 蘇弄切 獨用
    • 宋第二 蘇綜切 與用通
    • 用第三 余頌切
    • 絳第四 古巷切 獨用
    • 寘第五 支義切 與至通志[13]
    • 至第六 脂利切
    • 志第七 職吏切
    • 未第八 無沸切 獨用
    • 御第九 牛據切 獨用
    • 遇第十 元具切 與莫通
    • 莫第十一 [14] 莫故切
    • 霽第十二 子計切[15]
    • 祭第十三 子例切
    • 夳第十四 [16] 他蓋切 獨用
    • 卦第十五 古賣切 與怪夬通
    • 怪第十六 古壞切
    • 夬第十七 古邁切
    • 隊第十八 徒對切 與代廢通
    • 代第十九 待戴切
    • 廢第二十 放吠切
    • 震第二十一 之忍切 與稕通
    • 稕第二十二 朱潤切
    • 問第二十三 文運切 與焮通
    • 焮第二十四 香靳切
    • 願第二十五 虞怨切 圂𢚉通[17]
    • 圂第二十六 胡困切
    • 𢚉第二十七 [18] 下艮切
    • 翰第二十八 侯旰切 與換通
    • 換第二十九 胡玩切
    • 諫第三十 居晏切 與襉通
    • 襉第三十一 居莧切
  • 集韻卷八 去聲下 (집운 권8 거성 하)
    • 霰第三十二 先見切 與綫通
    • 綫第三十三 私箭切
    • 嘯第三十四 先弔切 與笑通
    • 笑第三十五 仙妙切
    • 效第三十六 後教切 獨用
    • 号第三十七 [19] 後到切 獨用
    • 箇第三十八 居賀切 與過通
    • 過第三十九 古臥切
    • 禡第四十 莫駕切 獨用
    • 漾第四十一 弋亮切 與宕通
    • 宕第四十二 大浪切
    • 映第四十三 於慶切 與諍勁通
    • 諍第四十四 側迸切
    • 勁第四十五 堅正切
    • 徑第四十六 吉定切 獨用
    • 證第四十七 諸應切 與隥通
    • 隥第四十八 丁鄧切
    • 宥第四十九 尤救切 與𠊱幼通
    • 𠊱第五十 [20] 下遘切
    • 幼第五十一 伊謬切
    • 沁第五十二 七鴆切 獨用
    • 勘第五十三 苦紺切 與闞通
    • 闞第五十四 苦濫切
    • 豔第五十五 以贍切 與栝驗通
    • 栝第五十六 [21] 他念切
    • 驗第五十七 魚窆[22]
    • 陷第五十八 呼韽切 與㽉梵通
    • 㽉橐五十九 胡懺切
    • 梵第六十 扶泛切
  • 集韻卷九 入聲上 (집운 권9 입성 상)
    • 屋第一 烏谷切 獨用
    • 𣵽第二 鳥酷切 與燭通
    • 燭第三 朱欲切
    • 覺第四 訖岳切 獨用
    • 質第五 職日切 與術櫛通
    • 術第六 食律切
    • 櫛第七 惻瑟切
    • 勿第八 文拂切 與迄通
    • 迄第九 許訖切
    • 月第十 魚厥切 與沒通
    • 沒第十一 莫勃切
    • 曷第十二 何葛切 與末通
    • 末第十三 莫葛切
    • 黠第十四 下八切 與舝通
    • 舝第十五 下瞎切
    • 㞕第十六 先結切 與薛通
    • 薛第十七 私列切
  • 集韻卷十 入聲下 (집운 권10 입성 하)
    • 藥第十八 弋灼切 與鐸通
    • 鐸第十九 達各切
    • 陌第二十 莫白切 與麥㫺通
    • 麥第二十一 莫獲切
    • 㫺第二十二 思積切
    • 錫第二十三 先的切 獨用
    • 職第二十四 質力切 與德通
    • 德第二十五 的則切
    • 緝第二十六 七入切 獨用
    • 合第二十七 曷閤切 與盇通
    • 盇第二十八 轄臘切
    • 葉第二十九 弋涉切 與帖業通
    • 帖第三十 託協切
    • 業第三十一 逆怯切
    • 洽第三十二 轄夾切 與狎乏通
    • 狎第三十三 轄甲功
    • 乏第三十四 扶法切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집운 목차(동일 운모 기준) 일람 권1 평성1 권5 상성1 권7 거성1 권9 입성1
1. 東 1. 董 1. 送 1. 屋
2. 冬 2. 宋 2. 𣵽[23]
3. 鍾 2. 腫 3. 用 3. 燭
4. 江 3. 講 4. 絳 4. 覺
5. 支 4. 紙 5. 寘
6. 脂 5. 旨 6. 至
7. 之 6. 止 7. 志
8. 微 7. 尾 8. 未
9. 魚 8. 語 9. 御
권2 평성2
10. 虞 9. 噳 10. 遇
11. 模 10. 姥 11. 莫[24]
12. 齊 11. 薺 12. 霽
13. 祭
14. 夳[25]
13. 佳 12. 蟹 15. 卦
14. 皆 13. 駭 16. 怪
17. 夬
15. 灰 14. 賄 18. 隊
16. 咍 15. 海 19. 代
20. 廢
17. 眞 16. 軫 21. 震 5. 質
18. 諄 17. 準 22. 稕 6. 術
19. 臻 7. 櫛
20. 文 18. 吻 23. 問 8. 勿[26]
21. 欣 19. 隱 24. 焮 9. 迄
22. 元 20. 阮 25. 願 10. 月
23. 魂 21. 混 26. 圂[27] 11. 沒
24. 痕 22. 很 27. 𢚉[28]
25. 寒 23. 旱 28. 翰 12. 曷
26. 桓 24. 緩 29. 換 13. 末
27. 刪 25. 潸 30. 諫 14. 黠
28. 山 26. 産 31. 襉 15. 舝[29]
권3 평성3 권6 상성2 권8 거성2 권10 입성2
1. 先 27. 銑 32. 霰 16. 㞕[30]
2. 㒨[31] 28. 𤣗[32] 33. 綫[33] 17. 薛
3. 蕭 29. 筱[34] 34. 嘯
4. 宵 30. 小 35. 笑
5. 餚 31. 巧 36. 效
6. 𩫞[35] 32. 皓[36] 37. 号[37]
7. 歌 33. 哿 38. 箇
8. 戈 34. 果 39. 過
9. 麻 35. 馬 40. 禡
10. 陽 36. 養 41. 漾 18. 藥
11. 唐 37. 蕩 42. 宕 19. 鐸
권4 평성4
12. 庚 38. 梗 43. 映 20. 陌
13. 耕 39. 耿 44. 諍 21. 麥
14. 清 40. 靜 45. 勁 22. 㫺[38]
15. 青 41. 迥 46. 徑 23. 錫
16. 蒸 42. 抍[39] 47. 證 24. 職
17. 登 43. 等 48. 隥[40] 25. 德
18. 尤 44. 有 49. 宥
19. 侯 45. 𠪋[41] 50. 𠊱[42]
20. 幽 46. 黝 51. 幼
21. 侵 47. 𡪢[43] 52. 沁 26. 緝
22. 覃 48. 感 53. 勘 27. 合
23. 談 49. 𠭖[44] 54. 闞 28. 盇[45]
24. 鹽 50. 琰 55. 豔 29. 葉
25. 沾 51. 忝 56. 栝[46] 30. 帖[47]
26. 嚴 52. 儼 57. 驗[48] 31. 業
27. 咸 53. 豏 58. 陷 32. 洽
28. 銜 54. 檻 59. 㽉[49] 33. 狎
29. 凡 55. 范 60. 梵 34. 乏
}}}||

3. 기타

집운은 광운에 비해 매우 폭넓게 이체자를 수록했다. 광운에 쓰였던 자와 뜻이 같은 이체자임에도 불구하고 광운에서 썼던 운목이 아닌 이체자 쪽을 운목으로 삼은 경우가 많다. 평성 𩫞韻 등이 그러하다.

당시에는 운서와 자전을 짝으로 찍은 경우가 있는데 집운이 이러한 전통을 만든 최초의 운서로, 집운을 만든 정도가 편찬한 유편 (類篇)이라는 자전이 있다.

집운을 마지막으로 206운계 운서는 맥이 끊기며 광운의 축약판인 예부운략을 106운으로 줄여 정리한 106운계 운서가 주류가 되었다. 한시의 기준이 되는 평수신간운략(平水新刊韻略)도 예부운략의 축소본이다.[50]

광운과 함께 벽자의 한국 한자음을 파악할 때 유용한 기록물이지만 한국에서는 광운이나 집운을 요약한 예부운략, 배자예부운략 쪽이 널리 이용되었다. 다만 이 예부운략을 더욱 축약한 삼운통고(三韻通攷)가 널리 읽히면서 조선 중기부터 한국 한자음에 큰 똥을 싸지르는데…….[51]

4. 외부 링크

위키문고 사고전서본 집운(일부 결자 있음)
중국철학사전자화위키 집운[52]
일본 궁내청 서릉부본 집운(영본. 1권 산실)[53]
와세다대학 도서관 집운[54]


[1] 광운과 집운의 편찬 시기는 광운이 대중상부 원년(1008), 집운이 원보 2년(1039)으로 31년밖에 차이나지 않으나 광운은 어디까지나 절운계 반절에 충실했기 때문에 수나라 시기 음가에 머물렀다. 이 때문에 반절의 음가는 400년(601년-1037년)가량 차이가 난다. [2] 예를 들어 일부 치경구개음, 후치경음이 권설음화되었음을반영 [3] 통운되는 운이 없음 [4] 與○通의 형태로 통운되는 운을 기재. [5] 당장 가장 먼저 나오는 東부터가 德紅切이 아닌 都籠切을 쓴다. [6] 다만 운목은 이체자가 아니라, 아예 다른 글자를 채택한 경우는 肴韻 대신 쓰인 爻韻 정도로 몇 개 되지는 않는다. [7] 魂운의 경우 사고전서본은 魂을 궁내청 서릉부본은 䰟을 사용함 [8] 이하 표기는 별다른 각주가 없으면 베른하르트 칼그렌 설혹은 왕력설 중 다수설이다. [9] 왕력설에 따르면 tɕɨə고 베른하르트 칼그렌 설에 따르면 tɕi인데 이는 집운에서 之운과 脂운의 혼동이 보이기 때문이다. 즉 당대에는 이미 之운이 脂운에 흡수된 상태였다고 추측하는 것. 이하 상성 止운, 거성 志운도 동일하다. [10] 이본에 따라 符䒦切, 符鹹切이 나타난다. [11] 凡운은 원래/ɨuɐm/ 을 나타낸 음가이나 송대에 이르러서는 이미 咸운과 구별할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 한자음에서는 凡운과 咸운이 ᅟᅥᆷ과ᅟᅡᆷ으로 엄격하게 구별된다. [12] 참고로 본 기여자가 문서 작성을 위해 확인한 사고전서본의 경우 목차에서 有韻의 반절이 六九切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문에는 云九切로 기재되어 있는 것을 보아 오기로 판단되어 云九切로 고쳐적었다. [13] 사고전서본 본문에 적힌대로 기술하였으나 다른 예를 보면 與至志通의 오기로 보인다. 실제로 寘,至,志 세 운은 광운부터 같은 止攝에 묶여있고 志韻에 독용이란 표현이 없다. [14] 여기서 莫은 없을 막이 아닌 저물 모(暮)로 읽는다. [15] 사고전서본에 독용/통운 여부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나 祭韻과 통운이 된다. [16] 泰의 이체자이다. 지금의 泰韻과 같다. [17] 사고전서본 기준으로 여기엔 與가 없다. 다른 운의 경우 與○○通인 것을 봐서는 與의 누락으로 보인다. [18] 恨의 본자다. 지금의 恨韻과 같다. [19] 號의 이차제로 지금의 號韻과 같다. [20] 候의 이체자로 광운의 候韻과 같다. [21] 㮇의 이체자로 광운의 㮇韻과 같다. [22] 사고전서본에서는 㝎의 형태로 나오나 강희자전과 교차검증하면 窆의 오기로 보인다. [23] 沃에 해당 [24] 暮에 해당. 여기서는 없을 막이 아닌 저물 모로 읽는다. [25] 泰에 해당. [26] 物에 해당 [27] 慁에 해당 [28] 恨에 해당 [29] 鎋에 해당 [30] 屑에 해당 [31] 仙에 해당 [32] 獮에 해당 [33] 線에 해당 [34] 篠에 해당 [35] 집운에서는 𩫞,𩫕,豪 세 글자를 이체자로 보고 𩫞를 운목으로 채택했다. [36] 晧에 해당 [37] 號에 해당 [38] 昔에 해당 [39] 拯에 해당 [40] 嶝에 해당 [41] 厚에 해당 [42] 候에 해당 [43] 寢에 해당 [44] 敢에 해당 [45] 盍에 해당 [46] 㮇에 해당 [47] 怗에 해당 [48] 釅에 해당 [49] 鑑에 해당 [50] 106운계 운서는 운이 106운~108운을 오락가락하는데 이는 拯韻과 證韻을 개별운으로 둘 것인가 아니면 迥韻과 徑韻에 통합시키는가 하는 차이다. [51] 이 삼운통고는 반절표기 없이 대표 한자-소속 한자 구조에 각 글자별로 두세 글자로 설명만 담아 한자 9천여 자를 정리한 운서다. 하지만 대표 한자가 속음인 경우엔(...) [52] 회원가입시 원서 이미지 파일 읽기 가능. 회원가입을 하지 않을 경우 웹문서로 전사된 파일만 읽을 수 있음. 전사화 과정에서 일부 오자 있음. [53] 회원가입을 하지 않아도 이미지를 그대로 볼 수 있으나 1권이 산실된 영본이고 각 꿰미마다 평상거 순서로 재배치하고 9-10권만 원본대로 입성이 모여있는 판본이라 원하는 부분을 찾기 매우 힘들다. [54] 책 여백에 필기가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