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0 04:25:30

학년별한자배당표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 일본어 훈독의 한자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개요2. 출처3. 목록
3.1. 2017~ (현행) 총 1026자
4. 외부 링크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학년별 한자 배당표(, 学年別漢字配当表)

1. 개요

일본 문부과학성이 한국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소학교생의 교육을 위해 배정한 소학생용 교육한자로, 구체적으로는 문부과학성이 고시하는 소학교학습지도요령에 부록되어 있다.[1] 일본 민간에서는 흔히 '교육한자(教育漢字)' 또는 '학습한자(学習漢字)'[2]라는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으며 배당표에 배정된 한자는 읽는 법은 당해학년에, 쓰는 법은 다음학년까지 익히게 되어있다.

상용한자 중에서도 특히 사용빈도가 높다고 생각되는 한자들이 배정되어 있지만 현재는 일상에서 잘 사용되지 않는 '汽, 俵, 穀, 蚕' 와 같은 한자도 포함되어있는 반면, 폭넓게 사용 되고있는 '俺, 誰, 彼, 僕, 隣' 등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2017년( 헤이세이 29년)에 다시 개정이 이루어져 도도부현 이름에 사용되는 20자가 추가되어 총 1026자가 되었다.

추가된 한자는 다음과 같다.
한자 도도부현 비고
오사카부(大阪府)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이바라키현(茨城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에히메현(愛媛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오카야마현(岡山県)
시즈오카현(静岡県)
후쿠오카현(福岡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니가타현(新潟県)
기후현(岐阜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구마모토현(熊本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카가와현(香川県)
사가현(佐賀県)
사이타마현(埼玉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나가사키현(長崎県)
미야자키현(宮崎県)
시가현(滋賀県)
鹿 가고시마현(鹿児島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오키나와현(沖縄県)
후쿠이현(福井県)
도치기현(栃木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나라현(奈良県)
가나가와현(神奈川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야마나시현(山梨県) 2010년 개정상용한자 추가자

2. 출처

3. 목록

3.1. 2017~ (현행) 총 1026자

1학년
(80자)
2학년
(160자)
西
3학년
(200자)
使 宿 調
4학년
(202자)
鹿 便
5학년
(193자)
貿 綿
6학년
(191자)
沿 姿 退

===# 1998 ~ 2016 총 1006자 #===
1학년
(80자)
2학년
(160자)
西
3학년
(200자)
使 宿 調
4학년
(200자)
便
5학년
(185자)
退 貿 綿
6학년
(181자)
沿 姿

4. 외부 링크

5. 기타

한국에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의 고급 한자인 한자가 조금 있다. 주로 일본에서 4학년 과정 이상 한자이면서 한국에서 2급 이상인 한자들이 많다.
한자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 급수
2급 1급 특급
학년별한자배당표 단계 1학년 町(밭두둑 정)
3학년 坂(언덕 판)
箱(상자 상)
皿(그릇 명)
4학년 岡(언덕 강)
札(편지 찰)
沖(화할 충)
滋(불을 자)
縄/繩(노끈 승)
阪(언덕 판)
芸(향풀 운)[신자체][4]
崎(험할 기)
潟(개펄 석)
欠(하품 흠)[신자체][6]
埼(갑 기)
茨(남가새 자)
5학년 弁(고깔 변)[신자체][8] 弁/瓣(꽃잎 판)[9]
6학년 磁(자석 자)
蚕/蠶(누에 잠)
翌(다음날 익)
机(책상 궤)[10]
届/屆(이를 계)

6. 관련 문서



[1] 참고로 중학교 학습지도요령에서는 학년별로 어떤 한자를 배울지까지는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중학생용 학년별한자배당표는 없다. [2] 일본한자능력검정협회(日本漢字能力検定協会)에서 이렇게 부른다. [신자체] 일본에서는 다른 글자의 신자체로 쓰는 한자이다. 즉, 2급~특급의 의미로 쓴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른 의미의 8급~3급 한자를 줄인 것이 형태만 같을 뿐이다. 이런 경우 한국에서 사용하는 2급~특급 한자의 의미와 전혀 관계 없으므로 취소선 처리하였다. 한국과 같은 의미인 경우도 있으나, 그런 경우는 고급 어휘이고, 사용되는 빈도가 낮아 학년별한자배당표에서 의도한 의미는 아니다. [4] 일본에서는 주로 藝(재주 예, 4급)으로 쓰인다. [신자체] [6] 일본에서는 주로 缺(이지러질 결, 4급)로 쓰인다. [신자체] [8] 일본에서는 주로 辯(말씀 변, 4급), 辨(분별할 변, 3급), 瓣(꽃잎 판, 특급)으로 쓰인다. [9] 상술했듯 辯(말씀 변), 辨(분별할 변)의 신자체로도 쓰인다. [10] 중국에서는 주로 機(틀 기, 4급)의 약자로 쓰여 혼동할 수 있으나, 일본에서는 機를 줄여 쓰지 않고 그대로 쓰므로 机는 '책상'의 뜻이 맞다.